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충

덤프버전 :



수 추존 황제
太祖 武元皇帝 | 태조 무원황제

묘호
태조(太祖)
시호
무원황제(武元皇帝)

보륙여(普六茹) → 양(楊)

충(忠)
생몰 기간
507년 ~ 568년
부모
부왕 헌왕(獻王), 모후 개씨(蓋氏)

1. 개요
2. 조상
3. 생애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수나라의 추존 황제.

홍농(弘農) 화음(華陰) 사람으로 남북조시대 서위북주의 대신이었다. 12대장군 중 한 사람으로서 대사공과 수국공(隨國公) 작위를 받았으며, 장남양견수나라를 건국하자 태조(太祖) 무원황제(武元皇帝)로 추존되었다.


2. 조상[편집]


후한의 태위 양진(楊震)의 후예라고 한다. 북위의 북변 6진 중 하나인 무천진(武川鎮) 출신으로 영원대장군 양정(楊禎)의 아들이었다. 그의 할아버지 양렬(楊烈)은 북위때 태원군태수를 지냈으며 양렬의 증조할아버지 양현(楊鉉)은 북연의 북평군태수를 지냈고, 할아버지 양원수(楊元壽)가 북위 초기 무천진으로 이주했다.


3. 생애[편집]


양충은 북위 말기 권신 이주영(爾朱榮)의 친족인 이주도율(爾朱度律)의 휘하에서 군을 이끌었다. 같은 동기로는 북위가 서위와 동위로 분열할 때 함께 서위에 가담해 실력자가 된 위국공(衛國公) 독고신(獨孤信)이 있었다.[1] 양충은 우문태(宇文泰)를 따라 서위를 건국하는 데 공헌하여 서위의 대승상이 된 우문태에게 중용되었다. 이후 공을 세워 거기대장군이 되었다. 북주 건국 이후 양충은 원수로 임명되어 양찬, 이목, 왕걸, 전홍, 모용연 등의 10여 명의 대장을 이끌고 북제를 공격하여 20여 개 성을 함락시켰다. 이후 돌궐(쾩튀르크)의 대군 100,000명이 진양(晉陽)에 쳐들어오자 맞아 싸워 격퇴했다. 공적을 인정받아 12대장군 수국공(随國公)에 봉해졌다.

568년 양충은 병으로 쓰러져 수도 장안으로 돌아왔으나, 낫지 못하고 병사했다. 향년 62세였으며 뒤를 이어 아들 양견이 대장군과 수국공의 지위를 물려받았다.


4. 둘러보기[편집]


주서(周書)

