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스 결정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카트라이더 리그의 에이스 결정전에 대한 내용은 카트라이더 리그/에이스 결정전 문서
카트라이더 리그/에이스 결정전번 문단을
카트라이더 리그/에이스 결정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
2. BGM
3. 관련 기록
4. 여담
5. 슈퍼 에이스 결정전



1. 개요[편집]


2005년 이후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1]에서 본격적으로 도입된 방식. 줄여서 에결이라고도 부른다.

사실 본격적으로 에이스 결정전이 도입된 SKY 2005 이전에도 SKY 2004 2라운드 머큐리 리그 1, 2위 결정전[2]이나 SKY 2004 3라운드 새턴리그 2, 3위 결정전[3]을 단판 에이스 결정전으로 치르기도 했다.

SKY 2005부터 5경기는 무조건 엔트리를 비워놓는데 5경기까지 가게 되면 각 팀에서 유동적으로 선수 1명을 내보내는 방식으로 이전 세트에 나왔던 선수도 5세트가 되면 중복 출전이 가능했다. SKY 2005까지는 팀플레이와 개인전을 같이 하는 것이 가능해서 팀의 가장이었던 박성준은 에결 포함 하루 4경기를 한 적도 있다. 2006년 이후로는 중복 출전이 불가능해지면서 에이스 결정전 포함 최대 2경기만 가능하다.

SKY 2005 리그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된 에이스 결정전의 최대 수혜팀은 바로 KTF 매직엔스(現 kt 롤스터)로, 전기리그 당시 강민이 주로 에이스 결정전에 출전해 무려 9연승을 기록하면서 팀이 23연승을 기록하는데 큰 기여를 하게 된다. 출전한 에이스 결정전마다 명경기를 만들어 내는 건 . 이후에는 이영호의 등장으로 사실상 에결 꿀을 가장 잘 빤 팀이 되었다.[4]

2007년에는 슈퍼파이트에서 이런 방식을 이용해 에이스 결정전 토너먼트 대회를 열었다. 참고로, 이 대회에서 "전설의 드립"이 나왔다.

보통 5차전까지 가게 되면 누가 에이스로 출전할지 예상하는 것도 흥미거리 중 하나지만, 에이스와 타 선수들의 기량차가 지나치게 역력한 몇몇 소년가장 팀들은 누가 나올지 안 봐도 알 수 있다. 화승 오즈나 kt 롤스터의 경우 해설자들도 거의 대놓고 이제동이나 이영호가 나올 것이라고 언급하는 편. 물론 해당 팀들도 오명을 씻기 위해서, 그리고 맞춤전략 등을 피하기 위해 다른 선수들을 기용하려고 노력하지만...[5][6] 그리고 공허의 유산 들어서 진에어 그린윙스는 해설진 모두가 에이스 결정전에 조성주가 나올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군단의 심장 때까지는 대개 조성주가 중견, 김유진이 대장으로 배치되었었다.[7] 포스트시즌이나 10-11 시즌의 경우는 7전 4선승제인 관계로 7세트에서 에이스 결정전이 벌어졌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부터는 없어졌다. 스덕들이 처음 이 소식을 들었을 때는 반발이 꽤 컸으나, 막상 리그가 시작돼서 결과를 지켜 보니 이영호에게 에이스 결정전을 많이 의존하던 kt 롤스터가 공군 ACE에게 역스윕을 허용하자 오히려 기뻐하며 밸런스 패치라 말했다. 그럼에도 KT는 포스트시즌에 진출해서 결승을 했지만, 정작 결승에서는 ㅋㄲㅈㅁ! 사실 에이스 결정전이 없어져서 부정적인 여론이 많았으나, 지금은 약간은 긍정적으로 변한 듯 하다.

