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샹시
(♥ 0)
||
중국 허난성 중북부의 지급시. 정저우에서 북쪽으로 40km 떨어진, 남쪽의 황하와 북쪽의 운태산 사이에 위치한 평지에 위치한다. 하남성인데 정작 황하의 이북에 있으므로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지명으로도 볼 수 있겠다. 바둑판식으로 구획된 시가지는 웨이허(衛河)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할 인구 650만명 중 도시 자체에만 무려 260만명이 거주한다. 웨이허 수운의 중심이고 철도 교통의 요지이다. 스자좡 & 한단과 정저우 방면 남북 고속철과 자오쭤-허쩌 간 동서 일반철이 지나간다. 주변 농지에서 면화, 밀, 옥수수 등의 농산물이 생산되고 면화 거래가 활발하다. 산업 분야에서는 전자/기계/화학 공업이 발달하였다. 중국에서 13번째로 오염이 심한 곳으로, 폐수와 쓰레기로 인해 수로가 막혔을 정도이다. 인민해방군 83군단이 주둔하며, 허난 사범 대학교와 신샹 의대 & 보건대가 위치한다.
주나라가 상나라를 멸망시킨 목야대전이 벌어진 곳이다. 당시 지명인 목야는 현재 무예구로 남아있다. 춘추전국시대에 위나라에 속하였다. 한대에는 자오쭤, 지위안과 함께 사례교위 직할이던 삼하[1] 중 하나인 하내군에 속하였고, 시가지에서 서쪽으로 15km 떨어진 곳에 획가현이 설치되었다. 현재의 훠자현으로 남아있다. 한편 시가지에서 동남쪽으로 20km 떨어진 옌진현은 한대 연주 진류군을 거쳐 북위 시기 동군의 중심이던 동연현이었다. 수나라 시기 회주(懷州)가 설치되며 현 시가지에 신향현 (新鄕縣)이 설치되어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586년) 당말 황소의 난에 호응하여 왕선지가 이곳에서 거병하였다. 10세기에는 조광윤이 황제로 추대된 진교의 변이 신향현에서 동남쪽으로 40km 떨어진 봉구현 (현 펑추현)에서 일어났다.
송대에는 하북서로의 위주 (衛州)에 속하였다. 명나라 대에는고려천자 만력제의 친동생인 노간왕 주익류가 일대에 분봉되었으며, 그가 묻힌 노왕릉이 시가지 북쪽 펑취안구에 남아있다. 20세기 들어 공업 도시로 발전되었으며, 1936년에는 가톨릭 주교구가 설립되었다. 1949년 시로 승격된 후 1952년까지 국민당 잔존 세력 소탕을 위해 신샹시-푸양시-안양시-허쩌시-랴오청시 일대에 설치된 핑위안 성의 성도 역할을 하였다. 1952년 황허 강물을 웨이허로 끌어들이는 관개 수로가 완성되어 수운 교통이 발달하였으나, 후일의 오염으로 사용 불능이 되었다. 2012년 신페이 전자 공장의 임금에 항의하여 노동자 수천명이 시위하기도 하였다. 2021년 7월 허난 대홍수 때에 47만명의 수재민이 발생하고 55000 헥타르의 농경지가 피해를 입었다.
1. 개요[편집]
중국 허난성 중북부의 지급시. 정저우에서 북쪽으로 40km 떨어진, 남쪽의 황하와 북쪽의 운태산 사이에 위치한 평지에 위치한다. 하남성인데 정작 황하의 이북에 있으므로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지명으로도 볼 수 있겠다. 바둑판식으로 구획된 시가지는 웨이허(衛河)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할 인구 650만명 중 도시 자체에만 무려 260만명이 거주한다. 웨이허 수운의 중심이고 철도 교통의 요지이다. 스자좡 & 한단과 정저우 방면 남북 고속철과 자오쭤-허쩌 간 동서 일반철이 지나간다. 주변 농지에서 면화, 밀, 옥수수 등의 농산물이 생산되고 면화 거래가 활발하다. 산업 분야에서는 전자/기계/화학 공업이 발달하였다. 중국에서 13번째로 오염이 심한 곳으로, 폐수와 쓰레기로 인해 수로가 막혔을 정도이다. 인민해방군 83군단이 주둔하며, 허난 사범 대학교와 신샹 의대 & 보건대가 위치한다.
2. 역사[편집]
주나라가 상나라를 멸망시킨 목야대전이 벌어진 곳이다. 당시 지명인 목야는 현재 무예구로 남아있다. 춘추전국시대에 위나라에 속하였다. 한대에는 자오쭤, 지위안과 함께 사례교위 직할이던 삼하[1] 중 하나인 하내군에 속하였고, 시가지에서 서쪽으로 15km 떨어진 곳에 획가현이 설치되었다. 현재의 훠자현으로 남아있다. 한편 시가지에서 동남쪽으로 20km 떨어진 옌진현은 한대 연주 진류군을 거쳐 북위 시기 동군의 중심이던 동연현이었다. 수나라 시기 회주(懷州)가 설치되며 현 시가지에 신향현 (新鄕縣)이 설치되어 지명의 유래가 되었다. (586년) 당말 황소의 난에 호응하여 왕선지가 이곳에서 거병하였다. 10세기에는 조광윤이 황제로 추대된 진교의 변이 신향현에서 동남쪽으로 40km 떨어진 봉구현 (현 펑추현)에서 일어났다.
송대에는 하북서로의 위주 (衛州)에 속하였다. 명나라 대에는
3. 갤러리[편집]
명대 황자인 노간왕 주익류의 무덤 (潞簡王廟)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9-11 23:45:02에 나무위키 신샹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하동/ 하남 / 하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