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엔

최근 편집일시 :

분류

일본 엔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일본 엔
(

ISO 4217 코드
JPY
중앙은행
일본은행
사용국
[[일본|

일본
display: none; display: 일본"
행정구
]]

기호
¥
동전
¥1, ¥5, ¥10, ¥50, ¥100, ¥500
지폐
¥1,000, ¥5,000, ¥10,000
인쇄처
국립인쇄국[1]
(国立印刷局)
조폐국
일본 조폐국

1. 개요
2. 명칭
2.1. 단위 입력하기
3. 환율
3.1. 연도별 달러-엔 환율 통계
5. 위상
6. 환전
6.1. 훼손, 마모, 오염, 구권 환전
7. 권종
7.1. 지폐
7.1.1. A시리즈 (1차)
7.1.2. B시리즈 (2차)
7.1.3. C시리즈 (3차)
7.1.4. D시리즈 (4차)
7.1.5. E시리즈 (5차)
7.1.6. F시리즈 (6차, 예정)
7.2. 동전
7.2.1. 여담
7.2.2.1. 1964 도쿄 올림픽 기념주화 (1964)
7.2.2.3. 내각제도 100년 기념주화 (1985)
7.2.2.4. 지방자치법시행 60주년 기념주화 (2008~2016)
7.2.2.5. 2020 도쿄 올림픽, 패럴림픽 (2020)
7.2.2.6. 2025 오사카 엑스포 (2025)
7.2.2.7. 무츠·오가와라 국가석유비축기지 개발사업 (불명)
8. 이야깃거리
8.1. 환율방어
8.1.1. 현재 상황
8.2. 전세계 외환보유액 엔화 비중 흐름
9. 여담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일본은행 로고.svg

일본 엔(円, Yen)은 일본의 통화이다. ISO 4217 코드는 JPY이며, (한자 표기)이나 ¥(기호 표기)으로 표기한다. 참고로 중국 위안도 ¥으로 표기하는데, 원래 ¥ 표기는 일본이 먼저 쓰던 것을 중국도 받아들여 사용한 것이다.

정부의 부채 규모가 매우 큰 일본의 통화가 비교적 안전 자산으로 취급되는 이유에 대한 몇 가지 분석으로 첫째, 일본 정부의 신용도와는 무관하게 일본의 기업과 소비자 등 민간부문의 경쟁력, 신용과 자산은 견실한 편에 속하며 특히 엔화는 시장 공급량도 많고, 태환성도 좋은 국제 기축 통화의 지위를 가진다.

둘째로 일본 정부의 국가채무는 외국 투자자들보다 거의 대부분 자국 기업들과 은행들에 진 채무라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셋째로 일본의 거품경제가 붕괴된 이후, 부동산 가치와 물가가 하락하는 장기적인 디플레이션을 겪는 와중에 엔화의 가치는 반대로 매우 안정화되었고 장기간 큰 변동성을 보이지 않고 있어서 자산의 안정성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이다.

네 번째는 1990년대 이후 일본 은행의 장기 저금리기조로 형성된 소위 엔캐리 트레이드, 즉 낮은 이율의 엔화자금을 빌려 신흥국시장 등 고이율, 고위험 자산에 투자하는 경향들이 많이 늘어났는데 만약 세계 경제가 일시에 위축되면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을 위한 엔화 수요가 순간적으로 늘어나는 것이 불가피하다.

한국과 가장 인접한 자유 여행 가능 국가이자 주요 교역국이며, 수입 의존도도 적지 않은 나라다 보니 일본과 무역 또는 대리구매인터넷 쇼핑으로 물건을 사거나 유학이나 여행을 가는 사람들이라면 굉장히 민감할 수밖에 없는 것이 엔화 환율이다. 엔화 비쌀 때 여행갔다 돌아오니 엔화가 낮아진 것을 보고 절망하는 사람들도 흔히 만나볼 수가 있을 정도다.

하지만 여행 당시 카드로 엔화를 결제한 사람들은 반대로 환호성을 지른다. 카드 결제 후 실제 승인이 떨어지기까지 1~2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엔화가 높으면 일본인들은 물론, 일본 여행 가려다 환율 때문에 포기한 요우커를 비롯한 아시아권 해외 관광객들도 한국 관광을 온다. 때문에 엔화 시세는 동아시아권에서 민감하게 보고 있는 화폐다.

대한민국 원과 엔화 간의 직접 거래 시장은 1990년대 후반에 생겨났지만 만성적인 거래량 부족과 외환위기 등으로 인해 얼마 지나지 않아 폐쇄됐다. 이후 2006년 5월 한국거래소선물시장이 개설되지만, 엔화 선물시장도 거래량이 워낙 없어서 또 폐지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2011년경에 일본도쿄금융거래소에서 원100/엔이 개장하면서 FX마진처럼 거래되는데 거래량이 적지만 엔 크로스 통화보다 이자와 스와프 가치가 높게 책정된 적이 있었다. 링크 사이트

하지만 거래가 진행된지 2년이 되기 전에 정치적인 이유로 인도 루피, 중국 위안과 함께 그것도 2013년 12월 31일에 3종목 모두 상장이 폐지되었다. 그래서 사이트에 언급된 곳에는 3종목의 통화 유럽식 표기 가격이 없을 것이다.


2. 명칭[편집]


현대 일본어로는 엔()이라 발음하는 반면, 영어로는 yen이라 표기하고 통화 기호 역시 위에서 보듯, 대문자 Y에 선을 그은 것이다.

이는 옛 발음인 옌()[2]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한다.

때문에 일본어를 잘 모르고 미국에서 경제학이나 경영학을 전공한 대한민국경제학/경영학 교수들은 강의 시에 Yen에 이끌려서 일본 "옌"화라고 발음하기도 한다.[3] 당연히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옌"이라고 발음한다. 러시아에서도 러시아어로 엔을 Йена(이예나)라고 발음한다.


2.1. 단위 입력하기[편집]


일본어 윈도에서는 \\(U+005C, 역슬래시, reverse solidus)를 입력하면 반각 문자 ¥이 나오긴 하지만 다른 나라 윈도나 다른 운영 체제에서는 그냥 역슬래시(\)로(한국어 윈도에서는 으로) 나오므로 다른 방법으로 입력하는 것이 좋다. ¥(U+00A5)는 Alt + 0165(Num lock을 켜고 숫자 키패드로 입력)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전각 문자 ¥는 ㄹ + 한자 또는 Alt + 65509(역시 숫자 키패드로)로 입력할 수 있다.

본래 이라는 글자는 (둥글 원)의 신자체이다. 그래서 2차 대전 이전 문서에서는 圓으로 표기하고 있는 것을 쉬이 볼 수 있다. 하지만 한국어 IME에서도 '엔'을 치고 한자 변환 키를 누르면 円을 입력할 수 있다. 이는 유일하게 외국식 발음으로 입력이 가능한 한자로, 실제로 KS X 1001 완성형에도 円의 음을 '엔'으로 보고 業(업)과 予(여) 사이에 배당했으며, 2001년대법원 인명용 한자 개정 시에도 '엔'이라는 독음 밑에 円이라는 한자가 추가됐다. 당연히 학문적으로는 전혀 연관이 없으며, 오히려 한문학계에서는 한국식 독음이 없는 일본식 한자들을 이유 없이 지정시켜 놓는다고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같은 글자들을 포함해서.


3. 환율[편집]


2024. 2. 2. 17시 하나은행 기준

일본 엔(JPY)
대한민국 원(KRW)
100엔
약 903.69원
200엔
약 1,807.38원
500엔
약 4,518.45원
1,000엔
약 9,036.9원
2,000엔
약 18,073.8원
5,000엔
약 45,184.5원
10,000엔
약 90,369원

동전을 하나은행에서 환전할 경우 액면 70%(1000엔당 약 6,325.83원)에 살 수 있다.


3.1. 연도별 달러-엔 환율 통계[편집]


연도
평균
최저치
최고치
2022
131.55
113.72
151.69
2021
109.87
102.89
115.31
2020
106.74129
102.234637
112.011121
2019
108.977442
105.136680
111.977001
2018
110.473675
105.086668
114.162754
2017
112.197108
107.379768
118.199326
2016
108.654779
99.814077
121.269754
2015
121.079599
116.551605
125.282207
2014
105.817790
100.996825
121.104585
2013
97.617765
86.956190
105.216571
2012
79.753030
76.111196
86.107322
2011
79.702131
75.769774
85.271856
2010
87.711075
80.382019
94.908697
2009
93.543611
86.380883
100.785418
2008
103.444399
88.409962
111.540033
2007
117.774224
107.644211
124.060710
2006
116.308359
109.361900
119.612378
2005
110.179007
102.040504
121.055758
2004
108.157018
102.322293
114.827995
2003
115.930163
106.927949
121.464599
2002
125.140467
115.710477
134.813273
2001
121.449849
114.249738
131.361215
2000
107.745626
101.833499
114.905965
1999
113.722920
101.615621
124.506301
1998
130.791656
113.820441
147.229191
1997
120.962173
111.319912
131.150150
1996
108.742601
103.169893
116.400769
1995
94.032270
81.130419
104.280361
1994
102.163925
96.419447
113.100194
1993
111.111153
101.150309
125.969563
1992
126.675269
119.220505
134.469949
1991
134.529713
124.949848
141.850043
1990
144.796384
124.950192
159.869596
1989
137.982263
123.779417
151.014064
1988
128.139887
120.986610
136.909024
1987
144.571673
121.513638
160.000000
1986
168.438211
152.698048
203.091431
1985
238.275294
200.594947
262.805810
1984
237.415294
222.532866
251.036683
1983
237.371329
227.137981
247.083333
1982
248.874639
217.401460
278.355868
1981
220.354266
198.453094
245.080764
1980
226.238673
202.271554
260.713814
출처

1980년 이전 원 엔 환율은 다음 표와 같다.
연도
평균 환율(원, 100엔당)
절상율(%)
1979
201.9
23.2
1978
248.7
-18.9
1977
201.7
-18.0
1976
165.3
-4.0
1975
158.6
1.4
1974
160.8
-11.7
1973
142.0
-7.0
1972
132.1
-10.2
1971
118.6
-25.3
1970
88.5
-3.9

20년간 천원/엔 환율 차트파일:1000krwjpy.png출전

  • 최고치: 2007. 7. 2. 천원당 133.59엔
  • 최저치: 2009. 2. 3. 천원당 63.33엔


4. 연대별 일본 엔 흐름 상황[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일본 엔/연도별 흐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위상[편집]


미국 달러, 유로화와 함께 세계 3대 무역 결제 통화[4]이다. 다만 실제로 국제시장에서 엔화로 결제되는 비율은 달러유로화 대비 적다. 대부분 달러이며, 그 다음으로 유로화가 차지한다.

