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0)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4-25 시즌에 대한 내용은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2024-25 시즌 문서
{{{#!html </div>의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2024-25 시즌번 문단을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2024-25 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e.V.
[ 펼치기 · 접기 ]

산하
스포츠단
축구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II[1]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프라우엔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나흐북스
e스포츠Eintracht Frankfurt Esports (리그 오브 레전드, 발로란트)
역사와 문화역사역사 | 역대 감독1대~40대 | 역대 감독40대~현역
역대 시즌2017-18 | 2018-19 | 2019-20, 리그 | 2020-21, 리그 | 2021-22, 리그 | 2022-23, 리그 | 2023-24, 리그
2024-25, 리그
문화응원가
관련 상식더비 매치파일:키커스 오펜바흐 로고.svg 마인더비 | 파일:SV 다름슈타트 98 로고.svg 헤센더비 | 파일:FSV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프랑크푸르트더비 | 파일:1. FSV 마인츠 05 로고.svg 라인-마인 더비
기타프랑크푸르트 레전드 XI | 버팔로 무리
구단 시설경기장도이체 방크 파르크 · 리더발트슈타디온 · 슈타디온 암 브렌타노바트 · 한 아이어 슈포르트파르크
훈련 시설볼프강 슈토이빙 할레
클럽하우스ProfiCamp
기타아틸라
[1] 2013-14 시즌을 끝으로 해체 후 2022-23 시즌 재창설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Eintracht Frankfurt
정식 명칭Eintracht Frankfurt e.V.
별칭Die Adler (독수리군단)
SGE (Sportgemeinde Eintracht)[1]
Launische Diva (변덕스러운 디바)[2]
약칭SGE
창단1899년 3월 8일 (126주년)[3]
소속 리그분데스리가 (Bundesliga)
연고지독일 헤센다름슈타트 현 프랑크푸르트암마인
(Frankfurt am Main, Hessen)
홈구장도이체 방크 파르크[4] (58,000명 수용)
(Deutsche Bank Park)
라이벌 구단키커스 오펜바흐 - 마인더비
SV 다름슈타트 98 - 헤센더비
회장파일:독일 국기.svg 마티아스 베크 (Mathias Beck)
단장파일:독일 국기.svg 마르쿠스 크뢰셰 (Markus Krösche)
기술 고문파일:국기.svg 공석[5]
감독파일:독일 국기.svg 디노 토프묄러 (Dino Toppmöller)
수석코치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넬송 모르가두 (Nélson Morgado)[분석]
파일:독일 국기.svg 슈테판 부크 (Stefan Buck)
파일:독일 국기.svg 크사버 젬브로드 (Xaver Zembrod)
파일:독일 국기.svg 얀 피서 (Jan Fießer)
주장공석
부주장공석
UEFA 랭킹22위 출처
역대 한국인 선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차범근 (1979~198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심재원 (2001~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차두리 (2003~2006)
공식 웹사이트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https://www.youtube.com/25]] 파일:틱톡 아이콘.svg 파일:LinkedIn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지난 시즌 성적
(2022-23 시즌)
분데스리가 7위
우승 기록
2. 분데스리가
(2부)

(1회)
1997-98
DFB-포칼
(5회)
1973-74, 1974-75, 1980-81, 1987-88, 2017-18
UEFA 유로파 리그
(2회)
1979-80, 2021-22

독일 축구
선수권 대회

(1회)
1959
VsFV 축구
선수권 대회
[b]
(2회)
1929-30, 1931-32
오버리가
쥐트

(1부)
[b]
(2회)
1952-53, 1958-59
클럽 기록
최고 이적료 영입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루카 요비치 (Luka Jović)
(2019년, From SL 벤피카, 약 2,234만 €)
최고 이적료 방출파일:프랑스 국기.svg 랑달 콜로 무아니 (Randal Kolo Muani)
(2023년, To 파리 생제르맹 FC, 약 9,500만 €)[6]
최다 출장파일:독일 국기.svg 카를하인츠 쾨르벨 (Karl-Heinz Körbel) - 722경기[7] (1972-1991)
최다 득점파일:독일 국기.svg 베른트 횔첸바인 (Bernd Hölzenbein) - 205골 (1967-1981)
분데스리가 득점왕
(4회)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욘 안데르센 (Jørn Andersen)[8] - 18골 (1989-90)
파일:가나 국기.svg 안소니 예보아 (Anthony Yeboah) - 20골 (1992-93), 18골 (1993-94)[9]
파일:독일 국기.svg 알렉산더 마이어 (Alexander Meier) - 19골 (2014-15)

