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익희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헌
[[제2대 국회|{{{-2 {{{#FFF 제2대

전·후
]]
[[제3대 국회|{{{-2 {{{#FFF 제3대

전·후
]]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이승만 신익희
신익희
이기붕
이기붕 곽상훈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6대 국회|{{{-2 {{{#FFF 제6대

전·후
]]·[[제7대 국회|{{{-2 {{{#FFF 제7대

전·후
]]
곽상훈
백낙준
이효상
제8대
[[제9대 국회|{{{-2 {{{#FFF 제9대

전·후
]]
제10대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백두진
정일권
백두진
정래혁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전·후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채문식
이재형
김재순
박준규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박준규 이만섭
황낙주
김수한
박준규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이만섭
박관용
김원기
임채정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김형오
박희태
강창희
정의화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정세균
문희상
박병석
김진표

국회부의장 · 임시의정원 의장



신익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장
신익희
申翼熙 | Sin Ik-hui
[1]


파일:attachment/Haegong_Shin_Ik-hee_in.jpg

출생
1894년 6월 9일[2]
경기도 광주유수부 초월면 서하리
(現 경기도 광주시 초월읍 서하길 6-25)
사망
1956년 5월 5일 (향년 61세)[3]
전라북도 익산군 함열면[4]
(現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
묘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산 127-1
(북한산 순국선열 묘역)
본관
평산 신씨[5]

여구(如耉)

해공(海公), 해후(海候)
재임기간
초대 국회부의장
1948년 5월 31일 ~ 1948년 8월 4일
초대 국회의장
1948년 8월 4일 ~ 1950년 5월 30일
제2대 전반기 국회의장
1950년 6월 19일 ~ 1952년 6월 18일
제2대 후반기 국회의장
1952년 7월 10일 ~ 1954년 5월 30일
서명
파일:신익희 서명.svg
[6]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신단, 어머니 정경량
형제자매
이복형 신보희, 신규희, 신필희, 신정희
동복형 신재희
배우자
이승희(사별), 김순이(재혼)
자녀
아들 신하균
신정완, 차녀[1]
친인척
신식(백부)
증조부 신현, 조부 신명호
사위 김재호
손자 신기현[2], 신도현[3]
외손자 김낙양[4] , 김유생[6]
학력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 / 학사)
국방대학교 (행정학 / 학사)
종교
유교 (성리학) → 개신교 (감리회)
의원 선수
3
의원 대수
1, 2, 3
경력
중화민국 국민당 육군 중장
제1·2대 국회의장
서울특별시장
자유당 중앙위원회 의장
대한체육회장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국민대학교 학장 및 이사장
별칭
왕해공(王海公), 임방호(壬邦乎)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반 내역 ]
내무부 제30대 내무부장
임기
1944년 4월 22일 ~ 1945년 12월 31일
전임
조완구
후임
폐지
내무부 초대 내무부차장
임기
1919년 4월 10일 ~ 1919년 4월 23일
전임
신설
후임
현순
국무부 비서부 임시서리 비서장
임기
1921년 1월 25일 ~ 1921년 3월 30일
전임
오영선
후임
오영선
국무부 비서부 제6대 비서장
임기
1921년 5월 7일
전임
김여제
후임
?
외무부 대리 외무부장 겸 외무부차장
임기
1920년 9월 27일 ~ 1920년 11월 30일
1920년 12월 1일 ~ 1921년 5월 7일
전임
이동휘
후임
이희경(대리)
외무부 제18대 외무부장
임기
1933년 3월 6일 ~ 1933년 6월 22일
전임
조소앙
후임
김규식
외무부 제6대(서리) 외무부차장
임기
1920년 9월 1일 ~ 1920년 9월 19일
전임
정인과
후임
본인
외무부 제13대 외무부차장
임기
1933년 3월 6일 ~ 1933년 12월 30일
전임
김석
후임
차이석
법무부 임시서리 법무부장
임기
1919년 8월 18일 ~ 1919년 9월 11일
전임
안창호
후임
신규식
법무부 제4대 법무부차장
임기
1919년 8월 5일 ~ 1920년 2월 23일
전임
김응섭
후임
안병찬
법제국 초대 법제국장
임기
1920년 1월 13일
전임
신설
후임
?



