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a6b1bb><width=33%><rowcolor=#fff> 초대 ||<width=33%> 권한대행 ||<width=33%> 제2대 ||
||<height=50><rowbgcolor=#fff,#010101>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 || 드미트리 트라페즈니코프 || 데니스 푸실린 ||
||<-3>국가원수: 인민의 주지사

정부수반: 총리||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초대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가수반
알렉산드르 블라디미로비치 자하르첸코
Александр Владимирович Захарченко

파일: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 영정.jpg
출생
1976년 6월 26일
소련 우크라이나 SSR 도네츠크주 도네츠크
(現 러시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도네츠크)
사망
2018년 8월 31일 (향년 42세)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도네츠크
국적
[[소련|

소련
display: none; display: 소련"
행정구
]]
(1976~1991)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
display: none; display: 우크라이나"
행정구
]]
(1991~2014)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display: none; display: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행정구
]]
(2014~2018)
학력
도네츠크 공과대학교
직업
군인, 정치인
경력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내무부 차관
2014년 4월 7일 ~ 2014년 5월 16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군 사령관
2014년 5월 16일 ~ 2014년 7월 6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총리
2014년 8월 7일 ~ 2018년 8월 31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가수반
2014년 11월 4일 ~ 2018년 8월 31일
정당


배우자
나탈리야 자하르첸코
자녀
4
서명
파일: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 서명.png

1. 개요
2. 생애
2.1. 정치 활동
3. 사망
4. 평가
5. 여담



1. 개요[편집]


파일:자하르첸코.jpg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이다.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과 도네츠크주를 활동 기반으로 하는 친러시아 반군 세력 도네츠크 인민 민병대의 지도자였으며 이들 반군들이 선포한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국가수반과 총리를 동시에 역임했다.


2. 생애[편집]


1976년 6월 26일 소련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도네츠크주 도네츠크에서 광부의 아들로 태어났고, 아버지는 우크라이나인, 어머니는 러시아인이었다. 1995년 도네츠크 산업 자동화 대학을 수석으로 졸업한 이후 광산에서 전기 기술자로 근무했다. 도네츠크 우크라이나 내무부 법률 연구소에서 공부했고, 이후 기업을 창업하면서 석탄산업과 식료품 생산 및 유통, 도서출판 등 다양한 분야에 손을 대면서 재산을 많이 모았으며 해당지역에서는 꽤 거물급 기업인으로 이름을 날렸다

2010년경부터 하르키우를 기반으로 한 군인, 경찰 변호와 군사 역사를 다루는 비영리 단체인 '오플롯'의 도네츠크 지부를 이끌었다.


2.1. 정치 활동[편집]


그러다가 유로마이단 혁명으로 친서방 세력이 정권을 잡자 이에 반발했고,[1] 2014년 4월 16일 동부 우크라이나 위기 초반 '오플롯' 소속 7명의 무장 남성들을 이끌고 최고 라다에 최고 라다에 의해 반려된 법안에 대한 국민 투표를 요청하며 도네츠크주 주청사를 무단 점령했다. 5월 16일에는 도네츠크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으며, 7월 22일 코제우냐 전투 중 팔에 부상을 입었다.[2]

2014년 8월 7일 초대 총리 알렉산드르 보로다이에 의해 차기 총리로 지명되었다. 자하르첸코가 서방에 동부 우크라이나 위기가 스스로 일어난 현상이라고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기 때문에 보로다이가 직접 러시아 정부에 추천했다고 알려졌다. 9월 14일에는 민스크 협정에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대표로 서명했다.

2014년 11월 2일 2014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총선에서 도네츠크 공화국 소속으로 출마해 78.93%의 득표율로 11월 4일 국가수반 직에 올랐다. 선거 공약으로 종전 시 폴란드보다 높은 연금을 줄 것을 내세웠으며, 돈바스아랍에미리트와 같이 자원이 풍부하지만 전쟁 중이기 때문에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하면서 종전 의지를 내비쳤다. 또한 "요즘 세대는 민주주의 아래에서 자라 아버지 둘, 어머니 둘을 가질 수 있는데 난 이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보수적인 성 가치관을 드러냈다.

