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상위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시안 하이웨이 문서
아시안 하이웨이번 문단을
아시안 하이웨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미국의 공격헬기에 대한 내용은 AH-1 문서
AH-1번 문단을
AH-1#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Tabliczka_AH1.svg.png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총연장
20,710 km
기점
[[일본|

일본
display: none; display: 일본"
행정구
]]
도쿄
주요 경유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북한|
북한
display: none; display: 북한"
행정구
]]

[[중국|
중국
display: none; display: 중국"
행정구
]]

[[베트남|
베트남
display: none; display: 베트남"
행정구
]]

[[캄보디아|
캄보디아
display: none; display: 캄보디아"
행정구
]]

[[태국|
태국
display: none; display: 태국"
행정구
]]

[[미얀마|
미얀마
display: none; display: 미얀마"
행정구
]]

[[인도|
인도
display: none; display: 인도"
행정구
]]

[[이란|
이란
display: none; display: 이란"
행정구
]]

종점
[[튀르키예|
튀르키예
display: none; display: 튀르키예"
행정구
]]
-[[불가리아|
불가리아
display: none; display: 불가리아"
행정구
]]
국경
주요 교차도로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1. 개요
2. 경유 도시
2.1. 일본
2.2. 대한민국
2.3. 북한
2.4. 중국
2.5. 베트남
2.6. 캄보디아
2.7. 태국
2.8. 미얀마
2.9. 인도/방글라데시
2.10. 파키스탄
2.11. 아프가니스탄
2.12. 이란
2.13. 튀르키예
3. 기타
4.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일본도쿄를 출발점으로 하여 대한민국, 북한,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태국, 미얀마, 이란, 인도를 거쳐 튀르키예불가리아의 국경선을 종착점으로 하는 아시안 하이웨이의 노선 중 하나로, 총연장은 20,710 km로,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 중에서 가장 긴 노선이다.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은 상당히 상징적인 노선으로, 노선망이 직선적이지 않고 아시아를 w자에 가까운 선형으로 인도양-태평양의 아시아 국가들을 종단하는 선형으로 되어있다.

종점인 튀르키예에서는 유럽 고속도로 E80을 따라 유럽 고속도로망과 이어져 있으며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의 대한해협은 카페리로 간접연결했다 치지만... 북한아프가니스탄이라는 두 개의 막장 국가들을 지나고 중국은 외국인들 대부분의 운전을 불허하고 있어 단절된 구간이 많아, 아직 유럽 고속도로처럼 국제 도로망으로서의 기능을 완벽하게 다하고 있지는 않다.


2. 경유 도시[편집]



2.1. 일본[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36px-The_starting_point_of_Asian_highway_Route_1%2CChuo-city%2CTokyo%2CJapan.jpg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시점


일본 후쿠오카 시 하카타항국제터미널에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까지는 카페리(뉴카멜리아호)로 연결한다. 자세한 내용은 뉴카멜리아호 문서 참조. 추후 한일해저터널로 연결 구상이나 실현 여부는 불투명하다.


2.2. 대한민국[편집]


파일:AH1_Korean_Sign.png
경부고속도로에 설치된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표지판[1]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한국)
노선
소재지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카페리로 연결
충장대로 (파일:Cityroad_kor_71.svg)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부산광역시 동구
번영로 (파일:Cityroad_kor_11m.svg)
부산광역시 동구 - 금정구
경부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svg)
부산광역시 금정구 - 서울특별시 서초구
경부간선도로
서울특별시 서초구 - 강남구
한남대로(한남대교) (파일:Cityroad_kor_41.svg)
서울특별시 강남구 - 용산구
삼일대로 (파일:Cityroad_kor_27.svg)
서울특별시 용산구 - 중구
퇴계로 (파일:Cityroad_kor_60.svg)
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파일:Cityroad_kor_21.svg)
서울특별시 중구 - 은평구
통일로(1번 국도 [[1번 국도|
1
]]
)
서울특별시 은평구 -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통일촌
희망로[2]
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통일촌 - 장단면 남방한계선
경의선 남북출입도로 남측 구간[3]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남방한계선 - 군사분계선
남북 도로 연결(경의선 남북출입도로 북측 구간)
고속도로 통행
이륜자동차
125cc 이상의 긴급자동차만 가능
보행자 및 자전거
불가능
국제운전면허
사용 가능

우선 대한민국 구간중 일부를 보면 경부고속도로 거의 모든 구간[4], 경부간선도로, 한남대교, 남산1호터널, 퇴계로, 통일로 전구간이 지정되어 있다.[5]

그리고 현재 지정되어있는 남산1호터널퇴계로는 악명높은 헬게이트이다. 따라서 실질적으로는 판교에서부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아시안 하이웨이 기능을 하고 있다.

