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촌역(도시철도)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에 있는 신촌역에 대한 내용은 신촌역(경의선) 문서
신촌역(경의선)번 문단을
신촌역(경의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신촌역(지하)
파일:Seoulmetro2_icon.sv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Sinchon
한자
新村
간체자
가나
新村(シンチョン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 지하90 (노고산동 31-11)
운영 기관
2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2호선
1984년 5월 22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1. 개요
2. 역 정보
2.1. 역명
2.2. 서부선 환승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주변 교통
6.1. 연계 버스
6.1.1. 1번 출구
6.1.2. 2번 출구
6.1.3. 3번 출구
6.1.4. 4번 출구
6.1.5. 5번 출구
6.1.6. 6번 출구
6.1.7. 7번 출구
6.1.8. 8번 출구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240번.[1]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 지하90 (노고산동 31-11) 소재.

원래 노고산동 소속이었으나 행정구역 정리 과정에서 2018년 창전동에 편입되었다. 원래 노고산동이 신촌역 로타리 육각형 부분을 전부 다 차지하고 있어서 신촌역이 노고산동 소속이었는데, 행정구역 정리 차원에서 노고산동과 창전동의 경계를 신촌로 도로로 직선화하면서 노고산동이 관할하던 신촌역이 창전동으로 넘어갔다.

수도권 전철 경의선신촌역 때문에 해당 역은 신촌역(지하)가 정식 역명이다. 모든 역명판에 신촌(지하), 신촌역(지하)로 (지하) 표기가 병기되어 있다. 때문에 경의선 전철 개통을 앞두고 2호선 신촌역을 신촌로터리역으로 바꾸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2. 역 정보[편집]



개정 전 역명판


파일:85신촌역.jpg

옛 폴사인

서울특별시부도심 가운데 하나인 신촌의 중심부인 신촌로터리의 지하에 있다. 역 인근에 연세대학교, 서강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 등의 대학가를 끼고 있기에 환승역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유동인구가 많은 편이며, 이 역 자체만으로도 랜드마크이다.

2014년 1월 6일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개통과 함께 1~4번 출구의 캐노피가 새로 단장되고 뉴타입의 폴사인이 설치되었다.

잠실새내역이 '신천역'이었을 때는 일본어 가타가나 표기가 신촌역과 똑같았기 때문에, 차내 노선도에서는 한자(新村)를 병기하였다.

대중교통전용지구 공사와 함께 1~4번 출구의 캐노피가 투시형 캐노피로 바꾸는 공사가 진행되었다. 원래 2, 4번 출구를 통제하고 약 한 달간 공사를 완료한 후 개방하여 1, 3번 출구를 계속 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2, 4번 출구는 선개통 후완공되었고, 1, 3번 출구는 착공을 먼저 한 후 폐쇄되었다.


2.1. 역명[편집]


신촌역에서 실제 행정구역인 서대문구 신촌동(법정동)까지는 거리가 있다. 성인 기준 도보로 15분 정도 소요된다. 하지만 현재는 그 일대가 신촌이라고 불리고 신촌오거리에 소재한 데다가 신촌역이 신촌의 중심이 되었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역명이다. 덧붙여 그 연세대학교도 주소는 서대문구 신촌동이지만, 캠퍼스 면적으로 보면 신촌동보다는 연희동이랑 봉원동에 더 많이 걸쳐 있다.

서울 지리에 익숙하지 않은 경우 송파구에 있는 신천역(現 잠실새내역)과 헷갈려서 엉뚱한 곳으로 가는 일도 간혹 일어나기도 했다. 특히 한국어 발음에 익숙치 못한 외국인들이 자주 그러한 일을 겪었다. 이 두 역은 2호선상에서 거의 정반대에 있다. 2016년 12월 29일자로 신천역의 역명이 잠실새내역으로 바뀌었지만 2018년 6월 16일 시흥시신천역이 다시 개통하였다.

