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림역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앙선의 폐역에 대한 내용은 신림역(중앙선) 문서
신림역(중앙선)번 문단을
신림역(중앙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신림역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Sillim
한자
新林
간체자
가나
新林(シンリム
주소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지하1614
(신림동 1467-8)
운영 기관
2호선
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
신림선
파일:로템SRS 로고.png
개업일
2호선
1984년 5월 22일
신림선
2022년 5월 28일
역사 구조
2호선
지하 2층
신림선
지하 3층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2호선, 신림선)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연계 교통
7. 사건 사고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 역 정보[편집]



파일:신림역(2호선) 안내도.png

역 안내도. 4번 출구 에스컬레이터가 빠져있다.


2.1. 서울 지하철 2호선[편집]


과거 병기역명은 양지병원으로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에 의거해 붙여졌으나 계약 종료로 제거되었다.

법정동 신림동에 있어서 이 이름이 붙었다. 법정동 신림동의 면적은 어마어마하게 크고, 신림동 인구도 단일 법정동 중 전국 1위이지만, 정작 지하철역은 신림선 개통 전까지 이곳 뿐이었다.[1] 외선 순환은 이 역부터 봉천역을 지나 서울대입구역까지 섬식 승강장이며, 내선 순환은 다음역인 신대방역부터 대림역까지 지상 및 상대식 승강장 구간이다. 내선순환 열차는 이 역을 출발하고 잠깐의 터널 구간이 이어진 후 지상으로 올라온다. 외선순환 열차는 맨 앞칸 기준으로도 지하로 진입하기 전 안내방송이 끝난다.

승하차 인원이 서울에서 5위권 안에 들고, 신림선 개통으로 인해 더욱 혼잡해졌다.

과거 이 역에는 특이하게 그냥 투명한 유리로 되어 있는 스크린도어가 아니라 파란색으로 썬팅이 된 유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고장이 잦은 탓에 1차 스크린도어 교체 대상에 포함되어 2019년 2월 8일부터 4월 18일까지 스크린도어 교체 공사를 시행했다.

원래 화장실이 개찰구 내에 있었으나 신림선 개통 후 운임 구역 조정 공사를 통해 화장실의 위치가 개찰구 밖으로 변경되었다.

2018년 12월 27일에 4번 출구의 에스컬레이터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2022년 5월 경부터 8번 출구, 2022년 6월 경부터 5번 출구의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사를 시작한다.


2.2. 서울 경전철 신림선[편집]


신림선 신림역은 2호선 신림역 바로 북쪽에 있다. 출입구는 따로 만들어지지 않고 2호선 출입구와 공유한다. 공사 기간 동안 일부 출입구 공사로 많이 혼잡했다.

2021년 2월 22일부터 2022년 5월 26일까지 환승통로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동년 5월 28일 신림선이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다.

이 역 5번, 6번, 7번, 8번 출구[2]를 이용하려는데 2호선 승하차 게이트가 혼잡하다면 신림선 환승 통로에 있는 신림선의 하차 게이트로 우회하면 덜 혼잡하다. 신림선 승하차 게이트는 7번, 8번 출구와 5번, 6번 출구 바로 앞에 설치돼 있기 때문이다.

신림선 신림역은 다른 신림선 역과는 달리 승강장에서 대합실을 잇는 계단이 두 개인데, 환승 통로 계단과 에스컬레이터가 앞, 뒤로 설치돼 있기 때문이다. 당곡역 방향은 하행 전용 에스컬레이터만 2대, 서원역 방향은 상행 전용으로만 2대 설치돼 있다.

신림선 대합실에는 물품 보관함과 화장실이 없으니 이 두 시설을 이용하려면 하차 태그 후 2호선 대합실로 가야 한다.


2.3. 환승[편집]


환승 통로가 두 노선의 승강장을 직접 잇도록 설계된 게 아니라서 환승 방법이 편리하다고 볼 수는 없다. 두 승강장이 가깝게 붙어있지만 두 노선 간 갈아탈 때 T자식으로 공유하는 대합실을 거쳐야 하므로,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와야 한다. 2호선과 신림선 신림역 승강장 모두 섬식 승강장이라 바로 밑으로 'ㄱ'자형 계단 통로를 뚫으면 환승이 편리해질 수도 있었지만 역학적/구조적 제약이 있어 그러지는 못했다. 신림선 설계상 2호선 선로와 승강장 구조물 바로 아래층이 신림선 선로와 승강장 구조물이며, 2호선 승강장에는 혼잡으로 인해 추가 계단 설치가 어렵다.