1919년 상해임시정부수립 당시.
1. 개요
3. 여담
4. 가옥
5. 선거 이력
6. 소속 정당
7. 대중매체에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나라는 완전히 독립되어야 하고(國家須完全獨立;국가수완전독립).

민족은 철저히 해방되어야 하며(民族須澈底解放;민족수철저해방).

사회는 반드시 평등하여야 한다(社會必須平等;사회필수평등)."[7]

대한민국독립운동가, 정치가, 제1~2대 국회의장. 국민대 설립자이기도 하다.

현재 표기되는 이름은 '신익희(申翼熙)'지만 광복 직후에는 한자 독음의 한글 표기가 완전히 통일되지 않아서 이름이 '신익히'로 표기되기도 했다.[8]

1950년대 이승만에 맞서 1956년 민주당 대선후보로 선출되기도 한 거물급 정치인으로 민주당계 정당의 아버지라는 평가를 받지만[9], 한편으론 해방 정국 백색테러[10]의 배후 조종자라는 비판도 동시에 받는 인물이다.


2. 일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신익희/일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여담[편집]


  • 국민대 설립자이자 초대학장인 신익희를 기리기 위해 매년 추도식에 총장을 비롯한 교직원들이 참여하고 있다. 또한 학교 박물관에 신익희 기념관을 조성하였고, 장학금이나 단체명도 그의 호인 '해공'을 따서 명명하는 경우가 많다. 캠퍼스에는 신익희 동상이 건립되어 있는데, 2012년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가 선거운동 차 국민대 캠퍼스를 방문했을 때 이 신익희 동상에 헌화하기도 하였다.

파일:더불어민주당 창당기념식.jpg}}}
더불어민주당 창당기념식 (2017)
  • 더불어민주당민주당 창당 기념일인 9월 18일에 경기도 광주의 신익희 생가에서 창당 기념식을 매년 열고 있다. 당사에도 1955년 민주당을 창당 기점으로 삼아 초대대표로 사진(존영)이 걸려있다.


  • 1919년 사진을 보면 알 수 있듯 청년 때 상당한 미남이었다.

  • 2023년 9월, 중국 국민당 정부의 총통부 군사위원회가 작성한 독립운동가 인사 카드가 공개돼 화제가 됐다. #


4. 가옥[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23호
해공 신익희 가옥
海公 申翼熙 家屋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동 164-2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 / 면적
건물 2棟, 토지 91.3㎡
지정연도
2005년 2월 11일
시대
안채(1934년경)
사랑채(1953년경)

파일:해공신익희가옥1.jpg}}}
파일:해공신익희가옥2.jpg}}}
해공 신익희 가옥[11]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동에 그가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살았던 집이 있다. 신익희는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하다 광복 이후 돌아온 뒤로 이사를 자주 다녔는데, 효자동에 정착한 것은 1954년 8월이었다.

전형적인 1930년대 도시 한옥의 모습을 보여주는 집으로, 사랑채와 안채 2동이 있다. 2005년 2월 11일에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3호로 지정받았다.

