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대구)

덤프버전 :




대구광역시의 지역

파일:동구(대구광역시) CI.svg
안심(반야월)
安心(半夜月)
Ansim(Banyawol)


파일:DAEGU_ANSIM.png

상위 행정구역
대구광역시 동구
하위 행정구역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
인구
123,689명[1]
국회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강대식 (동구 을, 초선 - 21대 총선)
관할 경찰서
대구동부경찰서
관할 소방서
대구동부소방서
지역전화
053

1. 개요
2. 구성
2.1. 주거단지
2.1.1. 안심지구
2.1.2. 율하지구
2.1.3. 동호지구
2.1.4. 신서혁신도시
2.2. 산업단지
2.2.1. 안심연료단지
2.2.2. 율하 도시첨단산업단지
2.2.3. 대구식품산업클러스터
3. 교육
3.1. 초등학교
3.2. 중학교
3.3. 고등학교
4. 교통
4.1. 도시철도 역
4.2. 시내버스 노선
4.2.1. 급행버스
4.2.2. 간선버스
4.2.3. 지선버스
4.2.4. 타 지역 버스
5. 정치
6. 생활 환경
7. 타 지역과의 관계
7.1. 경산시와의 관계
7.2. 시지와의 관계



1.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동구금호강 동북쪽 지역 중 팔공산 일대와 동촌, 방촌이라고 불리는 지역을 제외한 지역을 일컫는 지명으로 주로 동대구IC 동쪽 ~ 경산시 하양읍과의 시경계에 이르는 지역을 말한다. 현재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혁신동의 5개 동으로 존속하고 있다.

대부분의 도로 표지판과 행정복지센터(동사무소)에서는 안심이라 많이 칭하지만, 대구와 경산 시민들에게는 주로 반야월로 더 많이 통용된다. 구. 대구선 반야월역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반야월역의 존재와 반야월초등학교, 안심 구길의 도로명인 반야월로, 반야월시장, 이마트 반야월점, 대구광역시경산시 소재 일부 도로 표지판과 버스 정류장 등 반야월이라는 지명이 아직도 곳곳에 남아 있다. 안심과 마찬가지로 반야월도 왕건의 설화와 관련이 깊은데, 자세한 유래는 대구광역시/공산 전투 관련 지명 문서와 반야월역 문서로.

1895년 실시된 23부제1896년 실시된 13도제하에서는 하양군 안심면 및 경산군 북면이었으나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후 안심면과 북면이 통합되어 경산군 안심면이 되었다. 1973년 으로 승격하여 안심읍이 되었으며, 1981년 경상북도 대구시대구직할시로 승격되면서 경산군 고산면(시지)과 함께 대구직할시에 편입되어 대구직할시 동구 안심출장소가 되었다.[2] 이후 1982년 안심출장소에서 1, 2, 3동이 분동되었으며, 1983년 4동이 신설되었다가 1998년 3동과 4동, 안심출장소가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다가 인구 증가로 다시 분동을 추진해 2020년 7월 6일에 대구신서혁신도시 일대가 혁신동으로 분동되고, 안심3.4동이 다시 안심3동과 안심4동으로 분동됐다. 현재는 금호강 이동 지역 및 동구의 동쪽 지역(과거 안심읍 지역)을 함축하는 지명이 되었다. 과거 안심읍의 명칭은 이 지역의 행정동명이 되었으며, 안심읍의 동지역[3]은 이 지역의 법정동명이 되었다. 이름의 유래는 안심역 문서로.

참고로 대구신서혁신도시도 이 곳에 있다. 정확히는 안심 지역의 경부고속도로 이북 지역(신서동, 율암동, 각산동, 대림동, 숙천동 등)에 있는데, 혁신도시가 들어서면서 경부고속도로 이남의 전통적인 안심(반야월) 생활권과 경부고속도로 이북 혁신도시의 생활권이 꽤 달라졌다.

