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팔기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구성
3. 현대의 십팔기
4. 관련 항목


1. 개요[편집]


십팔기(十八技, 18기)는 1759년(영조 35년)에 사도세자가 대리청정을 하던 시기에, 중국에서 들어온 절강병법[1] 6가지 무예를 수록한 《무예제보》를 토대로, 당시 병영에서 훈련하던 12가지 무예를 합쳐 만든 《무예신보》에 수록된 무예들의 총칭이다. 이름에서 보듯이 "18가지 무예"란 뜻으로 각종 고서에는 십팔반무예(十八般武藝)[2], 십팔반무기(十八般武技)[3]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십팔기가 이루어지는 과정은 사도세자의 문집인 《능허관만고》에 기록되어 있다.

현재 《무예신보》는 전해지지 않으나 정조 14년 박제가, 이덕무, 백동수 등이 왕명에 의해 이를 계승하고 보완한 《무예도보통지(武藝圖普通志)》에 기록이 남아 있다. 십팔기는 본국검, 예도같은 조선의 무예와 중국, 일본의 무예를 능동적으로 받아들여 그림과 함께 소상히 설명하고 있다.

십팔기란 명칭은 '십팔기'라는  《무예신보》,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무예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나온  명칭이다.  역사적으로, 십팔기에 포함된 무예들은 각각 그 무예들만의 역사와 단독성이 묻어나 있다. 십팔기는 구한말까지 수련된 것으로 추정되며 1880년 오군영이 해체되면서 맥이 완전히 끊기게 되었다.


2. 구성[편집]


십팔기는 《무예신보》, 《무예도보통지》에 수록된 무예를 이르는 명칭이다.
• 찌르는 무예 : 장창(長槍), 죽장창(竹長槍), 기창(旗槍), 당파(鐺鈀), 낭선(狼先)
• 베는 무예 : 쌍수도(雙手刀), 예도(銳刀), 왜검(倭劍), 교전(交戰)[4], 제독검(提督劍), 본국검(本國劍), 쌍검(雙劍), 월도(月刀), 협도(挾刀), 등패(藤牌)
• 치는 무예 : 권법(拳法), 곤방(棍棒), 편곤(鞭棍)



3. 현대의 십팔기[편집]


현대에 들어 십팔기란 명칭은 1967년에 설립된 중국무술십팔기협회(現 대한쿵후협회)가 처음 사용하였다. 창립자인 황주환 회장이 중국 화교무술인들에게 배운 무술로써 십팔기 이름을 사용하였다. 이후 1968년에 "대한십팔기무술협회"로 개명하였다.

현대의 십팔기는 대한십팔기협회의 약칭이다.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에 실린 십팔기를 북창 정염선생의 용호비결을 바탕으로 이어져 내려온 도가문중에서 무예를 익힌 해범 김광석선생이 이를 해제한 단체이다. 1970년부터 십팔기도장을 개원하여 1977년 대한십팔기협회를 설립하고 1981년 문교부에 사회단체로 등록함. 대한십팔기협회를 중심으로 생활체육으로서 일반에게 보급되고 있다.

관련 서적
심우성 해제, 김광석 실연, «무예도보통지 실기해제»(서울: 동문선, 1987)
김광석 지음, «권법요결»(서울: 동문선, 1992)
김광석 지음, «본국검»(서울: 동문선, 1995)
최복규 지음, «무예 십팔기»(서울: 초록배매직스, 2001)
김광석 지음, «조선창봉교정»(서울: 동문선, 2002)
박창정 지음, «무예도보통지주해»(서울: 동문선, 2007)
최복규 지음, «(한국의 전통 무예) 십팔기»(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사)대한십팔기협회(大韓十八技協會)
십팔기보존회
참고   http://m.ggdaily.kr/15256 신승대의 무예이야기
       https://www.segye.com/newsView/20100406003520 박정진의 무맥 한국 현대 무예의 지형도 1
        https://www.segye.com/newsView/20100420003985 박정진의 무맥 한국 현대 무예의 지형도 2



4. 관련 항목[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1-31 22:51:33에 나무위키 십팔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1:54:45에 나무위키 십팔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명나라 장군 척계광이 왜구를 소탕하기 위해 고안한 병법. 원앙진 참조[2] 이익 《성호사설》[3] 《조선왕조실록》 고종실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