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테리 투트베리제

덤프버전 :

에테리 투트베리제
Этери Тутберидзе | Eteri Tutberidze


파일:eteri tutberidze.jpg

본명
에테리 게오르기예브나 투트베리제
Этери Георгиевна Тутберидзе
Eteri Georgievna Tutberidze
국적
[[러시아|

러시아
display: none; display: 러시아"
행정구
]]

출생
1974년 2월 24일 (50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신체
176cm
종목
피겨 스케이팅
가족
다이애나 데이비스
은퇴
1992년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3. 코치 경력
3.1. 특징
3.2. 평가
5. 소속 선수
5.1. 주니어
5.2. 시니어
5.3. 이적한 선수들
5.4. 코칭 선수 수상 기록
6. 여담



1. 개요[편집]


러시아의 전직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현직 코치이다. 이름과 성씨에서 보듯이 아버지는 조지아계이고, 어머니는 러시아아르메니아 혼혈이다.


2. 선수 경력[편집]


원래는 싱글 스케이팅 선수였다. 그러나 별다른 커리어를 남기지 못하고 10대 시절 부상을 당하여 휴식기를 갖게 되었는데, 이때 극도로 억눌러져 있던 성장이 급격하게 이루어져 한 달 만에 18cm가 커졌다. 결국 아이스 댄스로 전향하고 한때 타티야나 타라소바의 밑에서 훈련을 하기도 하였으나, 결과는 좋지 않았다. 1992년 은퇴 후 미국으로 건너가 아이스 쇼 공연을 하였다.


3. 코치 경력[편집]


텍사스 주 샌안토니오에서 코치 일을 시작하였다. 한 때 니콜라이 모로조프가 이끄는 미국 내 여름 캠프에서 보조 코치를 맡기도 하였다. 다시 러시아로 건너와 코치 일을 하게 되고, 세르게이 두다코프와 함께 Sambo 70이라는 소속 팀을 꾸렸다. 2014 소치 동계올림픽율리아 리프니츠카야가 단체전 금메달을 따면서 코치로서의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이후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알리나 자기토바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가 각각 금메달과 은메달을 획득하면서 현재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코치가 되었다.


3.1. 특징[편집]


그녀의 코칭 능력을 간접적으로나마 느낄 수 있는 것은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가 투트베리제를 떠난 이후 첫 시즌에서 점프 요소와 비점프 요소에서 많은 실수가 나왔던 사실이다. 평상시 선수들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아주 체계적으로 훈련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1]

다만 이 코치에게서 훈련을 받는 대부분의 선수들은 플러츠를 구사한다. 실제로 소속 선수들 중 러츠와 플립에 문제가 없는 선수는 카밀라 발리예바밖에 없다.[2] 투트베리제 사단의 선수들 대부분은 수명이 굉장히 짧다. 체형 변화가 오는 순간 극복하지 못하면 그대로 점프가 무너지는데 율리아 리프니츠카야알리나 자기토바가 이를 보여주었다. 매커니즘에 거의 문제가 없는 툭타미셰바가 20대에 들어서 나이 어린 선수들 사이에서 상위권에 오르는 것과 극히 대비된다. 단순히 매커니즘의 문제를 떠나 트리플 악셀이나 퀴드러플 점프를 선수에게 안정화시킨다든가, 컨시가 무너진 선수들의 컨시를 빠른 시간에 되돌리는 건 상당히 고무적이다. 가령 발리예바도 축이 많이 흔들리는 선수였는데 안정화가 되었고, 팀을 이적했다가 자신의 점프를 죄다 잃어버린 코스토르나야도 다시 트리플 플립+트리플 컴비네이션 토룹 점프를 복구시켰다. 또한 트루소바의 목표였던 프리 쿼드러플 점프 5회 랜딩 구성도 성공시켰다.

개별 선수마다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을 잘 세운다. 기술 지도와 안무 구성에도 참여하며 스스로도 본인의 사단을 공장이라고 직접 말하지만 선수들 간의 저마다의 개성이 다 다르고 프로그램이나 안무 역시 선수에게 최적화 되어있다.


3.2. 평가[편집]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의 극강 컨시와 손을 머리 위로 들어올리는 타노 점프, 알리나 자기토바의 빽빽한 트랜지션과 올 후반 전략 마임으로 구성점을 때우고 체력을 비축하는 전략 등 개별 구성 요소의 가산점으로 점수를 올릴 수 있는 신채점제의 특성을 가장 잘 이용하는 코치라는 평을 받고 있다.