동구 지역 중에서는 그나마 대구국제공항과 K-2와 이격돼 있어 소음이 덜하지만, 여전히 고도제한이 있어서 아파트 층수가 그리 높지 않다. 각산역 근처에서 여객기가 착륙을 준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용계역 근처로 랜딩한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권역 번호는 8번이다.[4]


2. 구성[편집]



2.1. 주거단지[편집]



2.1.1. 안심지구[편집]



파일: 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2030년 대구도시기본계획

[ 펼치기 · 접기 ]
파일:Structure.png

중심지


1도심


도심


4부도심






5성장유도거점




수성



불로·검단



도시발전축


1주발전축

경부선축(서대구~도심~동대구~안심)

5부발전축

서대구~칠곡, 서대구~성서, 서대구~달서·화원~현풍, 동대구~불로·검단, 동대구~수성

자연보전축


외곽녹지축

팔공산, 병풍산, 주암산, 청룡산, 비슬산, 대니산, 명봉산 등

수변축

낙동강, 금호강, 신천, 동화천, 팔거천

가로녹지축

달구벌대로, 동대구로, 와룡로



안심지구는 안심주공아파트를 비롯한 신기역 일대를 말한다. 각산동, 신기동, 용계동, 안심동, 괴전동, 신서동을 포함한다.

198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대구 외곽지역 대규모 택지지구 계획에 의해 조성되었다.

교통이 편리한 지역으로 경부고속도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각산역, 반야월역, 신기역, 율하역, 안심역이 지나가며 대구선 또한 지나간다. 대구국제공항이 이전하면 항공기 소음지대에서도 벗어나고, 혁신도시의 개발로 인프라도 늘어났다.


2.1.2. 율하지구[편집]




2002년 택지개발지구로 지정되어 개발되기 시작했다[5]. 크게 율하1지구(서쪽)과 율하2지구(동쪽)으로 나뉜다. 동구 용계동, 율하동을 포함한다.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개최로 율하동 일부 지역이 선수촌으로 개발되었다. 동대구JC와 접하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율하역과 신기역이 인근에 있어 교통도 편리하다. 롯데아울렛, 롯데마트, 롯데시네마 등이 입점한 롯데쇼핑프라자가 입점하여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다. 아래 쪽으로 금호강이 흘러 자연 경관도 우수하다.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3동에도 율하신도시라는 율하지구가 존재하는데 여기랑 똑같이 신도시다. 차이점이 있다면 김해 율하지구는 2010년대 이후로 새로 조성중인 곳이라는 점이다.

2.1.3. 동호지구[편집]




대구광역시 동구 동호동, 금강동 일대에 조성된 지구. 2004년부터 입주가 시작됐다. 안심지구보다 최근에 조성된 단지여서 교육, 교통 인프라가 낫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각산역안심역과 인접하여 접근하기 편리하다. 동쪽으로는 경산시 하양읍과 접해있으며 최근 들어 금강동 일대의 안심연꽃단지와 함께 안심창조밸리라는 자연 관광지가 조성 중이고 금호강과도 접해있어 자연 환경도 좋다.

2.1.4. 신서혁신도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구신서혁신도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산업단지[편집]



2.2.1. 안심연료단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안심뉴타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70년대부터 안심연료단지가 들어서 있었으나 주변 개발로 주민들이 피해를 호소하여 그 자리는 안심뉴타운으로 재개발 중이다.


2.2.2. 율하 도시첨단산업단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율하테크노밸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3. 대구식품산업클러스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구식품산업클러스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교육[편집]



3.1. 초등학교[편집]


  • 강동초등학교
  • 동호초등학교
  • 반야월초등학교
  • 송정초등학교
  • 숙천초등학교
  • 새론초등학교
  • 안일초등학교
  • 율금초등학교
  • 율원초등학교
  • 율하초등학교


3.2. 중학교[편집]




3.3. 고등학교[편집]




4. 교통[편집]


철도 교통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안심로[6]를 따라 지나간다. 과거 대구선 철도가 지나갔고 안심 지역엔 반야월역이 존재했지만, 대구선은 2005년에 남쪽으로 이설되었다. 이설 후 동호지구(각산역) 남쪽에 금강역이 생겼지만, 금강역은 큰 규모에 비해 수요가 적어서 2008년부터 여객을 취급하지 않는다. 시내버스 노선의 경우 나름 적당한 정도로 대구로 진입하는 외곽 지역이라 대구 시내버스 뿐만 아니라 대화교통, 영천시 시내버스도 이 곳을 지나간다.

수성구로의 이동이 은근히 불편하다. 814번이 있어 범어동, 황금동, 지산동, 범물동으로의 이동은 약 50분 정도가 소요되지만 큰 어려움은 없다. 그렇지만 만촌동, 시지로의 이동이 은근 불편하다. 시내버스 노선도 적고 그나마 있는 849(-1)번, 수성3(-1)번은 배차간격이 길기 때문이다.

