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ena MSL 2008

덤프버전 :




파일:external/www.arena.co.kr/977981394_1vOGVuP0_AR_1208937209.jpg
파일:external/game.donga.com/mslfinal080728_01.jpg

1. 개요
2. 사용 맵
3. 리그 진행
3.2. 전설의 하트관광



1. 개요[편집]


  • 대회 기간: 2008년 5월 1일 ~ 2008년 7월 26일
  • 스폰서: 아레나
  • 스폰서 캐치프레이즈: 최고의 스포츠 브랜드, Arena
  • 조 편성
  • 우승: 박지수[1], 준우승: 이제동, 공동 3위: 이영호, 박영민
  • 결승 장소: 서울무역전시관/서울 잠실 야외수영장(이원 생중계)
  • 리그 슬로건: THE EYE, THE LIVE
  • 오프닝 BGM: Foo Fighters - The Pretender
    • 결승전 오프닝 BGM: Bullet For My Valentine - End of days
  • 특이사항
    • 문래동 LOOX 히어로 센터로 이전 후 첫 번째 대회.
    • 시드배정 순서가 바뀜. 전 대회 준우승자의 시드자리가 B조 고정이 아니며 각각 공동 3위를 차지한 선수들과 뒤바뀜.
(이후 클럽데이, 로스트사가 MSL 까지 유지)
  • e스포츠 사상 최초 결승전 이원 생중계 시도.[2]
  • 리그 슬로건을 THE LIVE와 THE EYE를 혼용.
  • 맵 제작자 송기범의 복귀.
  • 정명훈의 첫 개인리그
  • 이병민의 마지막 MSL이자 개인리그.
  • 엔터 더 드래곤(Enter the Dragon)을 리메이크한 티아매트(Tiamat)를 사용.
  • MSL의 마지막이자 스타1 역사상 마지막 팀킬 결승 - 박지수 vs. 이제동(르까프 오즈)
  • 정ㅋ벅ㅋ
  • 오영종, 이영호(P), 서경종의 마지막 MSL.

아레나 MSL 김철민 티저 오프닝 링크
정ㅋ벅ㅋ아레나 MSL 오프닝 링크
아레나 MSL 목요일 브릿지 오프닝 링크
아레나 MSL 토요일 브릿지 오프닝 링크
아레나 MSL 결승전 오프닝 링크

자세한 대진표는 Arena MSL 2008/대진표를 참고.

2. 사용 맵[편집]



3. 리그 진행[편집]



3.1. 정ㅋ벅ㅋ[편집]


당시에 이름도 커리어도 거의 없던[3] 박지수가 당대의 투탑 프로게이머였던 리쌍을 완파하고 정ㅋ벅ㅋ한 대회.

이 대회에서 이영호와 이제동, 리쌍의 대결이 성사되었다면 아레나 결승전은 보기 드문 MSL 결승의 흥행으로 남을 수도 있었다. 그리고 PD를 비롯해서 모두가 그렇게 믿었다. 그도 그럴 것이 박지수는 아레나 MSL이 시작할 때는 존재감 없는 양산형 테란 선수 한 명이었을 뿐이었기 때문이다.[4] 게다가 곰TV MSL 시즌3 강민과의 경기에서 금지된 버그를 사용해 벅지수란 별명으로 그나마 부정적인 의미로라도 지명도를 유지하고 있을 뿐이었다. 심지어 리그 자체도 4강까지는 신나게 순항하고 있던 상황이었다. 그래서 PD가 과감하게 시도한 것이 수영복 패션쇼와 이원생중계였는데...

박지수가 32강을 통과하면서 가속을 붙이더니 4강에서 최종병기 이영호를 세트스코어 3:1로 완파하면서 결승에 진출했고, 같은 팀 이제동까지 3:0으로 KO패시키면서 우승컵을 들어올리는 바람에 PD는 김칫국만 마신 꼴이 되었다. 이에 여러 과정을 거쳐 정ㅋ벅ㅋ이라는 용어가 정착되었다. 해당 항목 참조.

