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간지풍

덤프버전 :



1. 개요
2. 원인
3. 재해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襄杆之風

매년 봄철만 되면 어김없이 강원특별자치도양양군고성군 간성읍 사이에서 태풍에 비할 정도로 빠른 속도로 부는 건조한 바람으로 간성읍 대신 '강릉시'를 넣어서 '양강지풍(襄江之風)'이라고도 한다.


2. 원인[편집]


봄철 이동성 고기압이 발달함에 따라 한반도의 남쪽~남서쪽에는 고기압이 배치되어 있고, 북쪽에 저기압이 배치될 때 나타나게 된다. 바람은 고기압에서는 시계방향으로 불어나가고 저기압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불어오는데, 한반도가 이 사이에 놓이면 풍향이 비슷한 서풍 혹은 남서풍 계열이 우세해진다. 이 바람이 태백산맥을 넘어옴에 따라 보라현상을 일으키고 양양과 간성 사이의 골짜기 지역을 내려오며 지형적인 영향을 받아 속도가 더 빨라지게 된다. 이는 초여름, 초가을의 동풍과 반대이다. 다만 양간지풍때는 전국적으로 고온건조하다.

계절적 요인이 주된 이유라, 3~5월에 자주 발생한다. 다만 이 지역에는 겨울철에도 종종 강한 서풍이 불지만, 남고북저형 기압배치가 아닌 일반적인 겨울철 서고동저형 기압배치여서 양간지풍과는 형성 원인이 다르다. 여름과 가을에도 서풍이 종종 불지만 바람이 약해서 양간지풍이 불지 않는다.


3. 재해[편집]


동해안의 대형 산불을 발생시키는 주 원인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송전탑, 전신주, 변전소, 변압기, 전깃줄 등 각종 전기시설이 바람에 파괴되어 스파크가 일어나 불씨가 될 수 있다.

게다가 산불을 확산시키는 주된 원인이기 때문에 2019년 4월에 발생한 2019년 고성-속초 산불 때 양간지풍의 영향으로 순간최대풍속이 미시령 27.6m/s, 속초 20.4m/s에 달했다. 강풍은 먼 지역까지 불씨를 날리기도 하고, 꺼진 불을 재발화 시키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손 꼽는 "대형산불"들은 모두 양간지풍지대에서 발생하였다.

소방헬기가 뜨지 못한다. 강한 바람이 불기 때문에 산불이 났는데(확산하는데), 강한 바람이 불기 때문에 헬기가 뜨지 못해 불을 끌 수 없는 안쓰러운 상황이 일어나는 것이다. 산림청에서 힘세고 강한 Ka-32를 선호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울진군양양군~고성군(간성읍)과 거리가 멀지만 이 곳의 이 시기 산불은 양간지풍 산불과 원인이 다를 바 없으므로, 양간지풍이 불 때 아울러 주의해야 하는 지역이다. 이 곳의 산불은 원자력 발전소, 소나무 군락지[1]등의 위험요소가 많아 특히 더 주의해야 할 지역이다.

2023년에는 그동안의 양간지풍을 입을 다물게 할 정도의 가장 강력한 양간지풍이 불어 강원도 동해안에 커다란 피해를 남겼다. 보통의 양간지풍은 가장 강하면 초속 25m까지 강해지나 이번에는 초속 35m까지 관측되었다.[2]

4.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3:37:05에 나무위키 양간지풍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송이버섯 산지. 문제는 소나무의 송진은 산불을 지속시킨다는 점이다.[2] 참고로 초속 35m는 강한 태풍급의 위력을 발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