도로교통망의 경우 시내도로는 반야월로, 4번 국도(안심로) 등이 주축이며 신서혁신도시 쪽은 이노밸리로가 주축. 대구부산고속도로동대구IC가 있고 동대구JC를 통해 경부고속도로 진입도 편리하며, 유료도로인 범안로를 이용하여 달구벌대로, 시지[7], 대구미술관, 대구스타디움, 지산범물지구 방면 이동도 편리하며 서쪽으론 앞산터널과 직결돼 달서구 상인동 쪽으로도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차후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가 개통하면 대구광역시 전역으로 이동이 편리해진다. 추후 경부고속도로 안심IC도 개통될 예정이다.

한국감정원 근처에 대구혁신고속버스정류소가 신설되어 1일 2회 서울 ↔ 대구 우등고속이 중간 승하차한다.

안심은 대구광역시 도심지와 약간 이격된 대신, 경상북도 동남부의 다른 도시들과 접근하기 편리하다. 사실상 같은 생활권인, 대구광역시 경산구나 다름없는 경산시 동 지역까진 안심교를 이용하여 10 ~ 15분, 하양읍까지는 4번 국도를 이용해 15 ~ 20분이, 영천시까지는 하양읍을 경유하여 30 ~ 40분이, 경주시까지는 경부고속도로4번 국도 이용 시 1시간이, 포항시까지도 새만금포항고속도로를 이용해 1시간이면 갈 수 있다.

4.1. 도시철도 역[편집]




4.2. 시내버스 노선[편집]



4.2.1. 급행버스[편집]




4.2.2. 간선버스[편집]




4.2.3. 지선버스[편집]




4.2.4. 타 지역 버스[편집]




5. 정치[편집]


국회의원 선거 (동구 을)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투표율
후보
이승천
강대식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3,644
(30.54%)

66,461
(60.33%)

- 32,817
(▼29.79)

112,039
(65.07%)

안심1동[8]
30.95%
59.95%
▼29.01
60.99
안심2동[9]
25.17%
65.93%
▼40.76
62.93
안심3·4동[10]
35.63%
55.57%
▼19.94
62.27
후보
이승천
강대식
격차

거소·선상투표
28.82%
52.94%
▼24.12

관외사전투표
41.04%
51.01%
▼9.97

재외투표
55.66%
40.56%
△15.09


7회 지선 안심지구 개표 결과
대구광역시장 선거
정당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격차
투표율
후보
임대윤
권영진
김형기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5,465
(38.79%)

90,378
(53.56%)

12,894
(7.64%)

- 24,913
(▼14.76)

58.01%
안심1동[A]
40.07%
51.93%
7.98%
▼11.86
54.38
안심2동[A]
33.30%
57.99%
8.69%
▼24.69
52.85
안심3·4동[11]
46.98%
44.61%
8.40%
△2.37
56.23
후보
임대윤
권영진
김형기
격차

거소·선상투표
36.05%
45.80%
18.14%
▼9.75

관외사전투표
52.15%
39.28%
8.56%
△12.87

후보
임대윤
권영진
김형기
격차
투표율
동구 을[12][13]
39.59%
52.30%
8.10%
▼12.71
56.26
동구청장 선거
정당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격차
투표율
후보
서재헌
배기철
강대식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5,546
(33.01%)

62,891
(37.38%)

43,374
(25.78%)

- 7,345
(▼4.37)

58.01%

유승민 전 의원이 4선을 한 지역구이다. 이시아폴리스를 제외하고 대구신서혁신도시동구 을 내 신도시들이 안심에 입지해 있어서 대구광역시동구 내에서 진보적인 성향이 강한 지역구로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임대윤 대구광역시장 후보가 안심3.4동에서 권영진을 누르고 1위를 차지했으며, 21대 총선에서 이 지역구에서 이승천 후보가 30%의 득표율을 얻었다. 그렇지만 유승민의 지역구 관리와 탄탄한 지역 기반 덕에 신도시 치고는 국민의힘의 지지율이 높다. 그리고 유승민의 후임인 현역 강대식 의원도 안심 출신인지라 지지도가 높다.


