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쓸 소

부수
나머지 획수


, 8획


총 획수


11획



고등학교



준4급




[1]


일본어 음독


ソウ


일본어 훈독


は-く, はら-う







표준 중국어


sǎo, sà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이체자
5. 유의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1. 개요[편집]


掃는 '쓸 소'라는 한자로, '(빗자루로) 쓸다', '소탕(掃蕩)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쓸다



중국어
표준어
sǎo, sào[2]
광동어
sou3
객가어
so
민동어
suā[文] / sáu[白]
민남어
[文] / sàu[白]
오어
sau (T2)

일본어
음독
ソウ
훈독
は-く, はら-う

베트남어
tảo

유니코드에는 U+638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QSMB(手尸一月)로 입력한다.

(손 수)와 (비 추)가 합쳐진 회의자로, 손으로 빗자루를 들고 쓰는 모습에서 '쓸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특이하게도 이 글자는 다음자(多音字)이면서도, 두 발음 사이에 의미차이가 없다. 즉 중고음 상에서 상성(上聲)으로 발음하든 거성(去聲)으로 발음하든 똑같이 '쓸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에서는 '사라질 소'()와 의미가 유사하면서도 발음이 같아 두 개로 모두 쓰이는 한자어가 많다. '일소'(一掃/一消), '소거'(掃去/消去), '소멸'(掃滅/消滅) 등. 다만 '쓸 소'는 '쓸다'라는 의미 특성상 능동적으로 없애는 것에만 쓸 수 있고, 저절로 사라지는 것에는 쓸 수 없어서 의미 폭이 좀 더 좁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보통 '消'가 쓰인 한자어가 더 많이 쓰인다. 일본어/중국어로 '消'는 개음 [j]가 남아있어 각각 しょう/xiāo이기에 掃와는 발음이 다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 소거(掃)
  • 소제(掃) : 한국어로는 '청소'를 더 자주 쓰지만 일본어에서는 掃除(そうじ)가 꽤 자주 쓰인다. 한국어 사전에도 일단 '소제'가 실려는 있다.
  • 소탕(掃)
  • 소해(掃)
  • 일소(掃)
  • 청소(掃)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이체자[편집]


  • 𢱥[⿰扌⿱帚又](U+22C65)


5. 유의자[편집]


  • (쓸어버릴 탕)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𨺔[⿰阜帚]/𨺜[⿰⻖帚]/𡚖[⿰⿱𠂤大帚]/𨓼[⿰⿱彡止帚](돌아갈 귀)
  • (며느리 부)
  • 𪂋[⿰鳥帚](뱁새 부)
  • 𧌈[⿰虫帚](쥐며느리 부)
  • 𠴵[⿰口帚](많은새의소리 소)
  • 𨧪[⿰金帚](쇳가루 소)
  • (쓸 소)
  • (밝을 주)
  • (쏘가리 추)
  • (잠길 침)[3]
  • 𥇳[⿰目帚](귀)
  • (부)
  • 𢅜[⿰帚帚](사)
  • 𡹙[⿰山帚]
  • 𢃞[⿰巾帚]
  • 𭘺[⿰益帚]
  • 𫃲[⿰糸帚]
  • 𬖥[⿰米帚]
  • 𱞨[⿰忄帚]
  • 𰯳[⿰臣帚]
  • 𱀠[⿰𠂤帚]
  • 𲉕[⿰⿱㠯廾帚]


7. 여담[편집]


  • 掃(쓸 소)라는 한자는 '쓸다'의 뜻이므로 '청소'(掃) 따위에 쓰이고, (쓸 고)는 (맛이) '쓰다'의 뜻이며, (쓸 비)와 (쓸 용)은 '사용하다'의 뜻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9:14:41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제5획이 정자와 다르게 좌우로 튀어나오지 않는다.[2] '빗자루'라는 명사의 의미를 가진 일부 합성어에서만 4성으로 발음한다.[文] A B 문독[白] A B 백독[3] (잠길 침)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