2014년 12월 9일, 일본의 제재 명단에 추가되었다. #

제2차 민스크 협정에서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대표로 서명했으며, 반군 포로를 석방하지 않거나 철군하지 않을 경우 하르키우를 점령하고 데발체베우크라이나군 수비대를 공격할 것이라고 밝혔다. 결국 하르키우를 점령하는 데에는 실패했지만 2015년 1월 14일부터 2월 20일까지 러시아군의 지원 하에 데발체베 전투에서 승리했다. 그러나 2월 17일 데발체베 전투 막바지에 다리 부상을 입었다. 이후 급하게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알체우스크의 병원에 입원했고, 루간스크 국가수반인 이고리 플로트니츠키가 병문안을 왔다.#

2017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내 정치 위기 당시 루간스크 내무부의 편을 들어 이고리 플로트니츠키를 반강제로 사임시켰다.

3. 사망[편집]


2018년 8월 31일 도네츠크의 카페에 설치된 폭탄이 폭발하며 사망했다. 도네츠크 인민공화국러시아 외무부는 우크라이나를 이 사건의 배후로 지목해 비판했고, 우크라이나 측은 도네츠크 내 내분의 결과라고 반론했다. 2018년 9월 1일부터 3일까지를 추모 기간으로 결정해 개학을 9월 4일로 미루었으며, 9월 2일 도네츠크 오페라, 발레 극장에서 장례식이 치러졌다. 레오니트 파세치니크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가수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등이 조의를 표했다. 레오니트 파세치니크는 "자하르첸코가 든 투쟁의 깃발은 무너지지 않을 것이며 돈바스에서는 이 살인 사건을 절대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밝혔다.

2022년 9월 29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도청한 우크라이나 보안국 요원간의 통화에 따르면 자하르첸코 암살을 계획한 이가 암살자에게 500만 루블을 지급했다고 한다. 루간스크 측은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 하루 전 우크라이나 보안국 관계자가 루간스크 고위 관리 독살을 준비하는 통화에서 이와 같은 사실을 말했다고 주장했다. #


4. 평가[편집]


도네츠크 내에서는 평가가 갈리는 인물이다. 반군 점령지 내에서는 긍정적인 평가가 강하고, 우크라이나 중앙정부 통제지역에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강하다.[3] 생전 도네츠크 인민 민병대는 코제우냐 전투 이전까지 우크라이나의 공격을 방어하기만 했다고 주장했고 죽기 전까지 권좌에서 러시아의 지원을 바탕으로 도네츠크 재건[4]과 급여 향상에 힘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의 통치 하의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은 러시아의 괴뢰국이자 인권을 말살하는 독재국가로 전락했고.##[5] 도네츠크 재건도 끝내 실패했다.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이 러시아의 괴뢰국이자 자하르첸코가 러시아의 괴뢰이며 군벌형 철혈 독재자란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일례로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군대는 러시아군의 대포 사료(Cannon Fodder)이자 정치적 위장막(political cover)으로 전락했다.[6] 또한 국제위기감시기구(ICG)의 Russia and the Separatists in Eastern Ukraine(2016)는 러시아가 수행한 반군 재편성 결과 자하르첸코와 호다콥스키같은 주요 DNR 지도자들이 사병들에 대한 통제력을 대부분 상실했으며 러시아군이 지휘권을 행사한다고 보았다.[7]

