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MRT C151형 전동차

덤프버전 :



파일:C151AngMoKio.jpg
파일:C151EWL.jpg
리뉴얼 이전의 c151 전동차 외부
리뉴얼 이후의 c151형 전동차 외부
파일:1920px-Kawasaki_train.jpg
파일:IMG_9991.jpg
리뉴얼 이전의 c151 전동차 내부
리뉴얼 이후의 c151형 전동차 내부



1. 사양
2. 개요
3. 차량별 개요
4. 보존
5. 퇴역 현황
6. 주행 영상
7. 기타


1. 사양[편집]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 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운행 노선
싱가포르 MRT 동서선, 남북선
급전 방식
직류 750V 제3궤조
영업최고속도
80km/h
설계최고속도
90km/h
기동가속도
3.6 km/h/s
감속도
상용 : 3.6 km/h/s , 비상 : 4.68 km/h/s
신호 방식
ATC/ATO
제작회사
파일:일본차량제조 로고.svg / 파일:가와사키 중공업 로고.svg 파일:도큐 주식회사 로고.svg / 파일:긴키차량 로고.svg
도입연도
1986년~1989년
제어 방식
미쓰비시초퍼제어[1]
도시바VVVF-IGBT(025/026, 055/056, 065/066, 095/096, 109/110, 131/132편성)[2]
편성
6량 2편성[3]
전동차 비
4M2T
전장
동력차: 22,800mm(23.65m)
무동력차: 23.650mm(23.65m)
전폭
3,200mm(3.2m)
전고
3,690mm(3.69m)
차중
M1 : 38.3t
M2 : 38.4t

2. 개요[편집]


싱가포르 MRT 최초의 전동차이다.[4]

타이베이 첩운 C301형과 거의 똑같이 생겼는데[5], 사실 타이베이 쪽이 싱가포르보다 개통이 늦은 만큼 이쪽이 원조다. 2022년~2023년싱가포르 MRT R151형 전동차로 대차될 예정이다.[6]

2006년~2008년부터 현대로템이 20년 넘은 전동차들을 리모델링해서 현재까지도 달리고 있다. 리모델링된 차량들은 내부 뿐만 아니라 일부 편성들은 2011년 즈음에 VVVF개조를 받기도 했다. 워낙 소음이 커서 컴프레서를 저소음으로 된 걸로 교체하기도 했다.[7] 2020년 6월 부로 1986년~1987년식은 전량 폐차되고 1988년~1989년 분은 2021년~2022년까지 운행하다 은퇴했다.[8]

현재 7세대 라인 열차가 이 C151형 전동차의 자리를 물려받게 된다.[9] 허나 아직도 1986년~1987년식 열차가 얼마 전까지만 해도 다닌 걸로 보아 2022년 이후에나 본격적으로 폐차될 예정으로 봤으며 실제로 2023년을 전후해 구형 전동차가 대거 교체되는 중이다.

이 전동차를 기반으로 C151A형, C151B형, C151C형 이 개발되었으며 이들은 현재도 싱가포르 MRT 동서선/남북선의 주력 전동차로 활약중이다.[10]

2024년에 전량 폐차할 예정이다.[11] 그 이후 박물관 등지에 전시될 가능성도 있어보인다.[12]

3. 차량별 개요[편집]


총 4차분이 있으며 1986년 ~ 1989년 까지 만들어졌다.

* 1차분 - 1986년 제조[13]
* 2차분 - 1987년 제조
* 3차분 - 1988년 제조
* 4차분 - 1989년 제조

* 가와사키 중공업 제조: 001~020,051~062,093~0102 편성
* 긴키 차량 제조: 021~030,063~072,103~112 편성
* 일본차량제조: 031~040,073~082,113~122 편성
* 도큐차량 제조: 041~050,083~092,123~132 편성

1986년~1989년 사이 총 66편성 제조, 2023년 10월 현재 54편성이 있고 12개 편성은 퇴역 후 폐차되었다.

1980년대에 출시된 열차임에도 1차분부터 냉방기기가 있었다. 그리고 그때부터 불연재였다.[14]

1986년~1987년식은 1987년에 이오추캉 ~ 아우트램 파크 구간을 위해 제작되었고 1988년식 중 일부는 그해 3월 아우트램 파크~ 클레멘티 연장구간을 위해 제작했으며 나머지 1988년분은 1988년 4분기에 개통한 클레멘티 ~ 레이크 사이드 & 요추캉 ~ 이슌 구간, 1989년 분은 1989년 4분기에 개통한 레플즈 플레이스 ~ 마리나 베이 & 시티 홀 ~ 타나메라 & 타나메라 ~ 파시르 리스 연장을 위해 반입되었다.

