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경전철 신림선

최근 편집일시 :








파일:editor_20158144658426.png 파일:로템SRS_Logo.svg 파일: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_Logo.svg
파일:Sillim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신림선
서울 輕電鐵 新林線
Seoul LRT Sillim Line



파일:7315aac3dcf171.jpg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임시가칭]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 경전철 신림선 노선도.svg

노선 정보
분류
도시철도
기점
샛강역
종점
관악산역
역 수
11개(본선)
6개(난곡지선)
구성 노선
서울 경전철 신림선
난곡지선[1]
상징색

서울하늘색 (#6789CA)

개업일
2022년 5월 28일
소유자
파일:attachment/서울특별시/seoul_symbol2008.png
운영자
파일:editor_20158144658426.png
사업 시행
파일:로템SRS_Logo.svg
운영 및 유지보수
파일: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_Logo.svg
관제 및 기술지원
사용차량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차량기지
보라매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7.53㎞
궤간
1,700㎜
선로구성
복선
사용전류
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신호방식
LS ELECTRIC LTran-CX[2] RF-CBTC
최고속도
60㎞/h
표정속도
28.875㎞/h #
지상구간
없음
통행방향
우측통행
개통연혁
2022. 05. 28. 샛강관악산
개통예정
2026. 보라매공원난향
미정. 샛강동여의도

1. 개요
2. 역사
2.1. 노선 제안
2.2. 건설 과정
3. 전동차
6. 여담
7. 둘러보기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홍보영상[3]


관악산역-샛강역 방면 주행영상

신림선 총괄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EC%B4%9D%EA%B4%84%EB%8F%84.jpg

서울 경전철의 노선 중 하나로, 서울특별시의 교통 사각지대인 관악구 신림동 지역의 교통난을 해소하고자 2000년대 초반부터 계획된 노선이다. 노선의 주 색상은 서울하늘색(Seoul Blue). 출처[4] 홈페이지는 여기. 2020년대에 진접선, 하남선, 신분당선 신사 연장 등 노선 연장 개통을 제외하고 단일 노선으로는 처음으로 개통한 노선이다.

인구는 엄청나게 많은데 교통 사각지대인 신림동의 교통난을 해소하며 신림동을 여의도와 잇고, 보라매역신대방역 사이 애매한 장소에 있던 보라매공원을 잇는 역할을 한다. 또한 서울대학교와 연결[5]되어 통학 수요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방역 ~ 보라매공원역 구간은 여의대방로와 겹치기 때문에 신림선이 헬게이트를 어느 정도 분담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BTO 방식으로 지어지는 서울시 추진 민간투자사업이며, 사업시행자는 농협은행DL이앤씨[6]가 주축이 된 남서울경전철이다. 현대로템의 자회사 로템SRS가 운영과 차량보수를 맡으며, 광주광역시도시철도공사가 관제와 기술 지원을 맡는다. #

민자노선이지만 신분당선 등과 달리 민자노선 추가요금이 없으므로 서울전용 정기권도 쓸 수 있다. 대신 환승역에는 환승전용 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현재 9호선처럼 승하차량 집계를 위해 설치되었다.


2. 역사[편집]



2.1. 노선 제안[편집]


신림선은 2006년에 고려개발 컨소시엄이 여의도 샛강역에서 시작해 대방역, 보라매공원, 신림역을 거쳐 서울대학교에 이르는 고무차륜 AGT 경전철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제안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이 사업은 2008년 1월에 한국개발연구원의 민자적격성 조사[7]를 통과하였고, 2008년 11월에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 고시'에 반영되었다.

서울특별시는 민간제안을 토대로 2009년 11월에 제3자 공고를 냈고, 여기서 사업을 제안한 고려개발 컨소시엄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다. 그리고 구체적인 노선 및 역 위치 결정, 사업비 분담 방식 등을 결정하였다. 민자사업 관련 협상은 2015년에 완료되었으며, 협상 결과는 2015년 4월 17일 기획재정부 민간투자사업심의위원회를 통과했다. 사업비는 총 8,318억원으로, 그 중 국가가 931억원(12%), 서울특별시가 3,105억원(38%), 민자사업자가 4,282억원(50%)을 부담한다.

2.2. 건설 과정[편집]


2015년 7월 1일 두산건설수주했으며, 2015년 9월 7일에 기공식, 2016년 4월 중 착공하였다.[8](출처, 기사) 당초 계획상으로는 4월 29일 착공될 예정이었으나, 사업 시행사인 남서울경전철 측에서 상세 설계도를 내지 않아 착공이 늦어졌다.(출처) 2016년 5월 19일에 별다른 큰 행사없이 조용히 착공식이 진행되었다. 착공식 사진

파일:Y2fDLQf.jpg
2015년 9월 7일에 기공식이 거행됐다.(뉴스 영상) 기공식 당시에는 삽만 뜬 것이고, 실질적인 공사는 2016년 4월에야 시작했다.