급여 향상과 연금제도 정상화도 노력했다고 하지만 그건 국가를 다스리는 정치인이라면 응당 노력해야 할 것이고, 애초에 반군의 경제정책 수립 능력이란게 전무하기 때문에 그가 죽은지 2년이 지난 2020년 9월 3일 국제위기감시기구(Crisis Group)의 기사를 봐도 정상화와는 거리가 멀어보인다.# 2019년 1월 현재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공식" 최저임금은 각각 월 2,514루블, 6,064루블(당시 환율로 각각 40달러, 100달러)이었고 이것은 우크라이나의 공식 최저임금 175달러의 23%, 57%에 불과했다. 2020년 4월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은 최저임금을 3,168루블로 인상했지만 유가 폭락으로 루블 가치가 떨어져 달러 환산시 실질 인상폭은 4달러에 불과했다. 그리고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은 최저임금을 올리지 않았으므로 실제로 15달러 하락했다. 최저임금뿐만 아니라 평균임금을 봐도 마찬가지. 2018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은 자기 석탄광부의 평균임금이 월 400달러라고 주장했는데 이것은 우크라이나 석탄광부의 평균 임금 600달러#의 2/3에 불과할 뿐더러, 실제로는 도네츠크 인근 러시아령 로스토프 주의 광부 임금(2019년 1월 300달러 미만)의 n분의 1에 불과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래서 광부들이 아예 다른 곳으로 이주하려 하자 대거 무급휴가를 때리고 해외이주도 막아버리는 실정이다.

반군 지도부는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점령지에 거주하는 연금수령자 110만명에게 연평균 총 11억 달러를 지급했는데, 2019년 중순 도네츠크의 연금수령자는 1인당 월 6,145루블(당시 환율로 97달러)를 받았고 루한스크에서는 5,000루블 이하(79달러 이하)를 받았다. 반군 지도부는 이 액수가 최저생활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했다. 우크라이나 중앙정부는 현지에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관계로 정부군-반군 경계선을 넘어오는 약 50~60만 명의 연금수령자들에게 연금을 지급하는데[8] 2015~2018년 동안 연평균 7억 5,000만 달러를 이들에게 주었다. 그리고 반군 점령지의 연금수령자는 정부통제지역의 연금수령자보다 가난하게 산다. 국제이주기구(IOM)에 따르면 월 115달러 이하의 생계비로 생활하는 사람은 정부통제지역 전체 연금수령자의 28%였지만, 반군지역에서는 41%에 달했다.

그러면서도 자하르첸코를 비롯한 반군 지도부는 돈바스의 자원과 산업을 독점하기 위해 부단히 움직였다. 2017년 4월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지도부는 도네츠크와 루한스크의 점령지에서 몰수된 기업체를 경영하고 러시아에 석탄을 밀수할 목적으로 '브네시토르게세르비스(VTS)'라는 회사[9]를 설립했다. 4만명의 노동자를 고용하는 40개 석탄 및 철강기업을 수중에 넣은# VTS는 만성적인 임금체불로 원성을 사 광부의 파업을 초래했다. 게다가 석탄산업 자체가 사양길이고[10] 주요 고객이었던 우크라이나가 에너지 수급 방식을 바꾸고 경로도 바꿨기 때문에 회사의 상황개선 자체가 어렵다. 결국 회사의 광부들은 몇달동안 무보수로 지내다 끝내 2020년 봄 돈바스 전쟁 발발 이래 최대의 파업을 일으켰다. 그러자 5월 반군 지도부는 VTS가 경영하던 기업을 폐쇄하거나 아니면 대폭 구조조정된 지주회사로 통합하는 식으로 대응했다.

자하르첸코가 청렴했다는 주장도 있는데, 우크라이나 다른 정치인이 장막 뒤에서 기업을 가져가거나 나눠먹었다면 이 인간은 그냥 대놓고 남의 기업을 쳐묵쳐묵했을 뿐이다. 그것도 반란군을 이끌고 말이다. 2017~18년에 걸쳐 돈바스 점령지의 석탄 및 철강기업을 VTS 밑으로 모조리 통합한 것이 그의 암살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는 판이니, 청렴한 정치인이 아니라 그냥 약탈에 맛들린 군벌일 뿐이다.

