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양시
(♥ 0)
||
중국 중부 허난성의 지급시. 이웃의 난양과 함께 하남성의 남쪽 끝을 형성하는데 중심부인 뤄양 사이에 산맥이 있어 하남 문화권에 속하지 않는다. 신양은 현재 허난의 성도인 정저우에서 남쪽으로 250km 떨어져 있는데 반해 후베이 성의 성도인 우한에서는 북으로 150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인구는 630만명이며 시가지는 화이허의 지류인 스장 강을 끼고 형성되어 있으며 서/남쪽은 산지이다.
춘추시대에 난양과 신양 일대에는 신 (申)나라가 있었는데 이후 초나라의 지배를 받은 것을 보면 알 수 있듯 화북 보다는 화남, 그 중에서도 형주 문화권이다. 과거에 의양 (義陽)으로 불렸으며 남쪽의 다볘 산(大別山)에는 관문이 있었다. 명/청 대에 신양주 (信陽州)로 불렸다. 현대사에서는 비극이 있었으니, 바로 신양 사태로, 대약진 운동 시기인 1960년 경에 수십만이 아사한 대참사였다.
자세한 내용은 신양 사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징광철도와 닝시철도(宁西铁路)가 지나는 신양역(信阳站)과 징광고속철도(京广客运专线)가 지나는 신양둥역(信阳东站)이 있다.
2018년 10월 28일, 주마뎬시 췌산현에 인민해방군 중부전구와 함께 사용하는 국내선 전용 신양밍강공항(信阳明港机场)이 생겼다.
파일:Maojian.jpg
특산물로, 중국 10대 명차 신양 마오젠(信阳毛尖)이 있다. 광서제대 남서부의 농장들에서 발효/공정법이 개발하였고는데, 20세기 초부터 국제적으로 유명하였다. 1915 샌프란시스코 엑스포에서 금상, 1999 쿤밍 엑스포에서 은상, 2007 일본 세계녹차콘테스트(世界緑茶コンテスト)에서 금상을 받았고 1982년, 1986년, 1990년에 중국 상무부로부터 상을 받았다.
황록색의 색을 띄며, 향이 강하고 맛이 달면서 가볍다고 한다. 찻잎 외향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하면서 솟아있고, 겉에 흰 잔털이 존재한다. 주나라 때 최초로 재배 기록이 있으며, 당나라 때에는 이미 중국 전역에서 유명한 차로 알려져 있었다. 북송의 시인인 소동파 역시 이 차를 맛본 이후로 회남의 차는 신양이 제일이다(淮南茶,信阳第一)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다만 과거에는 그냥 좀 유명한 차였지 신양 차 자체가 뭐 특별한 것은 아니었다. 신양 차가 독자적인 종을 개발한 때는 광서제 시기로, 이 때 신양 남서부의 차 농장들이 개발한 발효 및 공정법으로 시작한 것이다. 근데 이게 어지간히도 히트를 쳐서, 개발한 지 얼마 되지도 않아서 중국 전역으로 명성이 퍼지고 국제박람회까지 출품된 것.
1. 개요[편집]
중국 중부 허난성의 지급시. 이웃의 난양과 함께 하남성의 남쪽 끝을 형성하는데 중심부인 뤄양 사이에 산맥이 있어 하남 문화권에 속하지 않는다. 신양은 현재 허난의 성도인 정저우에서 남쪽으로 250km 떨어져 있는데 반해 후베이 성의 성도인 우한에서는 북으로 150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인구는 630만명이며 시가지는 화이허의 지류인 스장 강을 끼고 형성되어 있으며 서/남쪽은 산지이다.
2. 역사[편집]
춘추시대에 난양과 신양 일대에는 신 (申)나라가 있었는데 이후 초나라의 지배를 받은 것을 보면 알 수 있듯 화북 보다는 화남, 그 중에서도 형주 문화권이다. 과거에 의양 (義陽)으로 불렸으며 남쪽의 다볘 산(大別山)에는 관문이 있었다. 명/청 대에 신양주 (信陽州)로 불렸다. 현대사에서는 비극이 있었으니, 바로 신양 사태로, 대약진 운동 시기인 1960년 경에 수십만이 아사한 대참사였다.
2.1. 사건사고[편집]
2.1.1. 신양 사태[편집]
자세한 내용은 신양 사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교통[편집]
3.1. 철도[편집]
징광철도와 닝시철도(宁西铁路)가 지나는 신양역(信阳站)과 징광고속철도(京广客运专线)가 지나는 신양둥역(信阳东站)이 있다.
3.2. 항공[편집]
2018년 10월 28일, 주마뎬시 췌산현에 인민해방군 중부전구와 함께 사용하는 국내선 전용 신양밍강공항(信阳明港机场)이 생겼다.
4. 신양 마오젠[편집]
파일:Maojian.jpg
특산물로, 중국 10대 명차 신양 마오젠(信阳毛尖)이 있다. 광서제대 남서부의 농장들에서 발효/공정법이 개발하였고는데, 20세기 초부터 국제적으로 유명하였다. 1915 샌프란시스코 엑스포에서 금상, 1999 쿤밍 엑스포에서 은상, 2007 일본 세계녹차콘테스트(世界緑茶コンテスト)에서 금상을 받았고 1982년, 1986년, 1990년에 중국 상무부로부터 상을 받았다.
황록색의 색을 띄며, 향이 강하고 맛이 달면서 가볍다고 한다. 찻잎 외향은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하면서 솟아있고, 겉에 흰 잔털이 존재한다. 주나라 때 최초로 재배 기록이 있으며, 당나라 때에는 이미 중국 전역에서 유명한 차로 알려져 있었다. 북송의 시인인 소동파 역시 이 차를 맛본 이후로 회남의 차는 신양이 제일이다(淮南茶,信阳第一)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다만 과거에는 그냥 좀 유명한 차였지 신양 차 자체가 뭐 특별한 것은 아니었다. 신양 차가 독자적인 종을 개발한 때는 광서제 시기로, 이 때 신양 남서부의 차 농장들이 개발한 발효 및 공정법으로 시작한 것이다. 근데 이게 어지간히도 히트를 쳐서, 개발한 지 얼마 되지도 않아서 중국 전역으로 명성이 퍼지고 국제박람회까지 출품된 것.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9-11 23:47:13에 나무위키 신양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