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민전

덤프버전 :

문서가 존재하는 지역사랑상품권 목록

[ 펼치기 · 접기 ]

전국 공통 대행사

대행사
파일:코나아이 CI.svg
파일:KT 로고.svg
파일:한국조폐공사 CI_상하.svg
목록
코나카드/지역사랑상품권
그리고
착한페이
지역상품권 Chak

지방자치단체 주관 지역사랑상품권

광역
단위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서울사랑상품권
그래서울
경기지역화폐
인천e음
동백전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광주상생카드
여민전
대전사랑카드
대구행복페이
대구로페이
탐나는전
기초
단위

파일:노원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노원구
파일:대덕구 CI_White.svg 대전광역시 대덕구
파일:동구(부산광역시) CI.svg 부산광역시 동구
파일:군산시 CI_White.svg 전라북도 군산시
파일:부여군 CI_White.svg 충청남도 부여군
노원
대덕 e로움
e바구페이
군산사랑상품권
굿뜨래페이
파일:김포시 CI_White.svg 경기도 김포시
김포페이



파일:여민전.jpg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여민전
운영사
애플리케이션
KT
실물 체크카드
농협은행
하나카드
개발수행사
다온링크
주관
세종특별자치시
사용처
세종특별자치시 소재[1]의 모든 사업장[2]
고객센터
1577-5628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애플리케이션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1. 개요
2. 발급 방법
3. 사용 방법
4. 소상공인 혜택



1. 개요[편집]


2020년 3월 세종특별자치시 주관으로 KT를 운영대행사로 선정해 출시한 전자상품권 겸 지역화폐이다. 운영대행사가 KT이기는 하지만 기존 KT의 지역화폐 결제 플랫폼인 착한페이와는 전혀 호환이 되지 않고, 세종특별자치시가 요구한 대로 별도의 단독 앱 기반 운영 플랫폼으로 운영한다.

지역자금의 역외 유출을 막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도입하였다. 이름의 유래는 세종대왕이 만든 ‘백성과 더불어 즐기다’라는 뜻의 국악 여민락(與民樂)에서 착안한 것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민 모두가 함께하는 화폐’라는 의미를 담았다고 한다.


2. 발급 방법[편집]


여민전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카드 발급이 필수적이다.
카드 발급은 하나은행(즉시 발급까지 가능)에서 받는 오프라인 발급과 여민전 앱 속 링크를 통해 발급받는 온라인 발급, 농협은행에서 농협카드(NH카드)로 발급받는 방법이 있다.

카드를 발급하고 나서 사용을 위해서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회원가입을 해야 한다.

온라인 발급의 경우 아래 바로가기 또는 앱 내의 카드 발급 링크를 따라 들어가면 하나카드 사이트로 연결된다.[3] 이곳에서 발급 신청을 하면 된다.
성인의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발급 및 카드 수령 신청이 가능하나, 미성년자의 경우 직접 하나은행을 방문하여야 한다.

* 여민전 농협카드 신청 바로가기
* 여민전 하나카드 신청 바로가기


3. 사용 방법[편집]


카드식이기 때문에 카드 사용 가맹점이라면 전부 사용가능하다. 삼성페이나 LG페이 같은 결제 시스템에도 등록, 사용이 가능하다.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목적에 맞게 대형 프랜차이즈 등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앱 내부의 가맹점 찾기를 이용해 사용가능한 가맹점을 미리 체크해 두어야 한다. GS25와 같은 프랜차이즈여도 직영점이 아니라 가맹점이라면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가능한지 반드시 확인하여 볼 것. 사용할 때에는 일반 체크카드를 사용하듯이 지역화폐 카드를 제시하여 사용하면 되고, 앱 내에서 연말정산을 위한 소득공제 신청을 미리 할 수도 있다.

충전 금액은 1달 50만원, 연 500만원까지다.

사용 결제 한도는 제한이 없다. 단 충전보유 한도액은 200만원 까지이다.

사용 금액의 6%를 캐시백 해준다. 단, 캐시백 사용금액의 경우는 재 캐시백해 주지는 않는다. 캐시백은 바로 적립되기 때문에 다음결제부터 바로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세종시 정책발행(출산축하금 등), 법인 등 구매액은 캐시백을 지원하지 않으며, 이벤트 기간은 세종시 정책에 따라 결정된다. 2022년 12월 31일까지 코로나로 인한 소비촉진 등의 사유로 구매금액의 10%를 캐시백 해준다. 2023년 1월 1일부터 5% 캐시백으로 하향되었으며, 2023년 3월 1일부터 7% 캐시백으로 상향되었다.

캐시백 금액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앱을 설치하면 기본으로 OFF 상태이기 때문에 앱 내부의 캐시백 사용을 ON으로 바꾸어야한다. 캐시백 금액이 충전 금액보다 먼저 사용된다. 즉, 캐시백 → 충전 → 은행 계좌 순으로 결제된다.[4]

연말정산 시 체크카드와 동일하게 30% 소득공제도 가능하다.


4. 소상공인 혜택[편집]


  • 별도 가맹신청 없음 (사용제한 업체 외 자동가입)
  • 지역 내 소비가 늘어나 실질매출 증가
  • 체크카드 형태로 거래돼 신용카드 대비 수수료 0.3% 절감
  • 혜택플러스 가맹점은 여민전 앱을 통해 홍보

[1] 하나카드.농협은행에 등록된 가맹점 주소 기준 상[2] 당연히 온라인 결제는 안되고 백화점,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사행성업소, 일부 프랜차이즈 직영점 등은 제외한다.[3] 카드사 홈페이지에서는 아무리 검색해도 나오지 않으니 괜히 홈페이지에서 찾지 말자.[4] 여기에 하이브리드 기능을 이용하면 최대 30만원까지 신용결제도 가능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0:58:00에 나무위키 여민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