그러다가 시즌 종료 이후 포스트시즌에서부터 부활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에서의 에결 방식은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로 진행되는 전반전,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로 진행되는 후반전에서 승부가 결정이 나지 않을 경우 에이스 결정전에 들어가는 식이다. 물론 이 프로리그는 스타크래프트 2라고 명명했듯이 스2가 중심. 그러므로 사용되는 종목은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그리고 이러한 에이스 결정전 덕분에 SK텔레콤 T1정윤종의 활약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반면에 웅진 스타즈는 그 높은 승점으로도 김민철이 에이스 결정전 5연패를 하면서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12-13에선 스타크래프트 2로 완전 전환되면서 7전 4선승제로 전환되었고,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4부터는 다시 5전 3선승제로 전환되어서 제5경기가 에이스 결정전이 되었다. 2015 시즌에도 제5경기가 에이스 결정전이었다.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로 펼쳐진 에이스 결정전은 총 530경기[8]로 다승 1위는 이제동으로, 총 25승이다. 각종 위키나 뉴스 자료에선 23승 또는 24승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신한 08-09 포스트시즌에 있었던 단판 에이스 결정전[9] 경기도 추가하면 25승이 된다. 이 경기를 제외하면 이영호와 함께 24승으로 공동 1위다. 승률 1위는 23승 8패로 신상문이 기록하고 있다.

22-23시즌부터 한국바둑리그에서 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프로리그와 비슷한 방식으로 에이스 결정전을 도입했다. 단 차이점은 중복 출전에 제한이 없었던 스타크래프트와 다르게 각 선수당 중복 출전 횟수는 6번으로 제한되고, 포스트시즌에는 시행하지 않는다.


2. BGM[편집]


엠겜 한정으로 에이스 결정전 전용 혹은 이영호 전용 BGM이 있다.



골수 스덕이라면 음악 소리와 함께 "방심하지 마라, 최초의 1인이 모두를 침몰 시킬 수 있다. 포기하지 마라, 최후의 1인이 모든 것을 뒤집을 수 있다."라는 말이 들릴 것이다.


3. 관련 기록[편집]


  • 브루드 워 에이스 결정전 총 530 경기
  • 에이스 결정전 최다 연승 - 2007년 박지호의 11연승
  • 에이스 결정전 최다 연패 - 2010년 신노열과, 2010년 이영호의 7연패
  • 브루드 워 에이스 결정전 최다승 - 이제동[10]
  • 브루드 워 에이스 결정전 최고 승률 (15전 이상) - 신상문의 23승 8패(74.2%)[11]
    • 도재욱이 10승 3패(76.9%)의 성적을 기록하고 있지만, 15전 미만이라 제외.

역대 브루드워 에이스 결정전 TOP 10


4. 여담[편집]


약 10년 이후 MBC 아이돌 오디션 프로그램인 방과후 설렘에서 일부 룰을 변형한 채로 에이스 1대 1 대결이라는 이름으로 나왔다. 에이스는 현장 관람객 득표율 1위가 맡게 되고 탈락 후보는 득표율 꼴찌가 맡게 되는데, 동률 발생 시 에결을 하는 것이 아니라 2라운드가 엄연히 에이스 1대 1 대결로 설계되어 있고, 두 라운드의 점수를 모두 합해서 승패를 결정짓기 때문에 에결이 반드시 팀의 승리를 보장해 주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팀의 에이스 패배 시 팀원 탈락후보가 탈락하기 때문에 에이스가 막중한 책임감과 부담감을 안아야 하는 건 여전하다. 팀원 탈락후보의 운명을 '결정'짓는 '에이스전'이라고 보면 된다.

팀 에이스의 1대 1 대결로 승패가 결정되는 시스템이 아이돌 오디션에서 처음으로 쓰이게 된 사례이다. 대중들은 상당히 잔인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한국바둑리그 2022-23 시즌에서 에이스 결정전 방식을 그대로 도입하여 2:2가 될 경우 최종 5국을 1~4국 츨전 선수 가운데 한 명을 중복 출전 할 수 있는 룰을 도입했다. 에결은 '각자 1분 + 착수시 20초 추가' 피셔방식의 초속기 대국으로 진행한다. 다만 특정 선수 과의존 및 혹사 방지를 위해 한 선수당 중복 츨전 횟수를 한 시즌에 최대 6번으로 제한했다.