UN OHCHR에 의하면 2014년 12월 11일 말까지 632명이 반군에 불법구금된 것으로 추산된다.# 우크라이나의 기자인 스타니슬라우 아세예우의 구금 사실을 부인하다가 자하르첸코 사후 풀려난 사건도 있었다.#

5. 여담[편집]


생전 민족 볼셰비키당 당원 자하르 프릴레핀[11]과 친했다. 프릴레핀은 자하르첸코를 우크라이나의 5대 정치인이라고 칭송했으며 자하르첸코를 주인공으로 한 책을 쓰기도 했다. 자하르첸코는 프릴레핀의 영국 점령론을 옹호하며 이것이 러시아에 황금기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말했다.

2015년 인터뷰 영상에서 부친이 "우크라이나 점령하의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영토"에 살고 있으며[12] 우크라이나 정부로부터 연금을 못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의 목격자로서 조사에 이의를 제기하는 내용과 종전 조건, 러시아군 개입 부인 등이 담겨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2:14:56에 나무위키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래 오플롯이라는 단체 자체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세력의 역사수정주의에 맞서기 위해 설립된 단체였고, 거기에다가 자하르첸코 본인도 러시아인 어머니를 두다보니 정치성향도 친러쪽이 되는것이 되었다. [2] 2016년 이 전투를 회고하기를 이 전투가 본인을 강경하게 만든 이정표가 되었으며 도네츠크군의 첫 대우크라이나 공격이었다고 밝혔다. 또한 본인들의 공격으로 마을은 불탔지만 사람들을 구했다고 주장했다.[3] 도네츠크가 포함된 돈바스는 친러 일색인 지역이 아니다. 우크라이나 중앙정부 통제지역과 노보로시야 반군 통제지역에서 진행한 설문조사를 봐도 반러와 친러가 각각 절반으로 갈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돈바스 전쟁 발발 후 돈바스의 1/3이 반군에 점령되었지만, 대신 반군 점령지는 상대적으로 인구가 밀집한 지역이다.[4] 돈바스 전쟁의 여파로 파괴된 인프라를 재건에 노력했다.[5] UN OHCHR 2016년 3월 보고서는 반군 통치 지역이 "완전한 무법상태"를 경험하고 있으며, "자의적인 구금, 고문, 연락이 단절된 구금, 실질적인 탄원 방법의 부재"가 보고된다고 하였다.#[6] Andrew Wilson, The Donbas in 2014: Explaining Civil Conflict Perhaps, but not Civil War, Europe-Asia Studies, Volume 68 - Issue 4: The Ukrainian Crisis and the Post-Post-Cold War Europe, 2016#을 보라.[7] ICG, Russia and the Separatists in Eastern Ukraine: Crisis Group Europe and Central Asia Briefing N°79, Kyiv/Brussels, 5 February 2016. p. 8-9#[8] 반군 점령지에 거주하는 수령자는 분리선을 넘어가 우크라이나 정부와 접촉하여 전달받는다. 문제는 이들이 노령자들이다보니 이동도 힘들뿐만 아니라 가다가 죽는 경우마저 심심찮게 있다.[9] 정식 명칭은 비공개주식회사 브네시토르게세르비스(ЗАО «Внешторгсервис»)다.[10] 자하르첸코는 돈바스의 풍부한 석탄을 들면서 석유가 풍부한 UAE처럼 부유해질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애초에 돈바스는 소련이 해체되기 한참 전인 1970년대부터 석탄산업이 사양길에 접어들면서 몰락하고 있었다.[11]공정 러시아 공동의장.[12] 당연히 반군 점령지가 아니라 전전 도네츠크주 경계선 내의 우크라이나 정부 통제지를 가리킨다. 반군은 도네츠크주 경계선을 '회복'하여 국경선으로 삼아야 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