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손검(영원회귀: 블랙서바이벌)

덤프버전 : r20210301 (♥ 0)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영원회귀: 블랙서바이벌/아이템/장비


1. 개요
2. 성능
2.1. 장점
2.2. 단점
3. 아이템 목록
3.1. 일반
3.1.1. 녹슨검
3.2. 고급
3.2.1. 샴쉬르
3.3. 희귀
3.3.1. 일본도
3.3.2. 마사무네
3.3.3. 무라마사
3.3.4. 바스타드 소드
3.3.5. 보검
3.3.6. 뚜언 띠엔
3.3.7. 플라즈마 소드
3.4. 영웅
3.4.1. 아론다이트
3.4.2. 엑스칼리버
3.4.3. 모노호시자오
3.4.4. 호푸어드
3.5. 전설
3.5.1. 레바테인
3.5.2. 다인슬라이프


파일:Parry.png양손검은 균형잡힌 무기이며, 숙달될수록 더 빛을 발합니다.
이른 시간에는 다소 약한 편이니 주의하세요.
상세 스탯
시작 무기녹슨 검
무기 스킬빗겨 흘리기
사거리1.5
공격 속도숙련도 레벨 당 4%
기본 공격 추가 피해숙련도 레벨 당 5%
스킬 증폭숙련도 레벨 당 2.5%
사용 가능 캐릭터
캐릭터기본 공격 속도
재키초 당 0.68회
피오라초 당 0.78회
유키초 당 -회


1. 개요[편집]


영원회귀: 블랙서바이벌의 무기 중 하나인 양손검에 대해 다루는 문서다.

2. 성능[편집]



2.1. 장점[편집]


  • 우수한 리치와 뛰어난 성장성
양손검은 숙련도가 쌓일수록 다른 무기들보다 높은 성장력을 보유하고 있다. 아예 게임내에서도 이 높은 성장성을 양손검의 특징으로 소개시키고 있다. 이때문에 양손검을 사용하는 캐릭은 후반부에 뛰어난 왕귀력을 보여줄 수 있다. 거기다 양손검을 사용하는 캐릭들은 나름대로 뛰어난 기동성을 보유하고 있어 양손검의 넓은 리치가 추노에 큰 역할을 해줄 수 있다.

  • 무기 스킬의 우수한 변수창출 능력
무기스킬인 빗겨흘리기는 어떤 공격이든 방어를 한 이후 공격을 날리는데, 이 빗겨흘리기의 성능은 다른 무기스킬과 비교해도 특히나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아야의 궁 같은 CC기 조차 완전히 무시하며 공격을 날리기에 1대1 상황에선 이 빗겨흘리기의 타이밍에 따라 질 싸움도 충분히 뒤집을 수 있다.

2.2. 단점[편집]


  • 숙련도가 쌓이지 않으면 애매한 성능
양손검의 가장 대표적인 단점. 초반부의 성능이 다른 무기와 비교해 심각할 정도로 약하며, 초반에 숙련도를 제대로 쌓지 못하면 후반에 가서도 왕귀를 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3. 아이템 목록[편집]



3.1. 일반[편집]



3.1.1. 녹슨검[편집]


파일:Rusty_Sword(ER).png더없이 평범해서 뭐라 설명하기도 뭐한 검.
단검보다 긴 편이니 장검이라고 해야겠다.
일반
공격력 +11
획득 경로양손검 사용 시 기본 지급
항구(6개),양궁장(5개), 성당(5개)의 상자
상위 아이템
+라이터샴쉬르
+철판일본도
+강철바스타드 소드
+식칼쌍검
+마패비파단도


3.2. 고급[편집]



3.2.1. 샴쉬르[편집]


파일:Shamshir(ER).png사자의 꼬리라는 뜻으로, 페르시아를 대표하는 구부러진 모양의 검이다.
샤브르의 기원이 된 검으로도 알려져 있다.
고급
공격력 +27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녹슨검 + 라이터
상위 아이템
+루비|보검
+삼매진화레바테인


3.3. 희귀[편집]



