시게미쓰 마모루
덤프버전 : r20230302
| ||||||||||||||||||||||||||||||||||||||||||||||||||||||||||||||||||||||||||||||
|
|
{{{#!wiki style="margin: 0 -10px"
|
일본군의 전쟁범죄와 그로 인한 피해 | ||||||||||||||||||||||||||||||||||||||||
|
일본 제국 제61·64·75-77대 외무대신 시게미쓰 마모루 重光葵 | Shigemitsu Mamoru | |
![]() | |
출생 | 1887년 7월 29일 |
오이타현 분고오노시 | |
사망 | 1957년 1월 26일 (향년 69세) |
가나가와현 유가와라시 | |
재임기간 |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 부총리 |
1954년 12월 10일 ~ 1956년 12월 23일 | |
제61대 외무대신 | |
1943년 4월 ~ 1945년 4월 | |
제5대 대동아대신 | |
1945년 8월 17일 ~ 1945년 8월 25일 | |
제64대 외무대신 | |
1945년 8월 17일 ~ 1945년 9월 15일 | |
|
1. 개요[편집]
일본 제국의 외교관이자 일본의 정치인이다. 도조 내각, 고이소 내각,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 하토야마 내각에서 외무대신, 부총리 등을 역임했다. 일본 제국의 마지막 대동아대신이기도 하다."지옥이 우리 앞으로 다가왔다..."
사이판 함락 소식을 들은 후
2. 생애[편집]
1887년 오이타현에서 출생했다. 오이타현 오노군 미에마치[1]
現 오이타현 분고오노시
구제 기쓰키 중학교[2]
現 오이타 현립 키츠키 고등학교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이 일어나자 그것이 일본군의 조작임을 알고도 후원했으며 송호정전협정 체결 과정에 참여했다. 이후 윤봉길 의사의 훙커우 공원 의거에 휘말려서 오른쪽 다리를 부상당해서 나중에 절단하고 의족 신세를 지게 된다. 이후 미주리 호의 갑판에 오를 때도 다리를 전다.
1943년,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시게미쓰 마모루는 외무대신이라는 고위직에 오르고, 1944년에는 대동아대신을 겸한다. 1945년, 일본이 패망하자 일본의 전권 대사로서 미국에 대한 항복 문서에 조인한다. 1946년,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유일하게 영어로 재판에 대답 및 임했으며, 금고 7년형의 판결을 받아 A급 전범 중 유이하게 금고형을 받았다. 또 다른 한 명인 외무대신 도고 시게노리[3]
조선계 일본인 외교관이다.
공통점은 두 명 다 외교관 출신의 외무대신이었다는 점이다. 군인 출신 정치인들에 비해 외교관 출신 정치인들은 비교적 형이 가벼웠다. 예외가 있다면 히로타 고키 정도.
1950년, 시게미쓰 마모루는 형기를 마치지 않고 가석방되었다. 이어서 개진당 총재와 일본민주당 부총재 등을 거쳐 다시 외무대신이 되었다.
1957년, 시게미쓰 마모루는 가석방된지 7년만에 사망하였다.
3. 기타[편집]
3.1. USS 미주리 함 함상 항복 문서 조인식[편집]
|
4분 38초에 시게미쓰 마모루가 서명하는 장면이 나온다. |
시게미쓰 마모루가 절뚝거리는 걸음을 걷게 된 이유는 바로 윤봉길 의사와 관련이 깊다. 1932년 4월 29일, 시게미쓰 마모루는 중국 상하이 천장절 축하연에 참여하였는데 그때 윤봉길 의사의 폭탄 공격을 받았다. 그 후 시게미쓰 마모루는 한쪽 다리를 잃어버렸고 의족을 착용해서 절뚝거리게 되었다. 위의 뉴스릴 영상 2분 10초경을 들어보면 '몇년 전 상하이에서 한국의 애국자(Korean patriot)에 의해 부상을 입었으며, 현재 그의 한쪽 다리는 의족이다'라는 윤봉길 관련 언급이 나온다. 이 영상은 영화 암살에서 그대로 등장한다.
3.2. 쿠릴 열도: 존 포스터 덜레스 미 국무장관과 대화[편집]
1956년 8월 18일, 미국의 존 포스터 덜레스 국무장관은 런던에서 시게미쓰 마모루 외무대신을 만났다. 그는 쿠릴 열도와 관련하여 시게미쓰 마모루에게 아래와 같이 발언했다.
이런 미국의 경고에 일본 정부는 ‘2개 섬 우선 반환론’에서 ‘4개 섬 일괄반환론’으로 선회했다. 그리고 지금까지 러시아와 평화조약이 보류되었다.“만약 일본이 2개 섬(쿠릴 열도)으로 만족한다면, 미국도 오키나와(당시 미국의 신탁통치 중이었다)에 영원히 머물 것이다.”[5]
동북아 영토분쟁의 ‘숨은 손’은 미국
4. 롯데와의 연관설[편집]
신격호 롯데그룹 창업주의 둘째 아내인 시게미쓰 하쓰코가 이 시게미쓰 마모루의 조카라는 설이 있다. 이 설에 따르면 신격호는 시게미쓰 마모루의 조카사위인 셈. 다만 이 설은 진위 여부가 불확실하다. 자세한 내용은 신격호 문서 참조.
5. 대중매체에서[편집]
1967년작 영화 <일본제국과 폭탄의사>에선 배우 최훈이 연기했다.
6. 관련 문서[편집]

[1] 現 오이타현 분고오노시[2] 現 오이타 현립 키츠키 고등학교[3] 조선계 일본인 외교관이다.[4] 공통점은 두 명 다 외교관 출신의 외무대신이었다는 점이다. 군인 출신 정치인들에 비해 외교관 출신 정치인들은 비교적 형이 가벼웠다. 예외가 있다면 히로타 고키 정도.[5] 동북아 영토분쟁의 ‘숨은 손’은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