박지수의 정ㅋ벅ㅋ이 왜 재앙인고 하니 팬층이 두텁지 못해 동원 관중수가 적었는데다가 같은 팀의 이제동[5]이 상대였다는 것[6], 그리고 그날 터진 이원 생중계 사태와 잠실 야외수영장의 폭우크리까지... 물론 이 경우는 박지수의 잘못이 아니지만, 적어도 이원생중계는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취소하는 PD의 결단이 필요했다.

이 모든 게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박지수의 정ㅋ벅ㅋ이 당시에는 MSL 역사상 최대의 재앙이라 불리는 것이다. 여기서 뜬 사람이 아레나 상무님. 몰래카메라를 방불케 하는 표정이 일품. 결국 이는 플짤과 함께 이후 완불엠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남게 되었으며, 르까프 오즈와 르까프빠들만의 축제가 되었다. 여담으로, 김철민 캐스터가 후에 개인방송에서 말하길 아레나 상무님을 찾았던 건 당시 제작팀장과 아레나의 상무가 식사를 하러 갔는데 경기가 빨리 끝나자 급작스럽게 부르게 되어서 그렇게 됐다고...

허나 아레나 MSL의 경우 몰래카메라와 상무 사건으로 인해 스갤러들에게 대세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박지수가 뜨게 되는 현상이 발생했으니 일종의 홍보효과라고나 할까?

또한 망했다고는 하지만 박지수가 리그를 망치는 포스가 너무나도 압도적이었기 때문에 오히려 그 어떤 우승자들보다도 확실히 기억되었다. 그의 인지도가 문제였을 뿐 우승 과정은 천운이나 뽀록과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정복이란 말에 걸맞을만큼 많은 고난과 역경의 대진이었다. 32강에서 전 대회 준우승자, 16강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했던 천적, 8강에서 다시 만난 전 대회 준우승자, 4강과 결승에서 이전 시즌의 양대리그 챔피언들을 연속으로 만나서 이들을 연파하고 아레나 MSL을 정ㅋ벅ㅋ. 게다가 3종족이 골고루 배치되어 있어서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박정석[7], Gillette 스타리그 2004박성준[8], 당신은 골프왕 MSL박태민[9], So1 스타리그 2005오영종[10], 곰TV MSL 시즌3박성균[11], 박카스 스타리그 2008이영호[12], 아발론 MSL 2009김윤환[13], 진에어 스타리그 2011허영무[14] 함께 역대 최악의 대진으로 우승한 사례로 남아있다.

시청률은 아레나 결승이 바로 다음 대회인 클럽데이 온라인 MSL 결승보다 시청률이 더 높게 나왔기 때문에 MBC GAME 자체는 손해는 적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평균이 아닌 최고 시청률이 2.584%라고 했는데, 이 수치는 평균 시청률로 따져도 2.145%로 비슷비슷하게 나왔다. 결승전 끝나면 늘 나오는 시청률 기사인데, 얼마나 별로였으면 최고 시청률 가지고 시청률이 잘 나왔다고 할까? 그렇다고 해도 아레나 상무님이 굴욕을 벗어났던 건 아니다.

사실 기본적으로 케이블 보급률이 온게임넷2배 이상 차이나는 상황에서 MSL을 스폰하면서 온게임넷 만큼의 기대치를 놓고 스폰한 게 실수라고 봐야지 전적으로 엠겜의 실책으로 몰아서는 안된다. 더군다나 곰TV 라이브 조회수는 시청률 집계에 절대로 안 들어가기 때문에 더더욱 단순 비교는 힘든 상황. 그래도 결승전 상황만 봐도 망한 건 마찬가지지만(…)...

결국 리그를 우승한 그는 정ㅋ벅ㅋ자라는 희대의 명별명을 가지게 되었다.



