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런 베이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플래시 애니메이터에 대한 내용은 Alan Becker 문서
Alan Becker번 문단을
Alan Becker# 부분을
, 일본 영어 교과서의 캐릭터에 대한 내용은 엘런 베이커 문서
엘런 베이커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엘런 베이커#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개요
2.2. 생애


1. 수학자[편집]





[ 20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1936
파일:핀란드 국기.svg 라르스 알포르스 |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 더글러스
1950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로랑 슈바르츠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아틀레 셀베르그
1954
파일:일본 국기.svg 고다이라 구니히코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장피에르 세르
1958
파일:영국 국기.svg 클라우스 로스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르네 톰
1962
파일:스웨덴 국기.svg 라르스 회르만데르 | 파일:미국 국기.svg 존 밀너
1966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클 아티야 | 파일:미국 국기.svg 폴 코언 |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무국적) |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븐 스메일
1970
파일:영국 국기.svg 앨런 베이커 | 파일:일본 국기.svg 히로나카 헤이스케 | 파일:소련 국기.svg 세르게이 노비코프 | 파일:미국 국기.svg 존 톰슨
197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엔리코 봄비에리 |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드 멈퍼드
1978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피에르 들리뉴 | 파일:미국 국기.svg 찰스 페퍼먼 | 파일:소련 국기.svg 그리고리 마르굴리스 |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퀼런
1982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랭 콘 | 파일:미국 국기.svg 윌리엄 서스턴 | 파일:영국령 홍콩 기.svg 야우싱퉁
1986
파일:영국 국기.svg 사이먼 도널드슨 | 파일:독일 국기.svg 게르트 팔팅스 |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클 프리드먼
1990
파일:소련 국기.svg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본 존스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위튼 | 파일:일본 국기.svg 모리 시게후미
1994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핌 젤마노프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피에르루이 리옹 | 파일:벨기에 민간기.svg 장 부르갱 |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크리스토프 요코즈
1998
파일:영국 국기.svg 리처드 보처즈 | 파일:영국 국기.svg 윌리엄 티머시 가워스 | 파일:러시아 국기.svg 막심 콘체비치 | 파일:미국 국기.svg 커티스 맥멀런 | 파일:영국 국기.svg 앤드루 와일스(특별상)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 21세기 수상자 펼치기 · 접기 ]
2002
파일:프랑스 국기.svg 로랑 라포르그 | 파일:러시아 국기.svg 블라디미르 보예보츠키
2006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오쿤코프 | 파일:러시아 국기.svg 그리고리 페렐만 | 파일:호주 국기.svg 테렌스 타오 | 파일:프랑스 국기.svg 벤델린 베르너
2010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 파일:베트남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응오바오쩌우 |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드리크 빌라니
2014
파일:브라질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투르 아빌라 | 파일:캐나다 국기.svg / 파일:미국 국기.svg 만줄 바르가바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파일:영국 국기.svg 마르틴 하이러 | 파일:이란 국기.svg 마리암 미르자하니
2018
파일:이란 국기.svg / 파일:영국 국기.svg 코체르 비르카르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알레시오 피갈리 | 파일:독일 국기.svg 페터 숄체 | 파일:호주 국기.svg 악샤이 벤카테슈
2022
파일:프랑스 국기.svg 위고 뒤미닐코팽 | 파일:영국 국기.svg 제임스 메이나드 | 파일:미국 국기.svg 준 허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마리나 비아조우스카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앨런 베이커(수학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목사, 군인[편집]



2.1. 개요[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DML_AlanTBaker.jpg

앨런 T. 베이커(Alan T. Baker)

미국의 前 군인이자 군종목사이다. 미 해병대 군종감(Chaplain of the United States Marine Corps)[1]을 지냈으며, 최종 계급은 해군 준장이다.


2.2. 생애[편집]


1956년에 태어났다. 미 해군의 1성 제독이기는 한데, 굳이 군종 목사가 위키에 작성될 만한 어떤 이유가 있겠나 싶겠지만 사실 이 사람은 경력이 아주 특이하다. 1974년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78년에 해군 소위로 임관하고 항해장교로 근무했다. 1981년에는 본인의 모교인 해사로 복귀하여 전문성개발(Professional Development) 교관으로 근무하기도 했으며 해군의 근간인 수상함[2]에서 근무하고 위관급 장교 초기 시절 때부터 사관생도들을 가르친 걸 보면 상당히 엘리트 코스를 걸을 길이었는데, 1984년에 그는 갑자기 목회로 귀의하였다. 그는 미 해군 예비역 군인으로 신분을 전환한 이후에 신학석사 학위를 취득하였고, 1987년군종 목사의 신분으로 다시 해군에 복귀하였다.

다시 복귀해서는 리히급 순양함(USS Richmond K. Turner)의 군종관으로 근무했다. 1990년에는 미 해병대의 해병11비행전대[3] 군종관으로 배치되어 해병대와 인연을 쌓았다. 1992년에는 다시 해군 부대에 배치되어 신임 해군 군종관들을 교육하는 일을 했고, 1995년에는 미 해안경비대로 파견되었다. 1998년에는 해군 군종센터로 돌아와 다시 해군에서 근무했다.미 해군 군의관, 군종관, 시설장교의 숙명. 본격 장돌뱅이 라이프. 2001년에는 항공모함해리 S. 트루먼함의 군종관으로 근무했고, 2004년에는 자신이 입학한지 30년만에 해군사관학교[4]로 돌아와 군종실장이 되었다.

2006년준장으로 진급하며 제독이 되었고, 해병대 군종감을 지내다가 2009년에 전역하였다.

베이커 제독의 사례와 비견될만한 특이한 경우로는, 미 공군에서 일반 조종장교가 되었다가 군의관으로 전과하여 미 공군 의무감 까지 오른 토머스 트래비스 중장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8:44:26에 나무위키 앨런 베이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해당 보직은 미 해군의 부군종감(Deputy Chief of Chaplains of the United States Navy)을 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해병대의 복제를 착용하지만, 엄연히 미 해군의 소속이다.[2] 그래서, 군종장교인 신분임에도 수상함 장교의 휘장을 달고 있다.[3] 'Marine Aircraft Group 11' 으로, 미 해병 항공대의 비행단장사단장과 같은 소장 계급인것과는 다르게 전대장대령 계급의 장교가 맡는다.[4] 한국의 해사는 다 해야 700명을 넘기기 어렵지만, 미 해사는 4천명이 넘는다. 여담으로, 연대장생도를 '여단장생도'라고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