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가와 스구루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 한큐 브레이브스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
|| 1965년 ||<width=20%> 1966년 1차 ||<width=20%> 1966년 2차 ||<width=20%> 1967년 ||<width=20%> 1968년 ||
|| 나가이케 아츠시
(長池徳士) || 미즈타니 타카시
(水谷孝) || 히라바야시 지로
(平林二郎) || 와타나베 카즈오
(渡辺一夫) || 야마다 히사시
(山田久志) ||
|| 1969년 ||<width=20%> 1970년 ||<width=20%> 1971년 ||<width=20%> 1972년 ||<width=20%> 1973년 ||
|| 미와타 카츠토시
(三輪田勝利) || 코마츠 켄지
(小松健二) || 와타나베 히로키
(渡辺弘基) || 이시다 마코토
(石田真) || 에가와 스구루(6)[1]
(江川卓) ||
|| 1974년 ||<width=20%> 1975년 ||<width=20%> 1976년 ||<width=20%> 1977년 ||<width=20%> 1978년 ||
|| 야마구치 타카시
(山口高志) || 스미토모 카즈야(6)
(住友一哉) || 사토 요시노리
(佐藤義則) || 마츠모토 쇼지
(松本正志) || 세키구치 토모유키(1)
(関口朋幸) ||
|| 1979년 ||<width=20%> 1980년 ||<width=20%> 1981년 ||<width=20%> 1982년 ||<width=20%> 1983년 ||
|| 키노시타 토모히로(1)
(木下智裕) || 카와무라 카즈아키(6)
(川村一明) || 야마오키 유키히코(1)
(山沖之彦) || 에노키다 켄이치로(1)
(榎田健一郎) || 노나카 테츠히로(1)
(野中徹博) ||
|| 1984년 ||<width=20%> 1985년 ||<width=20%> 1986년 ||<width=20%> 1987년 ||<width=20%> 1988년[2] ||
|| 시라이 타카유키
(白井孝幸) || 이시이 히로시(1)
(石井宏) || 타카기 코지(1)
(高木晃次) || 이토 아츠노리(2)
(伊藤敦規) || 사카이 츠토무(2)
(酒井勉) ||


[ 오릭스 브레이브스 - 블루웨이브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89년 ~ 2004년
||
|| 1989년 ||<width=20%> 1990년 ||<width=20%> 1991년 ||<width=20%> 1992년 ||<width=20%> 1993년 ||
|| 사토 카즈히로(1)
(佐藤和弘) || 하세가와 시게토시
(長谷川滋利) || 타구치 소(2)
(田口壮) || 코바야시 히로시(1)
(小林宏) || 히라이 마사후미
(平井正史) ||
|| 1994년 ||<width=20%> 1995년 ||<width=20%> 1996년 ||<width=20%> 1997년 ||<width=20%> 1998년 ||
|| 카세 토시히로
(嘉㔟敏弘) || 이마무라 후미아키(1)
(今村文昭) || 스기모토 유우(3)
(杉本友) || 카와구치 토모야(2)
(川口知哉) || 아라카키 나기사(6)
(新垣渚) ||
|| 1999년 ||<width=20%> 2000년 ||<width=20%> 2001년 ||<width=20%> 2002년 ||<width=20%> 2003년 ||
||<|2> 야마구치 카즈오(3)
(山口和男) ||<|2> 우츠미 테츠야(6)
(内海哲也) || 오가와 유스케(3)
(小川裕介) ||<|2> 카토 다이스케(3)
(加藤大輔) ||<|2> 카토 타츠오
(歌藤達夫) ||
|| 히라노 케이이치(3)
(平野恵一) ||
||<width=20%> 2004년 ||
|| 카네코 치히로(3)
(金子千尋) ||


[ 오릭스 버팔로즈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2005년 ~
||
||<width=20%> 2005년 ||<width=20%> 2006년 ||<width=20%> 2007년 ||<width=20%> 2008년 ||<width=20%> 2009년 ||
|| T-오카다(1)(4)
(T-岡田) || 노부에 다이스케(1)(4)
(延江大輔) || 니와 마사야(1)(4)
(丹羽将弥) ||<|2> 카이 타쿠야[1]
(甲斐拓哉) ||<|2> 후루카와 슈이치
(古川秀一) ||
|| 히라노 요시히사(3)(5)
(平野佳寿) || 코마츠 사토시(3)(5)
(小松聖) || 코바야시 켄지(1)(5)
(小林賢司) ||
||<width=20%> 2010년 ||<width=20%> 2011년 ||<width=20%> 2012년 ||<width=20%> 2013년 ||<width=20%> 2014년 ||
|| 고토 슌타(1)[2]
(後藤駿太) || 아다치 료이치(1)
(安達了一) || 마츠바 타카히로(1)
(松葉貴大) || 요시다 카즈마사
(吉田一将) || 야마사키 사치야
(山﨑福也) ||
||<width=20%> 2015년 ||<width=20%> 2016년 ||<width=20%> 2017년 ||<width=20%> 2018년 ||<width=20%> 2019년 ||
|| 요시다 마사타카
(吉田正尚) || 야마오카 타이스케
(山岡泰輔) || 타지마 다이키(2)
(田嶋大樹) || 오타 료(1)
(太田椋) || 미야기 히로야(1)
(宮城大弥) ||
||<width=20%> 2020년 ||<width=20%> 2021년 ||<width=20%> 2022년 ||<width=20%> 2023년 ||<width=20%> 2024년 ||
|| 야마시타 슌페이타(1)
(山下舜平大) || 무쿠노키 렌
(椋木蓮) || 소타니 류헤이
(曽谷龍平) || 요코야마 세이야
(横山聖哉)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중복 지명 당첨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각주]
킨테츠의 1라운드 지명선수는 틀: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1라운드 지명선수 참조