그러나 2016년에도 일부 구간은 제대로 착공도 못하고 있었다.# 보라매공원을 파헤치는 것과 관련한 민원과 고시촌역, 서울대학교 내 역 신설 문제가 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2016년 9월 2일 서울시는 신림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실시계획을 승인하면서 일단 고시촌과 서울대학교 내부에 역을 신설하지 않기로 했다.#

파일:16903177_1892854187618333_2657432255555556684_o.jpg
공사 현장에 부착되어 있던 안내문

2016년 10월, 지장물 철거 및 가로수 이식공사가 시작되었다. 출처

2017년 1월 26일, 각종 민원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실시계획이 바뀌었고 2월 3일부터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갔다. 김성식 국회의원 블로그

2017년 3월 공군회관 남측, 병무청 앞 도로, 보라매병원 앞, 신림사거리 초입, 대학동 한남운수 종점, 샛강역에서 공사중이었고, 대방~샛강간 노선이 곡선이 됨에 따라 노선이 지나가는 주변 아파트 주민들이 시위를 하였다. 이에 따라 샛강역에서 대방역으로 이어지는 시점부 노선이 곡선에서 직선으로 바뀌었다.

파일:shinrim_before.jpg
파일:shinrim_after.jpg
신림선 시점부 본선터널 통과지 중 한국개나리아파트, 신일해피트리아파트 하부통과 구간에 대한 지역주민의 민원 발생으로 사유지 하부통과를 배제할 수 있는 선형으로 계획하고 대방역 구조물 계획도 바꿨다.

2019년 4월 23일, 첫 터널 공사를 끝냈으며,기사 2020년 12월 16일, 전 구간 터널 공사가 완료되었고 열차 2편성이 입고되었다. 2021년 1월부터 구간별로 시험운행을 하고 있다. 기사

2021년 8월부터 영업 시운전 및 시설물 점검을 실행하였다. 2021년 12월 16일, 인사들이 보라매병원역에서 직접 시승식을 가졌으며, 서울시에서 신림선 개통 대비 시민 모니터링 요원을 모집하여 선발된 인원을 대상으로 시승 행사를 가졌다.

2022년 1월 기준 공정률은 96.0%이며, 2022년 1월 3일, 오세훈 서울시장이 시민들과 함께 시승했다. 2022년 1월 27일에 보라매병원역서원역, 관악산역에 출입구 기둥이 설치되었다.

2022년 2월 17일, 모든 역 출입구에 LED 안내기가 설치되었으며 3월 7일, 당곡역 1번 출구에 출입구 기둥이 설치되었다.[9] 2022년 4월 19일,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장애인의 날을 기념하여 역사에 있는 장애인을 위한 시설점검에 들어갔다.

2022년 5월 16일에 신림선 노선 홈페이지가 생겨 역 정보와 운행 시간표가 공개되었고, 기존 역(샛강, 대방, 보라매, 신림.)출입구마다 신림선 스티커를 붙였으며, 동월 18일에 개통 포스터가 공개되었다.

파일:신림선_개통포스터.jpg
2022년 5월 27일 10시에 보라매공원에서 개통식이 열렸으며, 2022년 5월 28일 5시 30분 첫차 운행을 시작으로 신분당선 신사~강남 구간과 함께 개통하였다.


3. 전동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남서울경전철주식회사 SL000호대 전동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K-AGT에 기반한 고무차륜 AGT 차량을 쓴다. 3량 1편성으로 설계 최고속도 70km/h, 운행 최고속도 60km/h이며 158명 정원이다. DC 750V 제3궤조 급전방식을 채택했으며, 우진산전에서 만든다.

4. 역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경전철 신림선/역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연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 경전철 신림선/연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여담[편집]


  • 9호선과 환승역으로 지정된 샛강역은 9호선 급행이 정차하지 않고 통과한다. 그렇다고 샛강역에 급행을 세우면 여의도역부터 노량진역까지 3연속 정차이며, 양쪽 다 환승역이라 급행을 통과시킬 수 없다. 저수요 역을 찾기 힘든 서울 지하철에서, 이런저런 이유로 마냥 급행 정차역을 늘려줄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러나 7호선 보라매역~논현역 21분, 9호선 샛강역~신논현역 21분(샛강역이 급행역이었다면 13분)으로 강남까지의 소요시간이 샛강역으로 가는 소요시간과 7호선으로 가는 시간이 차이가 없어 배차간격 이외엔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지금 지어지는 서울 경전철 노선은 9호선 완행 역과 연계되게 노선을 짜는 것이 이득이다.[10] 상대적으로 강남까지 거리가 가까우니 완행과 연계하여 급행쏠림현상을 완화해 이용객 분산을 노릴 수 있다.

