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날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쿠팡플레이 2021년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어느 날 문서
어느 날번 문단을
어느 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어느날 (2016)
Oneday
파일:2017영화_어느날.jpg}}}
장르
드라마, 판타지, 멜로
감독
이윤기
원안
송해성
각본
김영희
각색
김희정, 정원식, 이윤기
기획
김선아
제작
나경찬, 김동현
프로듀서
이동호
촬영
최상호
조명
배일혁
음악
푸디토리움
미술
이봉환
편집
김형주
출연
김남길, 천우희
제작사
인벤트스톤
배급사
CGV 아트하우스, 오퍼스픽쳐스
촬영 기간
2016년 4월 12일 ~ 2016년 7월 8일
개봉일
2017년 4월 5일
상영 시간
114분
총 관객수
234,681명 (최종)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시놉시스
3. 출연
4. 우정출연
5. 예고편
6. 줄거리
7. 평가
8. 기타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17년 4월 5일에 공개한 한국의 로맨스 영화.

아내의 죽음을 목격한 한 남자가 우연히 식물인간 상태에 빠진 한 여자를 만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


2. 시놉시스[편집]


“누구세요?” 어느날, 나에게만 그녀가 보이기 시작했다
아내가 죽은 후 삶의 희망을 잃고 살아가던 보험회사 과장 ‘강수’.
회사로 복귀한 그는 교통사고로 혼수상태에 빠진 ‘미소’의 사건을 맡게 된다.
‘강수’는 사고 조사를 위해 병원을 찾아가고, 그 곳에서 스스로 ‘미소’라고 주장하는 한 여자를 만나게 된다.
자꾸만 자신에게만 보이는 ‘미소’를 수상하게 여긴 ‘강수’는
그녀가 다른 사람들 눈에 보이지 않는 영혼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는데…
“제가 보여요?” 어느날, 새로운 세상이 보이기 시작했다
교통사고 후 의식을 잃었다가 병원에서 깨어난 ‘미소’는
병실에 누워있는 자신의 모습을 보고 스스로가 영혼이 되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생전 처음 새로운 세상을 보기 시작한 ‘미소’는 유일하게 자신을 볼 수 있는 ‘강수’를 만나게 되고
그동안 간절히 이루고 싶었던 소원을 들어달라고 부탁하는데..


3. 출연[편집]




4. 우정출연[편집]




5. 예고편[편집]



▲ 본 예고편


6. 줄거리[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한 보험회사의 과장 이강수(김남길 분)는 병을 앓다가 죽은 아내의 장례식에 가지 않고 거리를 배회하다가 집으로 다시 돌아간다. [1]

삶의 의욕을 잃은 채 회사로 복귀한 그는 강수네 보험회사 고위직의 아들이 교통사고를 낸 사건을 맡게 되는데, 교통사고 피해자 단미소(천우희 분)는 시각장애인이며, 교통사고로 인해 현재는 식물인간인데다가 고아여서 법적으로 대리해 줄 가족이 없어 골머리를 앓게 된다.

강수는 조사 차 피해자 단미소가 입원한 병원에 가게 된다. 미소의 병실을 둘러보다가 [2] 병실 창가에 일렬로 자리한 조약돌, 서랍 안 미소의 어릴적 사진과 휴대폰 등을 발견한다. 서랍 속 물건들을 찍던 중 어떤 여성이 [3] 강수 앞에 나타나게 되는데, 강수가 화들짝 놀라자 여성은 자신이 보이냐며 신기해한다. 강수는 다짜고짜 나타나 자신을 신기해하는 여성을 이상하다 여기며 병실을 빠져나온다.