}}} ||

[ 펼치기 · 접기 ]

[ 쇼와 시대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
|| 1965년 ||<width=20%> 1966년 1차 ||<width=20%> 1966년 2차 ||<width=20%> 1967년 ||<width=20%> 1968년 ||
|| 하마무라 타카시
(浜村孝) || 오카무라 요시노리
(岡村佳典) || 아라타케 야스히로
(荒武康博) || 카와하라 아키라
(土屋紘) || 히가시오 오사무
(東尾修) ||
|| 1969년 ||<width=20%> 1970년 ||<width=20%> 1971년 ||<width=20%> 1972년 ||<width=20%> 1973년 ||
|| 이즈미사와 아키라
(泉沢彰) || 타카하시 후미오
(高橋二三男) || 요시다 요시노부
(吉田好伸) || 나카지마 히로미
(中島弘美) || 야마무라 요시노리
(山村善則) ||
|| 1974년 ||<width=20%> 1975년 ||<width=20%> 1976년 ||<width=20%> 1977년 ||<width=20%> 1978년 ||
|| 타무라 타다요시
(田村忠義) || 코가 마사아키
(古賀正明) || 타치바나 요시이에
(立花義家) || 에가와 스구루(6)
(江川卓) || 모리 시게카즈(1)
(森繁和) ||
|| 1979년 ||<width=20%> 1980년 ||<width=20%> 1981년 ||<width=20%> 1982년 ||<width=20%> 1983년 ||
|| 홍순기
(코노 준키)
(鴻野淳基) || 이시게 히로미치
(石毛宏典) || 이토 츠토무
(伊東勤) || 노구치 히로미(1)
(野口裕美) || 와타나베 히사노부
(渡辺久信) ||
|| 1984년 ||<width=20%> 1985년 ||<width=20%> 1986년 ||<width=20%> 1987년 ||<width=20%> 1988년 ||
|| 오쿠보 히로모토(1)
(大久保博元) || 키요하라 카즈히로(1)
(清原和博) || 모리야마 료지
(森山良二) || 스즈키 켄
(鈴木健) || 와타나베 토미오
(渡辺智男) ||


[ 헤이세이 시대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89년 ~ 2018년
||
|| 1989년 ||<width=20%> 1990년 ||<width=20%> 1991년 ||<width=20%> 1992년 ||<width=20%> 1993년 ||
|| 시오자키 테츠야
(潮崎哲也) || 나가마 켄지(1)
(長見賢司) || 타케시타 쥰(1)
(竹下潤) || 스가야마 켄토(1)
(杉山賢人) || 이시이 타카시(2)
(石井貴) ||
|| 1994년 ||<width=20%> 1995년 ||<width=20%> 1996년 ||<width=20%> 1997년 ||<width=20%> 1998년 ||
|| 도미오카 히사타카(1)
(富岡久貴) || 타카키 타이세이(1)
(高木大成) || 타마노 히로마사
(玉野宏昌) || 안도 마사노리(2)
(安藤正則) || 마쓰자카 다이스케(3)
(松坂大輔) ||
|| 1999년 ||<width=20%> 2000년 ||<width=20%> 2001년 ||<width=20%> 2002년 ||<width=20%> 2003년 ||
|| 타카야마 히사시(1)
(高山久) || 오누마 코지
(大沼幸二) || 호소카와 토루(1)
(細川亨) || 고토 타케토시
(後藤武敏) || 야마자키 사토시
(山崎敏) ||
|| 2004년 ||<width=20%> 2005년 ||<width=20%> 2006년 ||<width=20%> 2007년 ||<width=20%> 2008년 ||
||<|2> 와쿠이 히데아키(3)
(涌井秀明) || 스미타니 긴지로(3)
(炭谷銀二郎) || 키무라 후미카즈(3)
(木村文和) || 지명권 박탈(3)(A) ||<|2> 나카자키 유타(3)
(中崎雄太) ||
|| 마쓰나가 히로노리(2)(4)
(松永浩典) || 키시 타카유키(2)(4)
(岸孝之) || 히라노 마사미츠(1)(4)
(平野将光) ||
|| 2009년 ||<width=20%> 2010년 ||<width=20%> 2011년 ||<width=20%> 2012년 ||<width=20%> 2013년 ||
|| 기쿠치 유세이(3)
(菊池雄星) || 오이시 타츠야(4)
(大石達也) || 토가메 켄(4)
(十亀剣) || 마스다 타츠시(1) (4)
(増田達至) || 모리 토모야(3)
(森友哉) ||
|| 2014년 ||<width=20%> 2015년 ||<width=20%> 2016년 ||<width=20%> 2017년 ||<width=20%> 2018년 ||
|| 타카하시 코나(3)
(高橋光成) || 타와타 신사부로(4)
(多和田慎之助) || 이마이 다쓰야(3)
(今井達也) || 사이토 히로마사(1)(4)
(斉藤大将) || 마츠모토 와타루 (4)
(松本航) ||