신림선 개통 후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몰리는 것을 보면 지금 이 환승통로가 그나마 넓게 만들어진 것이 다행일 수도 있다. 신림선 환승 통로를 겸하는 봉천역 방향 계단이 매우 혼잡한데, 2호선 승하차객과 환승객이 뒤엉키는 문제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환승 게이트만 지나면 크게 북적거리지는 않는다. 신대방 방향 계단쪽에는 환승 통로가 없으니 참고해야 한다.

신림선에서 2호선으로 갈아탈 때, 신림선 승하차 게이트와 2호선 환승용 게이트가 모두 인접한 곳에 있기 때문에 안내표지를 잘 보고 카드를 태그해야 한다. 이 점은 보라매역도 마찬가지이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이 역이 자리잡은 신림역교차로(신림사거리) 일대는 지역 주민들에게 신사리라고 불리는 상권이다. 여러 문화위락시설이 신림역교차로에 골고루 분산되어 있다.

  • 출구 안내
1
신림지구대,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방면
2
타임스트림(롯데시네마 신림), 서원동 주민센터 방면
복합 쇼핑몰 타임스트림 (구. 포도몰) 이 있으며, 역과 연결 통로로 이어져 있다. 이곳에는 롯데시네마 신림영풍문고 신림점이 입점해 있다. 2번 출구 쪽에서 나와서 걸어가다보면 청암두산위브 건물 지하에 알라딘 중고서점도 있으며 건물을 통하지 않고 직접 밖과 통하는 계단이 눈에 잘 띄게 있다. 또한 라노벨, 만화 전문 서점인 코믹존도 있다. 1번 출구에서 약 200m 가보면(버스 정류장 하나 거리) 병기역명인 에이치 플러스 양지병원이 나온다.

3
신원시장, 서울대학교 방면
4
별빛신사리 상권(순대타운), 남서울중학교, 성보중·고등학교, 신원동 주민센터, 관악세무서 방면
이쪽 블럭이 유흥시설(성매매 업소, 감성주점 등)이 가장 많이 밀집한 곳이다. 순대타운과 도림천, 신원시장을 포함한 별빛 신사리 상권도 있는데, 그중 양지 순대 타운이 유명하다. 건물 하나가 순대 타운이다. 신당동처럼 골목이 있는 게 아니라. 건물 안에 들어서면 상인들이 서로 자기 가게로 오라고 끌어들인다.

신림동 고시촌, 녹두거리나 서울대학교 방향으로 가고 싶다면 3번 출구쪽으로 나와서 버스를 타면 된다.

4번 출구 바로 앞에 마을버스 관악05, 관악08, 관악10의 정류장과 시내버스 정류장이 있고, 2,3번 출구 쪽으로 시내버스 정류장까지 있는 덕분에 신림역 이남 관악구 서부의 교통량을 떠맡다시피하는 2,3,4번 출구는 출퇴근 시간에 터져나간다. 아침 시간대에 역 남쪽의 신림동 지역에서 버스 타고 올라와서 내려서 역(2번 출구)으로 향하는 맥도날드, 버거킹, 타임스트림 앞은 수십명이 줄지어서 역으로 향하는 모습이 장관이다. 4번 출구 또한 마찬가지이다. 출근시간대 4번 출구 앞은 지하철을 타려는 사람들로 줄이 세워져 있다. 타려는 사람들은 많은데 출구가 에스컬레이터이고 좁기 때문에 그렇다.

5
난곡 방면
폐쇄
6
신림동 별빛거리, 신림동 주민센터,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방면

난곡 방면으로 이동할 때에는 5번 출구로 나가서 버스로 갈아탈 수 있다.

6번 출구로 나가서 보라매공원 쪽으로 걷다보면 '신림동 별빛거리(구. 걷고싶은 문화의 거리, 패션 문화의 거리)'라는 골목이 나온다. 신림역보다는 그래도 차분한 분위기에서 술을 먹을 수 있다. 대신 가격대가 조금 비싸며, 'XX포차' 류의 술집은 거의 없다.

