썬더 드래곤(유희왕)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썬더 드래곤(유희왕/카드군)



1. 개요[편집]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2. 설명[편집]



2.1. 유희왕 듀얼몬스터즈[편집]


파일:ThunderDragon-DM2-JP-VG.png

한글판 명칭
썬더 드래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サンダー・ドラゴン
영어판 명칭
Thunder Dragon
일반 몬스터
레벨
소환마족
종족
공격력
수비력
5
천둥마족
번개족
1600
1500
뇌운을 불러 번개 공격을 해오는 드래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에서부터 등장.

본 게임 시리즈 및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시리즈에서는 공격력 1600 미만의 드래곤족과 번개족을 융합시키면 간단히 꺼낼 수 있다. 여기에 드래곤족이나 번개족을 추가로 융합시키면 두 머리의 썬더 드래곤이 되므로 초반에 쓰기 매우 딱 좋은 몬스터라 할 수 있다.

특히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봉인된 기억에서는 1턴에 여러 장의 카드를 융합시킬 수 있는 덕분에 드래곤족과 번개족을 적당히 3장 융합시키면 초반부터 두 머리의 썬더 드래곤이 튀어나온다.[1] 또한 융합 소재 둘 중 공격력 1600 이상이라면 아예 두 머리의 썬더 드래곤을 직접 꺼낼 수가 있다. 드래곤 덱의 에이스라 할 수 있는 만큼 본 게임을 진행하는데 가장 효율적이고 그나마 쉬운 수단인데, 여기서 썬더 드래곤이 번개마족이자 상급 드래곤족 몬스터 취급이라 드래곤족이나 이름에 용이 붙어 드래곤족 취급 받은 몬스터를 쓰든 아니면 그냥 번개마족 몬스터를 쓰든 맘대로 할 수 있는 데다, 딱히 덱에 안 집어넣어도 번개마족과 하급 드래곤만 있으면 쉽게 만들 수 있어서 그야말로 게임 공략의 키를 만들기 위한 필수 요소였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편집]


파일:サンダー・ドラゴン2.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썬더 드래곤 ,
일어판명칭=サンダー・ドラゴン,
영어판명칭=Thunder Dragon,
속성=빛, 레벨=5, 공격력=1600, 수비력=1500, 종족=번개족,
효과1=①: 이 카드를 패에서 버리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썬더 드래곤"을 2장까지 패에 넣는다.)]

패에서 자신을 버리고 같은 이름의 카드를 2장까지 서치할 수 있는 기동 효과를 가진 상급 효과 몬스터. 썬더 드래곤 테마의 원점이 되는 카드이기도 하다.

상급 주제에 능력치는 레벨 4의 번개왕후라이보에게 밀릴 정도로 낮지만, 이 카드의 진가는 역시 아무 조건 없이 덱을 두장 압축시켜주고 패 어드밴티지가 1장 늘어난다는 점. 때문에 엑조디아류의 원턴킬 덱에선 패 좌절, 암흑계의 거래등의 카드와 함께 풀투입 되던 카드였다.

이 카드의 첫 전성기는 광암덱 시절. 당시엔 쓸만한 빛 속성 몬스터가 성스러운 마술사, 마슈마론, 이차원의 여전사, 천공기사 파샤스, X-헤드 캐논 정도밖에 없었기에 빛 속성 코스트 겸 덱 압축을 위해 3장이 들어갔다. 그 외에 날개 크리보가 주가 된 덱에서도 진화하는 날개의 코스트 충당을 위해 서치한 썬더 드래곤이 쓰이기도 했고, 젬나이트 덱에서도 세라피나 프리즘아우라의 소재로 쓰인다.

