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유튜버에 대한 내용은 KD키드 문서
KD키드번 문단을
KD키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헌
신익희 김약수 윤치영
김동원
[[제2대 국회|{{{-2 {{{#fff 제2대

]]
[[제2대 국회|{{{-2 {{{#fff 제2대

]]
장택상 김동성
조봉암
조봉암
윤치영
[[제3대 국회|{{{-2 {{{#fff 제3대

]]
[[제3대 국회|{{{-2 {{{#fff 제3대

]]
최순주 조경규
곽상훈
조경규
황성수 이재학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이재학
한희석 임철호
김도연
이재형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이영준
서민호
소선규
[[제6대 국회|{{{-2 {{{#fff 제6대

]]
[[제6대 국회|{{{-2 {{{#fff 제6대

]]
나용균
장경순
이상철
[[제7대 국회|{{{-2 {{{#fff 제7대

]]
[[제7대 국회|{{{-2 {{{#fff 제7대

]]
윤제술
장경순
정성태
제8대
장경순
정해영
[[제9대 국회|{{{-2 {{{#fff 제9대

]]
[[제9대 국회|{{{-2 {{{#fff 제9대

]]
김진만
이철승
구태회
이민우
제10대
민관식
고흥문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채문식
김은하
윤길중
고재청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
최영철
김녹영 조연하
공석
장성만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노승환
김재광
김재광
조윤형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황낙주
허경만
이춘구 이한동
홍영기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오세응
김영배
신상우
김봉호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홍사덕 김종하
김종호
김태식
조부영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김덕규
박희태
이용희
이상득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이윤성
문희상
정의화
홍재형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이병석
박병석
정갑윤
이석현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심재철
박주선
이주영
주승용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김상희
정진석
김영주
정진석 정우택

역대 국회의장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사무총장
창당

초대
신상우


제2대
유한열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보건사회위원장
제12대 후반기
박준병

제13대 전반기
신상우


제13대 후반기
황명수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국방위원장
제14대 전반기
유학성

제14대 전반기
신상우


제14대 후반기
황명수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정보위원장
신설

제14대 후반기
신상우


제15대 전반기
김종호

파일:국회휘장(8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남 제14선거구)
제7대
노재필

제8대
신상우

선거구 개편
신상우[A]
김영병[A]
김원규[B]
최형우[B]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남 제7선거구)
선거구 개편
신상우[1]
김영병[2]

제9대
신상우
김영병

제10대
김택수
신상우
제9대
신상우
김영병

제10대
김택수
신상우

제11대
이재우
신원식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제6선거구)
선거구 개편
정해영[C]
김임식[C]

제11대
신상우

장성만

제12대
장성만
문정수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북구 을)
선거구 개편
장성만[D]
문정수[D]

제13-14대
신상우


선거구 개편
정형근[3]
한이헌[4]
권철현[5]
신상우[6]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광역시|{{{#cfa547 부산}}}]] [[사상구 을|{{{#cfa547 사상구 을}}}]])
선거구 개편
문정수[7][8]
신상우[9]

제15대
신상우


선거구 통합
권철현[10]





대한민국 제15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신상우
辛相佑 | Shin Sang-woo


출생
1937년 5월 20일[1]
경상남도 양산군 하북면 순지리 556번지
사망
2012년 1월 26일 (향년 74세)
본관
영산 신씨[2]

범중(凡中)
재임기간
초대 해양수산부 장관
1996년 8월 8일 ~ 1997년 8월 6일
제15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1998년 8월 17일 ~ 2000년 5월 29일
제10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2003년 5월 27일 ~ 2004년 2월 6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
부산사범학교부속국민학교 (졸업)
부산대신중학교 (졸업)
부산상업고등학교 (졸업 / 43회)
고려대학교 문리과대학 정경학부 (정치외교학 / 학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수료)
종교
개신교
신체
179cm
의원 선수
7
의원 대수
8, 9, 10, 11, 13, 14, 15
약력
부산일보 기자
제8대 국회의원 (경남 14선거구 / 신민당)
제9대 국회의원 (경남 7선거구 / 신민당)
제10대 국회의원 (경남 7선거구 / 신민당)
제11대 국회의원 (부산 북구 / 민주한국당)
민주한국당 부총재
제13대 국회의원 (부산 북구 을 / 통일민주당)
제13대 국회 전반기 보건사회위원회 위원장
제14대 국회의원 (부산 북구 을 / 민주자유당)
제14대 국회 전반기 국방위원회 위원장
제14대 국회 후반기 정보위원회 위원장
제15대 국회의원 (부산 사상구 을 / 신한국당)
제1대 해양수산부장관 (문민정부)
한나라당 부총재
민주국민당 최고위원
제10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참여정부)
제15~16대 KBO 총재
대통합민주신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최고고문
통합민주당 상임고문


1. 개요
2. 생애
2.1. 정치계 입문 전
2.2. 정치 활동
2.2.2. 민주한국당의 가짜 실세
2.2.3. 보수 본류
2.2.4. 민주국민당의 실패와 노무현 지지
2.4. 사망
3. 여담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7선 의원, 해양수산부 장관, 15대 국회 후반기 국회부의장 등을 역임한 인물로 대중들에게는 전직 한국야구위원회 총재로 알려져 있다. 신달수 전 국회의원은 작은아버지이다.