3.3.1. 일본도[편집]


파일:Katana(ER).png정식 명칭은 카타나. 타도라고도 불리며 빠르게 칼집에서 뽑아 상대를 공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요시유키, 키요미츠, 카네사다, 쿠니히로, 코테츠등이 유명하다
희귀
공격력 +35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녹슨 검 + 철판
상위 아이템
+오일|마사무네
+원석무라마사
+VF 혈액 샘플다인슬라이프

3.3.2. 마사무네[편집]


파일:Masamune(ER).png일본 역사상 최고의 도공이라 불리는 마사무네가 만든 칼.
그 뛰어난 품질과 미관은 가히 일본도의 정점이라 할 수 있다.
희귀
공격력 +40
공격 속도(%) +15%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일본도 + 오일
상위 아이템
+십자가아론다이트

3.3.3. 무라마사[편집]


파일:Muramasa(ER).png일본 에도 막부를 연 도쿠가와 가문을 저주하는 칼.
이에야스의 할아버지와 아버지와 아들이 이 칼에 죽거나 다쳤으며 본인도 손가락을 벤다.
희귀
공격력 +50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일본도 + 원석
상위 아이템
+정교한 도면모노호시자오

3.3.4. 바스타드 소드[편집]


파일:Bastard_Sword(ER).png중세시대에서 바스타드 소드는 양손검과 한손검의 특성을 모두 갖춘 무기였으며
이름 자체도 잡종을 뜻하는 바스타드란 이름이 붙었다.
오늘날로 말하자면 하이브리드 소드 정도가 되겠다.
희귀
공격력 +45
이동 속도 -0.05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녹슨 검 + 강철
상위 아이템
+거북이 등딱지뚜언 띠엔
+레이저 포인터플라즈마 소드

3.3.5. 보검[편집]


파일:Jewel_Sword(ER).png존재 자체로 칭송받는 검
영웅이 사용하였거나 귀한 재료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다.
희귀
공격력 +35
최대 체력 +200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샴쉬르 + 루비
상위 아이템
+성배엑스칼리버
+유리조각호푸어드

3.3.6. 뚜언 띠엔[편집]


파일:Thuan_Thien(ER).png베트남 왕 Lê Lợi의 신화적인 검
희귀
공격력 +77
방어력 +25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바스타드 소드 + 거북이 등딱지
아래의 플라즈마 소드보다 높은 깡공에 방어력까지 적지 않게 붙어있어서 같은 양손검 사용자간의 맞딜에선 아론다이트에 필적하는 효율을 자랑한다. 원래는 이런 압도적인 스펙을 대가로 이동 속도 페널티가 있었지만 상향을 거듭하면서 장점인 강력한 스펙만 남게 되었다.

3.3.7. 플라즈마 소드[편집]


파일:Plasma_Sword(ER).png초고온 상태에서 유지되는 이온핵과 자유전자의 집합체를 플라즈마라고 부른다.
특유의 폭발성때문에 다루기가 쉽지았지만,결국 미래 병기의 신기원을 여는 시초가 되었다.
플라즈마 소드는 이 기술을 이용한 첫번째 무기이다.
희귀
공격력 +75
시야 +3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바스타드 소드 + 레이저 포인터
희귀 등급 치고는 강력한 스펙으로 이 템을 뽑고 초반 강세를 가져가는 템트리를 가는 빈도가 종종 있다.

3.4. 영웅[편집]



3.4.1. 아론다이트[편집]


파일:Arondight(ER).png란슬롯 경의 검으로, 화룡을 베어 카보넥의 일레인 공주를 구했다고 전해진다.
영웅
공격력 +50
공격 속도(%) +25%
기본 공격 추가 피해 +25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마사무네 + 십자가

높은 기공추에 공격속도가 더해져서 DPS는 양손검 중 최고이다. 2루트만에 뜬다는 것도 장점. 대신 다른 양손검 영웅 무기에 비하면 딜 쪽에 스탯이 몰빵되어있고, 그럼에도 양손검의 단점인 약한 초반이 해결되는 것도 아닌데다 양손검과의 시너지가 특히 좋은 용의 도복과는 루트가 딴판이라는 게 단점.

