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역대 왕비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신라




1. 개요
2. 역대 왕비
3. 추존왕의 비
4. 여담
5. 기타


1. 개요[편집]


신라의 역대 왕비 목록을 서술하는 문서. 공주이자 왕비였던 경우는 ☆을 표시한다.


2. 역대 왕비[편집]


군주
시호·이름
출생
사망
아버지(본관)
어머니(생모)
비고
<신라 상고>
박씨 이사금 : 8대 241년[1]
혁거세 거서간
赫居世居西干
알영부인 박씨
閼英夫人
B.C. 53
?
계룡
선도성모
오릉 배향
난생설화
남해 차차웅
南解次次雄
운제부인
雲帝夫人
?
?
-
-
유리 이사금, 아효부인의 모후
유리 이사금
儒理尼師今
이리생부인
伊利生夫人
?
?
일지 갈문왕
-
일성 이사금의 모후
김씨
?
?
사요왕
-
파사 이사금의 모후
탈해 이사금
脫解尼師今
아효부인 박씨[2]
阿孝夫人☆
?
?
남해 차차웅
운제부인

파사 이사금
婆娑尼師今
사성부인 김씨
史省夫人
?
?
허루 갈문왕
-

지마 이사금
祇摩尼師今
애례부인 김씨
愛禮夫人
?
?
마제 갈문왕
-

일성 이사금
逸聖尼師今
왕비 박씨
?
?
지소례왕
-

아달라 이사금
阿達羅尼師今
내례부인 박씨
內禮夫人☆
?
?
지마 이사금
애례부인

석씨 이사금 : 8대 172년
벌휴 이사금
伐休尼師今
?
-
-
-
-
석골정의 모후, 내해 이사금의 할머니
내해 이사금
奈解尼師今
왕비 석씨
?
?
석골정
옥모부인
아이혜부인의 모후
조분 이사금
助賁尼師今
아이혜부인 석씨
阿爾兮夫人☆
?
?
내해 이사금
왕비 석씨
명원부인, 광명부인, 석걸숙의 모후
□소부인 박씨
□召夫人
?
?
나음 갈문왕
-
유례 이사금의 모후
첨해 이사금
沾解尼師今
-
-
-
-
-

미추 이사금
味鄒尼師今
광명부인 석씨
光明夫人☆
?
?
조분 이사금
아이혜부인
보반부인, 아류부인의 모후
유례 이사금
儒禮尼師今
-
-
-
-
-

기림 이사금
基臨尼師今
-
-
-
-
-

흘해 이사금
訖解尼師今
?
-
-
-
-
석공한의 모후
김씨 마립간 : 6대 159년
내물 마립간
奈勿麻立干
보반부인 김씨
保反夫人☆
?
?
미추 이사금
광명부인
파일:황남대총 피장자.jpg
눌지 마립간의 모후
실성 마립간
實聖麻立干
아류부인 김씨
阿留夫人☆
?
?
파일:황남대총 피장자.jpg
차로부인의 모후
눌지 마립간
訥祗麻立干
차로부인 김씨[3]
次老夫人☆
?
?
실성 마립간
아류부인
파일:황남대총 피장자.jpg
자비 마립간의 모후, 지증왕의 외할머니
자비 마립간
慈悲麻立干
왕비 김씨

?
?
파호갈문왕
-

왕비 김씨

?
?
미사흔
-
소지 마립간의 모후
소지 마립간
炤知麻立干
왕비 김씨
?
?
습보갈문왕[4]
오생부인

선혜부인 김씨
善兮夫人
?
488
이벌찬 내숙[5]
-
삼국유사에서는 궁주
벽화부인 박씨
碧花夫人
?
?
파로
-
이사부의 모후[6]
지증왕
智證王
연제부인 박씨
延帝夫人
?
?
이찬 등흔
-

<신라 중고>
김씨 성골 왕조 : 6대 140년
법흥왕
法興王
보도부인 박씨[7]
保刀夫人
?
?
-
-

진흥왕
眞興王
사도부인 박씨
思道夫人
?
614
모량리 각간 박영실
-
진지왕의 모후, 진평왕의 할머니, 진덕여왕의 증조모
소비 부여씨☆?[8]
?
?
백제 성왕
-