2. 생애[편집]



2.1. 정치계 입문 전[편집]


1937년 5월 20일 경상남도 양산군(現 양산시) 하북면 순지리 556번지에서 아버지 신인수(辛寅洙, 1915 ~ 1962. 2. 15)와 어머니 김해 김씨 김성란(金成蘭, 1900 ~ 1987. 4. 15) 사이에서 두 아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부산사범학교부속국민학교(現 부산 화랑초등학교)[3], 부산상업고등학교(43회), 고려대학교 문리과대학 정경학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했다. 고려대학교 재학 중이던 1960년 이기택[4]과 함께 4.19 혁명을 주도하였다.

그 뒤 약 10년 동안 부산일보 정치부 기자로 재직하였다.


2.2. 정치 활동[편집]



2.2.1. 신민당[편집]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민당에 입당하여 정계에 입문하였고, 그 선거에서 경상남도 동래군-양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국회의원인 민주공화당 노재필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10월 유신으로 이뤄진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경상남도 양산군-김해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김영병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이후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김택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초창기에는 김영삼의 비서를 지냈지만 10월 유신 이후에는 신도환 계보인 신우회에 속하였다. 그리고 김영삼이 신민당 총재로 있을 때의 지도노선 등을 비판하여 왔다.


2.2.2. 민주한국당의 가짜 실세[편집]


1980년 전두환의 신군부가 집권하고 나서도 정치규제를 당하지 않았다. 정치계에서 별다른 두각을 나타내지 않아서 그랬던 것. 이듬해인 1981년 관제 야당민주한국당 소속으로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장성만 후보와 무투표 당선되었다. 여담으로 농촌지역 선거구 관리가 도시지역 선거구 관리보다 어렵다는 점, 당 사무총장으로서 당 운영에 좀 더 많은 힘을 쏟아야 한다는 점, 어릴 적 양산에서 부산으로 이주하였던 점, 양산 출신인 민주정의당 이재우 후보가 출마할 예정이라는 점 등을 이유로 신설 선거구인 부산직할시 북구에 출마하였다. 사무총장을 거쳐 1985년 민주한국당 부총재로 사실상 유치송을 대신할 수 있는 막후 실세나 다름없었다.

그러다가 그 해 2월 제1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영삼으로부터 신한민주당 입당을 제의받았다. 그러나 국가안전기획부 서울분실장 방준필의 협박으로 인해 김영삼의 제의에 응하지 못하였다. 만일 민주한국당을 탈당하면 구속시켜 버리겠다는 경고를 받았다고.[5] 특히 숙부인 신달수 경남버스 사장의 사업까지도 방해하겠다는 협박을 받았다[6].

결국 신한민주당 돌풍으로 인해 득표율 3위[7]로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하였다. 그리고 나서야 어느 정도 국가안전기획부로부터 자유로워졌고 민주한국당을 탈당하여 신한민주당에 입당하였다. 어쨌거나 민주한국당에 있었던 이력 때문에 상도동계에서도 비주류에 속했다. 방준필 때문에 본전도 못 건졌다 그래도 문민정부시절에 1980년대 당시 안기부 사실상의 공천명단을 넘겨주었고 그에 따랐을 뿐이라는 사실을 고백하는 등의 반성행보를 보였다. 1986년 민주한국당 시절을 회고하고 참회하는 고독한 증언이란 책을 저술하였다.


2.2.3. 보수 본류[편집]


1987년 신한민주당을 탈당하여 김영삼의 통일민주당에 참여하였다. 이듬해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1990년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이 합당하여 민주자유당이 창당되는 이른바 3당 합당이 일어나자 이에 동참해 민주자유당 소속 정치인이 되었다. 합당에 반대한 소수파 김정길/노무현과 행보를 달리했다고 할 수 있다.

이후 계속 YS계, 속칭 (통일)민주계로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그렇게 민주자유당-신한국당-한나라당 계보로 당직으로는 부총재, 행정직으로는 초대 해양수산부장관(임기 1996. 8. 8 ~ 1997. 8. 6), 국회에서는 부의장[8]을 지내는 등 보수정당 내 민주계의 실질적 수장으로서 영달을 누렸다.


