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무궁화에서 넘어왔습니다.
아산 무궁화 FC
(♥ 0)
이 구단의 모체에 대한 내용은 경찰 축구단 문서
이 구단의 후신에 대한 내용은 충남 아산 FC 문서 참고하십시오.
||, 이 구단의 전신에 대한 내용은 안산 무궁화 FC 문서
참고하십시오.이 구단의 후신에 대한 내용은 충남 아산 FC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편집]
2017년 충청남도 아산시를 연고로 창단해 K리그2에 참가했던 프로 축구단이다.
2. 시즌별 일람[편집]
3. 역사[편집]
자세한 내용은 경찰 축구단/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군경 구단[편집]
선수의 신분이 의무 복무자인 관계로 상주 상무 FC와 같이 경찰 조직과 프로 구단으로서의 이중성을 갖는다. 선수단이 의경으로서 체육단장 휘하 인원인 반면, 코칭 스태프와 지원 조직은 시 산하 법인의 직원 신분이다.[4] 한국프로축구연맹에서 운영 지원을 하는 것을 빌미로 입대 자격은 현역 K리그 소속으로 제한되어 있다. 최성용의 경우와 같이 대학 졸업 후 우선 군 복무를 마치는 옵션이 봉쇄되어 있다는 의미가 된다.
경찰 축구단에 입단하고 싶어서 입단한 선수는 사실상 없겠으나 나이가 차서 더 미루지 못하거나 병역 특례를 받지 못해 병역을 해결해야 하는 선수의 경우 상주 상무와 더불어 가고 싶어 하는 0순위 구단이다. 상주 상무로 가기 싫거나[5] 상주 상무에서 탈락한 선수들의[6] 차선지가 이 팀이다. 선수들은 경찰대학 무궁화체육단 소속이며 선수들의 신분은 의무 경찰이다.
과거에는 R리그 소속이라 1군 대회에 참가하는 상무에 비해 선수단 수급에서 불리한 쪽이었다. 대회 참가 자체도 들쑥날쑥한 편이었다. 프로 리그에 참여하는 지금도 상주 상무에 비해 주전에서 한발 밀린 선수들이나 챌린지 출신이 많은 편이나, 복무 기간 문제로 선수 선발이 수시로 이루어지면서 예전에 비하면 대표 경력을 갖춘 선수가 많이 늘었다. 또한 2015년까진 입대 제한 연령이 만 30세로 만 27세인 상무보다 훨씬 길어서 김두현, 정조국처럼 경력이 꽤 화려한 선수가 군복무 미루다 경찰 복무를 택하는 경우도 있었다. 박주호도 상무 입대 시기를 놓친탓에 2014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치 못하면 바로 K리그로 돌아와 반년간 뛴 다음 경찰에 입대할 예정이었다. 2016년부턴 입대 제한 연령을 상무와 같은 만 27세로 맞춰 이점이 사라졌고 1989~1992년생 선수들이 2012 런던 올림픽과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에서 연이어 메달을 따내서 2017년 현재 현역 중에는 대표팀 소집이 되는 선수가 없다. 2017시즌 종료 후 대표팀 경험이 있는 주세종, 이명주가 합류하기에 2018년에는 국가대표를 배출할 가능성이 생겼고 주세종이 2018 러시아 월드컵 최종 명단에 선택 받아 도움까지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