이쪽에서는 현재 공사중인 건물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 건물은 2006년부터 2019년까지 13년 동안 건물 소유권 문제 및 시공사 비리 등으로 인하여 공사가 진행되지 않아 방치된 유령건물이었다. 그러나 2020년에 새로운 시공사가 계약권을 따내어 본격적으로 공사가 시작되었고 ART백화점이 들어설 예정이었으나 모종의 사유로 인하여 2021년에 그 부지의 건물 구조물을 모두 철거하고, 현재는 센트레빌335 오피스텔을 건설 중이다.

7
시립보라매청소년수련관 방면

8
관악우체국, 보라매동주민센터 방면
폐쇄
신림역 7번 출구로 나오면 르네상스쇼핑몰이 있다. 건너편의 타임스트림으로 인하여 쇼핑몰을 방문하는 사람은 적다. 또한 8번출구에서 약 250m 가다보면 관악우체국이 있다.

2호선을 타면 강남 17분, 선릉 21분, 홍대 21분, 당산 16분, 신도림 8분, 사당 8분이면 닿을 수 있기 때문에 신림역이 서울 서남부권의 중심 지점이라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안양이나 금천구 일대로 나가는 버스(5530, 500, 9, 9-3)를 타기 위해서는 구로디지털단지역 말고도 신림역에 내리는 경우도 많다. 더군다나 집값도 저렴하니 인근의 강남이나 여의도에 근무하는 젊은층의 수요가 많다. 주말에 관악산 등반객들이 몰린다.

가뜩이나 인도는 좁아터지는데, 잡상인과 유동 인구가 넘쳐나서 역 밖은 혼잡하다. 이곳에 사람들 많고 모임 장소를 이 곳으로 정하는 사람이 많은 건 주변에 별다른 상업중심지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는 신도림 테크노마트, 디큐브시티, 영등포 타임스퀘어가 생기면서 유동 인구가 그 쪽으로 많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신림의 유동 인구는 과거보다 많이 감소하고 있다.

2호선만 있을 때는 도심이나 영등포(영등포구청역이나 문래역 제외), 여의도, 그리고 반포, 서래마을 쪽으로 나가는 교통편이 좀 번거로웠다. 직선거리는 그리 멀지 않은데 곧바로 가는 노선이 없다 보니 아무래도 노선상으로 돌아가는 동선이 된다. 1호선이나 4호선으로 갈아타야 하는데 신도림역사당역이 워낙 복잡한 환승역인데다 시내버스가 있지만 그리 기동성 있게 이동하기는 쉽지 않았다. 신림선이 개통되면서 도심은 대방역에서 1호선 환승(단 막장환승), 여의도는 샛강역이나 대방역에서 버스 환승, 반포나 강남 북부는 보라매역에서 7호선 환승으로 쉽게 갈 수 있다.

2023년 들어와서 이 역 일대에서 신림동 묻지마 살인사건, 신림동 묻지마 강간 살인사건이라는 대형사고가 2개나 터지면서 신림역 일대의 치안에 빨간불이 켜졌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illimLine_icon.svg
총합
환승객 수
비고
파일:Seoulmetro2_icon.svg파일:버스정류장 아이콘.svg

[ 1994년~2009년 ]
1994년
146,066명
52,884명
52,884명
52,884명

1995년
138,875명

1996년
128,461명

1997년
118,499명

1998년
115,138명

1999년
자료없음

2000년
123,312명
비고
2001년
119,393명

2002년
121,850명

2003년
122,905명

2004년
127,866명

2005년
134,479명

2006년
136,926명

2007년
141,192명

2008년
143,353명

2009년
147,056명


2010년
148,496명


자료없음

2011년
147,919명

2012년
145,983명

2013년
146,107명

2014년
146,469명

2015년
146,374명

2016년
144,793명
52,884명

2017년
139,646명
46,953명

2018년
138,692명
46,378명

2019년
139,189명
45,842명

2020년
106,360명
자료없음

2021년
104,381명
자료없음

2022년
107,733명
3,629명
111,362명

[3]
출처
파일:Seoulmetro2_icon.svg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4]
파일:SillimLine_icon.svg: 서울열린데이터광장
파일:삼태극.svg : 철도통계연보
[1] 엄밀히 말하면 신대방역의 절반 정도가 신림동에 걸쳐 있고, 구로디지털단지역 코앞도 신림동이지만 둘 다 엄연히 각각 동작구와 구로구 관할이다. 신대방역은 걸쳐 있으나 역무실이 동작구이며, 구로디지털단지역은 애초에 동작구금천구, 구로구 사이에 껴서 신림동에서 가장 이질적인 조원동에만 살짝 접해 있을 뿐이다. 심지어 조원동 중에서도 구로디지털단지역과 접한 서부 지역은 행정구역 개편 전에는 금천구 독산동 관할이었다.[2] 5번 출구와 8번 출구는 에스컬레이터 설치 중[3] 신림선은 개통일인 5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21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4]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