한국 정부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엔화에 대한 보고서를 통해 일본의 엔화는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며, 일본은 미국, EU, 영국과 함께 기축통화국이라고 명시한다.

그리고 세계에서 대표적인 안전 자산으로 불린다. 대표적인 예로 2016년 브렉시트로 인해 세계 경제가 출렁일 때 엔화의 가치가 급상승하는 현상이 일어났는데 이는 일본 엔화가 경제 불확실성이나 위험한 시기에 안전자산으로 선호되었다는 것을 보여준 하나의 예이다.

세계 정세와 경제가 불안해지면 , 달러, 유로, 엔, 파운드안전 자산으로 취급되는 곳으로 돈이 몰리는데 이 중에서 현물 자산인 을 제외하고 화폐 중에서 달러 다음으로 안전하다고 평가받는 것이 일본의 엔화다. 즉 대외 충격에 민감도가 낮기 때문에 경제 위기 때 엔화는 세계적으로 안전 자산으로 선호된다.

안전 통화로서 엔화의 가치를 유지했던 주요 요인은 소득수지 흑자를 통한 경상수지 흑자 현상이었는데 일본은 2차 대전 패전국 때의 처참한 경제상황에서 자력으로 1948년 3년만에 전후 데미지를 대부분 극복하고 성장의 발판을 마련한다. 전후 충격을 극복하지 못한 일부 중공업 계열 기업도 1950년 발발한 6.25 전쟁 특수를 얻으며 미국의 물류 오더를 받으며 자산을 축적해 기사회생했다.[5] 또한 당시 미국은 6.25전쟁 중 공산주의를 처지하기 위해 아시아에 강력한 친미 국가를 원했고 그 대책으로 일본 주권의 회복과 제한하고, 해체한 기업들의 권리를 다시 돌려주는데 사실상 미국이 억누르고 있던 일본의 경제발전의 자물쇠가 풀리는 사건이 된다. 같은 시기 연합국이 억누르고 있던 독일의 제약이 풀리자 일본과 똑같이 폭발적 성장을 하며 나란히 세계 2,3위의 경제 대국이 되었다.

그리고 1995년 세계 GDP의 15%를 차지할 때까지 폭발적인 경제 성장으로 전 세계에서 대외 순자산이 가장 많은 국가가 되었으며, 또한 순 국제투자 부문에서 오랫동안 1위를 지켜왔다. 이것은 2, 3위인 독일, 홍콩보다 2배 가까이 높은 것이다.

비슷한 규모로 거래되는 화폐인 파운드화와 비교해보면 파운드영국의 금융 시장, 첨단 산업 등 경제 구조, 상임이사국으로의 전세계적인 외교적 영향력, 미국, EU와의 관계,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과의 관계, 달러, 유로화와 같이 국제 금융 시장과 현물 시장 내에서의 거래량이 파운드의 안정성을 담보하고 있다.

일본 엔화의 경우 세계 3위 수준의 경제규모, 국내외에 있는 일본 정부/일본계 다국적 기업의 자산, 세계 최상위권 수준의 제조업 경쟁력, 서비스업 위주의 선진적 경제구조, 일본 국민들의 높은 저축률과 자산, 미국과의 무제한 통화 스와프 등이 엔화의 안정성을 담보하고 있다.


6. 환전[편집]


한국, 중국, 홍콩, 대만, 미국에서도 일본에서 공부하는 유학생들, 특히나 일본에 거주하는 한인, 재일 중국인, 재일 대만인들이 많고, 인접국이기에 교역량도 많다.

그렇기에 대한민국, 중국, 홍콩, 대만, 미국 등의 여러 분야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사람들이 달러 다음으로 엔화의 환율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일본 엔화를 환전해야 한다면 당연히 수수료가 낮은 순으로는 한국의 (시중은행 에서 동전 환전)>[6]사설환전소 > 국민은행 서울역 환전센터[7] > 한국의 시중은행 창구에서 환전 할인 적용(30 ~ 70%)[8] > 환전 할인없이 시중은행 창구 거래[9] > 국내 공항 환전소 > 일본 사설환전소 > 일본 시중은행 > 일본 공항


순서도 시점이나 환전 금액에 따라 천차만별이나 가끔씩 여러가지 사정으로 일본 사설환전소가 국내 사설환전소보다 싼 경우가 있다.

환전소 및 은행 환전 수수료가 높기 때문에 일본인에게 유명한 곳의 환전소와 닌자 환전소(忍者 両替所), 사쿠라 환전 서비스(Sakura Currency Servic)에서 환전외에는 엔화를 들고 선진국이든 후진국이든 현지 사설환전소, 은행 창구에서 환전하는 추세다.

세계에서 환전 수수료가 비싼 곳은 대만, 일본, 노르웨이, 덴마크, 스웨덴, 영국, 아르헨티나[10], 호주, 뉴질랜드가 해당한다.

일본 현지에서 환전해야 한다면 아래의 통화가 환전 가능하다. 목록에 있더라도 일부 사설환전소 혹은 은행에서만 된다.

1. 닌자환전소 환율창
2. 트레이블 환전소 사이트
3. 미쓰비시 UFJ 은행 환율창



6.1. 훼손, 마모, 오염, 구권 환전[편집]


훼손, 마모, 오염된 지폐 또는 구권을 보유하고 있다면 대한민국 또는 외국 있다면 해당국가 시중은행이나 사설환전소에서 환전 가능여부를 확인하자. 교환이 어렵다면 일본 현지에서 사용하던가 아니면 유니세프 등에 기부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현재 시점에선 A~C 시리즈는 국내 시중 모든은행에서 환전이 불가하다, 직접 콜센터에 문의한 결과 해당 지폐는 발행된지 너무 오래돼서 못한다고 한다. 다만 D시리즈(84년 발행권)는 받는 곳도 있고 안받는 곳도 있으니 직접 묻는 게 좋다. 만약 D 시리즈 이전 지폐를 가지고 있다면 화폐수집상에게 팔거나 일본 현지 은행에서 바꾸는 것이 좋다. 다만 2010년 대만에서 만든 위조지폐가 타오위안 공항을 통해 일본으로 들어오려던 것이 적발되었으나 그 전에 이미 유통 되었을 수도 있으니 확신이 안서면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에 가서 묻는 게 좋다.[12]

일본 현지에 있다면 시중은행, 사설환전소 등의 금융기관이 교환이 가능한지 확인하자.
그게 어렵다면 아래의 일본은행 홈폐이지에 있는 교환의뢰서를 작성해서 일본은행 본지점를 직접 방문이 필요하다.[13]


1946년 GHQ의 교환조치 이전 발행되었던 일본제국 엔은 환전이 불가하다.


7. 권종[편집]


일본 엔은 제2차 세계 대전 패망 후 미국 GHQ에 의해 신 정부가 개칭된 이래로 화폐개혁을 한 적이 없으며, 때문에 이하 소개하는 모든 시리즈의 일본은행권은 시중에 사용이 가능하다. 단 한국 원과 마찬가지로 1엔 미만은 사용할 수 없다.

사실 통계상으로 보면 1934년부터 전후시기까지는 일본의 물가상승률이 높았기 때문에 1950년대에 화폐개혁이 이루어질것이라는 전망이 나올 지경이었지만, 6.25 전쟁기를 기점으로 물가상승률이 연 10% 아래로 떨어지면서 화폐개혁 논의가 쏙 들어간것이다.

구 일본제국 엔은 발행 순서를 이로하니호헤토 혹은 갑을병정으로 정했으나, 신 일본 엔이 도입된 현재는 ABC표기로 구분하고 있다.


7.1. 지폐[편집]



7.1.1. A시리즈 (1차)[편집]


1946년부터 도입된 시리즈이나, 시대적으로 2차(B)와 혼용되기도 하였고, 발행 순서도 뒤죽박죽으로 되어 있어 구분이 명확하지는 않은 편이다. 이전에도 계속 쓰이던 엔의 보조단위인 '센(銭)'단위도[14] 발행했었지만, 1953년 법률 제 60호 "소액통화의 정리 혹은 지불금의 단수계산에 관한 법률"의 제정에 의해 금지되었다. 1949년에 물가폭등을 막기 위해 환율은 360엔/USD 고정환으로 설정되었다.[15]

여기서부터의 목록에 있는 1엔 이상의 지폐는 아직 사용할 수 있는 법정통화권이다[16]. 액면가보다 경매가가 상상을 초월하는 단위로 비싸겠지만...[17] 다만, 실제 일본의 여러 매장 등에서는 사용을 거부당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후술할 여러가지 화폐 중 몇몇 종류는 위조지폐 문제가 있었기에 일본은행이 아니면 위조지폐인지 판별이 불가능한 경우도 많기 때문. 일례로, 1999년까지 발행되었던 구 500엔 동전의 경우 위조된 동전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수천장 정도가 일본으로 유출된 것이 확인되었고, 일본의 주요 매장에는 해당 동전의 '헤이세이 원년'으로 표기된 구 500엔을 받지 말라는 지시도 내려온 적이 있다.


앞면
뒷면
파일:¥1 front.jpg
¥1
(1946. 3. 19.)
니노미야 손토쿠
액면단위
파일:¥1 back.jpg
파일:¥5 front.jpg
¥5
(1946. 3. 5.)
액면단위
파일:¥5 back.jpg
파일:¥10 front.jpg
¥10
(1946. 2. 25.)
국회의사당
파일:¥10 back.jpg
파일:¥100 front-1.jpg
¥100
(1946. 3. 1.)[18]
쇼토쿠 태자, 유메도노
호류지
파일:¥100 back-1.jpg


7.1.2. B시리즈 (2차)[편집]


1950~1953년에 걸쳐 도입된 시리즈. 이때부터 완전히 신자체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앞면
뒷면
파일:¥50 front.jpg
¥50[19]
다카하시 고레키요
일본은행
파일:¥50 back.jpg
파일:¥100 front-2.jpg
¥100
이타가키 다이스케
국회의사당
파일:¥100 back-2.jpg
파일:¥500 front-1.jpg
¥500
이와쿠라 도모미
후지산
파일:¥500 back-1.jpg
파일:¥1000 front-1.jpg
¥1,000[20]
쇼토쿠 태자
유메도노
파일:¥1000 back-1.jpg



7.1.3. C시리즈 (3차)[편집]


2차 시리즈의 연장선상 격으로 1957~69년 사이에 도입했으며 처음으로 워터마크가 추가되었다.[21]

사실상 여기서 눈에 띄는 변화는 가장 자주 쓰이던 1,000엔권 한 장뿐이라 봐도 무방하며, 이는 후기 쇼와 지폐의 상징물이 되었다. 전후 쇼와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창작물에서 언급될 때 볼 수 있다.