진지왕
眞智王
지도부인 박씨
知刀夫人
?
?
기오공
-

진평왕
眞平王
마야부인 김씨
摩耶夫人
?
?
복승 갈문왕
-
선덕여왕, 천명공주의 모후
승만부인 손씨
僧滿夫人
?
?
-
-

<신라 중대>
통일신라 시대 개막
김씨 무열왕계 왕조 : 8대 126년
태종 무열왕
武烈王
문명왕후 김씨
文明王后
?
?
소판 김서현
만명부인

문무왕
文武王
자의왕후 김씨
慈儀王后
?
?
파진찬 김선품
-

신문왕
神文王
폐비 김씨
廢妃
?
?
김흠돌
-

신목왕후 김씨
神穆王后
?
700
일길찬 김흠운
-

효소왕
孝昭王
-
-
-
-
-

성덕왕
聖德王
성정왕후 김씨
成貞王后
?
?
소판 김원태[9]
-
김중경, 사소부인의 모후
소덕왕후 김씨[10]
炤德王后
?
724
이찬 김순원
-
효성왕, 경덕왕의 모후
효성왕
孝成王
혜명부인 김씨
惠明夫人
?
?
각간 김정종[11]
-

경덕왕
景德王
사량부인 김씨[12]
沙梁夫人
?
?
이찬 김순정[13]
수로부인

만월부인 김씨[14]
滿月夫人
?
?
각간 김의충[15]
-
혜공왕의 모후
혜공왕
惠恭王
신보왕후 김씨
新寶王后
?
?
이찬 김유정
-

창창부인 김씨[16]
昌昌夫人
?
?
이찬 김장
-

<신라 하대>
김씨 내물왕계 왕조 : 16대 132년
선덕왕
宣德王
구족부인
具足夫人
?
?
각간 양품[17]
-

원성왕
元聖王
숙정부인 김씨
肅貞夫人
?
?
각간 김신술
[18]

소성왕
昭聖王
계화부인 김씨
桂花夫人
?
?
대아찬 김숙명
-

애장왕
哀莊王
왕비 박씨[19]
?
?
-
-

헌덕왕
憲德王
귀승부인 김씨
貴勝夫人
?
?
각간 김예영
-

흥덕왕
興德王
장화부인 김씨[20]
章和夫人☆
?
826
소성왕
계화부인
흥덕왕릉 합장
희강왕
僖康王
문목왕후 김씨
文穆王后
?
?
선강태자 김충공
귀보부인

민애왕
閔哀王
윤용왕후 김씨
允容王后
?
?
각간 영공
-

신무왕
神武王
정계부인
貞繼夫人
?
?
○명 해간
-[21]

문성왕
文聖王
소명왕후 김씨
炤明王后[22]
?
?
이찬 김양
-

헌안왕
憲安王
?
?
?
-
-
문의왕후, 차비 김씨의 모후
경문왕
景文王
문의왕후
841
866
헌안왕

헌강왕, 정강왕, 진성여왕의 모후
차비 김씨
842
870

헌강왕
憲康王
의명부인 김씨[23]
懿明夫人
?
?
-
-

정강왕
定康王
-
-
-
-
-

<후삼국 시대>
효공왕
孝恭王
왕비 박씨
?
?
이찬 박예겸
정화부인

후기 박씨 왕조 : 3대 16년
신덕왕
神德王
의성왕후 김씨
義成王后☆
?
?
헌강왕
의명부인

경명왕
景明王
왕비 김씨
?
?
장사택[24] 각간 김대존
-

경애왕
景哀王
?[25]
?
?
-
-

후기 김씨 왕조 : 1대 9년
경순왕
敬順王
죽방부인
竹房夫人[26]
?
?
-
-

낙랑공주 왕씨
樂浪公主☆?[27]
?
?
고려 태조 왕건(개성)
신명순성왕후 유씨

왕씨 부인[28]
王氏 夫人
?
?
성무부인 박씨



3. 추존왕의 비[편집]


군주
시호·이름
출생
사망
아버지(본관)
어머니(생모)
비고
입종 갈문왕
立宗 葛文王
지소태후 김씨
只召太后☆
?
?
법흥왕
보도부인

동륜왕
銅輪王
만호부인 김씨
萬呼夫人
?
?
입종 갈문왕
지소태후

음갈문왕
飮葛文王
선덕여왕
善德王
?
?
진평왕
마야부인

진정 갈문왕[29]
眞安 葛文王
?
?
?
?
-
?
진안 갈문왕[30]
眞安 葛文王
월명부인
月明夫人
?
?
만천 갈문왕
-
진덕여왕의 모후
문흥대왕
文興大王
천명공주 김씨
天明公主☆
?
?
진평왕
?[31]