6. 생활 환경[편집]


일단 대형 할인점각산역 북쪽의 이마트 반야월점율하역 앞 롯데쇼핑프라자 내 롯데마트 대구율하점이 있다. 또한 창고형 할인점 코스트코가 대구신서혁신도시에 대구 2호점인 코스트코 대구 혁신도시점을 운영하고 있다.[14]홈플러스를 이용하려면 금호강 안심교 건너 홈플러스 경산점을 이용하거나, 아님 동촌의 구 까르푸 - 홈에버였던 홈플러스 동촌점을 이용해야 한다. 그 외의 쇼핑시설은 롯데마트 대구율하점이 있는 율하역 앞 롯데쇼핑프라자 내 롯데아울렛 대구율하점, 토이저러스가 있고 이마트 반야월점 앞에도 더블럭이라는 중소규모 아울렛이 있다.

영화관의 경우 롯데시네마 율하점이 율하역 롯데쇼핑프라자에 있다.[15] 미래에는 메가박스대구신서혁신도시 내에 생길 예정이다.

그 외에는 율하지구나 동호지구, 대구신서혁신도시 내부에 상업 지구가 조성돼 있다.

늦게 개발한 외곽 신도시 지역이라 안심공단 내부를 제외하고는 근린공원도 꽤 잘 조성돼 있고 금호강을 낀 지역이라 금호강변에도 율하체육공원 등 큰 공원이 조성돼 있고 동쪽 끝 경산시 하양읍 경계 인근에는 안심연꽃단지도 있으며 아직 개발이 다 끝난 건 아니라 논밭도 있어 공기가 좋을 것 같지만 안심연료단지[16], 안심공단이 있어서 대구광역시의 다른 외곽 택지와 비슷하다.

대구광역시의 다른 외곽 택지에 비해서 자족기능이 발달해 있다. 대구신서혁신도시, 첨단의료복합단지, 안심공업단지, 율하도시첨단산업단지[17] 등이 있기 때문으로 이는 금호강 건너 시지와 대조된다. 물론 시지수성알파시티가 들어서면 바뀌겠지만.

안심동 지역에서는 대구국제공항과 K-2 비행장에서 이착륙하는 비행기 소음이 영향을 끼치는 곳이며, 고도도 상당히 낮아질 뿐더러 동구 지역에서도 시끄러운 편이라서 따로 제한이나 보상같은 게 걸려 있다. 여객기 소음은 기본이고, 공군 비행장의 소음 권역 지역이라서 전투기 소음이 있다. 특히 용계동과 신평동은 공항 인근 지역이라서, 일상생활이 힘들 만큼의 이착륙 소리가 제대로 들릴 지경이다. 용계역 근처에서 여객기가 랜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대구광역시의 다른 외곽 주거 신도시보다 거주 환경이 쾌적하지는 못하다. 공업단지가 있으며 역시 성서산단을 낀 성서와 달리 주거지 한복판에 공단이 있고, 옛 대구선 철도 주변으로 난개발이 진행돼 있고, 동구라는 지리적 특성상 대구국제공항 소음 피해가 있기 때문이다.


7. 타 지역과의 관계[편집]



7.1. 경산시와의 관계[편집]


시지와 더불어 1981년 당시 경산군 안심읍에서 승격되는 대구직할시에 편입되어 대구직할시 동구 안심동이 됐는데,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시지와 함께 대구광역시 중심가 못지않게 안심교를 통한 경산시 중심가로의 왕래도 많았다.

그런데 1990년대 초중반부터 신기역 주변에 안심주공아파트를 비롯한 저층 아파트, 단독ㆍ연립주택 위주의 개발이 시작돼 독자적 생활권을 어느 정도 구축하고, 1998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하며 대구광역시 도심지로의 왕래가 편리해지며 시지보다 더욱 대구로서의 정체성이 강화되었다.

2000년대 초반 각산역 남쪽 동호지구, 2000년대 중후반 율하역, 신기역 남쪽 율하지구, 2010년대 대구신서혁신도시, 최근에는 안심뉴타운과 율하도시첨단산업단지 등의 개발이 시행되면서 안심은 대구 동부의 주요 부도심으로 성장했지만 시지에 비해 경산시 시내에서의 접근성이 썩 좋지 못해 롯데쇼핑프라자[18], 이마트 반야월점, 코스트코 대구 혁신도시점 등 안심 내 대형마트들을 더 많이 이용한다.[19]

그러나 같은 경산시에 속하는 하양읍, 진량읍, 와촌면과는 같은 생활권을 이룬다. 일단 하양읍, 진량읍, 와촌면에서 대형마트를 갈 때 이마트 경산점, 홈플러스 경산점보다 이마트 반야월점, 코스트코 대구 혁신도시점, 롯데마트 대구율하점으로 가는 경우가 많으며, 하양읍, 진량읍, 와촌면의 도로 교통과 철도 교통 역시 경산시 동 지역보다는 안심 방향으로 구축되어 있다. 또한 안심 쪽으로 통학하고 통근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안심역경일대, 호산대, 대가대, 대구대 셔틀버스 정류장이 있어 아침엔 가축수송이다.