C시리즈는 대한민국과의 교류과정에서 굉장한 논란과 외교적 마찰이 발생했는데 바로 지폐의 인물로 대한민국에게는 불구대천의 원수인 일본의 1대 총리대신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박혀있었기 때문이었다. 당연하지만 일본 측은 지폐 발행을 취소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진 않았다.


앞면
뒷면
파일:¥500 front-2.jpg
¥500
B시리즈와 동일[22]
파일:¥500 back-2.jpg
파일:¥1000 front-2.jpg
¥1,000
이토 히로부미
일본은행
파일:¥1000 back-2.jpg
파일:¥5000 front-1.jpg
¥5,000
쇼토쿠 태자
파일:¥5000 back-1.jpg
파일:¥10000 front-1.jpg
¥10,000
봉황 문양
파일:¥10000 back-1.jpg


7.1.4. D시리즈 (4차)[편집]


이전과는 다르게 1984년 11월에 통째로 교체/도입되어 2002년까지 발행된 시리즈. 이 시리즈의 도입으로 인해 쇼토쿠 태자는 도안에서 완전히 퇴출되었다.

도중에 하단에 쓰여지는 발행처의 명칭이 바뀌었는데, 기존의 대장성인쇄국에서 2001년 1월에 재무성인쇄국으로, 2003년 4월에 현재의 국립인쇄국으로 바뀌어 표기되었다. 단, 2,000엔권에는 해당사항이 없다.

1,000엔권의 나쓰메 소세키는 일본의 소설가로, 도련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라는 작품으로 유명하다.

5,000엔권니토베 이나조는 한국인들에겐 꽤 생소한 사람인데, 메이지 하고 다이쇼 시대에 활동한 학자이자 정치가다. '무사도' 개념을 제창한 학자로 유명하며, 당시 일본에서 가장 권위있는 국제주의자였고 오늘날까지도 그 명성을 유지하고 있다.

10,000엔권후쿠자와 유키치는 일본 근대화의 아버지이자 게이오기주쿠대학의 창설자이자 사상가로, 한국에서 탈아론으로 유명한 인물이며, 대한제국의 정치가·개화 사상가·계몽운동가였던 유길준의 스승이기도 하다.[23] 일본에서는 근대 시기의 명망 있던 석학이자 작가로 여겨지고 있다.

시중에서 간혹 금고에 오랫동안 있다 유통되는 구형 만엔 권 지폐도 드물게나마 볼 수 있다.[24] 다만 기계에서는 받지 않으며 대면거래만 가능하다.


7.1.5. E시리즈 (5차)[편집]


2004년 11월 1일 한꺼번에 교체되며 등장한 시리즈. 보안요소가 강화되긴 했으나 눈에 띌 정도는 아니다.

5,000엔권의 홀로그램이 10,000엔권하고 비슷하여 2014년에 기존의 도안은 그대로이고 홀로그램만 사각형으로 바뀐[25] 5,000엔권이 나왔다.

발행번호의 색상이 3종류가 있다. 2004년 처음 발행된 이래로 계속 검은색 발행번호로 인쇄되었으나, 2011년 7월 29일부로 발행번호가 꽉 차서 1,000엔권하고 10,000엔권의 발행번호 색상을 갈색으로 변경하였다.[26]

5,000엔권은 이후에도 계속 검은색으로 발행하였으나, 전술한 홀로그램 변경으로 2014년부터 갈색 번호로 발행되기 시작했다. 갈색 1,000엔권의 발행번호가 2019년 초 즈음해서 다 차서 3월 18일부로 1,000엔권에 한해 번호가 청색으로 변경되었다.

도안으로 노구치 히데요하고 히구치 이치요가 등장했는데... 둘 다 유명세를 타면서 운명이 갈려버렸다. 개화기 문인의 상징 중 하나였던 나쓰메 소세키를 대신해 등장한 노구치는 재평가되면서 시원하게 욕 한 바가지 먹고 있는데, 니토베 이나조 대신 등장한 히구치의 경우, 전에는 문인들에게나 알려진 무명인물[27]이었다가 일반인들에게 널리 알려지며 후광효과로 재조명되었다.

2022년 11월 5일부로 해당 시리즈가 신권 발행 시작과 함께 발행이 중단 되었음을 일본은행이 공식 발표했다.[28]


앞면
뒷면
파일:¥1000 front-4.jpg
¥1,000
노구치 히데요
후지산, 벚꽃
파일:¥1000 back-4.jpg
파일:¥5000 front-3.jpg
¥5,000
히구치 이치요
오가타 코린[29]붓꽃 그림
파일:¥5000 back-3.jpg
파일:¥10000 front-3.jpg
¥10,000
전판과 동일
뵤도인봉황당의 봉황상
파일:¥10000 back-3.jpg


7.1.6. F시리즈 (6차, 예정)[편집]


레이와 시대를 맞아 새롭게 발행하는 신권으로, 2024년 7월 3일부터 발행될 예정이다. 단 2,000엔권은 유통량이 적은 관계로 발행에서 제외.

보수성을 보이던 기존 도안과는 달리, 모더니즘(선명한 색상)과 유니버설 디자인[30]의 요소를 도안에 도입하였다. 신도안에 반대하는 의견에서는 도안의 급격한 변화를 지적하는 반면, 찬성인 의견에서는 오히려 요소를 너무 어중간하게 도입(덜 선명한 색상, 도안의 확실한 변화 부족 및 보수성 유지 등)했다는 의견 등이 제시되고 있다.

천엔의 기타자토 시바사부로는 페스트균을 발견하고 파상풍 치료법 등을 개발한 유명한 의사이다. 노구치 히데요의 스승이기도 하며 또한 일본인 최초의 공식 노벨상 수상 후보(1901년)로, 파상풍 치료법 고안자 등으로 유명한 세균학자로 과거 노벨상을 받을 뻔했으나 당시 프랑스의 병리학자 알렉상드르 예르생이 거의 비슷한 시기에, 정말 간발의 차로 바이러스 이름에 자신의 이름을 붙이는 바람에 밀려서 받는 데 실패했다.

오천엔의 쓰다 우메코는 일본 최초의 여성 유학생으로, 미국 유학 후에 여성 교육자로 활동한 인물이다. 쓰다주쿠대학 설립자이기도 하다.[31]

만엔의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근대 일본 경제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인물이며 도안에 사용된 사진은 고희(70세) 때이던 메이지 40년대 사진. 참고로 1902년부터 1904년까지 대한제국에서 유통된 일본 제일은행 발행 지폐 1원·5원·10원권에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들어가 있어서 큰 논란을 불어 일으켰는데 당시 대한제국의 지폐는 제일은행이 발행했으며 당시 제일은행 소유주였던 시부사와의 초상을 넣을 것을 관철하면서 세 종류의 지폐에 모두 당시 제일은행 소유주였던 시부사와의 초상을 그려넣었기 때문이다. 즉 대한제국 돈에 얼굴이 들어간 사람이 120여년이 지나 일본 돈에 다시 들어가는 셈이다.


앞면
뒷면
파일:¥1000 front-5.png
¥1,000
기타자토 시바사부로
가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
파일:¥1000 back-5.png
파일:¥5000 front-4.png
¥5,000
쓰다 우메코
등나무
파일:¥5000 back-4.png
파일:¥10000 front-4.png
¥10,000
시부사와 에이이치
도쿄역 역사[32]
파일:¥10000 back-4.png


2021년 9월 1일부터 도쿄도 기타구에 있는 일본 국립인쇄국에서 인쇄작업에 들어갔으며 일본 지폐 사상 처음으로 3D 홀로그램이 들어간다.[33] 위조지폐를 힘들게 하기 위한 강구책으로 보인다. 실제 발행된 지폐를 전면에 Bank of Japan이 추가되었다. 지금까지의 일본 지폐는 로마자 표기(Nippon Ginko)만을 기재해 왔는데, 이번에 영어 표기가 추가된 것. 다만 후면에는 여전히 Nippon Ginko를 기재하였다.


7.2. 동전[편집]





지폐는 발권은행인 일본은행이 발행하지만, 주화는 일본 정부가 직접 발행한다.[34] 따라서 주화에는 일본은행이 아닌 일본국이라는 문자가 각인된다.

특이한 점이라면 일부 권종에서는 옛날에 사용하던 엽전처럼 정 가운데에 구멍이 뚫려있고 이 덕분에 여러 개의 동전을 실로 꿰어서 갖고 다닐 수 있다.

가치가 너무 떨어진 탓에 10원50원이 멸종 직전인 한국과는 달리 일본에서는 1엔5엔소비세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쓰게 되는 일이 많다. 일본도 한국의 부가가치세 격인 소비세가 있지만 처음부터 가격에 세금을 포함시켜 적거나 가격 책정 자체를 세금을 고려해서 하는 경우[35]가 많은 한국과 달리 물건 가격을 10% 소비세를 제외한 가격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150엔짜리 물건인데 소비세 제외 가격이라 계산대에서는 165엔으로 나오거나 아예 처음부터 가격을 '소비세 포함 165엔'으로 안내하여 딱 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매우 많다. 일본 내에서도 불만이 많았는지 2004년부터 가격표에 세금 포함 가격을 기재하도록 강제하고 있고, 특히 소비세가 8%에서 10%으로 인상되면서 물건 값을 10이나 5 단위로 끊기가 쉬워진 이후로는 점차 한국처럼 세금 포함 가격이 10엔~100엔 단위에서 끊어지도록 추세가 바뀌어가고 있다. 특히 고가 물품일수록 더욱 두드러진다. 하지만 2020년 현재도 이런 추세가 매우 적극적인 것은 아니다 보니 아직은 거스름돈으로 1엔이나 5엔 동전을 받게 되는 일이 다반사다. 그나마 1엔의 발행량 감소에 전자화폐와 함께 공헌을 했다.

