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품

덤프버전 :



1. 개요
2. 품평
2.1. 상품
2.2. 중품
2.3. 하품



1. 개요[편집]


518년 무렵에 중국 양(梁)나라의 종영(鐘嶸)이 지은 시론서(詩論書). 고시(古詩)를 싣고, 한(漢)나라부터 양(梁)나라까지 활동했던 시인 122명의 오언시를 평론하였고, 서문에 아름다운 문장으로 문장론을 서술하여 품평의 표준 태도를 밝혔다. 동시대 유협(劉勰)의 문심조룡(文心雕龍)과 함께 양대 문학비평서로 중국문학사에서 높이 평가받지만 오언시에 한정시킨 점, 역대 작가의 계승관계를 억지로 연결시킨 점은 비판받았다. 특히 상중하로 나누어 품평했기 때문에 예나 지금이나 이런 서열매기기는 재미있지만 많은 논란을 일으키는 지라 대대로 욕을 먹었다. 오히려 당시에는 평가가 그랬지만 이후 재평가를 통해 서열이 뒤바뀐 거라는 의견도 있다. 너무 낮은 평가라고 비판받는 경우는 중품에 위치한 도연명, 포조, 사조, 하품에 위치한 조조 등이 있고, 너무 높은 평가라고 비판받는 경우는 상품에 위치한 육기, 반악, 장협 등이 있다.


2. 품평[편집]



2.1. 상품[편집]


고시(古詩) - 작자미상의 한(漢)대 고시십구수

  • 한나라 도위 이릉(漢都尉李陵)
  • 한나라 첩여 반희[1](漢婕妤班姬)
  • 위나라 진사왕 조식(魏陳思王植)
  • 위나라 문학 유정(魏文學劉楨)
  • 위나라 시중 왕찬(魏侍中王粲)
  • 진나라 보병 완적(晉步兵阮籍)
  • 진나라 평원상 육기(晉平原相陸機)
  • 진나라 황문랑 반악(晉黃門郞潘岳)
  • 진나라 황문랑 장협(晉黃門郎張協)
  • 진나라 기실 좌사(晉記室左思)
  • 송나라 임천태수 사령운(宋臨川太守謝靈運)


2.2. 중품[편집]


  • 한나라 상계 진가(漢上計秦嘉)
  • 진가의 처 서숙(嘉妻徐淑)
  • 위나라 문제 조비(魏文帝)
  • 위나라 시중 응거(魏侍中應璩)
  • 위나라 상서 하안(魏尙書何晏)
  • 진나라 중산 혜강(晉中散嵇康)
  • 진나라 사공 장화(晉司空張華)
  • 진나라 빙익태수 손초(晉馮翊太守孫楚)
  • 진나라 저작 왕찬(晉著作王讚)
  • 진나라 사도연 장한(晉司徒掾張翰)
  • 진나라 중서령 반니(晉中書令潘尼)
  • 진나라 청하태수 육운(晉淸河太守陸雲)
  • 진나라 시중 석숭(晉侍中石崇)
  • 진나라 양성태수 조터(晉襄城太守曹攄)
  • 진나라 낭릉공 하소(晉朗陵公何劭)
  • 진나라 태위 유곤(晉太尉劉琨)
  • 진나라 중랑 노심(晉中郎盧諶)
  • 진나라 홍농태수 곽박(晉弘農太守郭璞)
  • 진나라 이부랑 원굉(晉吏部郎袁宏)
  • 진나라 처사 곽태기(晉處士郭泰機)
  • 진나라 상시 고개지(晉常侍顧愷之)
  • 송나라 사세기(宋謝世基)
  • 송나라 참군 고매(宋參軍顧邁)
  • 송나라 참군 대개(宋參軍戴凱)
  • 송나라 징사 도잠(宋徵士陶潛)
  • 송나라 광록대부 안연지(宋光祿大夫顔延之)
  • 송나라 예장태수 사첨(宋豫章太守謝瞻)
  • 송나라 복야 사혼(宋僕射謝混)
  • 송나라 태위 원숙(宋太尉袁淑)
  • 송나라 징군 왕미(宋徵君王微)
  • 송나라 정로장군 왕승달(宋征虜將軍王僧達)
  • 송나라 법조참군 사혜련(宋法曹參軍謝惠連)
  • 송나라 참군 포조(宋參軍鮑照)
  • 제나라 이부 사조(齊吏部謝朓)
  • 제나라 광록 강엄(齊光祿江淹)
  • 양나라 위장군 범운(梁衛將軍范雲)
  • 양나라 중서랑 구지(梁中書郎丘遲)
  • 양나라 태상 임방(梁太常任昉)
  • 양나라 좌광록 심약(梁左光祿沈約)


2.3. 하품[편집]


