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순음

최근 편집일시 :



자음의 분류

[ 펼치기 · 접기 ]
조음 방법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접근음 · 탄음 · 전동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충격음
조음 위치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이중조음
조음 방향
중설음 · 치측음 · 설측음
성대 진동 여부
유성음 · 무성음
기식 흐름 여부
유기음 · 평음 · 무기음 · 비음


파일:양순음_기호0.png
1. 개요
2. 조음 방법
2.1. 양순 비음
2.2. 양순 파열음
2.3. 양순 파찰음
2.4. 양순 마찰음
2.5. 양순 접근음
2.6. 양순 탄음
2.7. 양순 전동음
2.8. 양순 흡착음
2.9. 양순 내파음
2.10. 양순 방출음
2.11. 양순 충격음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 Bilabial consonant

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이다. 두입술소리라고도 부르며, 말 그대로 입술에 기식을 넣어 만드는 발음이다. 양순 비음 (\[m\])이나 양순 파열음(\[p\],\[b\])는 내기 간단한 소리라서 아기들이 가장 먼저 배우며, 그만큼 많은 언어에 분포하고 있는 소리지만, 극히 예외적으로 없는 언어도 있다. (예: 모호크[1][2])

한글에는 , , , , 그리고 사람에 따라서 [u] 또는 반모음 [w] 앞의 ㅎ이 가끔씩 변이음으로 나오는 경우가 있으며, 반모음인 [w]도 양순음과 연구개음을 합친 소리이다. 한글에서는 이 자질의 음을 입술의 모양을 따서 'ㅁ(입구)'자 모양으로 만들었다.

양순음이 없는 단어들은 입술을 아예 붙이지 않고도 발음이 다되므로 너 코카콜라, 칠성사이다, 오렌지 주스, 사과 주스, 게토레이, 초코 우유, 딸기 우유, 녹차, 슬러시, 와인, 소주 등등의 것들을 입술 안붙이고 해봐 라고 할땐 절대 속지 말것.[3][4]

ㅁ, ㅂ, ㅃ, ㅍ 모두 단어 내 모양이 사각형이 포함된다는 공통점이 있다.(ㅁ에서 갈라져 나왔기때문)


2. 조음 방법[편집]



2.1. 양순 비음[편집]


양순 비음(Bilabial Nasal

m



m



조음 위치
양순음
조음 방향
구분 없음
조음 방법
비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ㅁ을 발음한다.

듣기

두 입술을 붙이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면서 입술을 떼서 내는 소리다.

한국어에서는 ㅁ과 음가가 같으며,[5] 영어의 m, 일본어행 등, 여러 언어에서 익숙하게 볼 수 있는 음이다.

아이슬란드어에서는 무성음으로도 존재하며 [m]라는 글자로 표기한다.

사실상 인류조어의 대표적인 특징[6]이라 볼 수 있다. 뭔지 잘 모르겠다면 입을 다물고 소리를 내면 자동으로 m(음)이라고 발음될 것이다. 구순구개열 환자가 아닌 이상, 처음으로 접하는 발음이다. 전 세계 언어의 96%가 이 음운을 보유하고 있다.


2.2. 양순 파열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양순 파열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양순 파찰음[편집]


양순 파찰음(Bilabial Affricate





조음 위치
양순음
조음 방향
구분 없음
조음 방법
파찰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양순 마찰음을 터뜨리듯이 발음한다.

들어보기(pɸ)
두 입술을 붙이고 빵 터트리자 마자 사이로 공기를 내보내 기식을 마찰시켜 내는 소리다.

양순 마찰음이 양순 파열음과 결합하면(정확히는 양순 파열음이 나오려다가 기류가 마찰되면) 양순 파찰음이 된다. 순치 파찰음도 희귀하지만 양순 파찰음은 더 희귀하다. 한국어의 경우 ㅂ, ㅃ, ㅍ 다음에 ㅜ 또는 [w]가 포함된 이중 모음이 왔을 때[7] 무의식적으로 양순 파찰음이 발현되는 경우가 있다. (예: 염불 - [jʌːm.buɭ] → [jʌːm.bβuɭ]).