1. 개요
2. 역사
3.1. 요약
3.2. 역대 팀 엠블럼
4. 울트라스
6. 라이벌 구단
7. 레전드
8. 이야깃거리
9. 선수 명단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681737010-eintracht-frankfurt-choreo-uefa-salzburg-2FtPhUmbc7ea.jpg
파일:NINTCHDBPICT000543040306.jpg

독일 분데스리가의 클럽. 유럽의 관문 도시인 프랑크푸르트가 연고지인 클럽으로 많은 관중 수를 자랑한다.

이 팀의 엠블렘에는 독수리가 그려져 있는데, 이는 프랑크푸르트 시의 문장에서 따온 것이다. 그래서 이 팀의 별명 역시 'Die Adler(독수리 군단)'이다. 팀 내에 'Attila(아틸라)'라는 검은 독수리 마스코트 또한 존재하고 공식 홈페이지 내의 선수단 소개란에도 등재되어 있다. 팀 내 스폰 행사 등에 이 마스코트를 데려오는 경우가 가끔씩 있으며, 팀의 승리를 비는 의미로 선수에게 깃털을 뽑아서 주기도 한다. 다른 별명인 SGE는 팀의 옛 명칭이 그대로 남은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별명인 Launische Diva는 1990년대 강호에게는 승리를 챙기고, 약체에게는 승점을 내주는 의적과 같은 플레이 때문에 붙여진 별명이라고. 참고로 팀명의 아인트라흐트(Eintracht)는 영어의 United와 유사한 뜻이며 영어식으로 하면 프랑크푸르트 유나이티드인 셈이다.

특이하게도 정식 엠블럼은 빨간색과 흰색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팀의 메인 상징색은 빨간색보다는 검은색인 것으로 보인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는데 SC프라이부르크의 경우 정식 엠블럼은 검은색과 흰색이지만 홈유니폼이 빨간색인 것으로 보아 팀의 메인 상징색은 빨간색인 것으로 보인다.

2. 역사[편집]


1899년에 생겨나 주 리그에서 챔피언에도 오르고, 동네의 이 팀, 저 팀을 하나로 합치면서 규모를 조금씩 키웠다. 분데스리가 출범 전 독일 챔피언십 시절이던 1959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나름 지역의 강호였기 때문에 꾸준히 상위권 멤버로서 남았고, 특히 1959년 독일 챔피언십 우승팀 자격으로 출전한 1959-60 시즌 유러피언 컵에서 선전하면서 결승까지 올랐던 것이 매우 컸다. 결승에서 레알 마드리드와 만나 치열한 골 공방전을 벌였지만,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에게 3골, 페렌츠 푸스카스에게 4골을 얻어맞으면서 결국 3:7로 패한다. 챔피언스 리그 초기의 최고 명승부로 꼽히는 경기인데, 승자는 아니었다. 어쨌든 이런 업적들로 인해 분데스리가 출범 당시 원년 멤버로 초대되었다.

분데스리가에서는 출범과 함께 33시즌 동안 강등당하지 않으면서 강호로 군림했다. 그러나 우승은 없고, 3위만 다섯 차례 기록한 것이 전부였다. DFB-포칼에서 4번 우승하면서 그래도 꾸준히 우승 트로피와는 인연을 맺었고, 1979-80 시즌에는 같은 독일 클럽인 VfL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를 누르고 UEFA 컵 우승에 성공한다. 당시 뛰었던 선수가 자국에서 열린 1974년 월드컵 우승 멤버였던 베른트 횔첸바인위르겐 그라보브스키, 당대 최고의 오스트리아 센터백인 브루노 페차이와 센터백 카를하인츠 쾨르벨, 그리고 차범근이다. 사실 프랑크푸르트가 한국인들에게 알려진 것도 차범근이 뛰었던 팀이라는 사실에 기인한다. 차범근은 이 팀에서 총 4시즌을 뛰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팀의 올타임 레전드 중 한 명으로 꼽히고 있으며 2013년에 구단에서 발표한 역대 베스트 11에 당당히 꼽히는 등 아직도 식지 않는 인기를 보여준다.[10]