이런 이유로 외국인이 일본 여행을 갔을 때 계산 관련해서 가장 골때리는 문제는 현금 선호 문화 중 동전 사용이다. 지폐의 시작인 1,000엔권 자체가 나름 고액권이고 금액 높은 500엔까지도 동전으로만 나오며 1엔부터 500엔까지 골고루 쓸 일이 많아 동전의 사용 빈도도 높아 일상적인 거래는 동전으로 주로 하며, 위에서 언급된 소비세 문제도 겹치다 보니 동전이 없는 등의 이유로 지폐 좀 쓰기만 하면 거스름돈으로는 동전이 한움큼 들어오고 이걸로 또 계산하다 보면 소액 동전이 또 생기고 이런 게 반복돼서 말 그대로 처치곤란이 된다. 이래서 일본에 사는 사람들은 동전지갑을 따로 가지고 다니는 경우가 많고 동전지갑 굿즈도 많이 팔린다. 특히나 소비세 문제 때문에 1엔과 5엔이 쌓이는 경우가 많은데, 자판기나 IC카드 충전기 같은 곳에 먹이려 해도 보통 1엔, 5엔 동전은 자판기와 IC카드 충전기에서는 받지 않는다. 그나마 일본인이나 재류카드가 있는 장기체류자라면 은행 ATM 입금 을 이용할 수 있는데, ATM이 1엔, 5엔 동전도 전부 받으므로 동전지갑에 모아뒀다 한번에 쏟아버리면 그만이지만 계좌가 없는 단기방문 외국인 관광객 입장에서는 말 그대로 남의 나라 이야기. 그나마 5엔의 경우는 쓸 일이 좀 있지만, 1엔의 경우는 여행 끝날 때까지 쓸 곳을 못 찾아서 돌아오면 산더미처럼 쌓여있다. 따라서 동전은 항상 확인해서 계획적으로 쓰는 게 좋다. 아니면 출국 전날에 그냥 뭐라도 잔뜩 사던가.

한국의 화폐 단위와 비슷해서 간혹 한국 여행객이 멋모르고 동전을 물 쓰듯이, 엔을 원 쓰듯이 쓰다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다.[36]

서기가 아닌 일본 연호로만 표시되고 있다.

500円
변천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yen-S57.jpg
▲1982~1999년(昭和57~平成1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JPY.jpg
▲2000년~2021년(平成12~令和3)
파일:new 500 yen.jpg
▲2021년~(令和3~)
재질
백동[37]
양은(니켈황동)[38](2000~2021)
바이메탈 주화(2021~)
도안
앞면
오동나무[39]
뒷면
댓잎(상하)·귤나무 가지(좌우)
옆면
"NIPPON ◆ 500" 반복
→사선 톱니무늬(2000~2021)
→불규칙 사선 톱니무늬(2021~)
지름
26.5mm
무게
7.10g

100円
변천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yen-S32.jpg
▲1957~58년(昭和32~3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yen-S34.jpg
▲1959~66년(昭和34~4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JPY.jpg
▲1967년~(昭和42~)
재질
백동[40]
도안
앞면
벚꽃
뒷면
숫자
옆면
톱니무늬
(1바퀴당 톱니의 개수 103개)
지름
22.6mm
무게
4.8g

50円
변천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yen-S30.jpg
▲1955~1958년(昭和30~3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yen-S34.jpg
▲1959~1966년(昭和34~41)[4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JPY.jpg
▲1967년~(昭和42~)
재질
니켈백동
도안
앞면
국화
뒷면
숫자
옆면
톱니무늬
지름
21.0mm
구멍:4mm
무게
4.0g

10円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JPY.jpg
▲1951년~(昭和26~)
재질
청동[42]
도안
앞면
뵤도인 봉황당
뒷면
월계수 잎
옆면
톱니무늬[43]
→민무늬
(1959년~(昭和34~))
지름
23.5mm
무게
4.5g
두께
1.5mm

5円
변천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yen-S23.jpg
▲1948년(昭和2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yen-S24.jpg
▲1949~58년(昭和24~33)[44][4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JPY.jpg
▲1959년~(昭和34~)
재질
황동[46][47]
도안
앞면
벼 이삭과 물, 톱니바퀴
뒷면
'日本国'[48], 새싹
옆면
민무늬
지름
22.0mm
무게
3.75g(1돈)
두께
5mm

1円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JPY.jpg
▲1955년~(昭和30~)
재질
알루미늄
도안
앞면
어린 나뭇가지
뒷면
숫자
옆면
민무늬
지름
20.0mm
무게
1g
두께
1.5mm


7.2.1. 여담[편집]


  • 500엔(한화: 약 4,500원)
    • 재질은 2021년부터 위조 방지를 위해 소재를 변경했다.
    • 90년대에 일본 자판기에 한국 500원을 넣으면 500엔처럼 인식하는 돈버그 현상때문에 양국간에 트러블이 생기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 중앙은행이 아연을 첨가한 재질로 동전을 개정하고 모든 자판기를 업그레이드 하면서 지금은 통하지 않는다.
  • 그 외의 내용은 500엔 주화 문서를 참조.
  • 100엔(한화: 약 900원)
  • 자세한 사항은 100엔 주화 문서를 참조.
  • 쇼와 41년 이전의 주화는 모두 은화였다.[49]
  • 백원 주화의 9배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크기는 100원이 더 크다. 100원과 비슷한 값어치를 지닌 10엔보다도 작다! 도리어 과거 황동으로 만들던 십원 주화가 22.86mm인데 그것과 크기가 비슷하다. 그런 이유로, 간혹 은행에서 옛 10원 동전과 섞여서 롤로 포장되는 경우도 있으며, 동전 ATM 기기에서도 아주 가끔 10원으로 잘못 인식되어 입금/인출되는 경우도 있다. 자판기 메커니즘이 매우 간단하던 1970년대에는 한국의 10원을 일본에 가져다가 일본 자판기에 넣어서 100엔 처럼 쓰다가 적발된 경우도 있었다.[50] 500엔 돈버그 사건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 1957년 당시 100엔의 등장으로 아래 액면인 10엔과 50엔의 생김새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당시 세 주화가 너무 비슷해서 구별이 힘들었기 때문이다.[51] 결국 10엔의 톱니를 없애버렸으며, 50엔에는 구멍을 뚫어서 지금에 이르렀다.

  • 50엔(한화: 약 450원)
    • 자세한 사항은 50엔 주화 문서를 참조.
    • 1987년의 50엔 동전은 조폐국이 판매한 화폐 세트에만 포함되어 있고 시중에 유통되지는 않았다. 발행 매수는 775,000개로 매우 희소하다. 우리나라의 1998년 500원 주화를 생각하면 된다. 물론 비유가 그렇다는 거지 실제 가격은 98년 500원보다 훨씬 낮으니 주의. 2010~2013년에도 민트세트용으로만 발행되었다. 이쪽도 87년과 마찬가지로 40~60만개 정도밖에 생산되지 않았다.
    • 에러 주화가 자주 발견된다. 구멍이 이상한 곳에 찍혀 있다든지, 아예 없다든지 한다. 물론 자주 발견된다는 거지 흔하다는 건 아니다. 또한, 타 권종에 비해 번쩍거리는 새 동전 찾기가 대단히 어렵기도 하다.[52] 일본에서 받은 동전을 유심히 살펴보면 유독 50엔만 다른 동전들에 비해 더러운 경우가 많을 것이다.[53]
    • 1966년 이전에 발행된 구형 50엔은 순니켈화라 자석에 잘 달라붙는다.
  • 10엔(한화: 약 90원)
    • 자세한 사항은 10엔 주화 문서를 참조.
    • 일본의 일반적인 자판기에서 받는 최소단위의 동전이다. 다시 말해 자판기는 5엔 동전과 1엔 동전을 받지 않는다.
    • 10원 구 동전과 함께 함께 구리 성분이 워낙 많다보니 신발 깔창에 까는 경우가 있다.
  • 5엔(한화: 약 45원)
    • 자세한 사항은 5엔 주화 문서를 참조.
    • 일본 거주자에겐 ATM기 밥이 된다.(1)[54]
    • ATM이나 셀프 계산대 이외에는 기계에서 받지 않는 1엔과는 달리 일부 편의점 복합기에서는 5엔 동전도 받는다. 세븐일레븐이나 미니스톱에 주로 설치되어 있다.
  • 1엔(한화: 약 9원)


7.2.2. 기념 주화[편집]


일본 정부에서 정식으로 발매한 주화로 현지에서 통용이 가능하다. 무츠 오가와라 기념주화 같이 그렇지 않는 경우는 별도로 기재할 것.


7.2.2.1. 1964 도쿄 올림픽 기념주화 (1964)[편집]

일본 최초의 기념 주화이며, 100엔과 1,000엔 두 종류를 발행하였다.

100엔은 당시에 통용되었던 100엔 은화와 동일한 스펙으로, 도안만 다르게 하여 발행하였다. 따라서 당시에 100엔 기념주화는 시중에 섞여 유통되기도 했었다. 발행량이 많은 관계로 지금도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다. 민트 가격이 쇼와 39년(1964년) 일반 주화와 큰 차이가 없을 정도. 물론 일반 주화를 적게 발행했던 것도 있다.


7.2.2.2. 1975 오키나와 엑스포 기념주화 (1975)[편집]

파일:f0b8c399900be381ecb8e79f255be89e.jpg
오키나와 해양 엑스포 개최를 기념하여 만든 100엔 기념주화.

이 주화에서 주목할 부분은 현행 100엔 동전과 스펙이 동일하다는 점이다. 100엔 기념주화 중에서는 이 주화가 유일하며[55] 자판기에서도 100엔으로 인식한다. 스펙이 같아서 다른 100엔 기념주화에 비해 잔돈으로 종종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종종 이 동전 발견하면 안쓰고 모아두는 사람들도 있다.


7.2.2.3. 내각제도 100년 기념주화 (1985)[편집]

파일:500yen-1985-100.jpg
이토 히로부미가 초대 일본 총리가 된지 100년이 되는 1985년(쇼와 60년)에 발행된 500엔 기념주화.

간혹 시중에 유통되기도 하지만 해당 기념주화는 현행 500엔 주화와 크기부터가 달라서 많이 통용되는 편은 아니다.


7.2.2.4. 지방자치법시행 60주년 기념주화 (2008~2016)[편집]

일본 조폐국은 2008년부터 지방자치법시행 60주년 기념주화 시리즈(500엔 바이메탈 주화, 1000엔 은화)를 발행하고 있다. 미국의 쿼터달러 시리즈와 비슷한 개념으로 수집가들 사이에서는 유명하다. 발행된 순서는 아래와 같다.