당시 정벅자 관련 패러디들이 한데 모여 믹싱된 징기즈벅 영상. 코에이의 징기스칸4 오프닝을 베이스로 삼았다. 차가타이 쿠, 수부타이 석, 오고타이 손, 툴루이 빵, 다찌마와 리, 쿠빌라이 리, 람가최 등 당시 르까프 오즈의 주역들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15]

이후 MBC GAME도 리그 하나 버린 대신 흥행카드 하나 얻었으니 만족하자는 듯 했다. 그런데 정작 그 흥행카드는 2009년 이후로 부진해지기 시작하더니만[16] 끝끝내 회복하지 못하고 2010년 12월 28일에 갑자기 스타1판을 떠났다.[17]

정리하자면 리그 전체를 놓고 봤을 땐 흥행했지만 결승전 한 방 때문에 말아먹은 대회. 적어도 수영복 패션쇼와 이원 생중계만 안 했어도 그래도 박지수가 테란이라 어쨌든 테저전 결승이니, 저저전 결승보다야 관중 동원력 면에서 훨씬 나아서 이런 결과는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이거 한 방 때문에 이후 MSL의 이미지는 싼티나는 리그로 굴러 떨어져버렸으니...


3.2. 전설의 하트관광[편집]


이 대회에서 스타판의 최고 관광 중 하나로 일컫어지는 박영민이성은 하트 관광이 나왔다. 이 세리머니는 공식전에서 나온 관광 세리머니 중 가장 호화로운 것으로 손꼽힌다.[18] 이후로도 이성은은 박영민만 만나면 온갖 굴종의 역사에 시달리다, 군대까지 후임병으로 들어가 갖은 고초를 치르게 되었다. 관광의 세부내역은 박영민 항목 참조.[19]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0 21:13:46에 나무위키 Arena MSL 2008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ㅋ벅ㅋ 기믹이 흥하자 아예 차기 MSL 조지명식에서 프로필에 Arena MSL 정복이라고 적게 되었다.[2] 의도는 좋았으나 결과가 완전히 쪽박이어서 이게 MSL에서의 처음이자 마지막인 결승전 이원 생중계가 되었다.[3]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를 통하여 이름이 조금이나마 알려졌지, 개인리그는 별볼일 없는 편이었다. 게다가 곰TV MSL 시즌3에서는 강민과의 16강에서 금지된 버그를 함부로 썼다가 몰수패를 당하고 강제로 광탈한 적도 있었다. 또한 이 시즌 이전까지는 MSL이고 스타리그고 8강에 진출했던 적도 전무하다.[4] 막말로 같은 대회 16강에서 화려한 레짤로 뜬 팀 동료 손주흥보다도 더 존재감이 없었다. 손주흥은 해설자들이 일 내는 거 아니냐는 말까지 들었지만, 8강에서 이영호를 만나 2:3으로 아쉽게 석패했는데, 정작 아무도 관심을 안 주던 박지수가 그렇게 손주흥을 격파하고 올라온 이영호를 4강에서 완파하면서 일을 내며, 결승전에서 팀의 원탑 에이스였던 이제동을 (테란맵이였기는 했지만) 3:0으로 탈탈 털어버렸다.[5] 참고로 이 둘은 드래프트 동기이기도 하다. 전 시즌인 곰TV MSL 시즌4와 같은 케이스.[6] 보통 같은 팀끼리의 대결은 상성 싸움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그게 아니더라도 한 집안 싸움이라는 점 때문에 흥미를 끌지 못한다. 