경의선 신촌역에도 전철이 들어가지만, 이 역 이름은 그대로이다. 따라서 폴사인/안내판에도 지하라고 병기하고 있다. 게다가 청량리역처럼 바로 옆에 있는 구조가 아니다. 지하철은 신촌역 또는 신촌'전철'역, 경의·중앙선은 신촌'기차'역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현재 신촌역에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다니고 있지만, 이전부터 버스 정류장이 신촌기차역으로 불러오고 있었고, 2호선 역은 신촌전철역으로 불리기도 했다.

신촌역을 연세대역으로 바꾸자는 의견도 있지만 이쪽은 역을 사이에 두고 서강대학교가 있으며 6번 출구에서 서강대 정문으로 가는 거리가 연세대학교로 가는 거리보다 짧다. 하지만 서강대학교경의선 서강대역이 있다. 6호선 대흥역도 대흥(서강대앞)역이다. 지하 신촌역과 가까운 옛 신촌다주상가 자리의 신촌임시공영주차장에서 서강대역이 바로 보인다. 게다가 학교 측에서조차 의지가 없고 경의선 지상 신촌역이 학교에서 더 가깝다. 6호선 공사 당시 연대생들이 역명 변경을 요구한 적이 있었는데 그마저도 새터역이었다. 2012년 4월 1일부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캠퍼스타운역에 본캠에도 없는 "연세대학교"라는 부역명이 들어갔다.

경의선 신촌역을 개통할 때 2호선 신촌역을 신촌로타리 또는 신촌오거리로 바꾸기로 했는데, 서울시에서 돈이 없다고 역명을 바꾸지 않았다. 원래 신촌오거리는 회전교차로인 로타리 구조였다. 1980년 2호선 공사를 위해 회전교차로가 철거되었으며, 2호선 공사 당시에는 교통체증을 완화하기 위해 서강대-연세로 간에 임시 고가차도를 운영했다가 신촌역 완공 후 철거하였다.[2]


2.2. 서부선 환승[편집]


2028년 서부선이 개통하면 신촌역이 환승역이 된다. 서부선이 새절 방면으로는 (가칭)연세대역이 있기 때문에 배차 간격이 적절하고 환승통로가 편리하게 건설된다면 연세대로 통학하기 편해질 것이다. 하지만 아직 착공 전이고, 다른 사업에 우선순위가 계속 밀리고 있어 언제 착공이 이루어질 지는 확언할 수 없다.

한편 완공되면 서강대역과도 하나의 역으로 합쳐질 계획으로 알려져 있는데, 어느 쪽이 통합역의 역명이 될지는 불명이다. 신촌역이 되면 또 문제가 있는데, 지상 신촌역 역시 경의·중앙선에 있어 같은 노선에 동명이역이 두 개가 되기 때문이다. 대곡 연장 이후 환승역이 된 능곡역시흥능곡역 사례와 같은 것이다. 이 두 역은 노인들이 시흥능곡역을 능곡역으로 줄여서 말하기 때문이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현대백화점 신촌점(구. 그레이스백화점)과 연결된 지하도 부분을 제외한 지하철 역 자체의 구조는 서울 지하철 역 전체를 통틀어서 단순하다. 위아래로는 지하 1층 맞이방 지하 2층 플랫폼으로 끝 옆으로 보면 약간 휘어진 직사각형 네 모퉁이에 출구가 두 개씩 있다. 이같은 구조의 단순함은 이용객 수가 많은 역으로서는 강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신촌역 위의 지상에 있는 신촌로터리는 5거리인데 8개의 출구만 있다 보니, 6번 출구와 7번 출구 사이에 하나은행 쪽(서강대 방향)의 블록에는 출구가 없어서 한 번 더 횡단보도를 건너게 된다. 연세대학교 학생 중 5713번이나 163번의 이용객들은 보통 이쪽 정류장에서 내리기 때문에 아래로 내려가서 신촌로를 건너고자 하여도 적어도 한 번 이상은 신호등이 바뀌기를 기다려서 길을 건너야 한다.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공사 이전 163번의 경우는 정문 앞까지 갔지만 이 역을 지난 이후 염리동 쪽으로 가서 서강대학교 주변을 한 바퀴 크게 도는 P턴을 한 후 다시 이 역을 지나 연세로로 들어갔었다. 현재는 163번의 경우 현대백화점 신촌점 정류장에서 내려서 도보 이동이 가능하다.