[ 레이와 시대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2019년 ~
||
|| 2019년 ||<width=20%> 2020년 ||<width=20%> 2021년 ||<width=20%> 2022년 ||<width=20%> 2023년 ||
|| 미야가와 테츠(1)(4)
(宮川哲) || 와타나베 켄토(1)(4)
(渡辺健太) || 스미다 치히로(4)
(隅田知一郎) || 히루마 타쿠야(4)
(蛭間拓哉) || 타케우치 나츠키
(武内夏暉)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3) 고교생 드래프트, (4)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5) 지명 후 미입단
(A) 이 해 세이부는 드래프트 지명 대상 선수들에게 영양관리비와 같은 명목으로 금전을 제공하는 등의 부정 스카우트 행위를 한 것이 발각되어 고졸 드래프트 상위 지명권을 박탈당했다.
(6) 지명 후 미입단



}}} ||

[ 펼치기 · 접기 ]

[ 쇼와 시대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
|| 1965년 ||<width=20%> 1966년 1차 ||<width=20%> 1966년 2차 ||<width=20%> 1967년 ||<width=20%> 1968년 ||
|| 이시도코 미키오
(石床幹雄) || 에나츠 유타카
(江夏豊) || 니시무라 코이치
(西村公一) || 노가미 토시오
(野上俊夫) || 타부치 코이치
(田淵幸一) ||
|| 1969년 ||<width=20%> 1970년 ||<width=20%> 1971년 ||<width=20%> 1972년 ||<width=20%> 1973년 ||
|| 우에다 지로
(上田次朗) || 타니무라 토모히로
(谷村智啓) || 야마모토 카즈유키
(山本和行) || 사오토메 유타카
(五月女豊) || 사노 노리요시
(佐野仙好) ||
|| 1974년 ||<width=20%> 1975년 ||<width=20%> 1976년 ||<width=20%> 1977년 ||<width=20%> 1978년 ||
|| 코가 마사아키(6)
(古賀正明) || 아다치 요시오(6)
(足立義男) || 마스야마 세이쿄쿠
(益山性旭) || 이토 후미타카
(伊藤文隆) || 에가와 스구루(2)(6)[1]
(江川卓) ||
|| 1979년 ||<width=20%> 1980년 ||<width=20%> 1981년 ||<width=20%> 1982년 ||<width=20%> 1983년 ||
|| 오카다 아키노부(2)
(岡田彰布) || 나카다 요시히로
(中田良弘) || 겐고로마루 히로시(1)
(源五郎丸洋) || 키도 카츠히코
(木戸克彦) || 나카니시 키요오키
(中西清起) ||
|| 1984년 ||<width=20%> 1985년 ||<width=20%> 1986년 ||<width=20%> 1987년 ||<width=20%> 1988년 ||
|| 시마다 아키히로(2)
(嶋田章弘) || 토오야마 쇼지(1)
(遠山奬志) || 이노마타 타카시(1)
(猪俣隆) || 노다 코지(1)
(野田浩司) || 나카고미 신
(中込伸) ||