관악구의 상업/교통 중심지로서 엄청난 수의 유동 인구가 오고 가는 역이다. 관악구 자체의 인구밀도가 워낙 높아서 지역 상권에서 출발해 상당한 메이저 상권까지 올라갔다. 이 때문에 신림역은 사람 많기로 유명한 2호선에서도 손에 꼽힐 만큼 이용객이 많다. 2021년 기준 하루 평균 10만 명이 이용하여 2호선 전체 3위(강남역, 잠실역 다음 순위), 수도권 전철역 전체 7위(강남역, 잠실역, 홍대입구역, 고속터미널역, 서울역, 선릉역 다음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관악구에서 도시철도 이용객 수가 가장 많다. 2021년까지 비환승역 중 승하차 수가 가장 많았으나 2022년부터는 신림선이 개통되면서 비환승역이 아니다.

실제로 신림역의 역세권 범위는 서울 지하철에서 가장 넓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신림역이 있는 신림동(행정동), 서원동을 비롯하여 도림천을 끼고 있는 신사동(관악구) 동부, 신원동, 서림동, 삼성동(관악구), 대학동은 물론, 난곡로 연선의 다른 지역(미성동, 난곡동, 난향동)까지 일부 버스 노선을 통해 간접 역세권으로 삼고 있다. 이 외에 조원동은 구로디지털단지역신대방역, 신사동 서부와 난곡 지역 일부는 신대방역을 주로 이용한다. 그리고 역 북쪽 산비탈의 보라매동까지 포함하면 역세권에 사는 인구만 해도 관악구의 절반인 25만 명이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신림역 하나에 대부분의 간선 교통을 의존하니 사람이 많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서울대학교로 가는 관문 역할을 하여 서울대입구역과 함께 대학생들의 수요를 책임지고 있으며 순대골목으로 대표되는 상권 덕분에 외지인들이 많이 찾는다. 이러한 사실들은 신림역의 위상을 보여주는 단면인 동시에 관악구의 교통이 그만큼 불편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방증이다. 이렇게 많은 동네들이 신림역 말고는 의지할 만한 교통편이 없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신림역 주변의 도로 상황은 아침부터 정오까지 수많은 차량으로 주차장이 되어 있을 때가 많다. 관악구의 지형은 산악 지형으로 원래는 집이 들어설 위치가 아닌데, 서울이 빠르게 확장하면서 포화 상태에 이르자 서민들이 밀려나는 과정에서 산꼭대기까지 무분별하게 집이 들어서 시가지가 형성된 곳이다. 따라서 도로 및 대중교통이 심각하게 빈약했고, 이는 신림선이 무리 없이 착공될 수 있었던 이유가 되었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이용객 수가 감소했지만 여전히 많은 승하차 인원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나 개통 이래 처음으로 2호선 전체에서 승객 수 3위에 올랐다. 원래 홍대라는 대형상권을 끼고있는 홍대입구역이 3위였는데 코로나19의 여파로 승객수가 대폭 감소하면서 4위였던 신림이 3위로 올라왔다. 홍대입구역 뿐만 아니라 외국인들이 주로 몰리던 인천공항1터미널역, 이태원역, 대형상권을 낀 명동역, 건대입구역의 승객수가 대폭 감소했다.


5. 승강장[편집]



5.1. 서울 지하철 2호선[편집]



파일:attachment/tlsfladur.jpg

2호선 승강장. 2016년경에 촬영한 사진이다.

봉천




신대방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신형 스크린도어가 열릴 때에는 발빠짐 주의 멘트가 나오고 닫힐 때에는 경고음이 포함되어 있다.

