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역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에 있는 동명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신도역(일본) 문서
신도역(일본)번 문단을
신도역(일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곳은 폐쇄된 교통 시설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교통 시설은 폐쇄되어 더 이상 운영하지 않습니다.



신도역
(폐역)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Sindo
한자
新都
간체자
가나
シンド
주소
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 양정향한길 12(엄사리)
개업일
호남선
1966년 8월 1일
폐지일
호남선
2006년 6월 23일
철도거리표
호남선
신 도
(폐역)

新都驛 / Sindo Station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둘러보기

파일:신도역.jpg
신도역 탐방기


1. 개요[편집]


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에 위치했던 호남선폐역. 대전조차장역 기준 28km.


2. 역사[편집]


1966년 8월 1일 임시승강장으로 처음 개업한 뒤 3년 후인 1969년 배치간이역이 되었다. 1977년 5월 16일부터 철도청고시 제10호에 따라서 수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다. 지속적인 수요 감소로 2004년 7월 15일에 여객 취급이 중단되었고 2006년 6월 23일원정역과 함께 완전히 폐지되었다.


3. 특징[편집]


폐지 뒤에는 이 일대를 다니는 계룡시 시내버스가 대신하고 있으며, 운임요금도 더 저렴하다. 폐지 직전에는 편도 오전/오후 2편씩 4편 만이 정차하던 역이다. 그것도 목포 ~ 대전과 광주 ~ 대전 무궁화호만 말이다.

원래는 들어가는 길에 사진에 있는 역사가 위치하고 있었다. 그러나 1972년 7월 20일에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된 이후 1985년~1990년 사이에 철거되었으며 이후에는 부황역처럼 시설관리반 사무실을 역사로 사용했다. 당연히 현재 들어가는 길은 막혀 있다. 역명판 또한 대전 방면은 남아있지만, 목포/광주 방향은 남아 있지 않다. 승강장은 인근 엄사과선교에서 보인다.

계룡역~강경역 구간에 충청권 광역철도의 운행이 계획되고 있으나, 이 역은 포함되지는 않는다. 2014년경 계룡시에서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구간을 이 역까지 연장하려 시도했으나[1] 2015년 1단계 예비타당성 조사에 포함되지 않았다.[2] 2021년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안에서도 포함되지 않았으며,[3] 일부 지역 정치인 예비 후보들이 신도역 재개통이나[4] 엄사역 신설 등[5]의 선거 공약을 내세우며 해당 역을 광역철도에 추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둘 다 공천에서 패배했다 다만 신도역 주변의 엄사면 일대는 시가지가 꽤 개발되어 있고, 북쪽에 있는 계룡대의 수요도 확보할 수 있으며, 결정적으로 신도역을 지난 후에 나오는 개태사 드리프트로 인해 모든 열차들은 계룡역을 지나면서 필연적으로 속도를 줄일수밖에 없기 때문에 어차피 느린 속도로 지나가는 김에 정차해서 중간 수요를 챙기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비록 좌초되긴 했지만 잠재적인 수요도 분명 있는 역이고, 같은 폐역 신세였던 오정역도 광역전철 전용역으로나마 부활한 상황이라 신도역에도 희망이 생긴 만큼, 재개통을 위해서는 지역 사회와 정치인들의 노력이 중요할 듯.

다만 이 역은 부본선이 없으므로, 광역철도 정차가 확정된다면 부본선 신설을 위한 선로 공사는 필수불가결하다.


4.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4:51:45에 나무위키 신도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