[ 헤이세이 시대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89년 ~ 2018년
||
|| 1989년 ||<width=20%> 1990년 ||<width=20%> 1991년 ||<width=20%> 1992년 ||<width=20%> 1993년 ||
|| 카사이 미노루(1)
(葛西稔) || 유후네 토시로(1)
(湯舟敏郎) || 하기와라 마코토
(萩原誠) || 아다치 토모지로(1)
(安達智次郎) || 야부 케이이치(3)
(藪恵壹) ||
|| 1994년 ||<width=20%> 1995년 ||<width=20%> 1996년 ||<width=20%> 1997년 ||<width=20%> 1998년 ||
|| 야마무라 히로키
(山村宏樹) || 후나키 사토시(3)
(舩木聖士) || 이마오카 마코토(3)
(今岡真訪) || 나카타니 진
(中谷仁) || 후지카와 큐지
(藤川球児) ||
|| 1999년 ||<width=20%> 2000년 ||<width=20%> 2001년 ||<width=20%> 2002년 ||<width=20%> 2003년 ||
||<|2> 마도바 칸이치(3)
(的場寛一) ||<|2> 후지타 타이요(3)
(藤田太陽) || 안도 유야(3)
(安藤優也) || 스기야마 나오히사(3)
(杉山直久) || 토리타니 타카시(3)
(鳥谷敬) ||
|| 아사이 료(3)
(浅井良) || 에구사 히로타카(3)
(江草仁貴) || 츠츠이 카즈야(3)
(筒井和也) ||
|| 2004년 ||<width=20%> 2005년 ||<width=20%> 2006년 ||<width=20%> 2007년 ||<width=20%> 2008년 ||
|| 노미 아츠시(3)
(能見篤史) || 츠루 나오토(4)
(鶴直人) || 노하라 마사시(1)(4)
(野原将志) || 타카하마 타쿠야(1)(2)(4)
(髙濱卓也) ||<|2> 샤오이지에(1)
(蕭一傑) ||
|| 오카자키 타이치(3)
(岡﨑太一) || 이와타 미노루(3)(5)
(岩田稔) || 코지마 타츠야(3)(5)
(小嶋達也) || 시라니타 히로카즈(1)(5)
(白仁田寛和) ||
|| 2009년 ||<width=20%> 2010년 ||<width=20%> 2011년 ||<width=20%> 2012년 ||<width=20%> 2013년 ||
|| 후타가미 카즈히토(1)
(二神一人) || 에노키다 다이키(1)
(榎田大樹) || 이토 하야타
(伊藤隼太) || 후지나미 신타로(2)
(藤浪晋太郎) || 이와사다 유타(1)
(岩貞祐太) ||
|| 2014년 ||<width=20%> 2015년 ||<width=20%> 2016년 ||<width=20%> 2017년 ||<width=20%> 2018년 ||
|| 요코야마 유야(1)
(横山雄哉) || 타카야마 슌(2)
(髙山俊) || 오오야마 유스케
(大山悠輔) || 바바 코스케(1)(2)
(馬場皐輔) || 치카모토 코지(1)
(近本光司) ||


[ 레이와 시대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2019년 ~
||
|| 2019년 ||<width=20%> 2020년 ||<width=20%> 2021년 ||<width=20%> 2022년 ||<width=20%> 2023년 ||
|| 니시 준야(1)
(西純矢) || 사토 테루아키(2)
(佐藤輝明) || 모리키 다이치(1)
(森木大智) || 모리시타 쇼타(1)
(森下翔太) || 시모무라 카이토
(下村海翔)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중복 지명 추첨 성공.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각주]
틀:한신 타이거스로 돌아가기




파일:external/www.asahi.com/TKY201203210100.jpg
이름
에가와 스구루(江川 卓)
생년월일
1955년 5월 25일
국적
일본
출신지
후쿠시마현 이와키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입단
1978년 드래프트 1위
소속팀
한신 타이거스(1979)[1]
요미우리 자이언츠(1979~1987)


1. 개요
2. 프로 입단 전
3. 공백의 1일
5. 기타
5.1. 고바야시 시게루와의 관계


1. 개요[편집]


일본프로야구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뛰었던 전직 프로야구 선수(투수)이다. 현재는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 활동 중이다.


2. 프로 입단 전[편집]


파일:external/cdn.mirror.wiki/af775b34883edee32ba8f794268aec68.jpg

도치기현 사쿠신가쿠인 고등학교 시절부터 강속구[2]와 각이 큰 커브볼을 구사하는 초특급 유망주였으며 괴물 에가와(怪物江川)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였다.[3]

고등학교 시절 노히트 노런 9번, 퍼펙트 게임 2번, 당시 고시엔 통산 최다 탈삼진 기록 경신 등의 온갖 대기록들을 연달아 달성하는 등 당대 고교 야구 최고의 투수였다. 그 중 백미는 1973년 춘계 코시엔 대회로 이 대회에서 사쿠신가쿠인은 비록 아쉽게 4강에서 히로시마현의 강호 히로시마 상업 고등학교에게 패했지만, 에가와는 대회 동안 총합 60탈삼진으로 단일 대회 최고 기록을 세웠고, 이 기록은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 코시엔 대회 통산 성적은 6경기 등판, 4승 2패, 59.1이닝, 탈삼진 92(9이닝당 탈삼진 14.0), 평균자책점 0.46

에가와가 재학 중일 때의 사쿠신가쿠인 고등학교는 2차례 코시엔에 출장할 동안 빼어난 성적을 거두진 못했으나(1973년 춘계 4강, 하계 2차전), 그럼에도 에가와는 일본 고교야구 역사상 최고의 투수로 항상 언급될 정도로 압도적인 활약을 보여줬다.

