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전교범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스타크래프트 2 설정 자료집에 대한 내용은 야전교범(스타크래프트 2) 문서
야전교범(스타크래프트 2)번 문단을
야전교범(스타크래프트 2)#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ARMA 3의 지침서에 대한 내용은 ARMA 3/야전교범 문서
ARMA 3/야전교범번 문단을
ARMA 3/야전교범#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군대 관련 정보

1. 개요
2. 타군
2.1. 미군
2.1.1. 육군
2.1.2. 해군
2.1.3. 공군
2.1.4. 해병대


1. 개요[편집]


/ Field Manual

야전교범은 군대에서 사용하는 지침서를 말한다.

교육사령부정보사령부 등에서 제작해서 국방출판지원단에서 인쇄하여 각 부대로 배부된다. 육군의 경우 상비 보병사단, 지역방위사단, 기계화보병사단, 교육기관 등으로 나누어서 몇 권씩 배부된다. 군, 병과별로 각종 무기와 장비 운용 방법, 전략과 전술, 교육(방법) 등에 대해 쓰여 있다. 굉장히 광범위하면서 시시콜콜한 내용도 있어서, 혹한기 훈련이나 혹서기 훈련[1]이나 유격 훈련 등을 진행하는 법, 전투 지휘를 실행하는 법, 부대 운영하는 법, 급양 방법, 크고 작은 행사들 진행하는 법 등을 다루는 교범도 있으며. 상담 교범, 리더십 교범, 전사나 병사한 인원을 지문 채취하고 옷 입히고 매장하는 영현 업무에 대한 것까지 있다. 적군의 교범을 수록, 해설하는 교범(북한군 부대 규모에 따른 전술)도 있다. 이는 정보사령부에서 작성하고, 예하 부대로 배부된다. 보병의 경우 최소 대대급 이상에 있다. 교범도 엄연히 군 재산이고 인원 편제, 장비에 포함되는 부속물이라[2] 제시된 수량, 종류에 맞게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해당 부대에는 없더라도 군 공통되는 장비라면 교범이 보급될 수 있어서, 일개 중대 규모라도 보유하여야 하는 교범 수량은 꽤 많게 된다. 교범 관리는 부대 규모에 따라 다르나 작전병 이나 교육계 행정병, 공보정훈병이 하게 된다.

교범의 경우 교육 수준이 그렇게 높지 않은 사람을 기준으로 잡기 때문에[3] 되도록 이해하기 쉽고 직관적으로 만든다. 다만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기준은 천차만별이라, 일부 장비에 딸려서 오는 기술, 정비 교범 같은 경우 해당 병과의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므로 직관적이긴 해도 꽤 전문적인 내용이 실려 있다.[4] 특히 포병 포술 교범은 삼각함수 개념을 알고 있어야 술술 넘어간다. 또한 전술에 대한 기초 이론적 부분을 다루는 기준 교범들의 경우 작전을 입안하는 실무자들인 장교들을 기준으로 작성 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난해하고 다른 교범을 참고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5]

영어로는 Field Manual이라고 하며, 이것의 두문자어가 바로 'FM대로 하다'라는 관용구에 쓰이는 FM이다. 따라서 'FM대로' 하는 것은 야전교범에 나온 그대로, 즉 정석과 원칙대로 한다는 뜻이다. 반대말은 농담으로 AM.[6] 다른 반대말로 YM(야매)와 TB(통빡)[7]이 있다.

야전교'범'이란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교보재이면서 동시에 작전 명령를 겸하는 물건이라,[8] 당연히 이것도 군사기밀[9]이다. 군사기밀인지라 함부로 반출되면 안 되는데도[10] 아주 가끔 사회에 굴러다니기도 한다. 사회로 굴러온 야전교범은 중고거래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물론 대부분 발행 수십 년이 지난 퇴역 무기, 장비에 대한 교범들이다. 하지만 2017년 전반기 기준으로 육군의 경우 최근 몇 년 사이 교범 관리 체계가 생겨서 어느 부대에서 몇 권을 가지고 있어야 되고, 현재 가지고 있는 교범을 주기적으로 갱신하게 되어 있다. 원칙적으로는 1960, 1970년대에도 FM은 대외비에 준하여 관리기록부를 만들고 대출 장부를 만들며 구본은 절차에 따라 폐기하고 최신본으로 관리해야 했지만, 실제로는 교보재 창고 또는 교관 연구실이라 이름 붙인 곳에 진열해 놓은 "그냥 책"으로 생각하고 전혀 그렇게 관리하지 않았다.[11]