  • 2008년(헤이세이 20년): 홋카이도, 교토, 시마네[56]
  • 2009년(헤이세이 21년): 나가노, 니가타, 이바라키, 나라
  • 2010년(헤이세이 22년): 고치[57], 기후, 후쿠이, 아이치, 아오모리, 사가
  • 2011년(헤이세이 23년): 도야마, 돗토리, 구마모토, 시가, 이와테, 아키타
  • 2012년(헤이세이 24년): 오키나와, 가나가와, 미야자키, 도치기, 오이타, 효고
  • 2013년(헤이세이 25년): 미야기, 히로시마, 군마[58], 오카야마, 시즈오카, 야마나시, 가고시마
  • 2014년(헤이세이 26년): 에히메, 야마가타, 미에, 가가와, 사이타마, 이시카와
  • 2015년(헤이세이 27년): 야마구치, 도쿠시마, 후쿠오카, 지바, 오사카, 와카야마, 나가사키
  • 2016년(헤이세이 28년): 후쿠시마,[59] 도쿄[60]

2021년부터 동일한 재질로 통용 바이메탈 500엔을 발행하였으며 그 이후부터 섞여 유통될 가능성이 있다. 아직까지 대부분 기기에서는 사용이 불가하다는 안내가 있지만 대면 거래에서는 문제 없이 가능.


7.2.2.5. 2020 도쿄 올림픽, 패럴림픽 (2020)[편집]



7.2.2.6. 2025 오사카 엑스포 (2025)[편집]


7.2.2.7. 무츠·오가와라 국가석유비축기지 개발사업 (불명)[편집]

무츠·오가와라 국가석유비축기지 개발사업 기념주화 (c. 1979?[61])

2019년 말부터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 '의문의 기념주화'로, 재무성이나 조폐국에는 발행 기록이 없으나 실물은 전해진다. 해당 문서 참조.


8. 이야깃거리[편집]



8.1. 환율방어[편집]


이하 문단을 요약하면:
일본 정부: '경제가 안 좋으니, 금리를 내려야겠어. 통화가 늘어나면 엔화가 싸져서 환율이 상승하겠지?'
→ 세계 경제: '일본이 금리를 내리다니, 경제가 정말 안 좋은 가봐. 안전 자산인 엔화를 사야겠어.'
→ 외환 시장: '엔화 수요가 많네. 엔화가 올라간다!'
→ 일본 정부: '엔화를 절하합니다. 어? 안되잖아?'

소개란에 있는 "경제가 어려워지면 가치가 오른다"를 부연 설명하자면, 일본은 2010년대 들어와서 국채GDP의 비율이 IMF 추정치로 200%에 육박하고 있다.[62]

이런 일본의 상황에서도 자꾸만 그 가치가 오르고 있는 이유는 간단한데, 서방세계에서 엔화는 안전자산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래서 미국발 금융위기나 유럽에서 어떤 큰 사건이 생긴다면(가장 최근에는 브렉시트 같은) 해외자금들이 모두 엔화로 몰린다. 따라서 일본 정부가 아무리 돈을 풀어도 엔화가치가 잘 떨어지지가 않는 것이다. 두번째로 투기목적, 즉 '엔 캐리트레이드'로 몰리는 통화는 기본적으로 미국 달러, 유로, 엔, 스위스 프랑 등 대출금리가 아주 낮은 것을 빌려서 고금리 통화에 투자한다고 보면 된다. 즉, 엔화에 대한 수요는 90년대 일본 버블붕괴 정도의 타격이 있지 않는이상 언제나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설명했듯이 일본 국채의 대부분은 자국내에서 판매한다. 즉 일본 국민들이 자국 정부의 능력을 믿고 정부의 빚을 떠안고 있는 셈인데, 일본 국민들이 단체로 자국정부의 지급능력을 불신하는 일이라도 생기지 않는 이상 일본 정부 입장에서는 아무리 부채비율이 높아져도 별로 걱정할 일이 못된다. 외국인과의 관련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는 편이다. 만약 그런 일이 실제로 벌어진다면 그 때에는 엔화가치가 아니라 일본이라는 나라 자체의 존망을 걱정해야 할 판인 것이다.

그래서 세계경제가 호황이면 달러와 유로화가 강세인 경향이 나타나므로 이 시기에는 엔 입장에서 보면 환율이 내려가지만,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이후 세계급 경제불황이 왔을때는 달러와 유로가 약세화 되고 그 때문에 환율이 치솟는 것이다.

엔화의 가치는 2008년 이후 2012년 말까지 전 세계의 통화들 중 세계 최고 수준으로 급등했는데, 이게 국제시장에서 일본의 가격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되는지라 경제에 어려움을 안겨주면서 일본 정부의 골머리를 앓게 했다. 실제로 엔고의 여파는 너무 커서 일본이 지난 30년간 자랑하던 막대한 무역수지와 경상수지는 적자로 전락했었고[63] 일본 경제를 지탱하던 제조업도 다수가 위기에 내몰려 버리는 등 일본경제를 저성장의 늪으로 만들어 버렸었다. 그러나 2017년 무렵까지는 적극적인 기업 활성화 정책과 혁신을 통해 보수적으로 판단하는 사람들 조차 그나마 90년대 이후로 경제 상황이 가장 좋다고 평가한다.

8.1.1. 현재 상황[편집]


그러나 아베 신조가 2기 정부를 구성하고 스가, 기시다 총리 까지 무제한 양적완화 정책을 밀어붙여 엔화 가치를 강제로 재조정(평가절하)하면서 엔저가 유지되고 있다. 환율에 민감한 수출국인 독일과 한국의 대기업들은 '근린 궁핍화 정책'이라며 불평하고 있지만, 일본은 들은 척도 안하는 중이다.

하지만 이는 한국 입장에서는 '제 얼굴에 침뱉기'인데, 아베의 정책은 5년 전 한국에서 이명박 정부 당시 실행했던 고환율 정책과 별반 다르지 않다. 굳이 다른 점을 꼽자면 한국은 외국 돈으로 화폐의 가치를 조정한 것이고, 일본은 자국 돈으로 화폐의 가치를 조정한다는 것 정도. 이 때문에 일본 내에서 아베의 경제정책을 비판하는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한국의 예를 든다. 단 이명박 정부의 고환율 정책은 대침체라는 시대적 상황이 닥치자 오히려 역효과를 내며 강만수"달러를 원없이 써봤다"의 명언과 함께 수입물가 폭등이라는 결론을 짓고, 미국과의 통화스왑을 통해 어느정도 수습된 후 고환율 정책을 끝낸 한국과 달리 일본의 양적완화는 2013년 이래 10년 가깝게 현재진행형이라는 차이점이 있어서 단순비교는 어렵다. 결국 2014년 8월 2008년 이후 5년만에 엔화가 1,000원선이 붕괴되었다. 9월 들어서는 950원선까지 위협받고 있다. 같은 기간 달러-엔 환율은 110엔을 눈앞에 두고 있는 상태다.

2019년 3월까지 달러당 110엔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 통화량 증가는 무턱대고 돈을 찍는다고 나오는게 아니라 정부가 국채를 발행해서 시장의 민간 채권자들이 국채를 사면 중앙은행이 돈을 찍고 이 돈이 다시 기업이나 개인에게 투자되는 과정에서 생기는데,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펴도 은행,기업,개인 등 경제주체들이 모두 투자를 하지 않자 중앙은행에서 직접 주식과 부동산을 사버리는 방식으로 통화량을 증가 시켜 경기를 떠받들고 엔저를 유지 시켰다.

이미 정부부채가 GDP 대비 220%를 돌파했기 때문에[64] 정부가 국채를 발행하고 중앙은행이 사들이는 방식을[65] 쓰기에는 부담이 돼서 중앙은행에 직접 자산을 늘리는 방식을 지시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 때문에 중앙은행 자산이 GDP 대비 100%를 돌파해버렸고[66] 경제전문가들에게 "일본은 지금 미지의 영역에 들어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중앙은행이 국내 주식과 부동산에 직접 투자하는것도 보기 드문 일인데 그 결과 중앙은행의 자산규모가 GDP 수준으로 커진 경우는 처음이기 때문에 평가는 불가능하고 연구해야 할 대상이 된 것이다.[67] 표면적으로는 당연히 주식이나 부동산 가치가 상승 했는데 정작 2018년 무역수지는 적자를 기록하면서 과연 엔화 가치를 그렇게 무리해서 떨어뜨릴 필요가 있었는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2019년 6월에는 연말쯤이 되면 일본은행이 일본연기금을 제치고 주식시장인 닛케이 상장사의 최대주주가 될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왔다. 이게 얼마나 황당한 상황이냐 하면 닛케이 상장주식시장의 1대주주가 일본은행이다. 2대주주는 일본연기금이 된다는건데 일본은행은 일본정부의 국채까지 잔뜩 껴안고 있기 때문에 일본은행-일본정부-일본연기금이 모두 닛케이 지수가 18,000에 묶이게 됐다.[68]

중국이 디지털 위안화 발행 준비에 속도를 내면서 일본 정부도 디지털 엔화 검토에 본격 나설 전망이다.# 디지털 엔화 실험에 나선다.#

코로나19로 인해 전세계의 화폐 고액권이 부족해지는 현상이 일어나면서 일본 엔도 고액권인 1만엔 지폐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1#2#3[69]

일본 엔화의 실질 구매력이 약 50년 전 수준으로 후퇴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과거에 전쟁이나 금융위기, 지진 등이 발생하면 안전자산으로서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의 불확실성 이후 현재는 오히려 엔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70]


8.2. 전세계 외환보유액 엔화 비중 흐름[편집]


1975년에 외환보유액에서 엔화 비중은 0.61%으로 시작하였다. 참고

최고치는 1990년 9.4%이며, 최근 근황은 2019년 비중 5.87%, 2020년 비중은 6.03%, 2021년 비중은 5.57% 등이다.


9. 여담[편집]


  • 미국 달러와 유사하게 동전은 일본국 정부에서, 지폐는 일본은행에서 발행하고 있다. 실제로 동전에는 日本国이라고 쓰인 반면, 지폐에는 日本銀行券이라고 쓰여져 있으니 참고해보자.

  • 지폐 크기가 한국 지폐보다 조금 큰 편이다.[71]
따라서 머니 클립 등 작은 지갑을 쓰는 사람들은 지갑에 돈이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그런 이유로 지갑을 여행 도중에 구입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그냥 한국에서 쓰는 지갑에 우격다짐으로 쑤셔넣고 쓰거나 돈봉투에 넣어다니며 그때그때 꺼내 쓰는 관광객들도 적지 않다.

  • 직인이 2개 찍혀 있다. 앞면에는 일본은행 총재의 직인[72]이, 뒷면에는 일본은행 발권국장의 직인이 찍혀 있다.

  • 원래 엔화에 세겨진 초창기 로고는 일본은행 휘창이였다. 지폐에 찍히는 로마자 표기는 영어인 Bank of Japan이 아니라 일본어를 그대로 받아적은 Nippon Ginko. 현재는 CI로 갈아탔다.