이런 엄청난 활약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졸업시즌인 1973년, 1번째 드래프트에서 한큐 브레이브스의 1순위 지명을 받았으나 요미우리 자이언츠 입단을 희망했던 에가와는 지명을 거부, 대학 진학을 선택하여 게이오기주쿠대학에 지원하였으나 낙방하면서 같은 도쿄 6대학 리그 소속인 호세이대학 진학을 선택한다. 대학 시절에도 도쿄 6대학 리그 역대 2위인 통산 47승을 기록하는 등 여전한 실력을 보여주었고 대학 졸업시즌인 1977년, 2번째 드래프트에서 크라운라이터 라이온즈[4]의 1순위 지명을 받게 되었으나 여전히 요미우리 자이언츠에 가고 싶었던 에가와는 또다시 지명을 거부하고 모교인 사쿠신가쿠인 직원으로 취직하여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유학을 선택했다.

그 후 1년간 미국에서 야구 유학생활을 보내던 에가와를 영입하기 위해 당시 막 세이부에게 매각된 세이부 라이온즈가 드래프트 직전에 에가와와 접촉하여 입단을 설득했으나 끝내 에가와가 라이온즈 입단을 거부하면서 지명권이 소멸되는 1978년 11월 20일에 공식적으로 입단교섭 포기를 발표했고, 같은 날 에가와는 급히 일본으로 귀국하여 다음날인 11월 21일에 드래프트 번외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입단 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이 입단을 둘러싸고 야구계에 엄청난 파문이 일어나게 된다.


3. 공백의 1일[편집]


파일:external/cdn.mainichi.jp/013.jpg
1978년 드래프트 당시. 좌측 2번째 한신 타이거스(阪神)의 지명 종이에 적힌 것이 에가와.
우측 3번째의 요미우리 자이언츠(讀賣)는 지명에서 혼자 제외되어 있다.[5][6]

당시의 드래프트는 구단과 지명된 선수 사이의 교섭지가 멀 경우에, 교섭을 위한 이동 도중의 기후나 교통 문제로 회의 참석과 진행에 지장이 생길 가능성을 고려하여 모든 선수들에 대한 구단의 교섭권을 다음 해 드래프트 2일 전까지 유효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요미우리는 1978년 프로야구 드래프트 회의가 예정되어 있던 11월 22일의 2일 전인 11월 20일에 라이온즈의 에가와에 대한 교섭권이 소멸되자마자 곧바로 에가와가 귀국한 다음날인 11월 21일에 입단 계약을 체결하였다.

그런데, 이게 문제가 되었던 것은 그 해 드래프트 규약이 바뀔 예정이었기 때문이다. 원래 드래프트 지명 대상 선수는 일본의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자, 혹은 학교를 중퇴했거나 사회인야구 선수가 그 대상[7]으로, 당시 에가와는 대학 졸업 후 사회인야구에 진출하지 않고 미국으로 야구 유학을 떠났었기에 드래프트 지명 대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드래프트 지명 대상의 범위가 너무 좁다고 판단한 일본야구기구는 1978년 7월 31일 드래프트의 대상 선수를 일본의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에 재학한 경험이 있는 자로 규정을 변경하여 에가와와 같은 야구 재수생 케이스도 드래프트 지명 범위에 들어가게 했다. 그러나 이 규정의 적용일은 다음 드래프트 회의 당일부터였고, 요미우리는 이에 따라 세이부의 지명권이 소멸한 11월 20일과 드래프트 회의일인 11월 22일 사이인 11월 21일에 에가와와 체결한 계약은 이전 규정에 따라 정당하다고 주장하며 에가와의 입단을 강행했다.

이에 당시 센트럴리그 회장이었던 스즈키 류지는 이렇게 말장난하듯 규정의 헛점을 이용해 선수를 영입하는 것은 규칙을 제정하는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여 에가와와 요미우리의 계약을 무효로 간주했고, 이에 반발한 요미우리는 다음날 드래프트 회의에 불참하여 아예 그 해 신인선수 지명 자체를 하지 않았다.[8][9] 그리고 에가와는 드래프트에서 한신에 1순위로 지명된다.[10] 요미우리는 ''이러면 우리는 독자 리그를 만들겠다!"는 주장까지 하며 격렬히 반대했지만, 일본야구기구센트럴리그의 결정을 인정하여 드래프트의 효력이 있다고 인정하였다. 다만 일본야구기구는 일단 한신과 계약을 하고 요미우리로 에가와를 트레이드시키라는 입장이었고, 한신은 이에 반대하다 결국 에가와와 요미우리 자이언츠코바야시 시게루를 맞트레이드하기로 결정한다.[11]

이 사건은 직업 선택의 자유를 침해한 것이 아니냐는 주장이 나옴에 따라 참의원까지 올라가서 관계자들이 해명해야 했으며, 일본 프로야구 드래프트의 주요 특징인 역지명 제도가 나오는 계기가 되었다.