2.2.4. 민주국민당의 실패와 노무현 지지[편집]


그러나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이회창 후보에 의하여 공천에서 탈락했다. [9] 그러자 왕년의 고등학교, 대학교, 정치 동지이자 꼬마민주당계의 수장이었던 이기택, 민정계이자 왕년의 라이벌(...) 김윤환민주국민당을 창당하였다. 그리고 본인은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광역시 사상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권철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10][11]

이후 다른 여러 보수정치인들과 다른 행보를 보여, 2001년 9월, 자신의 고교(부산상업고등학교) 후배이자 통일민주당에서 한솥밥을 먹었던[12] 노무현의 제16대 대통령 선거 출마 소식을 듣고 그의 부산지역 후원회장을 맡았다. 당시 그의 형편을 생각하면 신상우의 보는 눈, 즉 정치적 감각은 비슷한 연배의 거물들 중 탁월했다고 볼 수 있다.[13]

2002년 노무현이 경선 승리를 거쳐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문민정부 때보다도 더 강력한 원로가 된 신상우는, 심지어 참여정부의 유력한 초대 국정원장#[14]으로 거론 되었으며, 이듬해인 2003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을 맡았다.[15] 장관급의 꽤 괜찮은 간판을 얻은 셈이었다.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에서 물러난 후에는 열린우리당 상임고문을 맡았다.

2005년 김영삼 전 대통령이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전화로 병문안을 하는 데 동교동계 정치인들과 함께 막후에 힘을 쏟았다.

이후 대통합민주신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최고고문[16], 통합민주당 상임고문을 맡았다.


2.3. 한국야구위원회 총재[편집]


2005년 말, KBO 총재에 내정되었으며, 2006년 1월 취임하였다. 참여정부 임기를 불과 2년 남짓 앞둔 시점에서 참여정부의 실세 정치인이 비록 퇴직 직업이긴 하지만 KBO 총재에 취임하는 것은 전형적인 낙하산 보은 인사라는 비난이 많았으나, 신상우 총재는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일본, 미국 등을 꺾는 등의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정치적 수완을 발휘해 선수들의 병역특례라는 성과를 내면서 논란을 잠재웠다. 2008년 시즌에는 베이징 올림픽 금메달, 500만 관중 돌파 등 프로야구의 중흥기를 가져오는 등 운이 좋은 시대를 보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로 정권이 교체되면서 그는 안팎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한다. 현대 유니콘스의 해체 이후 제8구단의 창단을 둘러싼 과정에서 미숙한 대응과 서울 히어로즈의 창단 과정에서 매끄럽지 못한 일처리, 히어로즈 장원삼 투수의 삼성 라이온즈로의 현금 트레이드 논란, 일부 프로야구 선수들의 도박 파문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하일성 사무총장과 더불어 비난을 받았다. 결국 2008년 12월, KBO 총재를 사퇴하게 된다.


2.4. 사망[편집]


2012년 1월 26일 74세에 간암으로 사망했다.


3. 여담[편집]


한국여자프로농구(한국여자농구연맹;WKBL)의 김원길 총재와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 막판에 자신이 있었던 정당에 반대되는 후보를 지지한 점, 은퇴 후 스포츠 인사로 갔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단 김원길 총재의 경우 이회창 후보를 지지해 이후 정계 은퇴로 내몰린 상황에서 스포츠 인사로 훌륭한 성과를 남긴 반면, 신상우 총재는 정치적으로나 스포츠 쪽으로나 모두 '영전'되어 성공했으나 마지막에는 사퇴로 쓴 뒷맛을 보게 되었다.

군사정권 때문에 정치판이 독재 대 반독재, 민주 대 반민주의 극단으로 흐른 채 지속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71
제8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14[17]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25,218 (51.87%)
당선 (1위)
초선[18]
1973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7[19]
34,555 (38.23%)
재선[20]
1978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38,343 (29.42%)
당선 (2위)
3선[21]
1981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6[22]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투표 당선
당선
4선[23]
1985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48,893 (23.86%)
낙선 (3위)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북 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66,709 (62.48%)
당선 (1위)
5선[24]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53,728 (56.15%)
6선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사상 을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6,255 (47.59%)
7선[25]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사상

[[민주국민당(2000년)|
파일:민주국민당(2000년) 흰색 글씨.svg
]]

18,823 (17.85%)
낙선 (2위)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8대 총선 (경남 14[1])
9대 총선 (경남 7[2])

파일:신상우10대.jpg


파일:신상우11대.jpg

10대 총선 (경남 7[3])
11대 총선 (부산 6[4])


파일:신상우13대.jpg

12대 총선 (부산 6[5])
13대 총선 (부산 북구 을)


파일:신상우15대.jpg

14대 총선 (부산 북구 을)
15대 총선 (부산 사상구 을)