[ 본기(本紀) ]
1·2권 「문제기(文帝紀)」
3권 「효민제기(孝閔帝紀)」
4권 「명제기(明帝紀)」
우문태
우문각
우문육
5·6권 「무제기(武帝紀)」
7권 「선제기(宣帝紀)」
8권 「정제기(靜帝紀)」
우문옹
우문윤
우문천
9권 「후비전(后妃傳)」
원씨 · 질노씨 · 원호마 · 독고황후 · 아사나 · 이아자 · 양려화 · 주만월 · 진월의 · 원락상 · 울지치번 · 사마영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본기(本紀) ]
1·2권 「문제기(文帝紀)」
3권 「효민제기(孝閔帝紀)」
4권 「명제기(明帝紀)」
우문태
우문각
우문육
5·6권 「무제기(武帝紀)」
7권 「선제기(宣帝紀)」
8권 「정제기(靜帝紀)」
우문옹
우문윤
우문천
9권 「후비전(后妃傳)」
원씨 · 질노씨 · 원호마 · 독고황후 · 아사나 · 이아자 · 양려화 · 주만월 · 진월의 · 원락상 · 울지치번 · 사마영희
}}}
[ 열전(列傳) ]
10권 「소혜공호등전(邵惠公顥等傳)」
11권 「진탕공호전(晉蕩公護傳)」
12권 「제양왕헌전(齊煬王憲傳)」
우문호(顥) · 우문련 · 우문낙생 · 우문중
우문호(護)
우문헌
13권 「문민명무선제자전(文閔明武宣諸子傳)」
우문진 · 우문직 · 우문초 · 우문검 · 우문순 · 우문성 · 우문달 · 우문통 · 우문형 · 우문강 · 우문현 · 우문정 · 우문식 · 우문찬 · 우문지 · 우문윤(允) · 우문충 · 우문태(兌) · 우문원 · 우문연(衍) · 우문술
14권 「하발승등전(賀拔勝等傳)」
15권 「구락등전(寇洛等傳)」
하발승 · 염현
구락 · 이필 · 우근
16권 「조귀등전(趙貴等傳)」
17권 「양어등전(梁禦等傳)」
조귀 · 독고신 · 후막진숭
양어 · 약간혜 · 이봉 · 유량 · 왕덕
18권 「왕비등전(王羆等傳)」
19권 「달해무등전(達奚武等傳)」
왕비 · 왕사정
달해무 · 후막진순 · 두로녕 · 우문귀 · 양충 · 왕웅
20권 「왕맹등전(王盟等傳)」
21권 「울지형등전(尉遲迥等傳)」
왕맹 · 하란상 · 울지강 · 질열복귀 · 염경
울지형 · 왕겸 · 사마소난
22권 「주혜달등전(周惠達等傳)」
23권 「소작전(蘇綽傳)」
24권 「노변전(盧辯傳)」
주혜달 · 양관 · 류경
소작
노변
25권 「이현전(李賢傳)」
26권 「장손검등전(長孫儉等傳)」
이현
장손검 · 장손소원 · 곡사징
27권 「혁련달등전(赫連達等傳)」
28권 「사녕등전(史寧等傳)」
혁련달 · 한과 · 채우 · 상선 · 신위 · 사적창 · 전홍 · 양춘 · 양대 · 우문측
사녕 · 육등 · 하약돈 · 권경선
29권 「왕걸등전(王傑等傳)」
왕걸 · 왕용 · 우문규 · 우문성 · 경호 · 고림 · 이화 · 이루목 · 양소 · 왕아 · 달해식 · 유웅 · 후식
30권 「두치등전(竇熾等傳)」
31권 「위효관등전(韋孝寬等傳)」
두치 · 우익
위효관 · 위형 · 양사언
32권 「신휘등전(申徽等傳)」
33권 「사적치등전(厙狄峙等傳)」
신휘 · 육통 · 류민 · 노유 · 당근
사적치 · 양천 · 조강 · 왕경 · 조창 · 왕열 · 배문표
34권 「조선등전(趙善等傳)」
35권 「정효목등전(鄭孝穆等傳)」
조선 · 원정 · 양표 · 배관 · 양부
정효목 · 최겸 · 최유 · 배협 · 설단 · 설선
36권 「정위등전(鄭偉等傳)」
37권 「구준등전(寇儁等傳)」
정위 · 양찬 · 단영 · 왕사량 · 최언목 · 영호정 · 사마예 · 배과
구준 · 한포 · 조숙 · 장궤 · 이언 · 곽언 · 배문거
38권 「소량등전(蘇亮等傳)」
39권 「위진등전(韋瑱等傳)」
소량 · 류규 · 여사례 · 설징 · 설치 · 이창 · 원위
위진 · 양흔 · 황보번 · 신경지 · 왕자직 · 두고
40권 「울지운등전(尉遲運等傳)」
41권 「왕포등전(王襃等傳)」
울지운 · 왕궤 · 우문신거 · 우문효백 · 안지의
왕포 · 유신
42권 「소휘등전(蕭撝等傳)」
43권 「이연손등전(李延孫等傳)」
소휘 · 소세이 · 소원숙 · 소대환 · 종름 · 유번 · 류하
이연손 · 위우 · 한웅 · 진흔 · 위현
44권 「천기등전(泉企等傳)」
45권 「유림전(儒林傳)」
천기 · 이천철 · 양건운 · 부맹 · 양웅 · 석고 · 임과
노탄 · 노광 · 심중 · 번심 · 웅안생 · 악손
46권 「효의전(孝義傳)」
이당 · 류회 · 두숙비 · 형가 · 진족 · 황보하 · 장원
47권 「예술전(藝術傳)」
48권 「소찰전(蕭詧傳)」
기준 · 장승 · 요승원 · 여경희 · 조문심 · 저해
소찰
49·50권 「이역전(異域傳)」
고구려 · 백제 · 만족(蠻) · 요족(獠) · 탕창 · 등지 · 백란 · 저족 · 계호 · 고막해 · 돌궐 · 토욕혼 · 고창 · 선선 · 언기 · 구차 · 우전 · 엽달
속특 · 안식국 · 파사


[1] 독고신의 딸 독고씨(獨孤氏)가 양충의 아들 수문제 양견의 아내였던 문헌황후(文獻皇后)였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19:11:30에 나무위키 양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