4. 일본프로야구 시절[편집]


파일:external/iv1.lisimg.com/328full-suguru-egawa.jpg

본인이 들어가고 싶어한 요미우리에 들어간 에가와는 개막후 2개월까지 자숙하게 되었고 자숙이 풀린 6월 2일부터 1군 마운드에 오르자마자 자신이 특급 유망주였다는 것을 증명하듯 요미우리의 에이스로 거듭나게 되었다. 1980년대를 대표하는 요미우리의 에이스. 1980년 다승왕, 1981년 다승(20승), 평균자책점, 승률, 탈삼진, 완봉의 5관왕을 하며 MVP를 수상. 이후에도 계속 13~19승 언저리를 달성하며 승승장구한다. 그런데 정작 사와무라상은 한 번도 타지 못했다. 1981년에 탈 수도 있었겠으나, 그 때는 팀 동료인 니시모토 다카시가 수상한다. 위의 공백의 1일 사건으로 인한 안티 여론이 만만치 않았음을 보여주는 한 예.[12][13]

그렇게 잘 나가고 있다가 1987년에 돌연 은퇴한다. 왜 돌연이냐면, 1987년 성적이 13승 5패 평균자책점 3.51.의 준수한 성적이었기 때문이다. 다들 당연히 깜짝 놀랐고, 이해하지 못하는 반응이었다. 그러나 에가와에게는 나름의 이유가 있었는데, 1983년 시즌에 에가와는 어깨 부상을 당한다. 물론 그 해 16승 그 다음해 15승 하면서 잘 나갔지만, 이 어깨 통증은 에가와를 계속 괴롭히고 있었고 더 이상 버티지 못했던 것. 은퇴는 1987년 봄부터 계획하고 있었고, 신인 때 9승 이후로 한 자리 승수를 올리면 바로 은퇴하겠다고 결심했다 한다. 1987년에는 일단 13승을 거뒀지만, 다음 해는 정말로 어찌 될지 몰랐다고 생각해 은퇴를 결정하였다.

은퇴 이후엔 야구 해설가/평론가로 지금까지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


5. 기타[편집]


  • 1973년 한일 고교 친선경기 때 동대문야구장(당시 서울종합운동장)에서 유대성[14]에게 홈런을 얻어맞은 바 있다. 1980년대에 단신으로 에가와가 한국 언론에 소개되면 꼭 언급되던 일화이다.[15]

  • 원래는 손가락의 길이 문제로 커브 말고는 별다른 변화구가 없었지만 1985년부터 슬라이더를 던지기 시작했는데, 그 슬라이더를 고시히카리라 명명하고 던졌다. 그러다 고시히카리를 진짜로 선물받았고, 이것에 맛들린 에가와는 다음 변화구를 준비하는데, 그것은 바로 머스크 메론.

  • 마키하라 히로미와 함께 '한신 킬러'로 유명하며, 한신과의 통산 전적 36승 18패를 남겼다. 이는 그의 통산 승수 135승의 약 ¼을 차지한다.[16]

  • 근육맨의 주인공 근육 스구루의 이름의 모티브이기도 하다. 뛰어난 명투수와 유명한 만화주인공하면 뭔가 멋져 보일 수 있는데, 사실은 초기에 에가와 스구루의 평이 안 좋았던 시기를 패러디한 작명이다. 이 당시 근육맨은 코믹 패러디물에 가까웠다. 그래서 스구루라는 이름은 코믹 요소였고, 이 이름을 알았을 때 근육맨은 상당히 마음에 안들어하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에가와 스구루가 성적을 내는 한편 근육 스구루도 열혈 근성물 주인공으로 성장했고, 에가와 스구루도 근육맨에 대해서 상당히 생각이 많은 발언을 하기도 했다. 여러모로 훈훈한 마무리.

  • 2018년엔 그와 일생의 라이벌이자 친구였던 니시모토 다카시의 전기를 그린 만화 '에가와와 니시모토' 가 인기리에 연재중이다. 여러모로 만화와 인연이 깊은 인물인 듯.


