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로말랑카라 가톨릭

덤프버전 :




1. 개요
2. 기원
3. 현황


1. 개요[편집]


시로말랑카라 가톨릭은 인도 케랄라 지역의 동방 가톨릭의 일원으로, 시리아 정교회, 시리아 가톨릭과 같은 서시리아 예법을 준수하는 교파이다. 시로말랑카라라는 명칭은 서시리아의(시로) 안티오키아 전례에서 인정한 말랑카라 전례를 준수하는 동방 가톨릭 교회라는 이름이다.

2. 기원[편집]


시로말랑카라 가톨릭 신도들이 본래부터 가톨릭 신도였거나 시리아 정교회와 같은 교파를 믿었던 것은 아니고 고대 말부터 인도 남부 케랄라 지방에 거주하던 전통적인 네스토리우스파 그리스도교 신자인(이른바 토마스 그리스도인) 공동체를 기원으로 한다. 케랄라 지역 그리스도인들의 초창기 역사는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 문서 참조.

고대부터 네스토리우스파를 믿으며 해안가에서 향신료를 무역하던 케랄라의 그리스도인들은 대항해시대 인도 항로를 개척한 포르투갈 세력과 조우하게 되었다. 당시 강성 가톨릭 국가였던 포르투갈은 케랄라 지역의 그리스도인들이 가톨릭이 아닌 이단 종파를 믿는다고 주장하며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려하면서 상당히 갈등이 일어났는데, 이를 계기로 케랄라의 현지 그리스도인들은 친포르투갈파와 반포르투갈파로 나뉘고, 또 친포르투갈파가 반포르투갈파가 되거나 그 반대 상황도 생겨나는 등 본격적으로 여러 교파로 갈라지기 시작했다. 이 중 교황수위권을 인정하되 네스토리우스파 전례(동시리아 전례)를 유지하는 그리스도교 교파는 오늘날 시로말라바르 가톨릭의 기원이 되었고, 보수파들은 교황수위권을 부정하는 대신 아예 동시리아 전례를 버리고 시리아 정교회로부터 서시리아 전례를 받아들였는데, 이들은 오늘날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에 해당한다.

시로말랑카라 가톨릭은 바로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에서 다시 1930년 교황수위권을 인정하는 교파가 갈라져 나온 것으로, 유럽인 선교사들이 오기 이전 이미 1910년대 오스만 제국디야르바크르 출신 시리아 정교회 성직자 압둘 마시 2세가 파문을 당하고 생애 말년에 케랄라로 이주하면서 교리 확립과 전례 정비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한다.


3. 현황[편집]


오늘날 인도에서 유이한 동방 가톨릭 교파로서, 시로말라바르 가톨릭이 교황 수위권을 인정하되 중세 인도의 토마스 그리스도인들과 마찬가지로 동시리아 전례를 유지한다면 시로말랑카라 가톨릭은 서시리아 전례를 유지하고 있다. 1930년대 교황수위권을 받아들인 이후로 다시 활발한 선교 활동을 벌여 케랄라 지역의 일부 힌두교도들을 개종시키며 교세를 확장하고는 있으며, 오늘날 기준으로 신도 수 약 43만여 명에 해당한다. 같은 인도의 동방 가톨릭 교파인 시로말라바르 가톨릭의 경우 신도수가 400만여 명으로 인도 기준으로는 적어보일 수 있으나 동방 가톨릭 교파 중 신도 수가 두 번째로 많은 교파라고 한다.

시리아 가톨릭(Syriac Catholic)과 같은 전례와 교리를 공유하지만 오늘날 시리아 가톨릭의 교세나 상황이 이슬람 및 시리아/레바논 내 다른 그리스도교 교파에 밀려 다소 취약한 이유(오늘날 신도 수가 2만 3천여 명)로 상호 간의 교류에 한계가 있다. 시로말라바르 가톨릭이나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는 그나마 중동에 같이 교류할 만한 교파가 산소호흡기라도 달고 있으나[1] 이 쪽은 오히려 인도 내 교파가 사실상 메인이 되었다 하겠다. 포르투갈어가 브라질어로 불리는 상황보다 더 심각한 경우일수도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0:06:39에 나무위키 시로말랑카라 가톨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시로말라바르 가톨릭 쪽은 이라크의 칼데아 가톨릭과 말랑카라 시리아 정교회는 말 그대로 시리아 정교회랑 소통하면 된다. 문제는 칼데아 가톨릭은 이라크 내전 와중에 신도 상당수가 미국이나 스웨덴 등으로 난민이 되어 흩어진 상황이고, 시리아 정교회(Syrian Orthodox)는 시리아 내에서조차 정교회(칼케돈 신경과 비잔틴 예법을 따르는 정교회와 칼케돈 신경을 따르지 않는 오리엔트 정교회의 일파 시리아 정교회는 서로 교리와 전례가 다르다.)보다 교세가 약해서 전망이 밝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