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스토니시아 스토리 리파인

덤프버전 : (♥ 0)



파일:Astonishia_Story_New_Logo.jpg

1. 개요
2. 설명
3. 출시 전 정보
3.1. 전투 관련
3.2. 시스템 관련
3.3. 설정 관련


1. 개요[편집]


파일:Astonishia_Story_30'th_Anniversary_Illustration.jpg
캐릭터 원화 작업에 참여했던 '열혈강호' 양재현 작가의 30주년 기념 축전

손노리가 1994년 출시한 어스토니시아 스토리리메이크판을 베이스로 리파인한 게임.

유통사는 대원미디어이며 개발사는 포트리스 S와 환세취호전+의 개발사인 웨이코더로, 2025년 출시를 목표로 제작 중이다.


2. 설명[편집]


2024년 5월 20일, 시리즈 30주년을 기념하여 리파인이 발표 되었다. 기존 게임에서 해상도와 텍스처 같은 시각적 요소 위주로 개선하는 리마스터도, 게임을 완전히 새로 만드는 리메이크도 아닌, 다소 생소할 수 있는 '리파인'의 노선을 표방했다. 이 때문에 첫 정보 공개 당일부터 스토리에는 변경이 없다고 못을 박았다.

즉, 게임의 큰 골자는 기존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R(2005)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여기서 밸런스나 시스템 편의성의 개선, 새로운 기능의 추가 등이 주요 개발 방향이라고 한다.

PSP판에 있던 절라후진 던전같은 요소(with 옭아, 맨땅기어)는 도입될 것 같지 않다. 이어 프란시스가 쓰던 검 '샤킨'(공격력 +15)을 플레이어가 제대로 사용할 수 있는지도 관건이다. 도스판에서 최종 보스가 샤킨을 넘겨주는데, 보스전 후 게임이 끝나므로 이를 사용할 기회가 없었다.


3. 출시 전 정보[편집]


5월 23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4 플레이엑스포에서 시연한 데모 플레이를 통해 베이스가 되는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R과 비교해 아래와 같은 변경이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아직 개발 극초기 단계로, 아래의 정보들은 추후 개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3.1. 전투 관련[편집]


  • 전투 중 이동 방식이 SRPG 타일 형식으로 변경: 기존 작품들에선 턴이 돌아오면 대기버튼을 누를 때까지 표시되는 이동 범위 안에서 방향키를 이용해 마을 필드를 돌아다니듯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었다. 그러나 본작에서는 통상의 SRPG와 동일하게 최종적으로 이동할 위치를 결정하면 그 위치까지 자동 이동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 전투 모션의 추가: 기존 작품에서 전투 시 가만히 서 있는 포즈나 이동 모션은 일반 필드를 돌아다닐 때와 동일했으나 상기 이동 방식의 변경으로 인해 뉴트럴 포즈도 무기를 쥐고 있는 모습으로 변경되었고, 지정 위치로 이동할 시 돌격하는 듯한 모션이 추가되었다.

  • 가드의 추가: 상대를 공격하지 않고 턴 종료시 방어 자세를 취해 이어지는 적의 공격을 받을 시 대미지를 줄일 수 있다.

  • 스킬의 개편 및 추가: 방어력을 올리는 ZIP 방어 외에는 공격계 스킬 일색이었던 주인공 로이드 폰 로이엔탈에게 적들의 어그로를 끄는 스킬 '워 크라이'가 추가되었다.[1] 대상자는 말풍선으로 로이드만을 떠올린다. 그리고 현재로썬 네임드 적에게만 적용 된 것으로 보이지만 기본 공격 뿐이었던 적들에게도 고유 스킬이 추가되었다.


3.2. 시스템 관련[편집]


  • 전투 시 필요에 따라 카메라가 캐릭터를 확대하는 줌 인/아웃 기능이 추가되었다.

  • 닌텐도 스위치 패드 기준 L, R 버튼으로 부스터를 끄고 켤 수 있어 전투 템포 조절이 가능해 질 것으로 보인다.[2]

  • 필드에서 비 오는 날씨가 추가되었다.


3.3. 설정 관련[편집]


  • 마법 명칭이 변경된 것으로 확인 되었다. 역대 모든 어스토 시리즈에서 회복 마법은 '큐라'(cure를 변형한 명칭)라는 명칭으로 표기했었는데, 이번 공개 영상에선 '힐'이라는 다소 평범한 네이밍으로 변경되었다. 큐라는 회복계에 속한 마법의 접두사로 사용되기도 했기에, 공개 영상에 나온 '매스 힐'도 원작 설정 규칙을 따를 경우 '메샤 큐라'로 표기되었을 것이다. 회복계 외에도 화염계, 냉한계, 진공계, 전격계 등에도 각각 피라, 아이겐, 아이어, 쏘울 등 고유명사가 있는데, 이런 식으로 서로 다른 속성 표기들도 모조리 변경 되었을지는 불명이다. 다만 개발 극초기 상황이라 우선 일반 방문자들의 눈에 익은 명칭을 사용했을 가능성 또한 염두에 둘 순 있는 상황이다.

  • 상기 표기 변경이 확정이라면 회복 - 정신 - 변환 / 전격 - 화염 - 냉한 - 진공으로 상극 관계를 가진 7개 계통의 속성과 이 속성에 따라 마법을 구분한다는 설정도 사라지거나 변경된 것으로 보이는데, 기존 시리즈에서 힐(큐라)은 회복계, 리커버리는 정신계로 분류되어 있었으나 본 작품에선 같은 항목에 들어있다.

  • '다크'로 시작하는 암흑 속성 마법이 신규로 추가되었다.

  • 데모판 전투에선 브륌힐트 휘하 장수 중 가장 먼저 사망했던 서자인이 그 다음으로 사망하는 장수 드레드 포드와 함께 등장한다. 원작이든 리메이크든 서자인은 코볼트무어 숲에서의 전투에서 등장하자마자 사망했기에, 그 이후 페라린군의 싸울아비 사원 습격 시점부터 등장하는 드레드 포드와 함께 있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스토리가 진행될수록 브륌힐트의 수하장수들과의 승부가 점점 패튼&헤르저 위주로 편중되는 후반부 전투에서 캐릭터들의 역할을 재조정해 이 둘이 스토리 후반부까지 살아서 등장할 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이 올라갔다.
다만 리파인판은 첫 정보 공개 당시부터 기본 스토리에 변경은 없다고 못을 박은데다, 데모 시연은 원작 스토리와 무관하게 어떤 느낌인지 보여주기 위해 임시로 마련한 스테이지를 시연하는 경우도 많아서, 단순히 데모를 위해서만 등장했을 가능성 또한 있다. 특히 서자인의 경우 기존 작품들에서 조연은 커녕 네임드 잡몹 수준의 비중을 차지하다 보니 후반까지 생존은 고사하고 취급이 더욱 야박해질 우려가 있는데, 이 모델링이 서자인 개인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엘프 고위 마법사' 같은 범용 적군 캐릭터의 모넬링으로 강등되었을 가능성 또한 무시할 수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4 00:16:46에 나무위키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리파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원작 문서로이드 폰 로이엔탈 문서에서 오래전부터 지적 해 온 전투 측면의 아쉬운 점으로, 캐릭터별 특색을 좀 더 뚜렷이 하기 위함으로 보인다.[2] 시연 데모에선 버튼의 표시만 있고 실제로 작동하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