  • 한국에서 연구, 기술력으로 만들어진 한국형 무선기반 신호시스템(KRTCS : Korea Radio Train Control System)을 신림선에 첫 적용하기로 하였는데, 이는 순수 대한민국 기술로 만들어진 첫 철도신호체계이다.

  • 2020년 9월 7일부터 18일까지 동작구 구간 역명을 공모했다.# 동작구와 비슷한 시기에 관악구 구간도 역명 공모 후 온라인 선호도 조사를 진행했다.(온라인 관악청) 2021년 2월 7일에 110역을 제외한 모든 역의 역명이 정해졌으나 2021년 6월 17일에 본래 숯고개역으로 결정된 역 이름이 서원역으로 바뀌었으며, 9월 7일에 110역의 역명이 서울대벤처타운역으로 확정되었다.

  • 철도 동호인이자 교통평론가인 한우진의 블로그에 신림선 배선도를 만들어서 올라와 있다. 특이하게 건넘선이 종착역에만(샛강, 관악산) 있으며, 차량기지 입출고선이 관악산 방면으로만 존재한다.

  • 개통 전 언론 취재진에 공개한 바에 따르면 역번호는 샛강역의 101부터 시작해 관악산역까지 1씩 더하는 방식이었으나, 개통 며칠 전에 샛강역의 S401부터 시작해 관악산역까지 1씩 더하는 방식으로 바꾸었다. 옛 역번호의 흔적은 스크린도어에 새겨진 역번호나 신림선 공식 홈페이지에 제시된 역 안내도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 개통 전 처음 시간표가 공개되었을 당시에는, 평일 NH 시간대의 배차간격이 10분으로 고정되어 있어 이와 관련된 말이 많았다. 하지만 개통 직전에 시간표가 조정되어 평일 NH 시간대는 첫막차 시간대를 제외하고는 7 ~ 8.5분 간격으로 변경되었다.

  • 다른 경전철들과 마찬가지로 안내방송은 TTS로 출력되지만 영어에서는 역명이 1번만 나온다.

  • 전 구간 무인 운전이나, 개통 후 6개월간은 승무원이 탑승한다고 한다.

  • 개통 당일 관악산역에서 한 승객이 철도 동호인으로 추정되는 다른 승객에게 자신의 얼굴이 사진에 찍혔다는 이유로 시비를 걸어 싸움이 발생하였다. 이후 경찰이 출동했다고 한다.[11] 비슷한 시각 열차 내에는 비상통화장치를 누른 사람이 있었다. 출처 같은 날 개통한 신분당선 신사 연장 구간은 신림선에 비해 철도 동호인이 비교적 많지 않았다고 한다
.

7. 둘러보기[편집]






8.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13:39에 나무위키 서울 경전철 신림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임시가칭] [1] 추후 개통예정.[2] KRTCS 기반, #[3] 홍보 영상 썸네일에는 개통 시기가 2021년으로 적혀있었지만, 공기가 연장되는 바람에 실제로는 2022년 5월 28일에 개통됐다.[4] 서울하늘색은 KS 5PB 6/10(dE4.7), 팬톤 297C(dE4.7). 헥스코드는 #6789CA이다. 디자인서울 서울색10색변환표[5] 관악산역은 비록 서울대 정문과 350m 떨어져 있지만 서울대에서 가장 가까운 역이 될 예정이며, 걸어서 5분 거리의 정류장에서 서울대 안으로 들어가는 5511, 5513번 버스를 탈 수 있다.[6] 본래는 고려개발이었으나 고려개발이 워크아웃으로 대림산업에 지분을 양도하고 이탈하였다.[7] 해당 민간투자사업이 타당성이 있는지, 타당성이 있다면 민자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유리한지 조사한다. 예비타당성조사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된다.[8] 원래 공사에서 기공식은 토지매입 진행중에 시행했다. 물론 기공식 때 미리 매입한 부분은 터파기가 시작된다. '착공'은 토지매입이 완료되고 전 구간이 공사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9] 2번 출구에는 4월 30일에 설치되었다.[10] 이미 급행은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 멀게는 인천국제공항철도김포 골드라인 환승으로 인천광역시 북부 지역과 영종도, 김포시 수요까지 커버중이고 향후 대곡소사선이 개통되면 파주시고양시, 부천시 북부 지역 수요까지 커버 예정이다.[11] https://m.dcinside.com/board/monorail/284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