그 뒤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으면서 서서히 몰락, 1990년 접어들어 강등과 승격을 반복하는 클럽으로 위상이 바뀐다. 그래도 워낙 연고지가 크고, 경기장 시설도 훌륭하며, 팬들도 많기 때문에 발전 가능성은 있는 팀이다. 2000년대에도 두 번의 강등을 겪긴 했지만 금세 다시 분데스리가로 승격하였고, 2018년에 30년 만의 DFB-포칼 우승과 더불어 그 다음해 두 시즌 연속 유로파 리그에 진출하는 등 뛰어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홈구장인 도이체 방크 파르크는 2006 독일 월드컵에서 한국과 토고의 경기가 열린 곳이다. 1925년에 지어졌지만, 네 차례 리모델링을 거쳐 오늘날에도 잘 사용하고 있다. 독일에서 10번째로 큰 경기장이기도 하다.


3. 역대 시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역대 시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 요약[편집]


  • 1부/분데스리가: 1963-1996, 1998-2001, 2003-2004, 2005-2011, 2012- (54시즌)


3.2. 역대 팀 엠블럼[편집]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57~1965).svg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65~1970).svg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70~1977).svg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1977~1999).svg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1957~19651965~19701970~19771977~19991999~


4. 울트라스[편집]


프랑크푸르트 울트라스는 유럽에서 최고의 관중 동원력을 자랑하는 독일에서도 가장 큰 규모의 팬덤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거기에 평균 경기장 점유율이 90%를 넘으며 이는 유럽에서 높은 편에 속한다.

대표적인 라이벌리는 SV 다름슈타트 98과의 헤센더비, 키커스 오펜바흐와의 마인더비가 있다. 2022-23시즌 다름슈타트가 분데스리가에 승격하며 다시 더비가 열리게 되었고, 오펜바흐는 현재 4부리그까지 강등당했기에 1군보다는 2군팀이 더 자주 만난다.

아탈란타 BC, BSG 헤미 라이프치히, SV 발트호프 만하임 울트라스들과 우호 관계를 맺고 있다.

5. 응원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응원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라이벌 구단[편집]


  • 공식적으로 ‘어떤 구단이 라이벌이다’라는 개념은 없지만, 아래 서술된 클럽들과 자주 연결된다.

  • 프랑크푸르트 근처 오펜바흐가 연고지인 키커스 오펜바흐와 '마인 더비’로 엮이지만 키커스 오펜바흐가 1984년 이후 분데스리가에서 멀어진 관계로 리가에서는 만날 일이 없다. 가장 최근의 마인 더비도 2009년 DFB-포칼 1라운드에서였고, 경기는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가 3-0으로 승리했다.
  • 지리적으로 가까이 있는 1. FSV 마인츠 05와는 그냥 같은 분데스리가에 있기 때문에 언론에서 엮는 것으로, 서포터들 간의 충돌 혹은 경찰의 통제 등은 없다.
  • 그 외에도 SV 다름슈타트 98, 1. FC 카이저슬라우테른, 카를스루에 SC 등이 있다.


7. 레전드[편집]


2013년 1월, 팬 투표를 통해 선정된 프랑크푸르트 역사상 최고의 레전드 선수 11인(Eintracht Legenden 11)과 감독 1인을 공개했다. 선정된 레전드 선수들의 포메이션은 구단의 골수 팬이자 아인트라흐트 관련 세계 최대의 개인 아카이브 소유자이기도 한 오스마르 헤르만(Othmar Herrmann) 박사에 의해 3-4-3으로 선정되었으며, 레전드 후보는 팬 투표에 앞서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선수 45명과[11] 감독 4명을 우선 선별했는데, 구단 창단 역사 113년 동안 활약했던 수많은 선수와 감독 중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만 후보에 오를 수 있었다.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에서 공식 경기 100경기 이상을 소화한 선수 혹은 감독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1군에서 최소 4년 이상 머문 선수 혹은 감독
  • 구단 역사에 길이 남을 업적을 세웠거나 돋보이는 활약을 한 선수 혹은 감독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레전드 11
[ 펼치기 · 접기 ]

Sturm
베른트 횔첸바인
(1967~1981)
Sturm
안소니 예보아
(1990~1995)
Sturm
차범근
(1979~1983)
Mittelfeld
위르겐 그라보브스키
(1965~1980)
Mittelfeld
우베 바인
(1989~1994)
Mittelfeld
제이제이 오코차
(1992~1996)
Mittelfeld
알렉산더 슈어
(1995~2006)
Abwehr
카를하인츠 쾨르벨
(1972~1991)
Abwehr
우베 빈데발트
(1988~2004)
Abwehr
브루노 페차이
(1978~1983)
Tor
오카 니콜로프
(1995~2013)
감독
Trainer
외르크 베르거
(1988~1991) / (1998~1999)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빌리-브란트-플라츠(Willy-Brandt-Platz) 역에는 프랑크푸르트의 역대 레전드 11(Eintracht Legenden 11)과 감독의 얼굴이 역 기둥에 새겨져 있으며, 일명 프랑크푸르트의 기둥(Säulen der Eintracht)이라고 불린다. 이 기둥은 영구 존치된다고 한다.