  • 미국 달러만큼은 아니지만 세계적으로 영향력이 크고 신용도가 높은 화폐이기 때문에[73], 1만엔 지폐의 경우, 해외 여행시에 비상금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세계 대부분의 시중 은행에서 현지 화폐로 즉시 환전이 가능하고, 액면가도 낮지 않아서, 비상시에 택시비 내지는 하루 숙박비 정도로는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미국 달러보다 엔을 선호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미국 달러가 가치가 낮아서는 아니고, 고액권 미국 달러는 슈퍼노트라고 불리는 위조지폐가 있을 정도로 허구한 날 전세계의 위조지폐 장인들의 타켓이 되므로, 상대적으로 안전한 일본 엔을 선호하는 것이다.[74]

  • 경제대국 화폐치곤 지폐의 수명이 유독 짧은 편이다. 만엔권은 4~5년 정도이며, 그 이하의 1,000엔권과 5,000엔권은 1~2년 정도라고 한다. 한국의 지폐들과 비교해 봐도 상당히 짧다. 가장 길다는 만엔권의 수명이 오천원권 지폐와 맞먹을 정도이다.[75] 가장 큰 이유는 지폐의 재질이 화지[76]가 섞인 미색 면(綿) 용지를 쓰기 때문이다. 섬유질이 질겨서 접힘 등에는 강하나 그 접힘선을 따라 잘 찢어지는 단점이 있어서 폐기율이 높은 것. 그럼에도 포기하지 못하는 건 위조 방지의 목적이며, 이미 한 차례 (C호 권종 시절) 일반적인 백색 면 재질로 바꿨다가 위조지폐가 난무하는 바람에 원래대로 돌아왔다고 한다. 그 때문에 다른 나라 지폐와 엔화 지폐를 비교해보면 촉감이나 냄새가 미묘하게 다르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이를 해결하려면 캐나다,호주,스위스 처럼 폴리머 지폐로 갈아타면 될듯 한데

  • 앞서 언급한 50엔 동전을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5단위 화폐의 순환이 원활하지가 않다. 1, 5체계가 주를 이루는 나라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한국보다도 심각한 수준이다.[77] 일본에서 거래하다보면 점포나 자판기마다 5단위 화폐가 부족해서 1단위로만 거슬러주는 경우가 자주 있다. 5, 50엔은 최근들어 소량만 생산하는 것이 주 원인이다.[78] 500엔 주화는 생산량이 어마어마하게 많으나 저금통에 적잖은 양이 묵힌다.[79] 자판기에서 주로 받는 1,000엔권과 고액화폐인 10,000엔권에 비해 애매한 포지션인 5,000엔권도 발행량이 많지 않은 편이다. 갯수가 부족한 이유보다도 더욱 직접적인 이유는 은행에서 교환할 수 있는 화폐의 개수가 수수료[80] 이 때문에 제한되어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음껏 거스름돈을 마련하기도 곤란하다.

  • 윗 문단에도 서술되었듯 5단위가 순환이 안되기에 ATM에서 인출할때 5천엔 권 지폐가 아예 취급하지 않는 편이다. 주로 만엔권과 천엔권만 나오며 교환기에서 가능한 수준이다. 사철역 일부 충전기(충전,발권겸)에선 5천엔 지폐를 받을 수 있다. 국내에선 아직은 많은지 무리없이 5천엔 지폐로 환전이 가능하다.

  • 대한민국 원과의 환율을 계산할 때 엔화와 엮일 일이 많은 서브컬처 쪽에서는 배수로 표현하는 일이 많다. 예를 들어 100엔당 원화가 1000원일 경우에는 '10배'라고 표현하는 식이다.


  • 크레용 신짱의 한국 방영본에서 현행권 천 엔 지폐를 패러디한 가짜 지폐가 등장하는데, 짱구가 사고를 치는 바람에 훈이의 왕사슴벌레가 집 밖으로 날아가버리자 어떻게든 구하겠다며 상점에 가서 사려는 와중에 10만원이라는 얘기를 듣고 짱구가 자신에게 10만원이 있다며 가짜 지폐를 꺼냈는데[81], 이때 천 엔권 지폐를 패러디해 노구치 히데요가 메롱을 하는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10. 둘러보기[편집]




[ 정치 · 군사 ]
상징
일장기(니시키노미하타) · 기미가요 · 국장 · 국호 · 천황 · 일본 황실
정치
수상관저 · 일본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 · 내각총리대신 · 정부 · 정당(사라진 정당) · 국회(참의원 · 중의원) · 행정조직 · 55년 체제 · 우경화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통일지방선거 ·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간접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친일 · 반일 · 지일 · G7 · 6자회담 · G20 · G4 · Quad · IPEF · 한중일 · 한일관계 · 중일관계(중일평화우호조약) · 한미일관계 · 미일관계 · 미일 반도체 협정 ·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여권 · 비자 · 영토 분쟁(독도 · 쿠릴 열도 · 센카쿠 열도)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일본 제국-나치 독일 관계 · 삼국 동맹 조약(추축국)
군사
군사 전반(군사사) · 자위대(편성 · 역사 (일본군) · 계급) · 문제점(무기 관련) · 사건 사고 · 군복 · 교육훈련 · 전투식량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통합막료감부 · 방위대학교 · 방위의과대학교 · 재무장 문제 · 주일미군(미일안전보장조약) · 97식 중전차 치하 · 95식 경전차 하고/케고/규고 · 욱일기
사법 · 치안
사법 전반 · 재판소 · 최고재판소 · 일본 형법 · 일본 경찰(계급 · 일본제국 경찰) · 일본 경찰청 · 경시청 · 공안조사청 · 엔자이 · 저작권법 · 사형제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역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사회 · 경제 ]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 일본 엔 · 일본은행 · 수출/수입 · 도쿄증권거래소 · 오사카증권거래소 · 닛케이 225 · 재벌 · 대기업 · 취업 · 일본제(목록 · 내수용) · 아베노믹스 ·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 플라자 합의 · 잃어버린 10년 · 일본국채 · 잽머니 · 갈라파고스화 · 블랙기업 · 자동판매기
지리
일본 열도 · 혼슈 · 규슈 · 시코쿠 · 홋카이도 · 난세이 제도 · 류큐 제도 · 오키나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쓰시마섬 · 지명 · 지역구분 · 간토 · 간사이 · 주부 · 주코쿠 · 도호쿠 · 오키나와 · 행정구역 · 도도부현 · 시정촌 · 도시 · 수도권 · 케이한신 · 주쿄권 · 지진(대지진) · 후지산
사회
사회 전반(문제점 · 야쿠자 · 폭주족 · 한구레 · 옴진리교(알레프)) · 국수주의(인종차별 · 혐한 · 극우 미디어물 · 넷 우익) · 일본인 · 야마토 민족 · 조몬인 · 야요이인 · 류큐인 · 아이누 · 니브흐 · 윌타 · 오로치 · 재일 외국인(재일 한국-조선인 · 재일 중국인) · 성씨(목록) · 주거 · 주소 · 연호 · 공휴일 · 출산율 · 차량 번호판 · 메이와쿠 · 다테마에 · 오모테나시 · 이지메 · 니트족 · 히키코모리 · 중2병 · 잇쇼켄메이 · 초식남 · 건어물녀 · 여자력 · 야마토 나데시코 · 멘헤라 · 토요코 키즈
언어
일본어족 · 일본어(문법 · 발음) · 도호쿠벤 · 하치조 방언 · 에도벤 · 나고야벤 · 간사이벤 · 도사벤 · 하카타벤 · 우치나 야마토구치 · 일어일문학과 · JLPT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반복 부호 · 스테가나 · 오쿠리가나 · 후리가나 · 만요가나 · 역사적 가나 표기법 · 한자(신자체 · 목록) · 상용한자 · 일본식 한자어 · 류큐어 · 아이누어 · 니브흐어 · 훈독 ·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 세로쓰기 · 일본어 위키백과 · 재플리시(목록) · 한자 문화권
과학 · 기술
해체신서 · 이화학연구소 · 물질·재료 연구기구 · 니호늄 · 아시모 · JAXA · QZSS · H-II · H-III · LE-7 · LE-9 · 엡실론 로켓 ·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가구야(탐사선) · 하야부사(탐사선) · 아카츠키(탐사선) · 카미오칸데 · KAGRA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대학 목록 · 대학 서열화 · 지잡대 · 제국대학 · 관립대학 · 슈퍼글로벌대학 · 학술연구간담회 · 대학입학공통테스트 · 대학입시센터시험(폐지) · EJU · 편차치 · 관리교육 · 유토리 교육 ·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G30 · 실용영어기능검정
교통
교통 전반 · 도로(고속도로 · 국도 · 도도부현도 · 시정촌도) · 교통 패스(홋카이도 · 동일본 · 도카이 · 서일본 · 시코쿠 · 큐슈 · 도서 지역 · 복수 지역) · 철도(철도 환경 · JR그룹 · 대형 사철 · 신칸센) · 공항 목록 · 전일본공수 · 일본항공 · 좌측통행 · 차량 번호판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문화 ]
예술
일본 음악 · 우타이테 · J-POP · 엔카 · 일본 아이돌 · 전통악기 · NHK 교향악단 · 일본 미술 · 일본 영화(역대 흥행 순위 · 도쿄 국제 영화제) · 일본 드라마 · 찬바라 · 일본 방송(NHK · 일본의 민영방송) · 일본 만화(만화잡지 · 걸작 만화) · 일본 애니메이션(심야 애니메이션) · 가부키 · 라쿠고 · 우키요에 · 하이쿠 · 센류 · 와카(만요슈 · 백인일수) · 모노가타리(겐지모노가타리 · 타케토리모노가타리) · 렌가 · 오리가미 · 노가쿠 · 조루리 · 가가쿠 · 만자이 · 오와라이 · 가레산스이 · 자포네스크 ·오키나와 음악
음식
음식 전반(지리적 표시제 · 급식) · 스시 · 사시미 · 가이세키 · 돈부리(가츠동 · 규동) · 우동 · 소바 · 덴푸라(새우튀김) · 돈가스 · 멘치 · 고로케 · 유부 · 낫토 · 우메보시 · 니쿠자가 · 타쿠앙즈케 · 일본의 술 · 라멘 · 나가사키 짬뽕 · 와규 · 카레라이스 · 오므라이스 · 오코노미야키 · 몬쟈야키 · 나폴리탄 · 오뎅 · 샤브샤브 · 에키벤 · 카스텔라 · 화과자(모찌 · 만쥬 · 양갱 · 모나카 · 센베이 · 타코야키) · 이자카야 · 오토시 · 오키나와 요리
전통문화
기모노 · 유카타 · 촌마게 · 게다 · 오하구로 · 훈도시 · 쥬니히토에 · 료칸 · 다다미 · 코타츠 · 마츠리 · 아마 · 화지(종이) · 가라쿠리 · 부시도 · 일본 갑옷 · 일본도 · 천수각 · 다도 · 쇼기 · 화투 · 카루타 · 게이샤 · 마이코 · 오이란
종교 · 신화
일본/종교 · 신토 · 신사 · 신사본청 · 무녀 · 신궁 · 이세 신궁 · 덴만구 · 이치노미야 · 일본 신화 · 고사기 · 풍토기 · 요괴(오니 · 일본삼대악귀 · 텐구 · 유키온나 · 캇파 · 츠쿠모가미 · 오바케) · 정토교 · 일련종 · 부동명왕 · 창가학회 · 류큐 신토
스포츠
스포츠 전반(도쿄 올림픽) · 프로야구 · 고교야구 전국대회 · 야구 국가대표팀 ·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 · J리그 · 축구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검도 · 주짓수 · 유도 · 가라테 · 스모 · 아이키도 · 킥복싱 · 슛복싱 · 일본 고류 무술 · 발도술 · 궁도
서브컬처
오타쿠 · 특촬물(일본 3대 특촬물) · 괴수물 · 동인샵 · 아키하바라 · 오토메 로드 · 덴덴타운 · 코믹마켓 · 아키바계 · 코스프레 · 다키마쿠라 · 네코미미(고양이귀) · 이타샤 · 니코니코 동화 · 매드무비 · 5ch · 아스키 아트 · 후타바 채널 · 라이트 노벨 · 미연시 · 비주얼 노벨 · 오토메 게임 · JRPG · 탄막 게임 · 쯔꾸르 · 오락실/일본 · 모에 · 모에화 · 모에 그림 · 츤데레 · 데레 · 존댓말 캐릭터 · 갸루 · 로리타 패션 · 고스로리 · 양산형 · 지뢰계 · 페어리계 · 반쵸 · 스케반 · 버츄얼 유튜버(hololive 프로덕션 · 니지산지) · 보컬로이드 · MMD · 음성 합성 엔진 · 프라모델 · 소설가가 되자 · 이세계물 · 거대로봇물 · 슈퍼로봇 · 리얼로봇물 · 마법소녀 · 케모노 · 몬무스 · 메카무스메 · 여간부 · 세카이계 · 가상 아이돌 · 지하 아이돌 · 메이드 카페 · 집사 카페 · 동인녀 · 부녀자 · 상업지 · 에로 동인지 · 에로게 · 야애니 · 에로 라이트 노벨
기타
문화 전반 · 호칭 · 벚꽃 · 가쿠란 · 하쿠란 · 세라복 · 란도셀 · 관광 · 세계유산 · 국립 박물관(도쿄 · 교토 · 나라 · 규슈) · 도쿄 타워 · 도쿄 스카이트리 · 도쿄 디즈니랜드 · 오사카성 ·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 통천각 · 구마모토성 · 레고랜드 재팬 리조트 · 삿포로 눈 축제 · 온천 · 파친코 · 스도쿠 · 가라오케 · 이모지 · 스카잔 · 유루캬라 · 동영 · 왜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기타 ]