개성대왕
開聖大王
사소부인
四炤夫人☆
?
?
성덕왕
성정왕후[32]
선덕왕의 모후
현성대왕
玄聖大王
?
?
?
-
-

신영대왕
神英大王
?☆
?
?
태종 무열왕
문명왕후

흥평대왕
興平大王
?
?
?
-
-

명덕대왕
明德大王
계오부인
繼烏夫人
?
?
창근 이간
[33]

혜충대왕
惠忠大王
성목태후 김씨
聖穆太后
?
?
-
-
소성왕, 헌덕왕, 흥덕왕, 김충공의 모후
?[34]
?
?
-
-
귀보부인의 모후
익성대왕
翌成大王
순성태후 박씨
順成太后
?
?
대아찬 박충연
-

선강대왕
宣康大王
귀보부인 박씨
貴寶夫人
?
?
혜충대왕 김인겸
?
민애왕의 모후
성덕대왕
成德大王
헌목태후 박씨
憲穆太后
?
?
선강태자 김충공
귀보부인
신무왕의 모후
소명왕후 김씨
炤明王后
?
?
선강태자 김충공
귀보부인
헌안왕의 모후
의공대왕
懿恭大王
광화부인
光和夫人☆
?
?
신무왕
정계부인
경문왕의 모후
혜성대왕
惠成大王
부호부인
鳧好夫人
?
?
-
-

진성여왕
眞聖王☆
?
897
경문왕
문의왕후

선성대왕
宣聖大王
정화태후
貞和太后
?
?
-
-
신덕왕의 모후
의흥대왕
懿興大王
?
?
?
-
-

신흥대왕
神興大王
계아태후
桂娥太后☆
?
?
헌강왕
의명왕태후
경순왕의 모후


4. 여담[편집]




5. 기타[편집]