5.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46
남조선 입법의원 선거
서울
[[한국독립당|

한국독립당
]]
132 (49.62%)
당선 (1위)
[간접선거][12]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 6[13]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무투표 당선
초선[14]
195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7[15]


29,525 (77.86%)
재선[16]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6[17]
24,218 (56.41%)
3선[18]
1956
제3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유세 기간 도중 사망


6.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민족혁명당|
민족혁명당
]]

1935 - 1938
결성

[[무소속|
무소속
]]

1938 - 1948
당내 의견 차이로 탈퇴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948 - 1949
창당
정계입문

[[무소속|
무소속
]]

1949
당내 의견 차이로 탈당

[[대한국민당(1948년)|
대한국민당
]]

1949 - 1950
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50
민주국민당 입당을 위한 탈당


1950 - 1955
입당


1955 - 1956
창당[19]
제3대 대선 유세기간 중 사망


7. 대중매체에서[편집]










  • 조아라에서 연재되었다가 카카오페이지에서 리메이크 버전이 연재 중인 <격랑의 바다에서>에서는 서울 탈환 작전 성공 이후에 등장한다. 김구 주석에게 임시정부 국무위원들과 함께 찾아가 아무리 국내 기반이 마땅치 않았다지만 좌익 세력들이 대거 산재되어 있는 건준과 합작한 현 세태에 대해 못마땅하다는 의사를 내비친다.


8. 둘러보기[편집]


신익희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보수진영 관련 문서 파일:푸른깃발배경제거.png

[ 펼치기 · 접기 ]

집권정부
이승만 정부 · 장면 내각(범민주) · 박정희 정부 · 최규하 정부 · 전두환 정부 · 노태우 정부 · 문민정부 · 이명박 정부 · 박근혜 정부
사상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우파 · 보수주의 · 자유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반공주의 · 신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내셔널리즘 · 중도실용주의 · 국민보수주의 · 우익대중주의 · 기독교 우파 · 기독교 민주주의 · 공화주의 · 보수자유주의 · 국민자유주의 · 녹색 보수주의 · 재정 보수주의 · 반동주의 · 우파적 자유지상주의 · 질서자유주의 · 대안우파 · 엘리트주의 · 협동조합주의 · 권위주의 · 국가주의 · 안티페미니즘 · 보수주의 페미니즘
정치인
대통령
이승만 · 윤보선(범민주) · 박정희 · 최규하 · 전두환 · 노태우 · 김영삼 · 이명박 · 박근혜
부통령
이시영 · 김성수
국무위원
제1공화국 · 제3공화국 · 제4공화국 · 제5공화국 · 노태우 · 문민 · 이명박 · 박근혜
국회의원
광복-제2공 · 5.16-3당 합당 · 3당 합당 이후
당 대표
광복-제2공 · 5.16-3당 합당 · 3당 합당 이후
광역자치단체장
민선 광역자치단체장
지식인
자유주의
황석영(범민주) · 조순(범민주) · 박세일 · 신율 · 이어령
우파민족주의
김지하 · 김정배 · 최광식
뉴라이트
이석연 · 나성린 · 이영훈 · 신지호 · 권희영
시장자유주의
복거일 · 공병호 · 전원책
반공주의
조갑제 · 제성호 · 이문열 · 김동길
기타
서경석 · 이인호 · 하영선 · 서민
정파
강경보수
친박 · 친황 · 친홍 · 청구동계 · 민정계
온건보수
친이 · 친윤친무 · 이회창계 · 상도동계 · 민주계
개혁보수
친유 · 남원정 · 소장파
시민단체 · 사단법인
바른사회시민회의 · 국민행동본부 · 대한민국재향군인회 · 자유경제원 · 바른군인권연구소 · 고엽제전우회 · 전국경제인연합회 · 한독 경제인회 · 한국여성단체협의회 · 이클린연대 · 한국대학생포럼 · 청년정치학교 · HOW's · 박사모 · 한국기독교총연합회 · 안티페미협회
언론
제도권
조선일보 · 중앙일보 · 동아일보 · 문화일보 · 국민일보 · 세계일보 · 데일리안 · 한국경제신문 · TV CHOSUN · 채널A
비제도권
뉴데일리 · 데일리안 · 미래한국 · 시사포커스 · 우파 유튜버
정당연대
국제민주연합 · DJP연합(범민주·해체) · 선진과 창조의 모임(범민주·해체)
역사
제1공-제4공 · 제5공-문민 · 국민 · 참여 · 이명박 · 박근혜-현재 · 계파 역사
관련 문서
대한민국 보수정당 · 제3지대 정당 · 대한민국 극우정당 · 보수정당 틀 · 제3지대 정당 틀 · 극우정당 틀 · 국민의힘의 계파 분류 · 극우정당의 계파 분류
싱크탱크
여의도연구소 · 국민미래연구원 · 애국정책전략연구원 · 아산정책연구원 · 자유기업원
창작물
자민이 · 환생경제 · 오른소리가족
인터넷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 에펨코리아 · 엠엘비파크 · 일베저장소 · 와이고수 · PGR21 · 청년의 꿈 · 뽐뿌(범민주)
관련 정당
중도
신자유민주연합 · 국민대통합당 · 한국국민당 · 남북통일당 · 독도한국당
극우
가자코리아 · 국민새정당 · 국민참여신당 · 기독자유통일당 · 대한당 · 친박연대 · 새누리당 · 우리공화당 · 자유당 · 자유민주당 · 자유의새벽당 · 친박신당
다른 진영 관련 문서 (진보 · 민주당계 · 보수)
