  • 2006년 요미우리 4번 타자인 이승엽한일통산 400호 홈런카케후 마사유키랑 함께 직접 해설하면서 목도한적 있다.[17]

  • 특이하게도, 요미우리 순혈이며, 2018년 시점까지도 순혈자격을 유지하고 있어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감독자격이 되는 몇 안되는 사람인데, 정작 요미우리 감독은 절대 승낙하지 않겠다고 한 적이 있다. 요미우리가 그렇게 순혈을 따지는 구단이고, 요미우리 감독 한 번 하겠다고 몇년이상 다른 팀은 쳐다도 안 보고 해설자로만 뺑뺑이도는 사람들도 많은데 말이다. 실제 2012년 하라 다쓰노리 감독의 후임 격으로 에가와를 수석코치로 임명하려 했지만, 에가와는 저 말을 하면서 거절했다. 여담으로 일본에서 돌아다니는 루머로, 선수 시절부터 모종의 이유로 많은 을 지게 되는 바람에 현장에서 지도자를 맡는 것보다 방송가에서 해설가 등으로 일하는 것이 돈벌이가 더 쏠쏠해서 현장에 복귀하지 않은 채 계속 방송가에서 일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 이웃집 야마다군에서 성우 연기를 한 적이 있다. 당시 닛테레 아나운서이던 이마이 이사오와 함께 TV에서 나오는 야구경기 실황중계를 연기했다.

  • 발음상으로는 이름이 映画は直ぐ売る(영화는 곧 판다)라는 문장과 비슷하다. 진나이 토모노리가 이걸 이용해서 "영화 DVD를 보면 금방 팔리는 인기 유명인"이라는 네타를 친 적 있다.

5.1. 고바야시 시게루와의 관계[편집]


그와 맞트레이드된 고바야시 시게루는 1979년 시즌에는 요미우리에 8승 무패를 거두며 '요미우리 킬러'로 활약했지만, 그 이후 요미우리와의 통산 전적 5승 15패로 약한 모습을 보였다. 이렇게만 놓고 보면 요미우리의 횡포에 한신이 일방적으로 손해를 본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지만 고바야시가 한신 이적 후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상술했듯 이적 첫 해인 1979년 22승을 거두고 사와무라상을 얻는 등, 고바야시가 한신에 재적했던 5년동안의 통산성적은 77승 56패 4세이브에 방어율 3.23의 훌륭한 성적으로 한신이 일방적으로 손해를 본 것은 아니었다.

단지 팔꿈치 부상으로 1983년 시즌 종료 후 32살이라는 이른 나이에 은퇴를 한 것이 아쉬울 따름이었다. 덤으로 고바야시의 통산성적은 139승 95패 19세이브로 에가와와 비슷하며 심지어 은퇴시즌이었던 1983년 성적도 13승 14패 1세이브, 방어율 4.05로 다소 부진한 면도 있지만 에가와와 마찬가지로(심지어 승수가 동일하다.) 은퇴시즌 치고는 나름 준수했다. 거기다 은퇴 이유였던 팔꿈치 부상조차 급작스레 생긴 부상이 아닌, 오랜 지병으로 갖고 있었다는 점에서 에가와와 놀라우리만치 유사하다. 심지어 두자릿수 승수 못채우면(고바야시는 한술 더 떠서 15승 못하면 은퇴한다고 기자들에게 공언하기까지 했다) 은퇴하기로 결심했다는 점도 똑같다! 이래저래 악연이었던 두 사람답게 유사점이 매우 많다.