8. 이야깃거리[편집]


  • 한국에서는 약칭으로 팡풋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다.


  • F1 선수로 유명한 독일의 카레이서 제바스티안 페텔이 이 팀의 팬이다. 어렸을 때 아인트라흐트의 경기를 보고 팬이 되었다고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다.

  • 구단 레전드 차범근의 영향으로 이후에도 차두리와 국가대표 수비수 출신인 심재원이 여기서 뛴 바 있다. 그리고 서종민 선수가 U19팀에서 뛴 적이 있다.

  • 2019-20 시즌 종료 시점까지 분데스리가 최다 660패라는 불명예 기록을 가지고 있다.

  • 현대자동차와 스폰서 계약을 맺고 있는 팀 중 하나다. 2023년 5월에는 3년 연장 계약을 체결했다.


9. 선수 명단[편집]



[ 펼치기 · 접기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2024-25 시즌 스쿼드
파일:dfl-obj-0000h0-dfl-clu-00000f-df.png
파일:200072-trikot-silhouetten-24-25.png
파일:dfl-obj-0025w7-dfl-clu-00000f-dfl-sea-0001k7.png
파일:dfl-obj-j01klq-dfl-clu-00000f-df.png
파일:dfl-obj-j01obq-dfl-clu-00000f-df.png
13456
케빈 트랍
Kevin Trapp

파일:독일 국기.svg|GK
1990.07.08. (34)
189cm, 83kg
2019~2026
아르투르 테아테
Arthur Theate

파일:벨기에 국기.svg | DF
2000.05.25. (24)
185cm, 81kg
2024~2025[1]
로빈 코흐
Robin Koch

파일:독일 국기.svg|DF
1998.07.17. (26)
191cm, 86kg
2023~2027
오렐 아멘다
Aurèle Amenda

파일:스위스 국기.svg|DF
2003.07.31. (21)
197cm, -kg
2024~2029
오스카르 호일룬
Oscar Højlund

파일:덴마크 국기.svg|MF
2005.01.04. (20)
184cm, -kg
2024~2029
파일:dfl-obj-002gb9-dfl-clu-00000f-df.png
파일:dfl-obj-j01xee-dfl-clu-00000f-df.png
파일:dfl-obj-002gmv-dfl-clu-00000f-df.png
파일:dfl-obj-j01l5x-dfl-clu-00000f-df-2.png
파일:200072-trikot-silhouetten-24-25.png
7891113
오마르 마르무시
Omar Marmoush

파일:이집트 국기.svg|FW
1999.02.07. (26)
183cm, 81kg
2023~2027
파레스 샤이비
Farès Chaïbi

파일:알제리 국기.svg | MF
2002.11.28. (22)
183cm, -kg
2023~2028
이고르 마타노비치
Igor Matanović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FW
2003.03.31. (21)
194cm, 90kg
2021~2029
위고 에키티케
Hugo Ekitiké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2.06.20. (22)
190cm, 75kg
2024~2029
라스무스 크리스텐센
Rasmus Kristensen

파일:덴마크 국기.svg | DF
1997.07.11. (27)
187cm, 83kg
2024~2025[2]
파일:dfl-obj-002g4a-dfl-clu-00000f-df.png
파일:dfl-obj-j01vx4-dfl-clu-00000f-df.png
파일:dfl-obj-j01tpa-dfl-clu-00000f-df.png
파일:dfl-obj-j01lmn-dfl-clu-00000f-df.png
파일:dfl-obj-j01dnm-dfl-clu-00000f-df.png
1516192021
엘리스 스키리
Ellyes Skhiri

파일:튀니지 국기.svg|MF
1995.05.10. (29)
185cm, 77kg
2023~2027
휴고 라르손
Hugo Larsson

파일:스웨덴 국기.svg|MF
2004.06.27. (20)
187cm, 79kg
2023~2028
장마테오 바호야
Jean-Mattéo Bahoya