  • 한나라 영사 반고(漢令史班固)
  • 한나라 효렴 역염(漢孝廉酈炎)
  • 한나라 상계 조일(漢上計趙壹)
  • 위나라 무제 조조(魏武帝)
  • 위나라 명제 조예(魏明帝)
  • 위나라 백마왕 조표(魏白馬王彪)
  • 위나라 문학 서간(魏文學徐幹)
  • 위나라 창조속 완우(魏倉曹屬阮瑀)
  • 진나라 돈구태수 구양건(晉頓邱太守歐陽建)
  • 진나라 문학 응거(晉文學應璩[2])
  • 진나라 중서령 혜함(晉中書令嵆含)
  • 진나라 하남태수 완간(晉河南太守阮侃)
  • 진나라 시중 혜소(晉侍中嵆紹)
  • 진나라 황문 조거(晉黃門棗據)
  • 진나라 영저작 장재(晉領著作張載)
  • 진나라 사예교위 부현(晉司隸校尉傅玄)
  • 진나라 사예 부함(晉司隸傅咸)
  • 진나라 시중 무습(晉侍中繆襲)
  • 진나라 산기상시 하후담(晉散騎常侍夏侯湛)
  • 진나라 표기 왕제(晉驃騎王濟)
  • 진나라 정남장군 두예(晉征南將軍杜預)
  • 진나라 정위 손작(晉廷尉孫綽)
  • 진나라 징사 허순(晉徵士許詢)
  • 진나라 징사 대규(晉徵士戴逵)
  • 진나라 동양태수 은중문(晉東陽太守殷仲文)
  • 송나라 상서령 부양(宋尙書令傅亮)
  • 송나라 기실 하장유(宋記室何長瑜)
  • 양요번(羊曜璠)
  • 송나라 첨사 범엽(宋詹事范曄)
  • 송나라 효무제(宋孝武帝)
  • 송나라 남평왕 유삭(宋南平王鑠)
  • 송나라 건평왕 유굉(宋建平王宏)
  • 송나라 광록 사장(宋光祿謝莊)
  • 송나라 어사 소보생(宋御史蘇寶生)
  • 송나라 중서령사 능수지(宋中書令史陵修之)
  • 송나라 전사령 임담서(宋典祠令任曇緖)
  • 송나라 월기 대법흥(宋越騎戴法興)
  • 송나라 감전사 구혜공(宋監典事區惠恭)
  • 제나라 혜휴상인(齊惠休上人)
  • 제나라 도유상인(齊道猷上人)
  • 제나라 승려 보월(齊釋寶月)
  • 제나라 고제 소도성(齊高帝)
  • 제나라 정북장군 장영(齊征北將軍張永)
  • 제나라 태위 왕문헌(齊太尉王文憲)
  • 제나라 황문 사초종(齊黃門謝超宗)
  • 제나라 심양태수 구영국(齊潯陽太守丘靈鞠)
  • 제나라 급사중랑 유상(齊給事中郎劉祥)
  • 제나라 사도장사 단초(齊司徒長史檀超)
  • 제나라 정원랑 종헌(齊正員郎鍾憲)
  • 제나라 제기령 안칙(齊諸曁令顔則)
  • 제나라 수재 고칙심(齊秀才顧則心)
  • 제나라 참군 모백성(齊參軍毛伯成)
  • 제나라 조청 오매원(齊朝請吳邁遠)
  • 제나라 조청 허요지(齊朝請許瑤之)
  • 제나라 포영휘(齊鮑令暉)
  • 제나라 한난영(齊韓蘭英)
  • 제나라 사도장사 장융(齊司徒長史張融)
  • 제나라 첨사 공치규(齊詹事孔稚珪)
  • 제나라 영삭장군 왕융(齊寧朔將軍王融)
  • 제나라 중서자 유회(齊中庶子劉繪)
  • 제나라 복야 강석(齊僕射江祏)
  • 제나라 기실 왕건(齊記室王巾)
  • 제나라 수원태수 변빈(齊綏遠太守卞彬)
  • 제나라 단계령 변녹(齊端溪令卞錄)
  • 제나라 제기령 원하(齊諸曁令袁嘏)
  • 제나라 옹주자사 장흔태(齊雍州刺史張欣泰)
  • 양나라 중서랑 범진(梁中書郎范縝)
  • 양나라 수재 육궐(梁秀才陸厥)
  • 양나라 상시 우희(梁常侍虞羲)
  • 양나라 건양령 강홍(梁建陽令江洪)
  • 양나라 보병 포행경(梁步兵鮑行卿)
  • 양나라 진릉령 손찰(梁晉陵令孫察)

[1] 한성제의 후궁.[2] 중품에 나온 응거가 뜬금없이 다시 나온 점을 들어 연구자들은 응거의 형이자 건안칠자의 일원인 응창을 잘못 표기한 것이라 추측하기도 한다. 이 추측이 맞다면 위문학응창(魏文學應瑒)으로 표기해야 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4:15:53에 나무위키 시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