러시아에서 가장 날고 기는 여자 싱글 선수들 대부분이 이 사람 휘하의 선수들이었던 만큼 제자 복이 넘치는 코치이기도 하다. 하지만 제자 복이 너무나도 넘친 나머지 유독 이 코치 밑에 있는 선수들은 서로 기싸움을 벌이다가 결국 도중에 지쳐서 다른 코치로 갈아타버리는 걸로 러시아 피겨계에서는 악명이 높다.[3]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따서 반짝 스타가 된 율리아 리프니츠카야의 경우 2014-15 시즌부터 하락세를 타기 시작했고, 같은 클럽에 있던 후배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가 A급 대회 우승을 휩쓸면서 주목을 받자 결국에 투트베리제 코치와 결별하고 알렉세이 우르마노프에게로 옮겼다. 이랬던 메드베데바 또한 후배 알리나 자기토바에게 밀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는데 실패하고 자기토바가 주목을 받자 결국 브라이언 오서로 코치를 변경했다.[4] 허나 자기토바 역시 체형 변화로 인해 슬럼프를 겪고, 대학교에 진학함에 따라 자국 내에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유력 메달 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셰르바코바, 코스토르나야, 트루소바에게 밀려 사실상 거의 은퇴 상황이나 다름없다. 이 점을 노려 예브게니 플루셴코가 자기토바를 자기 제자로 전격 영입 제안을 시도했지만 자기토바 본인은 투트베리제 팀에 잔류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트루소바와 코스토르나야마저 이러한 기싸움 때문에 2020년 투트베리제 코치와 결별을 선언하고 코치를 예브게니 플루셴코로 교체해버렸다. 본인들 왈 "투트베리제 코치가 휘하 제자들이 많아지면서 더 이상 훈련을 받기에는 마음이 편한 환경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게다가 플루셴코와 타티야나 타라소바 등 다른 지도자들의 견제도 심심치 않게 받고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 실제로 플루셴코의 경우 투트베리체 코치 휘하들의 선수들에게 접근을 해 영입 제안을 종종 시도하기도 했다. 그러나 2021-22 시즌을 앞두고 코스토르나야와 트루소바가 모두 투트베리제 팀으로 다시 복귀했다.[5]

하지만 이 모든 것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도핑 파문으로 인해 부정당하게 되었다. 자세한 내용 비판 및 논란 문단 참고.


4. 비판 및 논란[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에테리 투트베리제/비판 및 논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소속 선수[편집]



5.1. 주니어[편집]



5.2. 시니어[편집]



5.3. 이적한 선수들[편집]




5.4. 코칭 선수 수상 기록[편집]


대회



올림픽
4
5
0
세계선수권
4[6]
3
0
유럽선수권
6
5
5
사대륙선수권
0
1
0
그랑프리 파이널
4
3
2
청소년 올림픽
1
0
0
주니어 세계선수권
7
7
1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7
7
4
러시아선수권
7
8
8
합계
40
38
20

[ 세부 수상내역 펼쳐보기·접기 ]
올림픽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2014 소치
단체전
금메달
파일:오륜기(여백X).svg 알리나 자기토바
2018 평창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카밀라 발리예바
2022 베이징
단체전
금메달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안나 셰르바코바
2022 베이징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오륜기(여백X).svg 알리나 자기토바
2018 평창
단체전
은메달
파일:오륜기(여백X).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8 평창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오륜기(여백X).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8 평창
단체전
은메달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22 베이징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2022 베이징
페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6 보스턴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7 헬싱키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2019 사이타마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FSR.svg 안나 셰르바코바
2021 스톡홀름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2014 사이타마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엘리자벳 뚜르진바예바
2019 사이타마
여자 싱글
유럽선수권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2014 부다페스트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6 브라티슬라바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7 오스트라바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2018 모스크바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2020 그라츠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카밀라 발리예바
2022 탈린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8 모스크바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2019 민스크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나 셰르바코바
2020 그라츠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나 셰르바코바
2022 탈린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2022 탈린
여자 싱글
동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 보로노프
2014 부다페스트
남자 싱글
동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 보로노프
2015 스톡홀름
남자 싱글
동메달
파일:조지아 국기.svg 모리스 크비텔라시빌리
2020 그라츠
남자 싱글
동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20 그라츠
여자 싱글
동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22 탈린
여자 싱글
사대륙선수권
은메달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엘리자벳 뚜르진바예바
2019 애너하임
여자 싱글
그랑프리 파이널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5-16 바르셀로나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6-17 마르세유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2017-18 나고야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2019-20 토리노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2013-14 후쿠오카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2018-19 밴쿠버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나 셰르바코바
2019-20 토리노
여자 싱글
동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르게이 보로노프
2014-15 바르셀로나
남자 싱글
동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19-20 토리노
여자 싱글
청소년 올림픽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폴리나 추르스카야
2016 릴레함메르
여자 싱글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2012 민스크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5 탈린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2017 타이베이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세이 예로호프
2018 소피아
남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18 소피아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19 자그레브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카밀라 발리예바
2020 탈린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2013 밀라노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디안 피트케예프
2014 소피아
남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라피마 사하노비치
2014 소피아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라피마 사하노비치
2015 탈린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2018 소피아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나 셰르바코바
2019 자그레브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리야 우사초바
2020 탈린
여자 싱글
동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4 소피아
여자 싱글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2011-12 퀘벡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4-15 바르셀로나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폴리나 추르스카야
2015-16 바르셀로나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2016-17 마르세유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17-18 나고야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2018-19 밴쿠버
여자 싱글
금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카밀라 발리예바
2019-20 토리노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폴리나 셸레펜
2009-10 도쿄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폴리나 셸레펜
2011-12 퀘벡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디안 피트케예프
2013-14 후쿠오카
남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라피마 사하노비치
2013-14 후쿠오카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세라피마 사하노비치
2014-15 바르셀로나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2017-18 나고야
여자 싱글
은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18-19 밴쿠버
여자 싱글
동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3-14 후쿠오카
여자 싱글
동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나스타샤 타라카노바
2017-18 나고야
여자 싱글
동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닐 삼소노프
2019-20 토리노
남자 싱글
동메달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리야 우사초바
2019-20 토리노
여자 싱글
러시아선수권
금메달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6 예카테린부르크
여자 싱글
금메달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7 첼랴빈스크
여자 싱글
금메달
알리나 자기토바
2018 상트페테르부르크
여자 싱글
금메달
안나 셰르바코바
2019 사란스크
여자 싱글
금메달
안나 셰르바코바
2020 크라스노야르스크
여자 싱글
금메달
안나 셰르바코바
2021 첼랴빈스크
여자 싱글
금메달
카밀라 발리예바
2022 상트페테르부르크
여자 싱글
은메달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2012 사란스크
여자 싱글
은메달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2014 소치
여자 싱글
은메달
세르게이 보로노프
2015 소치
남자 싱글
은메달
알리나 자기토바
2017 첼랴빈스크
여자 싱글
은메달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19 사란스크
여자 싱글
은메달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2020 크라스노야르스크
여자 싱글
은메달
카밀라 발리예바
2021 첼랴빈스크
여자 싱글
은메달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22 상트페테르부르크
여자 싱글
동메달
세르게이 보로노프
2014 소치
남자 싱글
동메달
아디안 피트케예프
2015 소치
남자 싱글
동메달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2015 소치
여자 싱글
동메달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2018 상트페테르부르크
여자 싱글
동메달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2019 사란스크
여자 싱글
동메달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2020 크라스노야르스크
여자 싱글
동메달
안나 셰르바코바
2022 상트페테르부르크
여자 싱글
동메달
예브게니야 타라소바 /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2022 상트페테르부르크
페어
이적한 선수는 기울임체 로 작성