보통 초창기 카드가 카드군이 되면 그 원조에 해당하는 카드는 단순히 엑스트라 덱 몬스터의 소재로 사용되거나 특정 카드의 발동 트리거가 되는 수준으로 사용되며 패에 잡히면 오히려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많지만 썬더 드래곤 카드군은 이 카드의 효과인 패에서 번개족의 효과를 발동하는 것에 맞춰 제작되었기 때문에 아직도 3장씩 풀투입되고 있다. 다른 썬더 드래곤 몬스터와 다르게 패에서 버리는 효과를 사용하는 횟수에 제약이 없어서 뇌신룡의 효과를 카드 1장으로 2번 발동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 또한 묘지의 번개족 장수를 늘리거나 초뇌룡의 특수 소환 조건을 만족시키는 등 테마의 원점에 걸맞는 활용도를 보여준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선 카이바 세토카이바 노아죠노우치 카츠야와의 듀얼에서 썼으며, 패에서 1장을 버려 나머지 2장을 서치하는 효과를 발동한 뒤 융합해 두 머리의 썬더 드래곤을 불러냈다.

유희왕 캡슐몬스터즈에선 혼다 히로토의 파트너 몬스터로 등장했으며, 혼다를 등에 태우고 날아다니는 등의 활약을 했다. 공격명은 '라이트닝 포스(Lightning Force)'.[2]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덱 압축 카드로 쓰였다. 실전에선 거의 안 쓰이고 파밍덱에 가끔 들어간다.

여담으로 현실 게임에서는 썬더 드래곤이 2장 이상 잡혔을 때 부정행위를 저지르는 트릭이 있었다. 썬더 드래곤을 버리고 동명 카드를 서치하는척 하면서 다른 원하는 카드를 서치해온 뒤, 패에 이미 잡힌 썬더 드래곤을 서치해온 카드로 위장하는 것.


2.2.1. 수록 팩 일람[편집]


수록 시리즈
2000-01-27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Vol.7
[[레어(유희왕)|
R
레어
]]

2000-03-01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Booster 7
[[레어(유희왕)|
R
레어
]]

2001-02-22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ME-37 | 鋼鉄の襲撃者 - METAL RAIDERS -
[[노멀|
N
노멀
]]

2003-01-23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DL4-031 | DUELIST LEGACY Volume 4
[[레어(유희왕)|
R
레어
]]

2004-12-09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BE2-JP058 | BEGINNER'S EDITION 2
[[노멀|
N
노멀
]]

2011-08-13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BE02-JP043 | BEGINNER'S EDITION 2 [ 2011 \]
[[노멀|
N
노멀
]]

2016-10-01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AT16-JP002 | アドバンスド・トーナメントパック2016 Vol.4
[[패러렐 레어|
P
패러렐(노멀)
]]

2018-06-09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18SP-JP202 | SPECIAL PACK 20th ANNIVERSARY EDITION Vol.2
[[노멀|
N
노멀
]]

[[슈퍼 레어|
SR
슈퍼 레어
]]

2018-11-23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틀:국기|
]][[틀:국기|
]]
LVP2-JP013 | LINK VRAINS PACK 2
[[노멀|
N
노멀
]]

2002-06-26 | MRD-097 | METAL RAIDERS
2005-07-27 | DB2-EN058 | DARK BEGINNING 2
2007-02-06 | CP02-EN015 | CHAMPION PACK GAME TWO
2008-07-08 | RP01-EN040 | RETRO PACK
2008-11-21 | DLG1-EN041 | DARK LEGENDS
2018-03-09 | LCKC-EN067 | LEGENDARY COLLECTION KAIBA MEGA PACK
2018-11-16 | HISU-EN046 | HIDDEN SUMMONERS
2023-04-21 | MRD-EN097 | METAL RAIDERS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2004-03-09 | MRD-K097 | 강철의 습격자
2006-09-28 | BP2-KR058 | 비기너즈 팩 Vol.2
2008-09-10 | ESP1-KR013 | 익스팬션 팩 Vol.1
2017-03-01 | AE10-KR014 | 어드밴스드 이벤트 팩 2017 Vol.1
2019-03-12 | LVP2-KR013 | 링크 브레인즈 팩 2


3. 관련 카드[편집]





3.1. 두 머리의 썬더 드래곤[편집]


썬더 드래곤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1.


3.2. 초뇌룡-썬더 드래곤[편집]


썬더 드래곤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2.

[1] 해당 게임에서 패는 턴 개시시에 소비 매수만큼 보충되기 때문에 융합에 패를 2장 쓰든 3장 쓰든 큰 차이는 없다.[2] 이 영향인지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전우혁의 전용 대사가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