80년대에 지어진 승강장답게 승강장 폭이 좁다. 당시에는 신림역의 이용객이 이렇게 많을 줄은 생각하지 못한 채로 지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섬식 승강장이 완전한 직사각형 형식이 아니라 나뭇잎 모양처럼 양 끝부분의 면적이 전체 면적에 비해서 점점 좁아지는 형식인데, 섬식 승강장이기에 선로를 떨어뜨려 놓아야 하는 특성상 양쪽 끝부분의 승강장이 부득이하게 좁아진 것이다. 승강장 끝부분은 3호선 종로3가역 승강장의 폭과 비슷하다. 때문에 안 그래도 좁은 승강장인데 끝부분에 사람이 많이 몰리면 신도림역과 맞먹는 헬게이트가 열린다. 이로 인해 지도상으로는 직선 승강장으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 실제로는 곡선 승강장이다. 승강장 확장 관련 건의 민원이 시도때도 없이 올라오지만 섬식 승강장이라 추가 확장이 어렵다.


5.2. 서울 경전철 신림선[편집]



파일:신림선신림역.jpg

신림선 승강장


파일:신림선 신림역 역명판.jpg

신림선 역명판

당곡




서원


보라매역과 같이 섬식 승강장 계획을 가진 역들도 상대식으로 바뀌었지만, 이 역은 섬식 승강장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따라서 신림선의 유일한 섬식 승강장이 되었다. 수도권 경전철에서는 김포 골드라인구래역을 이은 2번째 섬식 승강장이다.

이 역에서 샛강행 열차를 타면 회차하기 전까지는 다시는 왼쪽문이 열리지 않고, 관악산행 열차를 타면 종점인 관악산역에서야 왼쪽문이 다시 열린다. 열차에 소지품이 끼지 않도록 주의하자.


6. 연계 교통[편집]


  • 서울대입구역을 능가하는 관악구 교통 중심지인 만큼 경유 버스 노선도 많고 신림역 혹은 신림사거리 이름이 붙은 버스 정류장의 수도 9개나 된다. 일부 정류장은 신림역 대신 신림사거리, 신림동 별빛거리 입구라고 써있거나, 심하면 아예 '신림'이란 말이 들어가지 않은 관악우체국 양지병원이라고 써있다.


  • 이름대로 2번 출구 앞에 있는 정류장이다. 아래 신림사거리(21148) 정류장보다는 역에 조금 더 가깝다.


  • 2번 출구에서 신림로를 따라 다소 떨어져 있는 정류장이다. 위 신림역2번출구(21377) 정류장보다 역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 난곡 방향으로 향하는 노선 중 5522B, 5523번은 아래 기술된 5번 출구쪽 신림사거리.신림역(21108) 정류장이 거의 항상 혼잡하다는 특징 때문에 다소 역에서 떨어진 이 정류장을 이용하면 조금 더 쾌적하게 갈 수 있다. 단 506번은 애초에 신림역 사거리를 동-서로 지나기 때문에, 남쪽에 있는 이 정류장에는 당연히 정차하지 않으므로 주의.
  • 5522B은 이 정류장을 기준으로 직진했다가 당곡사거리에서 좌회전해서 신대방역을 경유하여 난곡으로 들어가는 노선과, 여기서 바로 좌회전해서 남부순환로를 타고 그대로 난곡으로 들어가는 노선으로 나뉜다. 난곡이 목적지라면 남부순환로 경유 버스를 타야 돌아가지 않는다.


  • 3번 출구에서 신림로를 따라 서원동 방면으로 조금 떨어져 있는 정류장이다. 5522A번은 4번 출구(신림역 기준 서쪽) 쪽에서 우회전해서 온 것과 6번 출구(신림역 기준 북쪽) 쪽에서 직진해서 온 2가지가 있지만, 난곡종점(21809) 정류장을 넘어가지 않는 이상 여기서부터는 전혀 차이가 없다. 어차피 넘어갈 바에는 차라리 5번 출구 앞 정류장에서 506번이나 5523번, 그리고 남부순환로 경유 5522B번을 타고 난곡사거리를 지나 들어가는 것이 훨씬 낫다. 5523번과 5522B은 상술한 2번 출구 앞 신림사거리 정류장에서 타도 된다. 노선상으로는 전혀 차이가 없으므로 먼저 온 것을 타는 것이 좋다. 만약 5522A 두 대가 동시에 온다면, 차량 앞 유리에 '난곡종점행'을 달고 다니는 차를 타는 것이 빠를 확률이 좀 더 높다. 사실 이는 굉장히 특이한 5522번의 코스 때문인데 자세한 것은 서울 버스 5522 참조.