1990년분은 원래 남북선 주롱 이스트 ~ 초아 추캉 & 동서선 레이크 사이드 ~ 분 레이를 위해 4편성을 반입할 예정이었지만 이미 66편성으로도 충분해서 실제로 도입되지 않았다.[15]

025/026, 055/056, 065/066, 095/096, 109/110, 131/132편성은 2011년에서 2015년까지 VVVF-IGBT로 개조되었다.

4. 보존[편집]


싱가포르에서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초저항급의 명성을 가진 열차이니 보존 가능성에 대해서는 이미 2010년대 말부터 이야기가 돌았다. 싱가포르는 철도박물관이 별도로 없어서 싱가포르 역사 박물관에 전시가 될 수 있다.

그 중에서 001/002 편성은 전시될 확률이 매우 높다고 하며 C651의 폐차된 편성에서 좌석을 바꿀 수 있다고 전해진다.[16] 그리고 인테리어 역시 개조 이전과 같이 어느정도 바꿔서 보존할 가능성 역시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2022년 3월 5일에 퇴역한 095/096 편성이 엑스포 역의 전시회관에 임시로 보존되으나,[17] 사실 TV 프로그램 찍으려고 보존한 것이었다. 촬영 이후에 폐차되었다.

일부 편성에서 폐차한 열차의 좌석을 떼어내서 HDB 아파트 단지의 의자로 썼다.

5. 퇴역 현황[편집]


편성
퇴역 일자
045/046
2020년 6월 22일
099/100
2021년 1월 27일
051/052
2021년 6월 12일
095/096
2022년 3월 5일
101/102
2022년 7월 16일

6. 주행 영상[편집]



파시르 리스 → 투아스 링크 주행 영상

7. 기타[편집]


2023년 현재 30년 넘은 열차라서 그런지 잔고장이 잦다. 이로 인해 열차가 지연되는 경우도 심하다.

노후화가 심하다는 C651이나 C751B보다 잦은데 VVVF 개조 차량을 제외하면 부품이 단종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11:59:19에 나무위키 싱가포르 MRT C151형 전동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멜코 쵸퍼와 부산 1000호대 1차분에서 사용하는 거랑 같은 회사에서 만들었다.[2] 095/096 편성은 2022년 3월 5일에 퇴역[3] 예 001/002 편성[4] 2023년 기준으로 무려 34년 동안 운행 중이다.[5] 한국의 서울교통공사 광폭형 GEC 초퍼제어 전동차와 매우 비숫하게 생겼다. 홍콩 MTRMTR 메트로카멜 직류형 전동차와도 매우 비슷하다.[6] C651과 C751B도 순차적으로 2020년대 중후반까지 대차될 예정.[7] 1980년대1990년대-2000년대 초반에 찍힌 이 열차의 영상을 보면 소음이 매우 큰 걸 알 수 있다.[8] 처음 폐차된 열차는 045/046 편성이다. 1987년분.[9] 마치 700계가 0계의 자리를 물려받았듯이.[10] c751b형도 어느정도 영향을 주었다.[11] 다만 코로나로 인해 연기되어서 C151형 전동차는 2026년~2030년도까지 운행할 가능성도 있다는 걸 배제할 수 없다고 했는데 2023년 11월 이후 MRT 동서선/남북선 리뉴얼 계획이 나오며 예정대로 2024년을 전후해 전량 퇴역되게 되었다.#[12] 이 전동차는 한국의 수도권 전철로 치면 수도권 전철 1호선 초저항 내진 부산 도시철도 1호선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전동차 급의 명성을 가지고 있다.[13] 싱가포르에 제일 먼저 들어온 편성들이다.[14] 사실 한국이 가연재를 21세기 극초반까지 오래 쓴 국가인건 이례적이다. 당장 한국보다 못 살던 국가들도 못해도 1990년대 부터는 불연재 차량을 도입했다.[15] 70편성으로는 이미 충분했고 1990년대 중반에 운행할 C651에 대한 구입계획이 1989년부터 있었기 때문에 1990년분 4편성은 도입을 안했다.[16] 아마 초창기의 느낌을 주려고 한 듯 했다.[17] 물론 일부 객차들은 폐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