파일:신상우16대.jpg


16대 총선 (부산 사상구)




5.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

1971 - 1980
정계 입문

[[무소속|
무소속
]]

1980 - 1981
정당 해산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81 - 1985
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85
탈당[26]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 - 1987
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87
탈당[27]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87 - 1990
창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0 - 1995
합당[28]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95 - 1997
당명 변경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7 - 2000
합당[29]

[[무소속|
무소속
]]

2000
탈당[30]

[[민주국민당(2000년)|
파일:민주국민당(2000년) 흰색 글씨.svg
]]

2000 - 2001
창당

2001 - 2002
탈당[31]

2002 - 2003
입당[32]

2003
탈당[33]

2003 - 2007
창당

2007 - 2008
합당[34]

2008
합당[35]

2008 - 2010
당명 변경

2010 - 2012
탈당
정계 은퇴
사망

6. 관련 문서[편집]




7. 둘러보기[편집]













[1] 영산·영월신씨대동보 4권 549쪽에는 6월 23일생으로 등재돼 있다.[2] #. 초당공파(草堂公派) 28세 상(相) 항렬.[3] 구자경 LG그룹 명예회장이 교사일 때 그의 제자였다.[4] 고려대학교뿐만 아니라 부산상업고등학교(現 개성고등학교) 동기동창이기도 하였다.[5] 제5공화국 드라마에 의하면 방준필은 "우린 이 세상 누구라도 만신창이로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가 동원할 수 있는 공권력은 아주 많습니다. 의원님은 물론 사돈에 팔촌까지 훗, 약점은 만들면 되는거 아니겠소?"라는 섬뜩한 말을 곁들여가며 협박했다고.[6] 정작 신달수는 전두환 정권 당시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자문위원이었음에도 이철승과의 인연으로 신한민주당 전국구 1번 국회의원이 되었다.[7] 당시는 중선거구제라서 2위까지 당선되었다. 득표율은 1위 민주정의당 장성만 후보, 2위 신한민주당 문정수 후보.[8] 사실 여소야대에 야당 중 오세응과 더불어 최다선(7선)이었지만 자유민주연합박준규(9선) 의원이 여당 의원으로서 국회의장을 맡으면서 제15대 국회 후반기 부의장(98~00)에 그친 것이었다. # 사실 정권도 바뀐 마당에 김대중새정치국민회의가 미쳤다고 국회의장을 내줬겠냐만은..[9] 이는 3김시대를 정리하고 국민들에게 신선함을 줘야 한다는 윤여준 선거대책위원회 상임부본부장의 주장에 힘입은 것이다.[10] 2000년 2월 19일에 이기택을 만난 자리에서 담배를 피우며 신당 창당에 대해 말하기를, "한 가지 대한민국이 좋다고 느끼는 거는, 정당 창당에 대해 특허낸게 없으니까."(1:30 부터)[11] 원래 권철현이 사상구 갑. 신상우가 사상구 을을 나눠먹고 있었는데, 인구기준에 미달해서 선거구가 통합되었고, 그 과정에서 당 지도부가 상대적으로 젊고 신선한 권철현을 밀어주면서 한나라당 공천에서 떨어졌다.[12] 인연이 하나 더 있다면 초대 해양수산부장관으로서도 선배이기도 하다.[13] 물론 자신을 내친 이회창에 대한 복수심이었을 가능성도 높다. 부산 출신인 이기택도 비슷한 행보를 보였다. 다만 이기택의 경우 이후에는 이후 참여정부의 실정을 보고 지지철회하여 이명박을 도왔고, 이명박 정부에서 민주평통 수석부의장을 맡았다. 2000년에 같이 팽당했던 민정계의 대표주자 김윤환 역시 이회창에 대한 복수심에 불타 '영남 후보론'을 구상했으나 건강 악화로 대선 무렵에는 활동을 거의 하지 못했고 이회창이 낙선한 것을 지켜본 후 이듬해 가을에 숨을 거둔다.[14] 설왕설래 끝에 고영구 원장으로 결정되었다. 야당의 반발을 살까 두려워 막판 철회가 된 건데, 사실 두 사람은 절친했으며 # 이런 인연이 있었다.[15] 참고로 의장은 대통령이다.[16] #[17] 양산군, 동래군[18] 10월 유신으로 인해 자격정지[19] 김해군, 양산군[20] 민주공화당 김영병 후보와 동반 당선[21] 민주공화당 김택수 후보와 동반 당선[22] 북구[23] 민주정의당 장성만 후보와 동반 당선[24] 1990.1.22 3당 합당[25] 2000.3.8 민주국민당 창당[26] 신한민주당 창당을 위한 탈당.[27]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28] 민주정의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29]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30]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31]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32] 노무현 대통령 후보 지지 선언.[33]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34]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35] 민주당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