5. 슈퍼 에이스 결정전[편집]


에이스 결정전과 마찬가지로 스타크래프트 전 프로게이머 출신 BJ들이 스폰전을 벌이면서 도입된 개념으로 줄임말로 슈퍼 에결, 혹은 슈결이라고도 부른다. 현재 스폰전에서의 프로리그는 프로리그, 위너스 리그(+슈퍼 에이스 결정전)의 3판 2선승제로 진행되는데 프로리그와 위너스 리그에서 중간 스코어 1:1 상황이 되었을 경우 각 팀 중 한 명이 사다리를 타서 뽑인 사람이 마지막을 장식하는 형태이다.

이 개념은 스타 현역 시절, 08-09 프로리그에서 포스트시즌을 2차전을 치러 세트 스코어 1:1 시 2차전 종료 직후 펼쳐진 최종 에이스 결정전과 똑같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6:14:06에 나무위키 에이스 결정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시기에 팀리그하고 통합하였다.[2] 2004년 10월 16일. 맵은 비프로스트 3. 나도현(T) vs 신정민(Z)[3] 2005년 1월 15일. 맵은 알케미스트 1.0. 변은종(Z) vs 이윤열(T).[4] 다만 아이러니하게도 에결 최다연패 기록을 가지고 있는 선수가 이영호라는 점이다. 그것도 09-10 시즌 말기 프로리그 다승왕과 우승은 물론 양대리그까지 동시에 제패하던 최전성기 시절이었다.[5] KT의 경우 그나마 김대엽우정호라는 발군의 카드가 있어서 에결에서 가끔 이영호 대신 나왔다. 그래도 큰 경기(특히 포스트시즌)의 에결은 대부분 이영호의 자리였다.[6] 그런데 에결에 나올 선수는 어느 정도 정해져 있을 수밖에 없다. 라인업 빵빵한 T1도 어차피 에결은 도택명이었으니. 대략 T1-도택명, kt-이영호(+김대엽, 우정호), 화승-이제동, 삼성-송병구(+허영무), CJ-김정우->신동원(+진영화), 웅진-김명운(+김민철), 윤용태, 스파키즈‐신상문, 이스트로-신××->박상우, 위메이드-박성균->전태양, 엠겜-이재호, 염보성, 소울-김윤환, 김구현(+이신형) 위와 같았다고 보면 된다.[7] 진에어가 원맨팀이거나 약체라서 그런 게 절대 아니고 군단의 심장 때는 테란의 암흑기라서 김유진이 다승왕을 챙겨야 했는데 공허의 유산에서는 조성주가 이상하리만치 양대 백수(...)가 되었기 때문에 그렇다. 게다가 조성주, 이병렬, 김유진 셋 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기복이 존재하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었고. 리그 초반에 약한 김유진과 리그 후반 및 해외대회에서 헤메는 조성주 그리고 흑마술사 이병렬[8] SKY 2004 2R 머큐리 1-2위 결정전(2004년 10월 16일 맵은 비프로스트 3, 나도현(T) vs 신정민(Z)), 3R 새턴리그 2-3위 결정전(* 2005년 1월 15일. 맵은 알케미스트 1.0. 변은종(Z) vs 이윤열(T).), SKY 2006 전기 2, 3위 결정전(* 2006년 7월 10일. 맵은 백두대간 1.0. 마주작(Z) vs 변길섭(T)), 신한 08-09 단판 에이스 결정전 4경기(2009년 7월 19일 6강 PO 2경기. 2009년 7월 26일 준PO, 2009년 8월 2일 결승) 포함[9] 포스트시즌부터 2차전을 치르는데, 동률이 되면 각 팀에서 1명씩 나와 단판 에이스 결정전으로 승패를 가린다. 2차전을 치른 리그는 이때가 처음이자 마지막.[10] 신한 08-09 단판 에이스 결정전을 추가하면 25승이 된다.[11] 이전엔 23승 7패로 기록되었으나, 포스트시즌 에이스 결정전 기록 1패(2009-07-18 vs 진영화)가 빠져 있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