장기복무를 원하는 간부들은 대체로 좋아할지 몰라도, 병사들은 대부분 매우 싫어한다. 왜냐하면 간부들의 경우 야전교범대로 제대로 해야 진급이 매우 잘 되고 장기복무도 쉬워지기 때문에 FM을 매우 중요시하지만,[12] 병사들의 경우 나라에서 억지로 군대에 강제로 끌려온 불쌍한 사람들인지라 X 같아도 2년만 꾹 참고 버티면 되니까 FM을 전혀 중요시하지 않는다.[13] 부대에서 간부들이 교육하는 것은 모두 FM에서 나온 것이지만 그걸 발췌해 파워포인트 슬라이드, 괘도(야전에서) 등으로 만들어서 교육하기 때문에 사병은 교범을 직접 볼 일도 없고, 보아도 뭐가 뭔지 알기 어렵다. 하지만 공병, 포병 같은 특기병이라면 교범을 주고 달달 외울 만큼 숙지하라고 시킬 수 있는데, 그 많은 것이 갈굼 당하면 다 외워진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제대하면 전혀 생각이 나지 않는다.(...)

사실 FM 대로 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야전교범의 내용대로 하지 않으면 죽거나 다치거나 물자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그래서 내용이 매우 방어적으로 쓰여 있어서 그대로 따라 하기엔 현실에서 꽤 문제가 생긴다.[14] 그런데 대한민국 군대는 모병제인 미군처럼 일개 사병부터 지휘관까지 업무에 맞춰 재량을 크게 인정하고 책임 또한 지우는 체계가 아닌지라, 일을 FM 무시하고 진행했다가 사고가 생기면 지휘 계통 줄줄이 화를 당하게 되므로 지시를 받는 사병도 어쩔 수 없이 따라야 한다. 군에서 일어난 사고를 보면 거의 전부가 안전수칙 등 FM에 나오는 것을 지키지 않아서 일어나는 일이다. 자신과 전우의 안전을 생각한다면 힘들더라도 이해해 주어야 한다. 지휘관이 일을 교범대로 진행하지 않을 경우 사병이라도 그것을 지적하고 시정을 요구할 권리와 의무가 있지만, 끌려온 징집병이 그럴 의지도 없고, 교범에 의한 교육 자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병들은 뭐가 잘못되었는지도 알지 못한다는 게 문제이다.

매주 한 번씩 있는 교육 훈련일은 원래 그런 거 교육하라고 있는 날이다. 본인이 사용하는 개인 병기와 물품마다 모두 해당되는 교범이 있다. 먹고, 자고, 입고, 경계 근무 서고, 훈련 받는 모든 행동 또한 교범에 있다. 주둔지의 생활, 보급, 휴가와 외박, 상벌 등등 어느 것 하나도 교범에 없는 것이 없으며, 현재는 안 하고 있지만 전시에 해야 될 일이나 유사시 지급 받을 장비 사용법까지 원칙적으로는 알아야 하므로, 2년도 안 되는 병 복무 기간은 맡은 임무와 공통 부분(명령체계, 인사, 휴가, 복지 등등)의 교육 받기에도 모자란 기간이다. 물론 그런 간극을 메우기 위해 직업 군인인 부사관, 준사관, 장교들이 있는 것이긴 하지만, 그들도 교범을 달달 외울만큼 알려 하지 않고, 잡일에 치이다 보니 관심 밖인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병사들 뿐 아니라 일부 간부들도 '교범대로 한다.=무조건 힘들게 한다.'라고 오해해서 정작 교범에서도 정한 휴식 시간의 보장이나 보급품의 충분한 분배 등의 병사들에게 필요한 원칙을 무시하고 무작정 병사들을 굴리려고만 해서 더욱 이 야전교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자리잡기 쉽다.