강수는 미소와 같이 일했던 동료[4]이면서 친구이자 대리인인 박호정(박희본 분)을 찾아가 미소가 죽기 전 어떠한 변화나 안 좋은 일이 있었는지, 사고 현장인 강원도 고성군까지 왜 갔을지 캐묻지만 호정은 무신경한 태도로 일관하며 건성건성 대답한다. 사고 현장에 그저 여행삼아 갔지 않겠느냐는 호정의 대답에 "장님이 혼자 여행을? 허.."라고 강수가 작게 혼잣말을 하자 내내 무신경하던 호정이 장님이 아니라 시각장애인이라며 화를 낸다. 뒤이어 강수같은 사람들이 많이 왔었고 다들 미소가 자살시도를 한 것처럼 묻고 갔다며 합의는 없으며 돌아가라며 화낸 뒤 자리를 떠난다.

처음 병원에 왔을 때 만났던 보험사기꾼을 마주하고 이야기를 나누던 강수는 자신을 따라온 미소가 병실에 누워 있는 미소의 영혼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다른 사람에게는 이 영혼이 보이지 않고 자신에게만 보인다는 것을 알게 된다. 충격을 받은 강수는 황급히 병원을 뛰쳐나간다.


7. 평가[편집]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기자·평론가
display:inline-block"
8.29 / 10

display:inline-block"
7.78 / 10

]]
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기자·평론가
display:inline-block"
8.29 / 10

display:inline-block"
7.78 / 10

]]






포스터에 나온 장면처럼 달콤한 로맨스 영화를 기대하고 보았다가는 실패다. 포스터나 예고편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무겁고 심각한 분위기와 주제의식을 담고 있는 영화다.

배우들의 연기는 좋았다. 그런데... 무리한 결말 때문에 쭉 이어지던 감정선이 박살났다는 후기가 있다.[5]

영혼 상태인 여주인공이 남주인공에게는 물리력을 행사할 수 있는데, 이유가 나오지 않는다.


8. 기타[편집]


  • 제목이 <마이엔젤>에서 <어느날>로 변경되었다.

  • 여주인공 이름이 단미소인데, 우정출연으로 나온 배우 중에 이미소가 있다.

  • 사망전대 멤버 김남길이 죽지 않는 얼마 안 되는 작품이다. (다만 가까운 사람 중 사망자가 있고, 죽음이 주제와 연관이 깊다)

  • 국립재활병원[6]에서 찍은 장면이 많다. 사실 영화의 거의 절반이 병원과 병원 주변 장면이고, 나머지가 주인공의 집, 직장 등이다.

  • 장님을 시각장애인으로 고쳐 부르라는 장면이 나오는데, ~님으로 끝나는 걸로 보아 알수 있듯 원래 장님은 존칭이었다. 비하의 의미는 없던 소경, 맹인, 봉사와 비교하면 분명 높임말이다. [7] 그리고 시각장애인은 안 보이는 소경, 맹인보다 범위가 넓은 단어였다. 하지만 세월이 흘러 그 의미가 낮잡아 부르는 것으로 변했고, 해당 장애인이 그렇게 불러주길 바라므로 시각장애인이라 하는 것이 좋겠다. #


9.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21:11:42에 나무위키 어느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강수를 찾는 제부의 전화가 오지만 받지 않는다.[2] 식물인간으로 누워있는 미소의 사진을 찍으려다 병상에 누워있었던 아내가 겹쳐보여 이내 그만둔다.[3] 단미소의 영혼.[4] 미소가 사고 당하기 전까지는 시각장애인 복지재단에서 일했던 것으로 보인다.[5] 아내가 죽은 이유가 가망 없는 자신의 병세에 남편의 부담을 줄여주려는 자살이었고, 가망 없는 미소의 식물인간 상태와 겹쳐보이며 주인공은 원망을 해소한 미소의 생명 유지 장치를 끈다. 주인공의 행위는 본인(귀신은 본인이 아니다)과 가족의 동의가 없었기 때문에 존엄사라고 할 수 없고 법적으로는 살인이므로, 아무리 인생을 포기한 주인공이라 해도 무리한 결론이 맞다.[6] 강북구 수유동 소재[7] 높임의 정도는 소경<맹인<봉사=장님 정도. 심청의 아버지를 심봉사라 부른 것도 꽤 대접해 주는 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