한국인/일본인은 순치 파찰음(/pf/)을 발음할 때 양순 파찰음으로 발음하려는 경향이 있다. 순치 파찰음을 구성하는 음가 중 순치 마찰음(/f/)이 한국어에서는 양순 파열음(ㅍ), 일본어에서는 양순 마찰음(フ)으로 옮겨지는데, 분명히 터지고 마찰되는데 ㅍ, フ 홀로는 파찰음을 발음할 수 없으니 양순 파열음에 마찰음을 섞어서 이렇게 발음하게 되는 것. 마침 양순 파열음과 양순 마찰음은 한국어와 일본어에 둘 다 있다.둠콮후


2.4. 양순 마찰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양순 마찰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5. 양순 접근음[편집]


양순 접근음(Bilabial Approximant

β/ʋ



조음 위치
양순음
조음 방향
구분 없음
조음 방법
접근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양순 마찰음([β])을 입술을 덜 좁히고 발음하면 된다.

들어보기(ʋ)
두 입술이 닿을락 말락하는 상태에서 공기를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는 ㅜ계 이중모음이나 일본어의 わ행에서 변이음으로 이 소리가 나기도 한다. 양순 연구개 접근음 ([w])과 거의 구분이 안 갈 정도. 차이점이라면 w는 입술이 튀어 나온다. 아직 이 음을 표기하는 기호가 없으므로 유성 양순 마찰음 ([β]) 기호 아래쪽에 ㅜ[8]를 붙인 형태로 사용중이다.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다.

입술이 튀어나오지는 않지만 둥근 특성이 있어서 모음과 β를 이음선으로 묶거나 위첨자 를 써서 원순모음 중 압축모음을 나타낼 때 쓴다. 위첨자는 개별 기호가 없어서 마찰음 기호를 쓴다.



2.6. 양순 탄음[편집]


양순 탄음(Bilabial Flap



조음 위치
양순음
조음 방향
구분 없음
조음 방법
탄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아래에 설명

두 입술을 안쪽으로 했다가 재빨리 튕기는 동시에 공기를 내보내는 소리다.
연구개 폐쇄음인 /k/가 선행되기도 한다. 이 경우에는 혀뿌리로 연구개를 막고서 '빡' 소리를 내준다.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다. 아직 이 음을 표기하는 기호가 없으므로 순치 탄음 기호 아래쪽에 +[9]를 붙인다. 그나마도 순치 탄음은 공식 기호로 지정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이 기호를 볼 수 있는 컴퓨터는 많지 않다. 어떤 모양인지 궁금하다면 클릭


2.7. 양순 전동음[편집]


양순 전동음(Bilabial Trill

ʙ



조음 위치
양순음
조음 방향
구분 없음
조음 방법
전동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입술을 떤다.

들어보기(ʙ)
들어보기(ʙ)
두 입술을 부르르 떨어주면서 공기를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는 없는 발음이나, 아이들이 자동차 시동 거는 소리를 흉내낼 때 간혹 내곤 한다. 감이 안 온다면 직접 들어보자. 트럼펫, 트롬본, 부부젤라 등의 악기를 불 때나 노래 발성 연습에 쓰이는 립트릴이 이 음가이다.

침이 굉장히 잘 튀는 발음이다. 아무 발음이나 연습할 때 함부로 이 발음을 조음하지는 말자.


2.8. 양순 흡착음[편집]


양순 흡착음(Bilabial Click

ʘ



ʘ



조음 위치
양순음
조음 방향
구분 없음
조음 방법
흡착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두 입술을 딱 붙이고 입속 공기를 빨아들이면서 입술을 뗀다.

들어보기(ʘ)

한국어로는 의성어인 '쪽' 또는 '뽁'으로 표현되는 발음이다.

뽀뽀는 '사순(四脣) 흡착음'(quadrilabial click)이라는 우스개도 있다.

대응하는 폐장기류음은 [p] 또는 [pɸ]이다. 전자는 '뽁'이고 후자는 뽀뽀와 같은 '쪽'이다. 후자는 의성어에서만 쓰이고 코이산 제어에 쓰이는 건 전자.