이 역 인근에 일명 '빨간거울' 또는 '빨잠'이라 불리는 '빨간 잠망경'이라는 이름의 조형물이 유명하다. 이쪽으로 나오면 바로 보이던 스무디킹이 없어졌는데, 액체괴물 관련 용품을 파는 가게로 바뀌었다. 정확히는 2016년 11월쯤 다른 곳으로 이전했었고, 2019년 2월경에 새로운 가게가 들어섰다. 그외에도 CGV 신촌아트레온이 있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2_icon.svg
비고

[ 1994년~2009년 ]
1994년
124,279명

1995년
134,986명

1996년
140,324명

1997년
103,819명

1998년
100,916명

1999년
자료없음

2000년
128,796명
비고
2001년
126,038명

2002년
127,087명

2003년
123,816명

2004년
124,432명

2005년
119,458명

2006년
114,344명

2007년
112,956명

2008년
110,410명

2009년
111,160명


2010년
112,799명

2011년
114,035명

2012년
112,116명

2013년
110,448명

2014년
109,748명

2015년
104,854명

2016년
103,971명

2017년
100,228명

2018년
98,409명

2019년
95,972명

2020년
58,089명

2021년
54,995명

2022년
65,740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3]
[1] 개정 전 40번.[2]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3]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


  • 2016년에 강변역, 2017년에 을지로입구역이 일평균 10만 명이 무너진 이후로 홍대입구역과 더불어 2호선 강북권에서 10만명을 넘는 단 둘 뿐인 역이었다가, 2018년에 10만 명 이하로 감소하였다. 2020년에는 코로나의 영향으로 강남역, 잠실역, 신림역 세 역을 제외하면 모두 10만 명 선이 무너졌다. 즉 2호선 강북권 중 10만 명이 넘는 역은 단 한 곳도 없다. 신촌역 자체만의 이유를 놓고 보면, 인근 연세대학교와 서강대학교가 코로나로 인해 대면 수업을 자제하고 비대면 수업을 치르다 보니 학생들이 해당 역을 이용하는 빈도가 감소하였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 다만 서울 경전철 서부선이 개통될 경우 고양시 방면의 수요를 대폭 끌어올 수도 있다. 왜냐하면 신촌, 여의도 방면 광역교통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덕양, 일산의 서울 도심행 광역철도가 부실해서 도심행 수요는 상당수 버스로 유출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3기 신도시인 창릉신도시 개발과 맞물려 고양선 구간의 예타면제까지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건설 추진 전망은 밝다.


5. 승강장[편집]



파일:attachment/sinchon.jpg

승강장


파일:240_신촌_20220529_완.jpg

역명판[4]

홍대입구




이대

이 역은 홍대입구 방면으로 8퍼밀 내리막이 있다. 선로 기둥 사이에 분수대가 있었으나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서 철거되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6. 주변 교통[편집]


고양시에서 이 역을 종점으로 하는 일반좌석버스들이 많았었으며, 고양시의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웬만한 버스 정류장에서 수색로를 거쳐 신촌역으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다. 벽제(관산동, 내유동) 지역에서도 82번 버스를 이용하여 신촌역으로 갈 수 있다. 경의선 연선 역 주변에서는 경의·중앙선 본선을 타고 서강대역을 이용하는 게 훨씬 낫다. 경의선 개통 이후 파주시에서는 신촌을 종점으로 하는 버스들이 큰 타격을 받고 현재는 대다수 폐선된 상태이다. 그나마 운정신도시에서는 서울 도심으로 가는 광역버스나 M버스를 타고 연세대 정류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코로나19로 인해 신촌역행 일반좌석버스 대부분이 배차 간격이 크게 나빠졌다.