3.4.2. 엑스칼리버[편집]


파일:Excalibur(ER).png요정의 나라 아발론에서 만들어진 명검이다.
아더왕은 호수의 미녀 요정한테 이 검을 받아 왕자 모드레드와 최후의 전투를 벌인다.
영웅
공격력 +60
최대 체력 +360
체력 재생(%) +200%
공격 속도(%) +10%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보검 + 성배

높은 체력에 체력 재생까지 더해져서 안정성은 발군이나 하필이면 마지막에 필요한 재료인 성배가 성당에서만 나온다는 게 문제. 성배를 구하기 위해 성당에 갈 시점이면 이미 성당은 아이솔, 하트, 리다이린 등의 성당깡패들이 진을 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3.4.3. 모노호시자오[편집]


파일:Monohoshizao(ER).png칼날이 매우 긴 도. 사사키 코지로가 이 도로 날아가는 제비를 베었다는 전설이 있으며, 첫 공격을 피한 상대를 다시 한 번 베어올리는 식으로 사용했을 것이라 추정된다.
영웅
공격력 +77
생명력 흡수 +25%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무라마사 + 정교한 도면
영웅 무기지만 똑같은 컨셉의 무기인 전설 무기 다인슬라이프와 스펙 차이가 공격력 3과 치유 감소 정도로 크게 나지 않는다. 문제는 4루트 무기. 재료의 요구량 자체는 다른 영웅 무기와 비슷하지만 뜨는 곳이 죄다 제각각이라 동선이 길어지고, 이는 안 그래도 초반이 약한 양손검의 특성까지 합쳐져서 이걸 시작 무기로 하는 루트는 선호받지 못한다.

3.4.4. 호푸어드[편집]


파일:Hovud(ER).png<<신 에다>>에서 짤막하게 언급된 이 검은 북유럽 신화의 신 헤임달이 사용하던 무기로, 무지개다리 비프로스트에서 떨어져 나온 조각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검신 전체가 속을 알 수 없는 검푸른 빛을 띄고 있어 왠지 가까이하기가 꺼려진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머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영웅
공격력 +50
최대 체력 +300
치명타 확률 +25%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보검 + 유리 조각


3.5. 전설[편집]



3.5.1. 레바테인[편집]


파일:Laevateinn(ER).png로키가 룬을 새겨 만든 검이다.
북유럽 신화에 따르면 불멸의 수탉을 죽이기 위해 사용되었다고 한다.
전설
공격력 +75
체력 재생 +1.5
스테미너 재생 +1.5
기본 공격 추가 피해 +20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삼매진화 + 샴쉬르

삼매진화가 필요한 무기. 아론다이트와 비교하면 공속도 없고 기공추 데미지도 5 낮지만, 전설 무기랍시고 나쁘지 않은 옵션들만 가지고 있어서 주로 중후반부에 스왑되는 무기.

양손검은 보라색 최종무기가 늦게 완성되거나 루트가 까다로운 경우가 많기에 초반을 뚜언 띠엔 또는 플라즈마 소드로 버티고, 방어구를 완성한 후 생명의 나무 싸움을 해서 레바테인으로 스왑하는 빌드에서 많이 사용된다.

3.5.2. 다인슬라이프[편집]


파일:Dainsleif(ER).png한 번 칼집에서 빠져나오면 피를 보기 전까지는 갈무리할 수 없다는 마검으로 덴마크왕 회그니가 소유했다.
전설
공격력 +80
생명력 흡수 +25%
기본 공격 시 치유 감소 -40%
획득 경로제작
조합식VF 혈액 샘플 + 일본도

생명력 흡수와 치유 감소가 동시에 붙은 신기한 무기. 보통 위클라인을 잡은 양손검 사용자라면 VF 짬처리용으로 분홍신을 가거나 하겠지만, 상대가 재키 등 우직하게 싸우면서 피흡은 피흡대로 되는 실험체일 때 고려해볼 만한 무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