파일:프랑스 국기.svg|FW
2005.05.07. (19)
180cm, 75kg
2024~2029
잔 우준
Can Uzun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FW
2005.11.11. (19)
186cm, 70kg
2024~2029
너새니얼 브라운
Nathaniel Brown

파일:독일 국기.svg|DF
2003.06.16. (21)
176cm, 71kg
2024~2029
파일:dfl-obj-0000pi-dfl-clu-00000f-df.png
파일:dfl-obj-j020w5-dfl-clu-00000f-df.png
파일:dfl-obj-j01k77-dfl-clu-00000f-df.png
파일:dfl-obj-00000h-dfl-clu-00000f-df.png
2223242627
티모시 챈들러
Timothy Chandler

파일:미국 국기.svg|DF
1990.03.29. (34)
186cm, 74kg
2014~2025
크리스티안 리스테시
Krisztián Lisztes

파일:헝가리 국기.svg|FW
2005.05.06. (19)
183cm, 72kg
2024~2029
아우렐리우 부타
Aurélio Buta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DF
1997.02.10. (28)
172cm, 66kg
2022~2026
에릭 디나 에빔베
Éric Dina Ebimbe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2001.11.21. (23)
183cm, 76kg
2022~2027
마리오 괴체
Mario Götze

파일:독일 국기.svg|FW
1992.06.03. (32)
176cm, 74kg
2022~2026
파일:dfl-obj-j01cnw-dfl-clu-00000f-dfl-sea-0001k7.png
파일:dfl-obj-j01j8a-dfl-clu-00000f-dfl-sea-0001k7.png
파일:dfl-obj-00029t-dfl-clu-00000f-dfl-sea-0001k7.png
파일:dfl-obj-0000g2-dfl-clu-00000f-df.png
파일:dfl-obj-002gg7-dfl-clu-00000f-dfl-sea-0001k7.png
2829313334
마르셀 베니히
Marcel Wenig

파일:독일 국기.svg|MF
2004.05.04. (20)
188cm, 79kg
2022~2025
닐스 은쿤쿠
Niels Nkunku

파일:프랑스 국기.svg|DF
2000.11.01. (24)
180cm, 78kg
2023~2028
필립 막스
Philipp Max

파일:독일 국기.svg|DF
1993.09.30. (31)
177cm, 74kg
2023~2026
옌스 그랄
Jens Grahl

파일:독일 국기.svg|GK
1988.09.22. (36)
193cm, 91kg
2021~2026
은남디 콜린스
Nnamdi Collins

파일:독일 국기.svg|DF
2004.01.10. (21)
188cm, 81kg
2023~2028
파일:dfl-obj-002fxs-dfl-clu-00000f-dfl-sea-0001k7.png
파일:dfl-obj-002gkg-dfl-clu-00000f-dfl-sea-0001k7.png
파일:Nils_Ramming_24/25.png
파일:dfl-obj-j01unv-dfl-clu-00000f-df.png
파일:200072-trikot-silhouetten-24-25.png
3536384041
투타
Tuta

파일:브라질 국기.svg|DF
1999.07.04. (25)
184cm, 75kg
2019~2026
안스가르 크나우프
Ansgar Knauff

파일:독일 국기.svg|FW
2002.01.10. (23)
180cm, 72kg
2022~2028
닐스 래밍
Nils Ramming

파일:스웨덴 국기.svg|GK
2007.03.28. (17)
193cm, -kg
2024~2025
카우앙 산투스
Kauã Santos

파일:브라질 국기.svg|GK
2003.04.11. (21)
196cm, 85kg
2023~2028
제롬 옹게네
Jérôme Onguéné

파일:카메룬 국기.svg||DF
1997.12.22 (27)
186cm, 78kg
2022~2027
파일:200072-trikot-silhouetten-24-25.png
파일:dfl-obj-j01dyz-dfl-clu-00000f-dfl-sea-0001k6.png
파일:Noah-Fenyö-23/24.png
4244454749
파리데 알리두
Faride Alidou

파일:독일 국기.svg|FW
2001.07.18. (23)
186cm, 84kg
2022~2026
다비스 바우티스타
Davis Bautista

파일:에콰도르 국기.svg|DF
2005.02.16. (20)
184cm, 76kg
2023~2028
메흐디 루네
Mehdi Loune

파일:독일 국기.svg | MF
2004.05.14. (20)
172cm, 70kg
2022~2025
노아 페뇨
Noah Fenyö

파일:헝가리 국기.svg|MF
2006.01.30. (19)
182cm, 72kg
2024~2026
하프릿 고트라
Harpreet Ghotra

파일:독일 국기.svg|MF
2003.01.17. (22)
180cm, -kg
2023~2025
파일:Anas-Alaoui-23/24.png
파일:200072-trikot-silhouetten-24-25.png
##
아나스 알라위
Anas Alaoui

