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중국)
(♥ 0)
||
중국 허난성의 최북단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한단시에서 남쪽으로 30km, 정저우시에서 북쪽으로 100km 떨어져 있으며, 인구는 2020년 기준 약 547만명이다.
황허 남쪽이라는 뜻을 가진 허난성에 속해 있지만, 정작 안양은 황허 북쪽에 위치한 도시이다.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지명으로도 볼 수 있겠다. 그래선지 허베이성으로 편입되려는 움직임도 있다.
한국의 안양시와 발음과 한어병음의 외래어표기법 표기까지 같지만 한자가 다르다.[1][2] 그래도 음의 유사성 탓인지 서로 자매결연 관계에 있다.그리고 중국 도시답게 인구는 무려 약 10배(!)나 많다. 비슷한 사례로 안산시가 있다.
동쪽으로 푸양, 남쪽으론 허비, 신샹과 서쪽, 복쪽으론 각각 산시성과 허베이성과 접한다. 연평균 기온이 13.6도이고 대부분이 평지이다. 서쪽에는 타이항 산맥이 있고 장허 강이 한단시와 경계를 이룬다.
한국에서 갈 때에는 정저우 공항까지 가는 대한항공 직항편을 이용한 후, 고속철로 이동시 안양역 혹은 안양동역까지 1시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B.C. 2000년경 전설의 왕 전욱과 제곡이 이곳에 수도를 정하고 나라를 세웠다.
B.C. 14세기 초반, 상나라가 이곳에서 북쪽으로 2km 떨어진 곳에 수도 은을 세웠다. 이후 상나라가 멸망하게 되면서 수도 은은 은허라고 알려지게 되었다.[3] 중국 7대 고도의 최고봉.
단숨에 2천년을 건너뛰어 악비와 한탁주의 출생지이기도 하며 명나라 때 재건되었다. 청나라 때는 만들기 어렵기로 유명한 후식인 삼부점이 이곳에서 유래되기도 했다.
중국이 서양 국가들과 접촉하면서 무역과 상권이 급속히 발전했다. 16개의 외국 투자 기업들이 세워졌고, 22.8㎢ 의 경제기술개발구가 세워졌다.
2023년 5월 자료에 의하면 중국에서 ㎡당 주택가격 228위를 기록했다.[4] ㎡당 평균 110만원 정도로 베이징의 9%에 불과하다.
공항은 존재하지 않으며, 관내에 징광철도(京广铁路) 안양역(安阳站)이 존재한다. 공항이 없다보니 이 도시는 보통 주변 도시에서 열차를 통해 진입하는데, 주로 정저우를 통해 들어온다.
상나라의 수도유적인 은허가 존재한다. 그 외에는 은허에서 서쪽으로 2시간 반 거리에 청대 장원인 마씨장원(马氏庄园)이 존재한다.
2021년 1월,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 발생으로 인해 도시가 봉쇄됐다. 산시성 시안, 허난성 위저우에 이어 세 번째.
(시할구)
(현급시)
(현)
1. 개요[편집]
중국 허난성의 최북단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한단시에서 남쪽으로 30km, 정저우시에서 북쪽으로 100km 떨어져 있으며, 인구는 2020년 기준 약 547만명이다.
황허 남쪽이라는 뜻을 가진 허난성에 속해 있지만, 정작 안양은 황허 북쪽에 위치한 도시이다.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지명으로도 볼 수 있겠다. 그래선지 허베이성으로 편입되려는 움직임도 있다.
한국의 안양시와 발음과 한어병음의 외래어표기법 표기까지 같지만 한자가 다르다.[1][2] 그래도 음의 유사성 탓인지 서로 자매결연 관계에 있다.
2. 지리[편집]
동쪽으로 푸양, 남쪽으론 허비, 신샹과 서쪽, 복쪽으론 각각 산시성과 허베이성과 접한다. 연평균 기온이 13.6도이고 대부분이 평지이다. 서쪽에는 타이항 산맥이 있고 장허 강이 한단시와 경계를 이룬다.
한국에서 갈 때에는 정저우 공항까지 가는 대한항공 직항편을 이용한 후, 고속철로 이동시 안양역 혹은 안양동역까지 1시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3. 역사[편집]
B.C. 2000년경 전설의 왕 전욱과 제곡이 이곳에 수도를 정하고 나라를 세웠다.
B.C. 14세기 초반, 상나라가 이곳에서 북쪽으로 2km 떨어진 곳에 수도 은을 세웠다. 이후 상나라가 멸망하게 되면서 수도 은은 은허라고 알려지게 되었다.[3] 중국 7대 고도의 최고봉.
4. 경제[편집]
중국이 서양 국가들과 접촉하면서 무역과 상권이 급속히 발전했다. 16개의 외국 투자 기업들이 세워졌고, 22.8㎢ 의 경제기술개발구가 세워졌다.
2023년 5월 자료에 의하면 중국에서 ㎡당 주택가격 228위를 기록했다.[4] ㎡당 평균 110만원 정도로 베이징의 9%에 불과하다.
5. 교통[편집]
공항은 존재하지 않으며, 관내에 징광철도(京广铁路) 안양역(安阳站)이 존재한다. 공항이 없다보니 이 도시는 보통 주변 도시에서 열차를 통해 진입하는데, 주로 정저우를 통해 들어온다.
6. 관광[편집]
상나라의 수도유적인 은허가 존재한다. 그 외에는 은허에서 서쪽으로 2시간 반 거리에 청대 장원인 마씨장원(马氏庄园)이 존재한다.
7. 사건사고[편집]
2021년 1월, 오미크론 변이 확진자 발생으로 인해 도시가 봉쇄됐다. 산시성 시안, 허난성 위저우에 이어 세 번째.
8. 행정구역[편집]
(시할구)
(현급시)
(현)
9. 같이보기[편집]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8-07 10:37:00에 나무위키 안양시(중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쪽은 '볕 양(陽)'자를 쓰며 한국의 안양시는 '기를 양(養)'자를 쓴다.[2] 강의 북쪽에 있으면 양(陽), 남쪽에 있으면 음(陰)을 붙인다. 낙양(洛陽), 한양(漢陽), 회음(淮陰) 등.[3] 은허는 은의 터, 유적이란 뜻으로 당시 명칭은 은이었다. 상나라가 은나라라고도 불리는 건 수도 은에서 따온 별칭이기 때문. 당시 중국의 소국들은 도시국가였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생긴 것이다.[4] 홍콩, 마카오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