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엑스포역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여수역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보천선에 있는 한자명이 같은 역에 대한 내용은 려수역 문서
려수역번 문단을
려수역# 부분을
, 대전엑스포 기간 동안 운영했었던 역에 대한 내용은 엑스포역 문서
엑스포역번 문단을
#s-번 문단을
엑스포역#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여수EXPO역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Yeosu EXPO
한자
麗水엑스포
간체자
丽水世博会[1]
가나
麗水(ヨスエキスポ
주소
전라남도 여수시 망양로 2 (덕충동)
관리역 등급
관리역(2급)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운영기관
전라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전라선
1930년 10월 25일
파일:KTX BI_White, Red.svg
2011년 10월 5일
파일:Untitled-1.png
2023년 9월 1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S-train
2013년 9월 27일

철도거리표
전라선
여수엑스포
종점

1. 개요
2. 역 정보
2.1. 연혁
2.2. 구 역사
2.3. 현재 역사
2.4. 개명 논란
2.5. 시간표
2.6. 철도 경쟁력
3. 역 주변 정보
4. 주변 교통
5. 일평균 이용객
6. 승강장
7. 기타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Yeosu_EXPO_Station_front.jpg

여수엑스포역 전경


여수엑스포역 야경


파일:여수엑스포역 스탬프_1.jpg
파일:여수엑스포역 스탬프_3.jpg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2]



대한민국 육지의 가장 남쪽의 철도역

여수엑스포역의 전신인 여수역은 1930년 12월 25일 여수-순천 간 선로가 개통되며 영업을 개시했다. 전라선의 시종착역이자 우리나라 육지중에 가장 남쪽에 위치한 역이다. 남해안의 주요 공업지역에 위치한 역으로 1968년에는 쌍용양회 전용선이, 1980년에는 동양화학 전용선이 신설되기도 하였다. 1980년 12월 27일 여수시 공화동으로 역사를 신축,이전하였고, 2009년 12월 23일 지금의 덕충동으로 이전하였다. 2012년 여수시는 '살아있는 바다, 숨쉬는 연안'을 주제로 여수세계박람회를 개최하는데, 이 행사에 발맞춰 2011년 10월 1일 여수엑스포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전라선철도역. 전라남도 여수시 망양로 2 (덕충동 66) 소재.

전라선의 시종착역이며 대한민국의 최남단 철도역이다.[3] 2012년 5월에 열리는 2012 여수 엑스포에 대비해 2011년 10월부터 전라선 복선 전철화와 함께 KTX 운행을 시작했으며 역명을 여수역에서 여수엑스포역으로 변경했다. 한편 남도해양관광열차[4]의 시종착역이다. 인근에 여수차량사업소가 있다.

인근에 돌산도 및 여러 해수욕장이 있어서 피서철이 되면 많은 관광객들이 이용을 하며, 순천 및 여수국가산단을 잇는 철도수송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 역 정보[편집]



2.1. 연혁[편집]



2.2. 구 역사[편집]



파일:20150920_094041.jpg


파일:thumb_550_NS_200998125613.jpg

1대 역사 (1930년 준공, 1980년 철거)

해당 역사는 1930년에 지어졌으며, 위 사진의 구 역사는 1980년에 지어졌다가 철거되었다.

이후 세워진 역사는 전라남도 여수시 오동도길 1 (공화동)[5]에 있었다. 지금은 그 자리에 한화아쿠아플라넷이 세워졌으며,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카카오맵에서 2008년이나 2009년 스카이뷰를 선택하면 볼 수 있다. 현 역사 기준 약 600미터 남쪽에 위치해 있었다.

파일:external/www.nhanews.com/38636_9233_1410.jpg

현재 위치로 이전하기전 구 역사의 모습

파일:여수엑스포역 승강장.jpg

구역사 시절에는 종착역이 곡선형이란 점도 특이했고, 전차대 대신 삼각선으로 기관차를 돌렸다. 여수역에서 방향 전환용 삼각선으로 진입 후 제1전환점에 다다르면 철로 방향을 바꾼 다음 후진하고 제2전환점에 다다르면 철로 방향을 바꿔 다시 전진하는 방식이었다.(운전면허 옛 기능시험에서 T자형 코스를 생각하면 된다.)기관차 삼각선 주행 영상 전라선 종단점은 오동도 입구 옆에 있는데 2002년까지만 해도 볼 수가 있었지만, 이후 나무 담장으로 둘러싸여 볼 수 없게 되었다. 회차 구간은 여수엑스포 부지 재개발구역으로 포함되어 전부 정리되고 그 자리에 엑스포가 들어섰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과의 페리(관려연락선)와 직결시키기 위해 여수항 제 3부두까지 선로가 부설되어 있었으나, 광복 직후 일부가 폐선 되었다. 여수항역이 바로 그 기능을 하였는데 일제강점기에는 이 부두까지 놓인 여수항역까지의 철로를 통해서 물자수탈이 이루어졌다. 이 철로는 쌍용양회 여수공장 등 여수항을 통해 반입되는 시멘트 수송에 쓰였다. 현재는 엑스포 때문에 모두 걷힌 상태.