당장 이로부터 4년 전 Spris MSL 결승전은 당시에도 최고 인기팀 중 하나였던 SK텔레콤 T1의 소속 선수들이자 결승전에 오른 선수들도 최연성박용욱이라는 엄청난 네임밸류를 가진 선수들끼리 맞붙었지만, 결국 한 집안 싸움이 된 탓에 역대급 노잼 결승전이 되어버린 걸 보면... 그것도 상대적으로 와 인기가 많은 팀이라면 다행이겠지만, 당시 르까프 오즈라는 팀명을 사용했던 화승 오즈는 실력에 비해 빠도 인기도 하나같이 생각보다 많지 않았다. 사실상 팀이 항상 원맨팀(올드 게이머 시절에는 오영종, 드래프트 세대에는 이제동의 독주 체제)으로 운영되었기에 어느 정도는 당연지사라면 당연지사지만...[7] 16강에서 전 시즌 KPGA 준우승자 홍진호, 전 시즌 온게임넷 스타리그 준우승자 강도경, 그리고 테프전에 굉장히 강하다고 평가받은 조정현을 만나고(단, 홍진호에게는 16강 본경기와 재경기 모두 패배하였다.), 8강에서 전 시즌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자 변길섭, 온게임넷에서 8연승 중이던 당대 최강의 외국인 게이머 베르트랑 그로스펠리에, 데뷔 때부터 프로토스의 재앙이라 평가받는 조용호를 만나고(단, 조용호에게는 8강에서 패배하였다.), 4강에서는 다시 만난 홍진호에게 3:2 승리, 결승전에서는 전승으로 결승전에 진출한 테란의 황제 임요환을 상대로 3:1로 우승을 거두면서 가을의 전설을 만들어 낸다.[8] 듀얼 토너먼트에서 임요환을, 16강에서 전태규한동욱(단, 이 때의 한동욱은 아직 정상급 프로게이머로 평가받기 전의 선수였다. 양대리그 첫 진출이며 무려 아마추어였던 시절로 양대리그 본선에 아마추어가 진출한 마지막 경우가 되었다.), 8강에서 서지훈, 4강에서 최연성, 결승에서 박정석을 차례대로 만나는 고난의 대진을 겪었다. 특히 4강에서 만난 최연성은 3.3 혁명 당시 마재윤 급 혹은 그 이상의 포스를 보여주고 있었다.[9] 16강에서 박성준, 승자 8강에서 전상욱(단, 이 때의 전상욱은 정상급 테저전을 자랑하던 T1 시절이 아닌 저그전이 약했다고 평가받은 GO 시절이었다.), 승자 4강에서 서지훈, 승자 결승에서 이윤열(단, 이 때에는 박태민이 세트스코어 2:3으로 아쉽게 패하며 결승 직행에 실패하였다.), 패자 결승에서 다시 서지훈, 최종 결승에서 이윤열을 다시 만나는 고난의 대진을 겪었다. 거기다 결승전에서는 ASL - KSL 시대 전까지 유일한 7전제 결승전이었다.[10] 16강에서 김준영, 홍진호, 최연성(단, 이 때 김준영은 정상급 프로게이머로 평가를 받는 선수는 아니었으며, 최연성과의 경기에서는 패하였다.), 8강에서 서지훈, 4강에서 다시 최연성, 결승에서 임요환을 차례대로 만나는 고난의 대진을 겪으면서 이윤열을 제외한 당시 테란 4대장 선수들 전원을 탈락시켰다. 한편 그 이윤열과는 1년 후 결승전에서 격돌하여 풀세트 접전끝에 아쉽게 패배했다.[11] 스틸 드래프트 31번으로 최저 순번인 32번보다 겨우 한 단계 위로 배정받은 상태에서 16강에서 최연성을 2:1, 4강에서 마재윤을 3:2, 결승전에서 김택용을 3:1로 꺾고 거기에 마지막 4경기에서는 마패관광의 임팩트까지 만들어내면서 챔피언을 먹는다. 심지어 8강 주현준과의 경기에서 3:1로 승리한 것까지 포함하면 박성균은 8강부터 결승까지 모든 종족의 선수들과 5전제를 치루었다.