안양시와 이곳을 잇는 서울 버스 5713번 버스도 있다.

이 역에서 나와서 연세로를 걸어서 연세대학교로 통학하는 학생들은 연세대학교 정문 기준 동쪽에만 횡단보도가 있던 관계로 대다수가 길 건너는 시간을 아끼기 위해 3번 출구를 통해서 역에서 나오기 때문에 등교시간이나 매시 수업시간이 임박해질 때면 3번 출구 주변과 3번 출구에서 연세대로 가는 인도가 매우 혼잡하였다. 하지만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으로 정문 기준 서쪽에도 횡단보도가 생겨서 2번 출구 이용도 상당히 늘었다. 또한 3번출구에서 연세대로 가는 인도는 획기적으로 넓어졌다.

이 역 위의 신촌로터리는 전국 교통사고 최다 발생 지역으로 강남구 논현동의 교보타워사거리, 영등포로터리 등과 함께 악명이 높다. 왜냐하면 지나는 차량 자체가 매우 많고, 도로 구조까지 5지형으로 되어 있어서 복잡하고 교차로 구간이 길기 때문이다. 게다가 빠른 차량 소통을 위하여 5거리에서 각 방향에 8시 방향 좌회전을 금지하고 11시 방향 좌회전과 1시 방향 직진 그리고 4시 방향 우회전만을 허용하며, 나머지는 이면도로를 통해 P턴하는 구조라 교통체계마저 복잡하다. 서강대교 방면에서 오는 차량은 연세대학교 정문 방향(11시 방향)의 좌회전마저 금지되어서 이대역 방향(1시 방향)으로 직진만 가능했었다가 동교동 방향으로도 좌회전이 가능해졌다.

서울특별시에서는 1990년대 고가도로 설치나 신호체계를 4지형으로 바꾸거나, 이 역→연대정문 간 연세로를 일방통행으로 하는 등의 논의는 해보았으나 실현된 것은 없었고, 2010년에는 전국 사고 발생 1위를 기록하였다.[5] 2014년 1월 6일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가 개통함과 동시에 버스만 통행이 가능하게 되었고 서강대학교 정문에서 연세대학교 정문 방향의 직진이 금지되었다.

연희동 셔틀버스인 서울 버스 서대문03, 서울 버스 서대문04이 이 역 3, 4번 출구 사이 우회전 구간을 회차지점으로 삼고 있다.


6.1. 연계 버스[편집]



6.1.1. 1번 출구[편집]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중)(13021/22013)

[ 버스 목록 ]

현대백화점(13259/22003)
현대백화점(13720)
마을



6.1.2. 2번 출구[편집]


연세로.스타광장(13146)
지선

일반시내



6.1.3. 3번 출구[편집]


연세로.문학의거리(13324)
간선

지선


신촌전철역(13802)
마을



6.1.4. 4번 출구[편집]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중)(13023/22014)
CGV신촌아트레온(13793)
마을


신촌역2호선(13142)
간선

지선


신촌역2호선(22052)/아트레온(13724)
광역급행

광역

마을


신촌역2호선(13142)
직행좌석



6.1.5. 5번 출구[편집]


신촌오거리.2호선신촌역(중)(14063/23035)
신촌로터리(14169)
간선

지선

심야


신촌로터리(14168)
간선

지선

심야


용약국(14520)
마을



6.1.7. 7번 출구[편집]


신촌로터리(14204)
간선

지선


신촌역(14990)
마을


신촌역(14979)
마을


신촌로터리(14205)
간선

지선

마을


신촌역(14989)
마을



6.1.8. 8번 출구[편집]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중)(14062/23034)
신촌역(14228/14591)
신촌역(14867)
<width=25%><bgcolor=#5bb025> 마을 ||
마포08(서부면허시험장)
[4] 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5] 「전국 최다 교통사고 발생 지역은 이곳」, 머니투데이, 2011-09-26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마포09(망원유수지)}}} ||}}}
[각주]

7.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6:21:08에 나무위키 신촌역(도시철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