  • 4번 출구 바로 앞에 있는 정류장이다. 신림사거리 남쪽 정체의 주범


  • 4번 출구에서 남부순환로를 따라 조금 떨어져 있는 정류장이다. 아래 신림사거리.신원시장(21604) 정류장보다는 역에 조금 더 가깝다.
  • 사당역 주변이나 과천시로 가고자 한다면 이 정류장에서 9-3번을 타야 한다. 반대편 정류장에서 9번을 이용하면 금천구석수동 방향으로 간다.


  • 4번 출구에서 남부순환로를 따라 다소 떨어져 있는 정류장이다. 위 신림사거리.신림역(21117) 정류장보다 역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 여기에 정차하는 모든 버스들이 신림동 별빛거리 입구를 향해 좌회전을 하는데, 수월하게 하기 위해 신림사거리에서 거리를 떨어진 장소에서 정차하는 것이다.
  • 도림천에 딱 붙은 골목길에서 막 남부순환로로 나오기 직전의, 즉 위의 마을버스 전용 4번출구 정류장(21916)의 바로 전 정류장인 마을버스 전용 봉림교 정류장(21912)과 매우 가깝다.


  • 5번 출구에서 남부순환로를 따라 다소 떨어져 있는 정류장이다. 아래 신림사거리.신림역(21350) 정류장보다 역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다.
  • 난곡으로 들어가는 모든 노선이 이 곳에 정차한다. 그 탓에 언제나 혼잡하며, 특히 퇴근시간에는 같은 라인의 신림사거리.신림역(21350) 정류장보다 사람이 많다. 즉, 버스 3개가 정차하는 정류장이 13개 정차하는 정류장보다 사람이 많다. 그만큼 난곡방향의 교통난이 심각하다는 걸 증명해 준다. 조금이라도 더 쾌적하게 난곡으로 이동하고 싶은 사람들은 위의 2번 출구쪽 맥도날드 앞의 신림사거리(21148) 정류장에서 버스를 이용한다. 단 506번은 애초에 신림역 사거리를 동-서로 지나기 때문에, 남쪽에 있는 이 정류장에는 당연히 정차하지 않으므로 주의.


  • 5번 출구에서 남부순환로를 따라 조금 떨어져 있는 정류장이다. 바로 위의 신림사거리.신림역(21108) 정류장보다는 역에 조금 더 가깝다.
  • 금천구석수동으로 가고자 한다면 이 정류장에서 9번이나 5530번을 타야 한다. 반대편 정류장에서 9-3번을 이용하면 사당역과천시 방향으로 간다.

신림역(21651)
마을


  • 7번 출구 바로 앞에 있는 정류장이며, 관악03번 전용이다.

  • 신림역을 경유하는 노선 중 역 기준 북쪽과 동쪽을 서로 통하는 461, 6515, N15는 신림역 혹은 신림사거리라고 명명된 정류장에 정차하지 않아, 초행길이거나 이 주변 지리에 익숙하지 않다면 애를 먹을 수가 있다. 이 노선들을 이용하려면 여의도(461)/양천공영차고지(6515)/우이동(N15) 방면은 7번 출구로 나와 신림로를 따라 북쪽으로 걸어가면 있는 신림동별빛거리입구(21149) 정류장을, 장지공영차고지(461)/경인교육대학교(6515)/사당역(N15) 방면은 1번 출구로 나와 남부순환로를 따라 동쪽으로 걸어가면 있는 관악우체국.양지병원(21262) 정류장을 이용하면 된다.


7. 사건 사고[편집]


  • 2005년 3월 14일 저녁 6시 경, 32살 남성이 2호선 신림역에서 봉천역 방향으로 진입하던 열차에 치여 숨졌다. (관련 기사)

  • 2018년 4월 23일 오전에 2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고장으로 출근시간대에 7호선과 같이 열차가 지연운행 되었다. (관련 기사)

  • 2022년 6월 27일 13시 경, 신림선 역사에서 연기 발생으로 인한 화재 경보기 오작동이 발생하여 신림선 양방향의 운행이 지연되었다. #

  • 2022년 12월 경, 신림선 신림역의 천장 누수로 신림역 전용 게이트가 임시 폐쇄되었다.

  • 2023년 7월 21일 오후 2시 7분경 신림역 4번 출구 근처 골목 및 지상 주차장에서 30대 남성이 칼부림을 일으켜 20대 남성 1명을 살해하고 30대 남성 3명에게 부상을 입혔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신림역 칼부림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23:13:33에 나무위키 신림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