신라 초기 왕실 여성들의 명칭에 알(ar) 발음이 들어있는 경우를 여럿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왕실 여성들 명칭에 알(ar) 발음이 자주 들어가는 이유가 무엇인지 역사학자들의 견해가 있는데, 미시나 쇼에이/미시나 아키히데(三品 彰英)는 박혁거세가 에서 태어난 설화의 상징으로 추측했고, 나희라의 <신라의 국가제사>에서는 제사를 관장하는 왕실 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8:34:17에 나무위키 신라/역대 왕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어디까지나 《삼국사기》 기록상이다. 고고학적으로 증명이 되지 않는 《삼국사기》 초기 기록의 연대가 현대에는 전부 허구까지는 아니라도 다소 부정확하다고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혁거세왕의 정확한 즉위년은 무상에 가깝다.[2] 아로부인(阿老夫人), 아니부인(阿尼夫人)이라고도 불린다.[3] 아로부인(阿老夫人)이라고도 불린다.[4] 삼국유사 원문에는 기보 갈문왕이라고 기재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습보의 다른 표기인 사보의 오기로 본다.[5] 거칠부의 할아버지 잉숙과 동일인으로 여겨진다.[6] 이사부내물 마립간의 4세손 또는 5세손인데, 처음으로 발령받은 곳이 현재의 울진군에 해당하는 실직주이다. 벽화부인이 현재의 영주시에 해당하는 날이군 출신이기 때문에 1세대의 항렬차가 확실시되는 이상 가장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7] 삼국유사에는 사축부인(巳丑夫人)이라고도 적혀 있는데 파도부인(巴刀夫人)의 오기로 보인다.[8] 백제의 공주.[9] 알천의 후손으로 보인다.[10] 점물왕후(占勿王后)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순우리말 의 음차이다.[11] 아버지에 대한 기록이 사서마다 다른데, 혜명부인경덕왕 치세에 태후로 불렸으므로 실제 경덕왕의 어머니었던 소덕왕후의 인적정보와 혼동을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당나라에서 왕비를 두 번 책봉받아서 왕비가 2명이 아니냐는 가설도 있는데, 해당 기사의 원사료인 구당서의 사료적 문제로 인해 해당 사건이 2년 앞당겨져 기록되었을 뿐이며, 효성왕의 두 번째 왕비 같은 건 없다는 시각도 존재한다.[12] 사로 6부 중 하나인 사량부에서 이름을 땄다. 삼모부인(三毛夫人)이라고도 불린다.[13] 내물 마립간 12세손. 원성왕의 자식들과 김순정의 자식들은 같은 항렬자를 쓰고 있어, 직계로 꽤 가까운 혈족인 것으로 추정된다.[14] 경수왕후(景垂王后)나 경수태후, 경목왕후(景穆王后)라고도 불린다.[15] 바로 위에 나오는 김순정의 아들이다.[16] 아버지인 김장의 이름을 그대로 딴 것.[17] 삼국유사에는 각간 낭품으로 기록되어 있다.[18] 파진찬 김원량의 딸[19] 《가야산해인사고적(伽倻山海印寺古籍)》에 따르면, 애장왕의 후궁이 입궐한 시점에 등창이 났다고 한다.[20] 정목왕후(定穆王后)라고도 불린다.[21] 명(明) 돌림자는 혜충태자들의 손자들이 공통적으로 쓰던 항렬자인데, 만약 이 김○명이 헌덕왕의 태자와 동일인이라면 정계부인의 어머니는 정교부인이 된다. 이부남매끼리 혼인한 것.[22] 그녀가 입궁하기 1년 전 당나라에서 책봉받은 왕비가 따로 있지만, 이는 당나라 측 사서의 원문을 그대로 실은 것으로 칭원법 차이로 인해 당나라 측 기록과 우리 측 기록이 1년씩 차이나는 경우는 꽤 많았다. 실제로 해당 왕비는 당나라로 갈 때 소명왕후의 아버지인 김양과 동행했고 문성왕에게 다른 아내가 있었다는 기록도 없다.[23] 의명왕후(義明王后)라고도 불린다.[24] 장사택(長沙宅)은 금입택 중 하나로, 집안이 금입택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유력한 진골귀족었던 것으로 보인다.[25] 경애왕 시해 후 견훤에게 강간당했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존재는 확실하다.[26] 일설에 경순왕의 모후(母后. 왕의 어머니)라 주장하나, 이에 대해 《고려사》를 오역(誤譯)함에 따라 비롯된 결과라는 설도 있는데 조선 문종 1년에 완성된 고려사는 고려를 기준으로 신라 경순왕을 선왕으로 보고 그의 왕비인 죽방부인을 선왕 경순왕의 태후(太后)라 기록하였다고 해석하였다는 것을 근거로 한다. 그러나 문종은 경순왕의 후손이 아닌 것은 물론 신라와 고려는 아예 다른 나라여서 경순왕의 아내를 태후라고 부를 위치가 되었는지는 의문이다. 왕비로서의 기록이 나타난 것은 조선 말기 세워진 신라경순왕전비부터이고, 죽방(竹房)이라는 명칭은 인명이 아닌 “대나무 방” 정도의 의미로, 신라 시대 관서 중 방(房)은 주로 여관이 근무하던 곳을 부르던 명칭이었고 여성 인명을 사서에 표기하지 않게 된 고려시대의 특징을 고려하면 그녀가 기거하는 공간을 뜻하는 명칭일 가능성이 있다. 굳이 왕의 생모가 아니어도 전임 왕의 아내로서 태후라는 명칭을 쓴 흔적도 삼국사기에서 발견된다.[27] 고려의 공주였다.[28] '부인 왕씨'으로도 불린다. 작호도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29] 선덕여왕의 남편인 음갈문왕과 동일인물이라는 설이 있다. 이는 남동생 김국반도 마찬가지.[30] 선덕여왕의 남편인 음갈문왕과 동일인물이라는 설이 있다. 이는 둘째 형 김백반도 마찬가지.[31] 마야부인 소생임이 확실한 선덕여왕과 달리 어머니가 불명확하다.[32] 소덕왕후는 입궁한 지 4년만에 사망하므로 세 명을 낳기에는 시간이 너무 촉박하고, 반대로 성정왕후는 입궁한 지 11년 뒤에 폐출되므로 한 명만 낳기에는 시간차가 크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태자 책봉은 꽤 어린 나이(약 3~5세 경)에 진행되므로 김중경의 출생은 입궁 후 7년차 정도로 예측되고, 따라서 앞에 추가적인 자식들이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남편인 김효방이 734년 사망하기 때문에 그녀가 그 당시에 기혼녀였다면 적어도 719년 이전에는 태어났을 것이다.[33] 파진찬 김원량의 누이[34] 혜충태자의 자식들인 김충공과 귀보부인이 서로 결혼하므로, 둘은 어머니가 달랐음이 확실시된다. 희강왕이 혜충태자의 아들로도 언급된 기록이 있는 점을 봐서는 순성태후(順成太后)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