여튼 두 선수는 은퇴 이후 '화해', '해후'를 컨셉으로 한 술 광고의 모델로 둘이 선택되어 화제가 된 바 있다. 2010년 고바야시가 갑작스런 심근경색으로 사망하자 에가와는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라는 말과 함께 눈물로 젊은 날의 처신에 대해 다시 한번 사죄한 바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2:30:34에 나무위키 에가와 스구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백의 1일 참조[2] 150km/h는 우습게 넘겼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당시엔 아직 스피드건이 제대로 보급되지 않았을 때라서 구속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었다. 스피드건이 도입되고 난 이후의 프로 시절엔 시속 153km를 기록한 적이 있었는데, 과거의 스피드건은 현재의 스탯캐스트/트랙맨 데이터에 비해 더 늦은 포인트에서 측정했기에 요즘 기준으로 쟀다면 더 빠르게 나왔을 것이다.[3] 이 괴물이라는 별명은 당시 인기리에 방영중이던 애니메이션 괴물군(국내번안명 몬스터왕자 몽짱)의 주인공과 닮았기 때문이기도 해서 붙은 별명이기도 했다.[4] 당시 호세이대학 대선배였던 네모토 리쿠오가 신임 감독으로 취임했었다.[5] 에가와의 오른쪽 옆 종이는 세이부 라이온즈의 1차 지명 선수를 적은 종이로, 종이에 적힌 인물은 2016년 시즌 도중부터 2018년까지 주니치 드래곤즈 감독을 역임한 모리 시게카즈다.[6] 왼쪽에서 여덟번째에 있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1차 지명 선수 종이에는 기다 이사무가 적혀있는데 요코하마, 히로시마, 한큐 등 3개 구단의 1순위 지명을 받았다. 추첨 결과 히로시마가 교섭권을 획득했지만 입단을 거부했고 다음 해 드래프트 재수를 통해 닛폰햄에 입단했다. 1980년 22승 8패 4세이브, 225탈삼진, 평균자책 2.28, 승률 7할3푼3리로 투수 부문의 타이틀을 독차지했으며 신인왕, 그리고 일본프로야구 사상 최초로 신인 선수가 최우수선수로 선정됐다. 2006년에 한국프로야구에서 신인왕-MVP 동시 수상자가 최초로 나오는데 바로 류현진이다.[7] 이것도 1967년부터 변경된 것으로, 이전에는 일본 국적자만 드래프트 참여 대상으로 간주했으나 요미우리가 김일융한국 국적의 재일교포라는 허점을 이용해 학교를 중퇴시키고 드래프트 번외로 영입하면서 규정이 바뀐 것.[8] 그 대신 요미우리는 드래프트 번외로 1980년대 불펜진의 핵심 일원이었던 카토리 요시타카 등 10명의 선수를 영입했다. 카토리 요시타카는 훗날 요미우리 투수코치로 재직하면서 정민태, 조성민, 정민철 등 한국인 투수들을 지도했는데 정민태를 싫어했고 정민철을 적극 천거한 것으로 알려졌다. 훗날 정민태가 스톡킹에 출연하여 카토리 코치를 맹비난했다.[9] 원래는 2순위로 무려 오치아이 히로미츠를 지명하려고 했으나 요미우리가 드래프트에 불참하면서 롯데 오리온즈가 3순위로 오치아이를 지명했다. 이후 오치아이는 1994년 FA로 요미우리에 입단하게 된다.[10] 그래서 이 해 드래프트는 단 44명만 지명된 역대 최소 지명선수 드래프트란 기록을 갖고 있다.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아무도 지명하지 않았고, 당시 드래프트 규정(1975~1980)상 최대 4순위(4명)까지 지명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었기 때문.[11] 이 트레이드로 한신에 건너간 고바야시는 22승을 거두고 사와무라상을 차지한다.[12] 당시에도 이는 큰 사건이었고, 그 때까지 순수하게 기자단 투표로만 이루어졌던 사와무라상 선정에서 지금의 시상 기준을 정한 계기가 되었다.[13] 일본의 작가 오쿠다 히데오는 야구를 주제로 책을 여럿 쓸 정도로 야구팬인데(주니치 팬이다), 자전적 성격이 강한 "스무살 도쿄"에서 등장인물과 작가 본인이 20세이던 79년이 등장한다. 여기서 에가와가 얼마나 당시 욕을 먹었는지 나오는데, "전국민을 적으로 돌렸다"는 표현이 나오는가 하면 자이언츠 골수 팬인데도 에가와가 홈런 맞은 걸 좋아하는 아저씨도 나온다. 소설이긴 하지만 당시 작가가 체감한 79년 일본 야구 팬들 사이 분위기가 대충 그렇다는 걸 짐작해볼 수 있다.[14] 당시 중앙고 3학년, 고려대를 거쳐 실업야구 포항제철 야구단에서 활약하다가 1982년 프로야구 출범 당시 서울 연고 선수 드래프트에서 MBC 청룡에 지명되었으나 입단을 거부하고 실업에 잔류했다. 선수 은퇴 후 1994년부터 1997년까지 모교 중앙고 감독을 역임하며 홍성흔, 송신영, 김대원, 김환 등을 조련했다.[15] 에가와의 일본 고교 통산 피홈런이 0개였기 때문에 이 홈런이 한일 양국에서 유명해진 것이다.[16] 마키하라는 그 전설의 백스크린 3연발고의사구 끝내기 안타의 임팩트가 너무 커서 그렇지 통산 한신 전적이 38승 10패로 매우 강했다.[17] 400호/401호 홈런(끝내기)이 같은 날 나왔고, 당시 한신의 투수는 에이스 이가와 케이였는데 이가와가 왜 승부를 할 수 밖에 없었는지, 포수의 기분과 투수의 기분에 차이에 대해서 면밀하게 심리분석까지 하는 해설로 탄성을 자아내게 했다. 에이스 vs 4번타자의 멋진 승부였다면서 이것이 야구의 로망이라고 극찬을 하였다. 결과는 이승엽의 끝내기 401호 홈런으로 이가와의 완투패, 참고로 이날 이가와의 실점은 이승엽에게 맞은 두 방의 홈런 외에는 없었으며 요미우리 투수는 에이스 우에하라 코우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