차후에는 양재고양고속도로평택파주고속도로에 편입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대한민국 구간의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에서는 이륜자동차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2.3. 북한[편집]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북한)
노선
소재지
남북 도로 연결(경의선 남북출입도로 남측 구간)
경의선 남북출입도로 북측 구간
군사분계선 - 개성공단
북한측 개성공단 진입로
개성공단 - 개성시
개성평양간 고속도로
개성시 - 평양시
평양묘향산간 고속도로
평양시 - 평안남도 안주시
1번 국도[6]
평안남도 안주시 - 평안북도 신의주시
중국 G304
고속도로 통행
이륜자동차
150cc 이상
보행자 및 자전거
불가능
국제운전면허
사용 불가능

남북 단절로 인해 사실상 끊겨 있다. 경부고속도로 - 신갈 - 영동고속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를 경유해 인천국제여객터미널에서 단둥행 카페리를 타면 되긴 하다. 하지만 러시아행 카페리와 달리 중국행 카페리는 빈 협약 미가입 문제[7]로 단지 중국을 여행할 목적으로는 차량 선적이 불가능하다. 2007년경 잠깐 허용된 적이 있었지만 2008년 올림픽 때 보안 강화를 이유로 막아버렸다. 현재 중국행 카페리 선적은 무역용도의 화물차만 가능하다.(차량 일시수출입 문서 참조)

현재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으로 지정된 북한 구간은 아래와 같다.

외교관이나 중국이나 러시아의 무역상이 아닌 이상 사실상 북한에서 운전을 할 일은 없겠지만, 150cc 이상의 이륜자동차부터 고속도로를 통행할 수 있다. 사실 북한 고속도로는 통행량이 적어 보행자들이 갓길로 다니기도 한다.

2.4. 중국[편집]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중국)
노선
소재지
1번 국도
G304
신의주시 - 단둥시
G1113 (단푸고속공로)
단둥시 - 선양시
G1 (징하고속공로)
선양시 - 베이징시
G4 (징강아오고속공로)
베이징시 - 광저우시[8]
G1508 (광저우환성고속공로)
광저우시 - 포산시
G80 (광쿤고속공로)
광저우시 - 난닝시
G7211 (난닝 - 유이관 고속공로)
난닝시 - 유이관
베트남 1A번 국도(QL1A)와 연결
고속도로 통행
시속 70km/h 이상의 자동차(이륜자동차)
보행자 및 자전거
불가능
국제운전면허
사용 불가능

AH1호선이 통과하는 허난성장시성에서는 성(省)의 규정에 따라 이륜자동차로 고속도로를 통행할 수 없다. 나머지 성에서는 가능하다.

국제운전면허 사용이 불가능하다.

2.5. 베트남[편집]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베트남)
노선
소재지
G7211
QL1A
난닝 - 하노이 - 호치민
QL22
호치민 - 목바이
NR1
고속도로 통행
이륜자동차
175cc 이상
보행자 및 자전거
불가능
국제운전면허
사용 불가능

2.6. 캄보디아[편집]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캄보디아)
노선
소재지
QL22
NR1
목바이 - 프놈펜
NR5
프놈펜 - 포이펫
33번 고속도로


2.7. 태국[편집]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태국)
노선
소재지
NR5
33번 고속도로
아란야프라텟 - 힌콩
32번 고속도로
왕노이 - 나콘사완
1번 고속도로
나콘사완 - 딱
12번 고속도로
딱 - 메솟
8번 고속도로

태국에서는 이륜자동차로 고속도로를 통행할 수 없다.