역으로 생각하면 교범대로 하라며 굴림 당하는 병이라면 공통된 복지와 인권, 상벌, 명령체계 부분, 자기 업무와 주로 마주치는 상황에 관련된 야전교범만이라도 시간을 내서[15] 이렇게 관련 교범을 찾고 숙지하고 있으면 그 누가 뭐라 해도 맞서서 부당함이나 잘못된 것을 주장할 수 있는 힘이 생긴다. "법(권리) 위에서 낮잠 자는 자는 보호하지 않는다"는 법 격언이 있는데, 군대에서의 법은 교범이다. 어느 누구도 교범에 어긋나는 지시를 할 수 없으며, 그럴 경우 누구든 거부하고 고발할 수 있는 권리와 의무가 있다. 교범대로 하면 또라이 소리는 들을지 몰라도 군 생활은 편하게 할 수 있다.

당연한 소리지만 별 말도 안되는 소리를 써놓기도 한다. 특히 K3 기관총 사수면 더더욱 절실히 느낄텐데, 교범상 K-3 기관총의 휴대 탄약은 1400발로, 장전 탄약 포함해서 탄통을 6개나 들고 다녀야 한다. 물론 분대지원화기 특성상 이 정도 총알이 맞기는 하다만 안그래도 10kg에 가까운 더럽게 무거운 기관총인데 부사수랑 탄 나눠 든다고 해도 3개를 챙겨야한다고 쳐도 20kg에 육박한다. 거기에 완전군장까지 메면 금상첨화.

밀덕이라면 야전교범을 모아 놓은 교관 연구실은 그야말로 천국일 것이다. 가지고 나가거나 발설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모두 머리 속에 넣어 가야만 하므로. 두꺼운 교범 수십 권이 금방 외워지는 기적을 경험할 수 있다.

2. 타군[편집]



2.1. 미군[편집]


미군 교리의 경우 지상군 공통 교리 연구소인 TRADOC에서 발행하는 육군 교리를 근간으로 이 중 해, 공군 및 해병대에 공통으로 적용되는 교리는 각 군의 교리문헌 분류체계에 맞춰 번호를 부여한다. 여기에 각 군종별 고유 교리를 각 군 교육사령부에서 추가 발행한다.


2.1.1. 육군[편집]


미 육군 교리문헌의 분류체계는 해당 교리문헌의 범위를 나타내는 알파벳과 전투수행기능에 해당하는 한 자릿 수 숫자 - 세부 분류를.나타내는 2~3 자리 숫자, 교리의 내용을 대표하는 영문 제목으로 구성된다.(예시: FM 1-02.1 Operational Terms)

범위에 해당하는 알파벳은 크게 기준 교리에 해당하는 ADP(Army Doctrine Publications) → 전술 제대의 행동 지침인 FM(Field Manual) → 세부 전투기술을 다루는 ATP(Army Techniques Publications) 및 장비/병과의 세부 내용을 기술한 TM(Technical manual)로 구분되며 그 외 교육 참고/회장에 해당하는 TC, 표준 폼인 GTA 등이 있다.

다음에 나오는 한 자릿수 숫자는 참모 기능인 인사(1), 정보(2), 작전(3), 군수(4), 계획(5), 임무지휘(6), 교육훈련(7) 순으로 해당 번호가 붙는다. 이후 나올 2~3자리 숫자와 구분하기 위해 -(Dash(육군) / Tech(해군))을 붙인다.

그 다음 두 자리 숫자는 해당 교리의 내용에 따라 붙는 일련번호로 주로 병과/특기별로 숫자가 부여되며 FM, ATP가 번호를 공유한다.(예시: FM 3-11.xx, ATP 3-11.xx는 화생방 병과에 해당)
소수점은 같은 병과 분류 내의 세부 내용에 의해 달라지거나 분량 문제로 권수가 나눠진 경우에 붙는다.


2.1.2. 해군[편집]


미 해군의 번호체계 분류는 육군과 유사하며 NDP(Navy Doctrinal Publication) → NWP(Naval Warfighting Publication) → NTRP(Naval Reference Publication) → NTTP(Naval Tactics & Techniques Publication)으로 분류된다.

다음 한 자리 숫자는 1~5까지는 육군과 같으며 지휘통제(6), 항공(7)으로 구분된다.