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
국민대학교 총장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민대 옛로고-화이트.png 국민대학 학장
초대
신익희
제2대
박이순
제3대
채상훈
제4대
최문경
제5대
강병두
제6대
김세완
제7대
이종항
제8대
이기영
제9대
서임수
제10대
이규석
제11대
정범석
1981년 종합대학으로 승격
파일:국민대학교 흰색 심볼.svg 국민대학교 총장
초대
정범석
제2대
이재철
제3대
정일영
제4대
이규석
제5-6대
현승일
제7대
정성진
제8대
김문환
제9대
이성우
제10-11대
유지수
제12대
임홍재
제13대
정승렬









[1] 이름을 영어 발음 그대로 옮긴 Shinicky를 성씨처럼 쓴 Patrick Henry Shinicky라는 영어 이름도 있었으며, 당대 미국 국무부/대사관 전문에는 이렇게 자주 표기되었다.[2] 1892년 7월 11일생이라는 설도 있다.[3] 1892년생 설이 맞을 경우 63세.[4] 함열역 인근 전라선 열차 내[5] 문희공파 31세손 희(熙) 항렬이다.[6] 翼자.[7] 여기서 '수(須)'는 '반드시'의 의미이다. 흔히 알려진 해석 가운데 '자유'라는 단어가 들어가는 해석이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그리고 '해방' 은 주권의 의미가 강조된 '광복'으로 해석한다.[8] 그래서 ‘신익히’ 라고 검색해도 이 문서로 리다이렉트가 된다. 북한의 경우에는 현재에도 ‘히’ 와 ‘희’ 를 혼용하고 있다. 리춘히가 대표적인 경우.[9] 물론 오늘날 민주당계 정당의 실질적인 창당주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긴 하다. 굳이 더 하자면 노무현 전 대통령까지.[10] 김일성을 죽이기 위해 테러단체 백의사를 북한에 보내기도 했다. 백의사는 1946년 평양의 3.1절 기념식에서 수류탄을 던졌는데, 이 수류탄은 김일성 옆에 있던 소련군 장교 노비첸코가 주워 다시 던지려다 노비첸코의 손에서 폭발했고 한쪽 손이 잘려나가고 한쪽 눈이 실명되었다. 백의사김일성 암살 시도 외에도 해방정국 시기에 정치인 암살 등의 백색테러 활동을 벌였는데 신익희와 연계되어 있었다.[11]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간접선거] [12] 과도입법의원 의장[13] 광주군 일원[14] 제헌 국회의장[15] 광주군 일원[16] 전·후반기 국회의장[17] 광주군 일원[18] 1956년 5월 5일 임기 중 사망[19] 민주국민당과 신설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