2.8. 미얀마[편집]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미얀마)
노선
소재지
태국 12번 고속도로
8번 고속도로
미야와디 - 양곤
양곤-만달레이 고속도로
양곤 - 만달레이
7번 고속도로
만달레이 - 타무
NH39


2.9. 인도/방글라데시[편집]


구간이 두 번 등장한다. 중간에 방글라데시가 껴있는지라 가로질렀다 나오기에 두 번 거친다.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인도/방글라데시)
노선
소재지
7번 고속도로
NH39
모레 - 디마푸르
NH36
디마푸르 - 나가온
NH37
나가온 - 조라밧
NH40
조라밧 - 실롱 - 다우키
방글라데시
N2
타마빌 - 다카
N5
다카 - Paturia 페리터미널
카페리 이용
N7
Daulatdia 여객선터미널 - 제소르
N706
제소르 - 베나폴
인도
NH35
베나폴 - 캘커타
NH19
캘커타 - 뉴델리
NH1
뉴델리 - 아따리
파키스탄


2.10. 파키스탄[편집]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파키스탄)
노선
소재지
인도 NH1
-
아따리 - 라호르
M-2
라호르 - 이슬람바드
M-1
이슬람바드 - 페샤와르
N-5
페샤와르 - 토르캄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에서는 이륜자동차로 고속도로를 통행할 수 없다.

2.11. 아프가니스탄[편집]


  • 잘랄라바드 - 카불 - 칸다하르 - 딜라람 - 헤랏 - 이슬람 칼라

아프가니스탄의 상황이 워낙 막장이라 제 구실을 하지 못한다. 북한과 달리 국경이 폐쇄된 것은 아니지만... 이란과 파키스탄은 국경을 접하기 때문에 아프가니스탄을 우회할 수 있다.


2.12. 이란[편집]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이란)
노선
소재지
아프가니스탄
36번 도로
이슬람 칼라 - 타이바드
97번 도로
타이바드 - 상 바스트
44번 도로
상 바스트 - 테헤란
2번 고속국도
테헤란 - 타브리즈
32번 도로
타브리스 - 바자르간
D.100


2.13. 튀르키예[편집]


대부분의 구간이 유럽 고속도로 80호선과 중첩되며, 사실상 종점인 불가리아 국경에서 유럽 고속도로 80호선(E80호선)과 직결된다.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튀르키예)
노선
소재지
32번 도로
D.100
귀르불락[9] - 시와스
D.200
시와스 - 앙카라
O.4
앙카라 - 이스탄불
O.2
이스탄불
O.3
이스탄불 - 카프쿨레[10]
유럽 고속도로 E80


3. 기타[편집]




4. 같이 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2:14:57에 나무위키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담으로, 이 표지판은 서울TG 통과후 서울방향으로 가거나, 북대구IC, 녹동육교 통과후 부산 방향으로 가다보면 볼 수 있다.[2] 통일로의 우회로. 판문점이 있는 진서면으로 가지 않고, 그 대신 장단면 쪽으로 크게 우회해 개성공단으로 간다. 통일로는 판문점에서 북한으로 넘어가는 구간의 상태가 좋지 않아서 희망로가 실질적인 1번 국도의 역할을 한다. [3] 경의선 남북출입도로는 희망로와 같은 도로인데, 남방한계선 이북으로는 희망로 도로명이 붙어 있지 않아서 분리해 서술하였다.[4] 부산 시점-구서IC 구간 제외.[5] 하지만 부산-서울간 최단거리 경로는 번영로-경부고속도로-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경부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 경로가 가장 최단거리이다. 또한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부산-대구 구간의 경우도 대부분은 중앙고속도로(대구-부산)를 경유하여 가지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해 빙 둘러서 가는 비율은 거의 없다.[6] 대한민국에서 부르는 이름이다. 북한에서는 국도를 1급도로라고 하는데, 안주~신의주 구간의 정확한 노선 계통이 어떻게 되는지는 알 수 없다.[7] 중화민국이 ‘China’로 불리던 시절 먼저 빈 협약에 참여한 관계로 이렇게 되었다. [8] 중간에 우한 시내 서쪽을 통과한다.[9] 이란-튀르키예 국경[10] 튀르키예-불가리아 국경. 참고로 튀르키예-그리스 국경인 우준쾨프뤼가 4km 남쪽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