2.1.3. 공군[편집]




2.1.4. 해병대[편집]


미 해병대의 교리 문헌의 분류 체계는 타 군과는 조금 다른데, 교리 문헌의 수준을 기준교리 > 윤용교리 > 야전교범 > 전투기술 순으로 세분하는 것은 동일하나 이후 숫자에 의한 분류가 육군에 비해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찾기 힘들다.
첫 알파벳은 MCDP(Marine Corps Doctrine Publications) → MCWP → MCTP → MCRP 순으로 구분된다.

다음 숫자 분류는 조직(1), 정보(2), 작전/해병공지기동부대(MAGTF)(3), 군수(4), 계획(5), 지휘통제(6), 교육훈련(8), 방호(10), 법무(11), 전장환경(12), 해상(13) 으로 구분된다.

다음 두자리 숫자는 병과별로 부여된 두 자리 숫자에 세부 내용에 따라 알파벳과 소수점이 추가로 붙는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3:50:26에 나무위키 야전교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혹서기 훈련은 혹한기 훈련보다 훨씬 위험한지라 야전교범에 있기는 해도 실제로는 잘하지 않는다. 혹한기 훈련은 기껏해야 감기 내지는 동상 정도로 그치지만, 혹서기 훈련은 최소 일사병 내지는 열사병에 걸릴 수도 있기에 그렇다. 다만 이는 평시 상황이라 그렇지, 전시 상황이 된다면 여름이니 겨울이니 가리지 않고 빡세게 훈련하긴 하겠지만.[2] 즉 부대에 어떤 신 장비나 체계가 들어오면 관련 교범도 따라 들어온다.[3] 지원제가 아니라 거를 여지가 없는 육군에선 지금도 중졸자를 가끔 볼 수 있다.[4] 기술교범은 TM(Technical Manual)이라 하며 야전교범과는 별도로 관리된다.[5] 영관급 이상으로 진급하려면 국군대학에 갔다 와야 한다는 이유이다. 야전교범만으로 되지 않는 대학원 수준의 전술, 전략을 배우려면 필수.[6] 어원은 딱히 없지만 아마 FM에서 즉각 연상되는 주파수의 AM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 외에도 Advanced Manual, Anti Manual, 혹은 Anbang Manual(...)의 약어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7] 주로 전투비행장 현지 일기예보를 감으로 해야 하는 기상 특기가 자주 쓴다.[8] 즉 "~한 상황에서는 ~한 대처를 하면 된다"라는 걸 알려주는 교보재이기도 하지만, "~한 상황에서는 ~하게 대처해라"라고 지시하는 명령서이기도 한 것.[9] 대외비 급으로 관리한다.[10] 데프콘 발령 시에 막사를 빼야 할 경우엔 교범은 폐기해야 되는 것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다. 중대급 이상부터 전시 때도 가져가야 되는 최소한의 교범이 있다.[11] 대대 규모만 되어도 보유해야 하는 야전교범은 수백 권이 된다. 과거 전산화 이전에는 그걸 정훈병 또는 작전 행정병이 관리를 맡았는데, 신규 수령하면 등재하고 구본은 폐기하고 대출, 반납을 일일이 장부에 적어 가며 관리해야 했다. 본래 업무만으로도 시간이 없는데, 교범 봐 가며 일하는 것 아니니 제대로 할 리가 없다. 업무 체계가 개선되고 신기술, 신무기, 개정 전술이 나오면서 그에 따라 교범은 계속 새로 지급되는데, 구본은 폐기하지 않으니 점점 책장은 모자라고...군 업무가 전산화되고 나서야 교범 도 제대로 관리하려고 하는 것.[12] 하지만 의무복무만 하고 나갈 간부들이라면 후술할 병들처럼 FM을 중요시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13] 당장 마지막 휴가 문서만 봐도, 전 중대장이었던 '임성환' 대위가 전역을 앞두고 있는 말년 대위라 그냥 대충대충 부대 운영을 했지만, 현 중대장인 '고문관' 대위가 부임한 이후 진급을 매우 중요시하다 보니 병사들에게도 FM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모습을 보인다.[14] 군정 시절부터 온 미 군사 고문관이 매사에 FM대로 하길 주장하며 한국군과 마찰을 빚었다. 지금도 에프엠만 주장하면 상당 부분 그런 취급 받는다. 고문관 항목 참조.[15] 다른 사람들이 맥심 볼 때 교관연구실에서 FM 빌려다가 보면 된다. 그거 못 보게 하는 간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