6. 여담[편집]


  • 한국 팬들에게 불리는 별명으로는 뚜베[7]와 환승퀸[8]이 있다.
  • 대조국공훈훈장 4급 수훈자
  • 2023년 5월 7일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뤄졌다. 기사
[1] 메드베데바는 코치를 바꾸자 실수가 거의 없던 스핀에서 레벨을 놓치고 동시에 스핀 구성 난도도 낮아지게 되었다. 또한 점프 성공률이 100%에 가까웠던 이전과는 달리 점프 성공률이 급락하고, 프로그램에 있던 트랜지션들의 난도들 역시 낮아지니 뒷말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2] 알렉산드라 트루소바는 원래 러츠와 플립에 모두 문제가 없는 선수였지만 현재는 플립을 아웃 엣지로 뛰는 립퍼가 되었다. 또한 알리나 자기토바도 원래 러츠와 플립에 모두 문제가 없었으나 체형 변화를 겪으면서 러츠가 플립화되어 플러쳐가 되었다. 카밀라 발리예바도 엣지만 올바를 뿐, 프리 로테이션이 심각하며 토를 찍는 방식도 기괴해 정석으로 볼 수 없다.[3] 사실 같은 코치 밑에서 선수들끼리 기싸움을 벌이다가 둘 중 한 선수 / 한 팀이 나가는 건 피겨계에서 흔한 일이다. 아이스 댄스에서 테사 버츄 / 스캇 모이어 조와 메릴 데이비스 / 찰리 화이트 조의 경우 둘 다 마리나 주에바 코치 밑에서 훈련을 받았는데, 서로 간의 기싸움과 주에바의 일방적인 데화네에 대한 편애 때문에 버모네는 결국 이러한 환경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면서 주에바와 결별하였다.[4] 그러나 코로나로 인해 캐나다 입국 금지가 어려워지자 오서 코치와 결별하고 다시 투트베리제에게 돌아갔다.[5] 우연의 일치인지는 몰라도 두 선수 모두 투트베리제와 결별한 이후 부진에 시달렸다. 코스트르나야는 러시안 컵 파이널에서 6위를 하여 2021년 세계선수권에 참가하지 못했고, 트루소바는 2021년 세계선수권 쇼트 경기에서 본인의 순위 중 가장 부진한 성적인 12위를 기록했다.[6] 2018년을 제외하고 2016년 이후부터 2021년까지 여자 싱글 금메달은 투트베리제 팀에서 나왔다.[7] 한국 팬들 사이에서 불리는 별명이며 성인 투트베리제를 줄여서 부른 것에서 비롯되었다. 이 단어로도 해당 문서로 들어올 수 있다.[8] 과거에 특정 선수의 기량이 저하되면 다른 선수로 종종 갈아타는 모습이 보여 붙여진 별명이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5:41:28에 나무위키 에테리 투트베리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