파일:모로코 국기.svg|FW
2006.04.20. (18)
187cm, -kg
2024~2026
후니오르 아우시
Junior Awusi

파일:스페인 국기.svg|FW
2006.01.17. (19)
172cm, -kg
2024~2026
임대 선수 보기
구단 정보
단장: 마르쿠스 크뢰셰 / 감독: 디노 토프묄러 / 홈 구장: 도이체 방크 파르크
출처: [[https://www.bundesliga.com/de/bundesliga/clubs/eintracht-frankfurt|{{{#000,#fff 분데스리가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월 26일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임대 선수
[ 펼치기 · 접기 ]


||<-6><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bgcolor=#000><color=#000>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2024-25 시즌 임대 선수 ||
||<width=5%><rowbgcolor=#fff> No. || 국적 || 포지션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임대 구단 ||
|| 5 ||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 DF || 흐르보예 스몰치치 || Hrvoje Smolcic || LASK ||
|| 18 || 파일:독일 국기.svg || FW || 제식 은간캄 || Jessic Ngankam || 하노버 96 ||
|| 23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FW || 옌스 페테르 하우게 || Jens Petter Hauge || FK 보되/글림트 ||
|| 24 ||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DF || 아우렐리우 부타 || Aurélio Buta || 스타드 드 랭스 ||
|| 30 || 파일:미국 국기.svg || MF || 팩스튼 애런슨 || Paxten Aaronson || FC 위트레흐트 ||
|| 32 || 파일:독일 국기.svg || FW || 파리데 알리두 || Faride Alidou || 엘라스 베로나 FC ||
|| 41 ||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 GK || 시몬 시모니 || Simon Simoni || FC 잉골슈타트 04 ||
|| 47 || 파일:독일 국기.svg || DF || 엘리아스 바움 || Elias Baum || SV 07 엘버스베르크 ||
|| 48 || 파일:스페인 국기.svg || FW || 나초 페리 || Nacho Ferri || KV 코르트레이크 ||




10. 둘러보기[편집]


||





[1] 1968년 공식적으로 명칭에서 제외된 이름이지만 팬들은 이렇게 부른다.[2] 통계적으로 증명된 적은 없지만 강팀에게 강하고 약팀에게 약하기 때문에 붙은 별명이다.[3] #[4] 스폰서 명칭이 붙기 전 이름은 '발트 슈타디온'이었다. 지난 2006 독일 월드컵에서 한국이 G조 조별 스테이지에서 토고와 첫 경기를 했던 경기장이다.[5] 마르코 페자이울리가 2021년 2월 12일 사임한 후 공석이다.[분석] [b] A B 분데스리가 출범 이전의 리그로 이 리그에서 우승한 뒤 다른 지역 리그에서 우승한 팀과 붙는 방식이었다.[6] 옵션 포함[7] 프랑크푸르트에서 분데스리가 경기만 602경기를 출장했는데 이는 분데스리가 단일 선수 통산 최다 출장 기록이다.[8] 인천 유나이티드 FC의 감독이었던 그 분이다. 분데스리가 사상 첫 외국인 득점왕이기도 하다.[9] 두 번 모두 공동수상[10] 프랑크푸르트의 U반 역인 Willy-Brandt-Platz 역에 역대 베스트 11의 인물이 래핑되어 있는데 차범근이 가장 잘 보이는 곳에 당당히 래핑되어 있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단 한 번뿐인 클럽 대항전 메이저 트로피를 거머쥘 때의 주전 멤버였으니... 아직도 프랑크푸르트의 서포터들은 차범근이 오기라도 하면 엄청난 환대와 환호를 보낸다. 이는 서포터즈뿐만 아니라 프랑크푸르트 시민이 거의 다 그렇다. #[11] 관련 기사나 공식 홈페이지에는 총 44명의 선수 후보라고 적혀있는데, 투표 사이트 및 결과를 보면 공격수 12명, 미드필더 15명, 수비수 14명, 골키퍼 4명으로 총 45명이 후보에 올라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03 09:22:16에 나무위키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