7.2. 시지와의 관계[편집]


같은 시기에 대구광역시로 편입된 시지와는 금호강을 경계로 분리되어 있으며 교류는 적다. 시지경산시 동 지역과 압량읍과 연담화되어 있어서 버스, 지하철은 물론이고 도보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반면 시지와 안심 간 대중교통은 시내버스 외에는 거의 없다. 일단 금호강이 분리하고 있고, 중간에 그린벨트와 농경지가 있어 두 지역이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그리고 자가용을 이용해도 범안로와 경안로 외에는 도로가 없고, 대구 도시철도를 이용하려면 반월당역에서 환승해야 된다. 대구 도시철도 순환선이 개통되도 효목네거리를 거쳐 가야한다. 시내버스는 849(-1)번과 수성 3(-1)이 있는데, 849(-1)번과 수성3(-1)번이 있는데, 수성3(-1)번은 시지 중심이 아닌 대구스타디움이 있는 남쪽 끝만 슬쩍 훑어 지나가서 시지에 영향이 덜하고 849(-1)번은 시지로 바로 가긴 하지만 두 노선 모두 배차간격이 매우 나쁘다.

시지지구와 연계가 없는 이유는 간단한데, 둘 다 지어지는 목적이 거주지이고, 거주지와 거주지에서 이동하는 수요는 당연히 없는 것이 당연하다. 굳이 있더라도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같은 야구장이나 시지지구에서 거주하는 사람이 신서혁신도시출퇴근, 혹은 안심에 거주하는 사람이 연호지구 일대의 군부대로 출퇴근하는 것 외에는 이동수요가 없기 때문이다.

[1] 2021년 5월 주민등록인구[2] 고산면은 대구직할시 수성구 고산출장소.[3] 경상북도는 군 - 읍, 면 - 리가 아니라 군 - 읍, 면 - 동 체계였다. 현재처럼 바뀐 것은 1988년 5월 1일.[4] 840번은 예외로 안심으로 가지 않는다. 8번 권역은 안심 외 경산시 하양읍, 진량읍, 와촌면, 영천시 금호읍 지역도 포함이기 때문.[5] 안심주공아파트는 안심지구로 계획된 곳으로, 율하지구와 별개지만 율하지구의 주공아파트들이 안심주공4단지에 이어 5단지부터 시작된다.[6] 주로 반야월 신길, 산업도로로 불린다.[7] 경산 구길로도 불리는 안심교, 경안로 루트도 있다.[8] 법정동 율하동 · 신기동[9] 법정동 용계동 · 율암동 · 상매동 · 매여동[10] 법정동 서호동 · 동호동 · 각산동 · 신서동 · 금강동 · 괴전동 · 대림동 · 사복동 · 숙천동 · 동내동 · 내곡동, 대구혁신도시가 있는 동네[A] A B 구 경산군 안심읍 일부를 관할하는 동네[11] 구 경산군 안심읍 일부를 관할하며, 대구혁신도시가 있는 동네[12] 도·평동, 불로·봉무동, 방촌동, 해안동, 안심1동, 안심2동, 안심3동, 안심4동, 공산동[13] 지역구 국회의원 : 유승민 (무소속 → 새누리당 → 바른정당 → 바른미래당, 4선)[14] 대구 1호점인 대구점은 북구 산격2동 대구종합유통단지의 끄트머리인 검단네거리에 있다.[15] 하양과 영천에서 율하롯데로 많이 온다고 한다. 상영관 수도 율하롯데가 꽤 많고, 무엇보다 율하롯데는 직영점이라 쿠폰 사용 등에 제약이 적기 때문이다. 메가박스하양읍 산업도로 쪽에 하나 있는데, 이쪽은 위탁점이다.[16] 안심뉴타운 조성을 위해 철거됐다.[17] 아직 계획만 있다.[18] 롯데아울렛, 롯데마트 대구율하점, 토이저러스, 롯데시네마 율하점 등이 입점해 있다.[19] 이마트 반야월점이마트 경산점이 훨씬 더 큰 규모로 개점한 현재는 경산시내 방면으로 영향력이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22:22:14에 나무위키 안심(대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