[1] 2003년에 변경된 이름. 그 전에는 대장성 인쇄국(大蔵省印刷局)을 거쳐 재무성 인쇄국(財務省印刷局)이었다.[2] 의 원음은 /we/(웨)였지만, 이 시기에는 음의 통합으로 인해 /je/(예)로 발음되고 있었다. 이 당시에 , , 그리고 전호음(転呼音)으로 발음되던 모두 /je/(예)로 통합되어 발음되다가 근대에 일괄적으로 /e/(에)로 변화하였다. 그래서 에도 시대에 이 발음을 포함한 일본의 많은 고유명사들이 유럽인들에 의해 je나 ye로 표기되었으며, 일본이 근대에 그 관행을 엔화의 로마자 표기에 반영해 Yen으로 기재하게 되었다. 만약 당시 일본인들이 과거의 관행을 무시하고 근대 이후 확립된 로마자 표기법을 충실하게 따랐더라면 'En'이 되었을 것이고, 기호도 ¥이 아닌 다른 것으로 디자인되었겠지만, 그 전에 이미 Yen을 철자로 채택한 상태라 굳이 바꾸지 않았다.[3] 이는 사실 일본어를 몰라서가 아니라 미국식을 따라간다는 우월감 때문이다. 엔화라는 표현이 한국언론에서도 수없이 등장하고 일반인들도 일본에 많이 가서 "엔"이라는 말을 모르는 사람이 없는데, 미국 출신 교수라 해서 그들만 특별히 모를리가 없다. "달러"를 "불"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달러라는 표현을 몰라서 그러는 것이 아닌 것과 같다. 심지어 미국 금융인들과 학자들도 일본어 발음이 엔인 걸 다 알고 있다.[4] 영국 파운드를 넣어 세계 4대 통화로 보는 견해도 있다.[5] 흔히 한국에 과장되어 알려진 것과 다르게 6.25특수는 당시 일본 GDP의 2%도 안되는 금액으로 관련 일부기업에게 도움이 된 것은 맞으나 6.25전쟁 덕에 일본이 경제 발전한 것은 아니다.[6] 국내에서 일본 동전을 환전하면 사설환전소를 압도하고 저렴한 축에 속한다, 다만 이용객이 받은 것만 활용하므로 애매한 관계로 빗줄을 친다.[7] 현재 폐업하였다.[8] 90% 기준을 따진다면 사설과 비슷하다. 80%는 사설보다 비싸지만 그래도 저렴하다.[9] 주로 연고가 없는 은행에 해당하며 지역 농,축협 지역 1금융권(부산,대구,광주.제주) 은행이 이에 해당한다.[10] 아르헨티나 환전 수수료 관련기사: http://www.hisystem-solutions.com/~iaceaco/bbs/news-view.html?board=acea&categoria=argentina&id=37216&page=136&start=5400&menu=new[11] 잉글랜드 은행권만 가능[12] 국내 및 일부 외국 사설환전소에서도 A ~ D 시리즈는 환전 자체를 거절하는 경우가 있다.[13] 우편을 통한 교환은 현지 법령으로 막혀있다.[14] 1=100[15] 1973년에 변동환율을 도입하였다.[16] 일본은행에 따르면 메이지 18(1885)년 에 발행된 1엔 지폐도 이론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17] 일본 시중은행 엔화예금이 있다면 1엔 이하만 제외하고 전 시리즈 지폐는 입금이 가능하다.[18] 잘 보면 아래에 '대일본제국 인쇄국 제조'라는 글씨가 있는데 이땐 일본국이라는 현재 일본이 설립되기 전(1947년에 법 개정으로 바뀜)이여서 쓰여진 것이다.[19] 최초이자 최후의 50엔 지폐이다.[20] 50엔, 500엔 지폐와 더불어 대장성에서 인쇄하지 않은 지폐다.' 일본정부인쇄국제조' 가 새겨져 있으며 C시리즈에서 대장성 제조로 변경.[21] 다만 5,000엔권과 10,000엔권의 디자인이 B에 가까운 점을 들어 1,000엔권이 나온 1963년을 기준으로 치기도 하는데, 일단 일본어 위키백과의 경우 해당 두 권종을 C시리즈로 분류하고 있다.[22] 백색지로 교체.[23] 단, 탈아론은 서명이 없는 익명의 논설이기에 후쿠자와 유키치가 썼다는 확신은 없다.(이다신야,『歴史テクスト 西鶴諭吉』光芒社, 2001년 12월)[24] 한국의 시중은행에서는 이 지폐의 환전이 불가하며 현행권만 가능한 곳이 존재한다. 2021년 2월 25일 기준 NH농협은행 불가.[25] 홀로그램 자체는 바뀌지 않았으나 코팅필름이 사각형으로 바뀌었다.[26] 이전 권종에서도 자주 있었던 일이었으며, D시리즈의 1,000엔권은 검은색, 파란색, 갈색, 암녹색 순으로 발행되어 무려 4가지나 되는 색을 사용하였다. 한국에서도 2007년까지 발행했던 구권 천원권 지폐도 번호가 다 차서 발행번호의 한글 모음을 ㅏ에서 ㅓ로 바꾸어 인쇄한 비슷한 사례가 있다.[27] 히구치의 작가생활이 지나치게 짧았던 것이 이유 중 하나. 도중에 요절한 탓에 활동기가 1년 반 정도에 불과했다. 하지만 그 질은 타의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고품질이라 메이지 20년대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거장으로 인정된다.[28] 관련기사: https://www.jk-daily.co.kr/news/view.php?bIdx=15694&cIdx=3[29] 에도시대의 화가[30] 시각장애인이나 외국인 등 모든사람이 지폐의 차이를 구별하기 쉽도록, 볼록인쇄, 액면숫자(크기확대), 홀로그램 및 워터마크 등의 위치를 권종별로 다르게 제작. https://www.boj.or.jp/note_tfjgs/note/n_note/security.htm#p02[31] 그런데 쓰다가 1883년에 보낸 서신 중에서 '조선인보다 동물이 차라리 낫겠다'(朝鮮興味深話。点、動物方汚朝鮮人思、本当野蛮人。 (明治 16年 9 月 30 日手紙). (번역: 조선에 대해 매우 흥미롭고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 주셨습니다. 어떤 점에서는 동물이 이런 더러운 조선인보다 나은 것 같고, 어떤 곳에서는 정말 야만적인 사람들이 있습니다.)라고 서술된 내용이 발굴되어 이 글 때문에 한국에서도 아래의 시부사와 에이이치만큼은 아니지만 논란이 되기도 했다. 다만, 해당 발언 자체는 쓰다 우메코의 아버지가 한 말이다. 본인도 이에 대해 비슷한 말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32] 사실 도쿄역의 붉은 벽돌이 이 사람이 만든 회사들 중 하나에서 만들었다고 한다.[33] 5천엔, 1만엔 지폐부터는 유로(구권 5, 10, 20유로, 현행권 전권종), 신 대만 달러(500, 1000달러), 그리고 대한민국 원(50,000원)에 사용되는 막대줄 홀로그램이 사용된다.[34] 메이지 유신 당시에는 서구에서도 이런 시스템이 일반적이었다. 동전은 옛날부터 국가가 발행하는 규격화된 귀금속이었고, 지폐는 본래 민간은행에서 발행한 예금증서를 지불수단으로 쓴 것에서 유래하는데 금융공황 등을 거쳐 지폐 발권 기능을 점점 중앙은행(의 성격을 갖는 민간은행)이 독점하게 되었다.[35] 예: 총액 12,000원=물건 값 10,910원+부가세 1,090원[36] 사실 현직 은행원들도 한국돈 10000원권 지폐나 일본돈 10000엔권 지폐를 헷갈리는 경우가 간혹 있다. 대한민국 원화가 세계에서 알아주는 숫자 단위가 큰 화폐이지만, 엔화는 원화와 비교해 9배 정도 가치 있고 숫자 단위 또한 같아서 헷갈리기 딱 좋다. 하지만 오락실에서는 100엔을 500원 쓰듯이 하기도 하니..[37] 구리 75 : 니켈 25[38] 구리:아연:니켈 비율이 72:20:8[39] 일본 총리대신의 문장을 상징 [40] 구리 75 : 니켈 25[41] 1959년부터 구멍 난 주화를 발행하기 시작하였다. 1957년부터 발행한 100엔 은화와 크기, 빛깔이 매우 비슷하여 잘못 사용하는 사례가 늘어서 불가피하게 구멍을 만들게 되었다. 1967년 도안 변경때에도 둘의 생김새가 비슷한 이유로 50엔 주화의 구멍을 존치한 바 있다.[42] 청동제이긴 하지만 구리 95 : 아연 3~4 : 주석 1~2의 비율로 제작되어서 사실상 순동이나 다름없다.[43] 이런 톱니 동전을 "ギザ十"(기자쥬)라고도 부른다. 일상(만화)에서도 등장한다. 현재 유통되는 10엔 동전의 약 5%정도가 톱니 동전이라 톱니 동전을 실제로 볼 확률은 우리나라에서 옛날 100원짜리 동전(그 뒷면에 박쥐문양 있는 동전)을 볼 확률(약 6%)보다 살짝 낮은 편이지만 체감상 확률은 이보다 훨씬 낮은 편이다. 