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디페르투안 아공

덤프버전 :



파일:말레이시아 국장.svg
말레이시아 관련 문서
Malaysia

[ 펼치기 · 접기 ]
상징
잘루르 그밀랑 · 국가 · 국호
역사
역사 전반 · 스리위자야 · 마자파힛 제국 · 믈라카 술탄국 · 영국령 말라야(말레이 연합주 · 말레이 비연합주 · 해협식민지 · 사라왁 왕국 · 북보르네오) · 일본령 말라야 · 말라야 연합 · 말라야 연방 · 말라야 비상사태 · 말레이시아 공산반란
정치
정치 전반 · 양 디페르투안 아공 · 말레이시아/이념 · (희망동맹 · 국민전선 · 사라왁 정당연합 · 국민연합) · 푸트라자야 · 분리주의(동말레이시아) · 인종차별 정책(말레이시아 이민국 · 부미푸트라) · 14번째 주
경제
경제 · 말레이시아 링깃 · 말레이시아 증권거래소 · 페트로나스 · 페로두아 · 프로톤 · KL118
국방
말레이시아군 (말레이시아 해군 · PASKAL · 조호르군)
외교
외교 전반 · ASEAN · IPEF · 영연방 · 말레이권 · 이슬람 협력기구 · 비자/말레이시아
교통
교통 전반 · 말레이시아 항공 · 에어아시아 · 동남아시아의 철도 환경(말레이 철도 · 쿠알라룸푸르 도시철도)
문화
문화 전반 · 말레이시아 요리 · 말레이시아 영화 · 말레이시아 스포츠(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말레이시아 야구 국가대표팀) · 이슬람교 · 세계유산 · 말레이시아인(말레이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인도계 말레이시아인 · 크리스탕)
언어
마인어 (믈라카 말레이어 · 사라왁 말레이어 · 사바 말레이어 · 수도권 말레이어 · 클란탄 말레이어 · 크다 말레이어 · 트렝가누 말레이어) · 라틴 문자
사회
사회 전반 · SPM · (말라야 대학교 · 푸트라 대학교 · 사바 대학교 · 헬프 대학교)
기타
말레이 반도 · 보르네오 섬 · 압둘 라작 · 말라야 ·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 펼치기 · 접기 ]

[[네덜란드 국왕|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노르웨이 국왕|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덴마크 국왕|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레소토 국왕|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마르그레테 2세
레치에 3세

[[룩셈부르크 대공|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공|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양 디페르투안 아공|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모나코 공|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벤다하라 가문


앙리
한스아담 2세
파항의 압둘라
알베르 2세

[[모로코|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바레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바티칸|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벨기에인의 왕|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모하메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필리프

[[부탄 국왕|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브루나이 술탄|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국왕|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칼 16세 구스타프

[[스페인 국왕|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안도라|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에스와티니 국왕|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우르헬 주교



들라미니 왕조

펠리페 6세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에마뉘엘 마크롱
음스와티 3세

[[영국 국왕|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영연방 왕국|

파일:영연방 기.svg
영연방]]


[[오만 술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요르단 국왕|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압둘라 2세

[[천황|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카타르 아미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캄보디아 국왕|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아미르|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노로돔 왕조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태국 국왕|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통가 국왕|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라마 10세
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파일:Arms_of_the_Yang_di-Pertuan_Agong_of_Malaysia.svg
양 디페르투안 아공
يڠدڤرتوان أݢوڠ
Yang di-Pertuan Agong


파일:압둘라 아흐마드.png

현직
파항의 압둘라
즉위일
2019년 1월 31일
지위
말레이시아국가원수
관저
이스타나 느가라
임기
5년 단임제[1]

1. 개요
2. 역사
3. 임기와 승계
4. 권한
5. 국왕 목록



1. 개요[편집]


양 디페르투안 아공은 말레이시아의 군주다. 양 디페르투안 아공(Yang di-Pertuan Agong)은 말레이어로 '주인이신 분'이라는 뜻이다. 영어로도 이 칭호를 번역하지 않고 그대로 쓴다. 말레이시아 화교들이 쓰는 중국어로는 최고원수(最高元首)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편의상 언론 등에서 주로 "말레이시아 국왕"으로 칭해진다.


2. 역사[편집]


양 디페르투안 아공이라는 직책은 말레이시아가 독립한 1957년에 생겼다. 원래 말레이시아는 하나의 통합된 나라를 이루지 않고, 십여개의 나라들로 나누어져 있었다. 영국은 이들 국가를 보호국으로 만들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방식으로 간접통치했다. 이 보호국들이 독립하는 과정에서 연방제를 채택, 하나의 나라로 독립한 것이 현재의 말레이시아이다.

독립한 말레이시아는 영국을 모델로 한 입헌군주제를 채택했으며, 이에 따라 양 디페르투안 아공(Yang di-Pertuan Agong)이라는 직책을 만들고 그를 국가원수로 삼았다.

3. 임기와 승계[편집]


양 디페르투안 아공은 임기가 정해진 선출직인데, 스스로의 군주가 있는 9개 주의 군주[2]들이 통치자회의(Majlis Raja-Raja/Conference of Rulers)[3]를 열어 자신들끼리 선출한다. 임기는 5년이며 연임은 불가능하고 중임은 가능하다. 이렇게 정해져 있기는 하나 실제로는 암묵적으로 순번이 있어 돌아가면서 한다.