사족으로 원래 이 글자의 세리프체는 위에 있는 이미지로 된 표에서 보듯 ⊙ 모양이었는데 다른 세리프체 글자들과 모양을 맞추기 위해 대문자 O 안에 점이 들어간 모습으로 바뀌었다. 산세리프도 마찬가지. 이 글자의 이름은 '정곡을 찌르다' 할 때 '정곡'이며 영어로는 bullseye이다.


2.9. 양순 내파음[편집]


양순 내파음(Bilabial Implosive

ɓ/ƥ



ɓ



조음 위치
양순음
조음 방향
구분 없음
조음 방법
내파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안쪽으로 당기며 ㅂ을 발음한다. 자세한 건 후술.

들어보기(ɓ)
유니코드는 U+0253.
영어로는 B WITH HOOK이다.

두 입술을 붙였다가 인두 쪽을 아래로 눌러서 안쪽으로 기류가 들어오게 하고 입술을 떼는 소리다.

유성음이며, 대립되는 무성음을 나타내는 기호 [ƥ]는 현재 폐지되었다.
예시
언어
예시
IPA
베트남어
bn
/ɓan˧ˀ/
크메르어

/ɓɑh/
줄루어
ubaba
/ˌuˈɓaːˌɓa/
파트와
beat
/ɓiːt/

발음 방법: 입을 꽉 다물고서 '읍읍' 소리를 내거나 입술을 다물고 목에 힘을 줘서 후두부를 아래쪽으로 움직인다.(보통 그렇게 하면 성대가 울린다.) 그 상태에서 입술을 떼면 된다. 이 때 살짝 '뻑' 소리가 나는 건 덤.



2.10. 양순 방출음[편집]


양순 방출음(Bilabial Ejective Stop



조음 위치
양순음
조음 방향
구분 없음
조음 방법
방출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

비웃을 때 내는 '풉'으로 비유할 수 있다.


2.11. 양순 충격음[편집]


양순 충격음(Bilabial Percussive

ʬ



조음 위치
양순음
조음 방향
구분 없음
조음 방법
충격음
[ 발음 방법 보기 · 접기 ]
입을 벌렸다 다물어서 내는 소리이다.

확장형 기호로, 입을 벌렸다가 갑자기 입술을 앙 다무는 소리이다. wwwww

의성어 '뻐끔뻐끔'을 하는 소리다. 당장 뻐끔의 뜻을 봐도 입을 벌렸다 오므린다는 뜻이므로 이 양순 충격음과 일맥상통한다.

발음 방법: 입을 벌렸다가 입술을 빠르게 쾅 다문다. 이때 '텁' 비슷한 소리가 나면 된다. 또는 금붕어가 뻐끔거릴때처럼 입모양을 한다.이 분야에선 팝캣이 유명하다


3. 관련 문서[편집]



[1] 모호크어는 양순음 뿐만 아니라 순치음도 없다. 즉, 아예 순음 자체가 없다.[2] 여담으로 이들 스스로는 가년게하가라고 한다.[3] 그외에 여러 음식종류들 중에서도 양순음이 없어서 원래 입술을 전혀 붙이지 않고 발음할 수 있는 것들이 꽤 많다.[4] 한편 여기서 파생된 넌센스 퀴즈도 있다. #[5] 다만 한국어에서는 어두에서 비음의 정도가 약해져 [m\]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것을 다른 언어 화자들은 [b\]로 인식하기도 한다. 참고, 영상. 이와 관련해서 유튜버 영국남자의 영상 중 한국어를 처음 배우는 영국인이 초성의 ㅁ 발음을 b로 인식하는 상황이 나온다.[6] 인간이 최초로 발음할 수 있는 자음이다. 이 때문에 엄마를 뜻하는 단어의 발음이 인류 전체가 유사하다.[7] 이때는 접근음이 탈락하고 파열음이 파찰음화한다.[8] 음역을 내리라는 의미의 기호이다. 이와 반대 기능을 하는 기호는 ㅗ.[9] 조음 위치를 앞으로 옮기라는 기호이다. 반대 기능을 하는 기호는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엄마 문서의 r21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엄마 문서의 r2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6:36:26에 나무위키 양순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