톱니 동전들이 다들 환갑을 갓 넘긴 나이기도 하고 기자쥬만 모으는 화폐 수집 덕후들도 은근 많아서 그나마 있던 것들도 그들의 서랍속에 마구잡이로 봉인당하고 있는 실정이다.[44] 이쪽은 50엔처럼 타 권종과 헷갈린다는 이유(당시의 1엔 황동화)+2차 세계대전후 인플레이션으로 원자재값 상승으로 재료비 절감 목적으로 구멍을 만들었다.[45] 주화의 글씨체가 해서체로 나왔다. 이쪽은 해서체로 발행된 5엔 주화라고 해서 후데고(フデ(筆)五)라고 불리기도 한다. 뜻은 붓글씨 5엔이다. 그래도 가끔씩 발견되는 기자쥬와는 달리 시중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드문 편이다.[46] 비율이 일정하지 않다. 대략 구리 60~70 : 아연 30~40 정도.[47] 5엔 동전이 유독 타 권종에 비해 녹이 잘스는 편이라 보관하는데 애로사항이 꽃핀다. [48] 엔화 동전 6종 가운데 유일하게 '日本国'이나는 글자가 뒷면에 적혀 있으며 아라비아 숫자 표기가 없고 한자 숫자 표기만 있다. 소비세 도입 등으로 인해 일본에서 비교적 많이 쓰이는 화폐임에도 불구하고 아라비아 숫자 표기가 없기 때문에 한자를 쓰지 않는 나라에서 온 외국인 관광객들의 혼란을 가져오고 있다.[49] 순은은 아니고, 60 : 구리 30 : 아연 10 합금이었다. 사실 근대까지라면 모를까 현대 국가에서 기념주화가 아닌 통용주화를 순은으로 만드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50] 1973년 당시에도 100엔이면 한국 돈으로 142원 정도였다. # 10원이면 약 7엔이니 차이는 지금처럼 크지 않을지언정 어느 정도는 이득을 보는 것.[51] 10엔은 붉은 색이라 외관상 구분은 쉬웠다. 하지만 주머니에서 동전을 꺼낼 때에는 촉감만으로 꺼내기에 구분이 어려웠다. 안그래도 비슷한 크기에 둘 다 톱니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한국에서 오십원 주화를 처음 발행할 때 십원 주화보다 작게 만들 수밖에 없었던 것도 같은 이유이다.[52] 그나마 2015년 이후부터는 발행량이 조금 늘었다.[53] 1엔과 5엔과 같이 2000년대 초반부터 발행량이 급감하였기 때문이다. 1엔, 5엔과는 달리 쇼와~헤이세이 초기에 과잉생산된 것이 주 이유다. 이 영향으로 도쿄의 자판기에서 200엔을 넣고 140엔어치의 음료를 구입 후 거스름 돈을 받아보면 50엔 동전 하나, 10엔 동전 하나가 아니라 10엔짜리 동전 6개를 거슬러받는 일이 흔한 편이다.[54] 일본 시중은행 ATM기는 동전입출금이 가능하다. 자판기에서도 사용이 안되는 불필요한 1, 5엔 동전은 보통 저금통이나 ATM기 행이 된다.[55] 과거에 쓰인 은화까지 확대하면 위의 도쿄 올림픽 기념 100엔 은화도 포함된다.[56] 광으로 유명해서 그런지 화가 그려져 있다. 이와미 은광의 세계문화유산 등록을 기념하기 위한 것. 바이메탈 동전에는 시마네현 운난시에서 출토된 고대 유물이 그려져 있다.[57] 사카모토 료마가 그려져 있어 그런지 유독 비싸다. 은화와 바이메탈 공통.[58] 세계문화유산 '토미오카 방직 공장'과 공순이.[59] 결정된 도안은 은화는 노구치 히데요와 후쿠시마 서부의 호수인 이나와시로 호수. 바이메탈 동전은 소마노마오이라는 축제에서 열리는 갑옷 경마인데, 이 축제가 열리는 소마시는 도호쿠 대지진의 피해를 입은 도시다.[60] 은화는 도쿄타워와 레인보우 브릿지, 바이메탈 동전에는 도쿄역이 그려져 있다.#[61] 1979년은 해당 석유기지가 완공된 해이다.[62] 한국의 국채 대 GDP의 비율은 2010년 IMF 추정치로 33% 정도밖에 안 된다. 그러나 일본의 빚은 외채가 아닌 거의 대다수가 자국민이 국채로 들고있는 형태기에 당장 큰 문제는 아니다.[63] 또한 원전 가동 중지로 인한 연료 수입도 한 몫했다.[64] 한국은 40% 유럽은 80% 미국은 100% 수준이다. 다만 한국이 경제규모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정부부채가 낮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그래서 IMF나 연방준비제도에서 한국은 정부부채 비율을 늘리라는 권고를 하고 있다. 그 만큼 나라가 곳간을 안푼다는 얘기다. 하지만 한국은 신경도 안쓸뿐더라 권고를 무시하고 있다.[65] 이 방식도 사실 정상적인 것은 아니다. 1930년대에 일본이 처음 도입한건데 당시 일본 상황이 지금처럼 워낙 안 좋았기 때문에 무리해서 모험을 했고 끊임 없는 통화 팽창 정책은 이후 지속적으로 정복전쟁을 할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일본을 내몰았다. 부실기업이 M&A를 통해 부실재정을 감추는걸 생각하면 간단하다. 그러나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이에 대한 반론으로 MMT가 등장해서 논쟁중이다.[66] 미국은 20% 한국은 30% 유럽은 40% 수준이다.[67] 예를 들면 한국은행의 자산중 90%는 해외자산이다. 정상적인 국가에서 중앙은행은 채권이 아닌 국내자산을 대규모로 보유 할 필요는 없다.[68] 일본은행총재가 밝힌 닛케이 상장 회사들의 평균 자산을 감안한 BPS라인은 18,000이다. 18,000 이하로 떨어진다고 당장 파산이 나는건 아니고 18,000 이하가 되기 전에 주식을 팔고 나올수도 있으며 비공식적으로 돈을 잔뜩 찍어서 주가를 방어 할수도 있겠지만 어느쪽이든 일본의 국가신용도는 폭락하게 된다. 2019년 이미 일본은 한국보다 국가 신용도가 낮고 주요 은행들의 규모는 훨씬 크지만 신용도는 한국의 은행들보다 낮다. 그만큼 부실자산에 묶여있는 은행이 많다.[69] 실제로 부족한 당시 대부분 은행에서는 1,5천엔 지폐로만 해야할것 같다며 안내해주었다. 지금은 많이 있어서 여유있게 환전이 가능하다.[70] 2024년 2월 4일 기준, 100엔당 902.35원이다.[71] 1983~2006년의 한국 4차 구권 지폐를 생각하면 된다. 실제로 구권과 비교해보면 크기가 거의 일치한다. 1,000엔, 10,000엔권과 구권 1,000원, 10,000원권과는 가로만 1mm 차이가 있고 5,000엔권과 구권 5,000원권은 크기가 동일하다.[72] 總裁之印(= 총재의 도장)이라고 전서체로 새겨져 있다. 대한민국 원화 구권에 찍혀 있던 한국은행 총재 직인과 디자인이 똑같은데, 원화 구권에는 '총재의인'이라고 새겨져 있었다. 숨겨져 있던 일제강점기의 또 다른 잔재.[73] 아프리카 최빈국은 물론, 심지어 북한에서도 암암리에 통용된다. 북한에서 통용되는 거면 과거 소련이나 동구권에서 영향을 받은걸로 보인다.[74] 달러,유로와 맞먹는 세계적 안전 자산인 영국 파운드,스위스 프랑에 대한 일본인들 사이에서 입지가 어떤지는 알 수 없다.[75] 최저액권인 천원권도 40개월(3년 4개월), 오천원권은 65개월(5년 5개월)이다. 만원권은 무려 100개월(8년 4개월)이다.[76] 닥나무 껍질을 불려서 만든 일본 전통 종이로, 우리나라의 한지와 비슷한 종이이다.[77] 신 대만 달러의 500달러권의 물량이 부족하다보니 시중은행에서 환전용으로 발주를 넣어도 들어오지 않는다고 한다.[78] 다만 50엔은 점차 생산량을 늘리고 있어서 사정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79] 실제로 500엔 모으기 컨셉으로 나오는 저금통이 여럿 있다. 일부 점포는 500엔이 부족하니 가급적 500엔 동전을 써달라는 안내문도 써놓는데, 500엔은 5월 기준 5,000원이 좀 안 되는 정도의 값어치를 지니므로, 일본에서 간단하게 쓸 때는 무리는 없다.[80] 일본의 시중은행은 엔화간 교환할 때에도 수수료를 부과한다. 해당 은행의 계좌를 가지고 있거나 기타 조건을 충족하면 면제되는 개수가 있으나 제한적이다.[81] 하지만 여기에서 0을 한 개 덜 붙이자 현장에서 0을 하나 더 그려넣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2:43:22에 나무위키 일본 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