[12] 16강에서 결승까지 쭈욱 본인을 제외한 택뱅리쌍 나머지 3명을 전부 만나 다 탈락시키고 우승했다. 16강에서는 비록 송병구에게 패했지만, 8강에서 이제동을 2:1, 4강에서 김택용을 3:1, 결승에서 송병구를 3:0으로 차례대로 꺾으면서 우승을 차지하였다.[13] 당시 팀플레이 전담 선수로 평가받았고 개인전이 아직 제대로 검증되지 않았던 김윤환이 개인전 대회에서 32강 첫 경기부터 저그전 강자 염보성, 전 시즌 4강 진출자 김명운을 차례대로 꺾고, 16강에서 Arena MSL 2008 우승자이자 저그전 강자인 박지수, 8강에서 당시 공식전 최다연승 공동 1위인 15연승을 기록하였던 김정우, 4강에서 당시 최강의 선수이자 역대 저저전 최강자인 이제동, 결승전에서 공격적인 플레이로 잘 알려진 한상봉을 차례대로 꺾으면서 전혀 예상하지 못한 우승을 차지하였다.[14] 10-11 시즌 급격한 하락세에 빠지며 개인리그, 프로리그에서 연패를 이어가고 있었고, 팬과 미니홈피에서 싸우는 겜알못 사건도 생겨날 정도였다. 또한 본선도 김상욱이 은퇴를 발표하면서 와일드카드 1장이 주어지면서 그 기회를 살려 허영무는 겨우 진출한 것이고, 16강에서도 김윤환, 박준오, 전태양과 같은 조가 되어 김윤환, 박준오에게는 패하였지만 전태양에게는 승리를 차지하해 1승 2패로 김윤환, 전태양과 동률로 함께 재경기를 치르고 결국 재경기 끝에 2승 전승을 거두면서 겨우 8강에 진출한다. 하지만 8강에서는 역대 최강의 테란 이영호를 만나지만 세트스코어 2:1로 격파하고, 4강 상대는 당시 프로토스전 전적이 매우 좋았던 어윤수를 만나지만 3:0 셧아웃을 시키고 결승전에 진출한다. 그리고 대망의 결승전에서는 역대 최강의 테란 2인자 정명훈을 만나지만 매세트 명승부를 보여주면서 세트스코어 3:2로 우승을 차지하고, 가을의 전설도 같이 달성하게 된다. 특히 결승전 5경기는 허영무가 엄청 불리한 상황을 뛰어난 캐리어 컨트롤과 운영으로 대역전을 차지한 명경기로 평가 받는다.[15] 그리고 영상에는 잘렸지만 킵차크 흥, 카라키 곤, 정웅라이, 연홍칵타이가 나온다. # 다만 저 중에서 카라키 곤은 그 전에 은퇴한 상태.[16] 이때 소속팀도 KTF로 옮겼다.[17] 다행히도 스타크래프트 2로 복귀하였다.[18] 이른바 관광 세리머니들은 대부분 많은 자원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마패관광은 미네랄 400(저그는 미네랑 300과 드론 1기), 퀸의 인페스티드 커맨드 관광은 퀸 한두 기 뽑을 자원과 아직 퀸 테크가 없다면 퀸 테크 탈 자원만 있으면 되는 식인데, 하트파일런&포톤캐논은 미네랄만이긴 하지만 그 가격은 수천에 달한다. 과거 50게이트가 이에 필적하나 그 경기는 토스가 지면서 역관광이 되었다(...) 50게이트는 엄청난 자원력에서 순식간에 물량이 뽑아져 나오는 덕분에 실제 플레이에 도움이 되었지만 하트관광은 플레이와 별 상관이 없다. 굳이 실용적인 의미를 찾자면 테란 병력이 센터로 진출하는 시간을 조금 버는 정도?[19] 다만 공식리그의 종료 이후 이성은의 개인방송에서 자신이 말하기를 본인은 게임을 엔터테인먼트적으로 생각해서 이제동의 데스티네이션 6해처리 관광과 더불어 경기는 경기일 뿐이라고 기분나쁘지 않았다고 밝혔다. 본인이 한게 더 많거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