왕의 임기가 5년인 데 반해 각 주의 군주는 죽을 때까지 할 수 있어 한 번 왕을 했는데 다시 순번이 돌아와서 왕을 한 번 더 한 압둘 할림의 사례도 있다.

국왕에 선출되더라도 본래 자기 지역의 군주 직책에서 퇴위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두 자리를 겸임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는 자신의 친척을 섭정으로 임명해 지역 군주로서의 권한을 대리하도록 한다.

부국왕(Timbalan Yang di-Pertuan Agong)이라는 직책도 존재하며 마찬가지로 9명의 지방 군주들 중에 선출한다. 국왕 공석시에 새 국왕이 선출될 때까지 권한을 대행한다.

2016년 12월 13일 왕위에 오른 무하맛 5세(Muhammad V) 국왕은 클란탄(Kelantan) 주 술탄인데, 2010년 아버지 투앙쿠 셰드 프트라로부터 왕위를 물려받았다. 당시 프트라는 살아 있었지만(2019년 사망) 조기에 양위한 이유는 건강 문제 때문이라고. 2019년 1월 4일, 무하맛 5세의 조기 퇴위설이 퍼지자 정부는 이를 헛소문이라며 부정했으나 불과 이틀 후인 1월 6일에 국왕이 전격적으로 퇴위하면서 왕위가 공석이 되었다. 이후 부국왕 권한대행 체제가 이어지다가 각 주의 술탄들이 모여 회의를 거듭하고 투표한 결과 1월 24일 파항 주 술탄 파항의 압둘라가 새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추가로 부국왕도 페락 주 술탄으로 새로 뽑았다.

4. 권한[편집]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국가로서 국왕의 권한은 매우 약해서 없는 거나 다름없다.

명목상으로는 총리와 장관을 임명하고, 의회에서 통과된 법에 대한 재가 권한이나 말레이시아군 통수권, 연방대법원 판사 임명권, 상원의원 임명권, 지역 군주가 없는 사라왁사바, 페낭, 믈라카의 수장(Yang di-pertuan Negeri/Governor) 임명권[4]이 있으나 이런 권한은 총리와 내각의 권고에 따라서만 행사된다. 1994년 개헌 이후 국왕의 권한은 더 축소되었다.


5. 국왕 목록[편집]


대수
이름
지역
임기
비고
1대
투앙쿠 압둘 라만
느그리슴빌란의 얌투안
1957년 8월 31일 ~ 1960년 4월 1일
재위 중 사망
2대
히사무딘 알람 샤
슬랑오르술탄
1960년 4월 14일 ~ 1960년 9월 1일
재위 중 사망
3대
투앙쿠 셰드 푸트라
프를리스라자
1960년 9월 21일 ~ 1965년 9월 20일

4대
이스마일 나시루딘
트렝가누술탄
1965년 9월 21일 ~ 1970년 9월 20일

5대
압둘 할림
크다술탄
1970년 9월 21일 ~ 1975년 9월 20일

6대
아흐야 프트라
클란탄술탄
1975년 9월 21일 ~ 1979년 3월 29일
재위 중 사망
7대
아흐맛 샤
파항술탄
1979년 4월 26일 ~ 1984년 4월 25일

8대
이스칸다르
조호르술탄
1984년 4월 26일 ~ 1989년 4월 25일

9대
아즐란 무히부딘 샤
페락술탄
1989년 4월 26일 ~ 1994년 4월 25일

10대
투앙쿠 자파르
느그리슴빌란의 얌투안
1994년 4월 26일 ~ 1999년 4월 25일

11대
살라후딘 압둘 아지즈 샤
슬랑오르술탄
1999년 4월 26일 ~ 2001년 11월 21일
재위 중 사망
12대
투앙쿠 셰드 시라주딘
프를리스라자
2001년 12월 13일 ~ 2006년 12월 12일

13대
미잔 자이날 아비딘
트렝가누술탄
2006년 12월 13일 ~ 2011년 12월 12일

14대
압둘 할림
크다술탄
2011년 12월 13일 ~ 2016년 12월 12일

15대
무하맛 5세
클란탄술탄
2016년 12월 13일 ~ 2019년 1월 6일
중도 퇴위
16대
파항의 압둘라
파항술탄
2019년 1월 31일 ~ 재위 중

17대
이브라힘 알마훔 이스칸다르
조호르술탄
2024년 1월 31일 ~ 예정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3:31:26에 나무위키 양 디페르투안 아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말레이시아는 선거군주제로서 군주의 임기가 정해져있다.[2] 7개 주는 술탄이라 칭하지만, 느그리슴빌란 주의 수장은 최고지도자(Yang di-Pertuan Besar), 프를리스 주의 수장은 왕(Raja)이라고 부른다.[3] 한때 이 회의에는 브루나이의 술탄도 참여했으나, 다른 말레이시아의 주들과 의견이 맞지 않아 참여를 그만두고 말레이시아와는 별개의 나라로 독립했다.[4] 1963년과 1965년 사이에는 싱가포르도 말레이시아의 한 주였는데 싱가포르에는 군주가 없으므로 양 디페르투안 아공이 지역 수장(Yang di-pertuan Negeri)을 임명했다. 이 직위는 싱가포르가 말레이시아에서 추방당하면서 싱가포르 대통령으로 개편되었다. 유솝 빈 이샥이 이 시기의 싱가포르 지역 수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