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준

덤프버전 :

1. 개요
2. 생애
3. 저서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문신. 는 순민(舜民). 는 여암(旅菴). 본관은 고령(高靈).


2. 생애[편집]


신경준(申景濬)은 1712년(숙종 38) 4월 15일에 전라북도 순창군에서 태어났으며, 신숙주의 아우 신말주(申末舟)의 후손이다.

1754년(영조 30) 늦은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휘능별검과 성균관 전적을 거쳐 병조좌랑이 되었다. 1760년(영조 36)에 사간원 정언, 사헌부 장령이 되고, 2년 후 서산군수(瑞山郡守)로 나갔다가 충청도사(忠淸都事)가 되었다. 1765년(영조 41)에 헌납(獻納)으로 들어오고 1767년(영조 42)에 사간(司諫)이 되었으나 밖에 있는 일이 많다고 유배당했다가 1년 만에 풀려났다.

영조의 명으로 《여지승람(輿地勝覽)》을 감수하고, 1770년(영조 46)에는 문학지사(文學之士) 8인과 함께 《문헌비고》를 편찬할 때 《여지고(輿地考)》를 담당하였으며, 이어서 그 해 6월 6일부터 8월 14일까지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의 감수를 맡았다.

이후 좌승지, 북청부사(北靑府使), 강계부사(江界府使), 제주목사(濟州牧使) 등을 역임하고, 고향으로 돌아가서 여생을 보냈다.

1781년(정조 5) 5월 21일에 세상을 떠났으며, 대표적인 저작으로 《훈민정음 운해(訓民正音韻解)》이 있다.


3. 저서[편집]



3.1. 훈민정음 운해[편집]


《훈민정음 운해》(訓民正音韻解)는 조선 영조 26년(1750년)에 운도(韻圖)를 작성해서 한자로 음운(音韻)을 나타낸 책이다. 1938년에는 당시의 조선어학회에서 활자본으로 간행한 일이 있는데 현재 필사본 한 권으로 남아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훈민정음 운해은 송학(宋學)의 시조의 한사람이라고 하는 소옹(邵雍)이 지은 "황극경세성음창화도(皇極經世聲音唱和圖)"를 본보기로 하여 훈민정음 해례본을 설명한 것이다.

세종께서 훈민정음을 창제한 이후 가장 심도 깊게 문자론과 음운론을 전개한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는 "훈민정음 운해"이나 발음의 오행을 논함에 있어서 훈민정음 해례본에 후음(목구멍소리)을 수(水)로 하고, 순음(입술소리)을 토(土)로 창제한 것을 여암 신경준의 훈민정음 운해에서는 후음(목구멍소리)을 토(土)로 보고, 순음(입술소리)을 수(水)로 반대로 기술하였는데 훈민정음 해례본은 송나라 황공소(黃公紹)가 지은 "운회(韻會)"와 우리나라 풍토를 중시하여 오음을 정하였으며, 신경준의 훈민정음 운해는 소옹의 황극경세성음창화도를 그대로 따른 것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한글의 오행이 수토가 서로 뒤바뀌어 쓰이고 있는 것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6:42:41에 나무위키 신경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