2.3. 현재 역사[편집]


2012 여수 엑스포 부지가 지금의 여수역과 여수항 자리라 2010년까지 여수역을 원래 자리에서 북쪽으로 이설한다고 했지만, 예상보다 앞당겨진 2009년 12월 23일 신축된 역사로 이전됐다. 그리고 2010년 2월 들어 원래 여수역이 있던 자리는 철거가 빠르게 진행됐다. 사진

새 역은 성동역[6], 목포역, 인천역에 이은 대한민국의 네 번째[7] 두단식 승강장을 갖춘 역이다. 사진보기 특히 선로 끝에 역사가 위치한 구조는 한국에서는 성동역이 폐지된 이후 정말 오랜만에 등장했다. 2016년 12월 개통한 수서평택고속선수서역이 여수엑스포역과 상당히 유사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역 이전 전에도 구조가 상당히 개념적이었던 것이 지형을 적절히 활용하여서 다른 역들처럼 육교나 지하도를 오르내리는 일이 없이 선로가 역사보다 한 층 정도 낮았기 때문에 역사 맞이방에서 내려가면 바로 승강장으로 갈 수 있는 동선이었다.[8]

이 역 내부에 2012 여수 엑스포한국철도공사-국가철도공단관(한국철도관)과 국토해양부관(녹색성장관)이 있다. 엑스포 표가 없어도 자유 관람이 가능했다. 2012 여수 엑스포가 폐회하면서 같이 폐관되었다.

KTX가 증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천역 ~ 여수엑스포역을 잇는 여천터널과 신 마래터널은 단선이다.

KTX 한정 여수엑스포에서 여천역간 열차최고속도는 200~230km/h이다.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108-01-1.png
여수엑스포역 배선도.


맞이방이 한 쪽으로 쏠려 있어서 이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를 예매할 때 18호차 쪽으로 예약하는 것이 낫다. 그렇지 않고 1호차 부근으로 예약하면 맞이방에서 300m씩 걸어야 한다.

2.4. 개명 논란[편집]


2010년 7월 24일,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이 여수세계박람회 준비상황 점검 차 여수역을 방문했다가 '엑스포역'으로의 개명을 제안했다. # 이에 김충석 여수시장도 호응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기사) 여수역을 여수엑스포역으로, 현재의 여천역을 여수역으로 개명하려고 했고 7월 중에 국토해양부 고시로 확정될 뻔 했는데, 시의회에서 극렬하게 반대하는 중이라 아직도 통과가 안되고 있다. 참고로 시의회에서 제안하는 명칭은 여수역(엑스포역), 여천역은 엑스포 개최 후 개명 논의.

그러나 시의회의 반대 입장은 상관없는 듯 코레일에서는 여수역(엑스포역)등의 절충안도 무시한 채 2011년 10월 1일부로 여수EXPO역으로 개명하였다. 사실 국가기관의 산하이자 공기업인 코레일이 시의회의 입장을 따를 필요도 없다. 그러나 여천역을 여수역으로 변경하려던 당초 안은 시의회의 강력한 반발로 인해서 확정되지 않고 엑스포 사후에 다시 지정하기로 하였다.

여수역의 명칭 변경건에 있어서 여천역을 여수역으로 변경하자는 안은 여수시의 통합의 상징성과 여수시의 지리적 중심부가 여천역이 더 적합하며 새로운 여수를 알리자는 취지였다. 기존 여수역의 명칭을 고수하는 시의회는 실제로 상당부분 여천지역으로 시의 중심이 이동하였으나 아직도 구 여수시 지역의 문수동 여서동 지구가 여수시의 실질적인 중심기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원도심 지역이 여수시의 최대 상권지역으로 형성되어 있고 여수는 경호동 돌산읍 화정면 남면 삼산면 등 관내 섬지역과의 교통의 중심이 되는 원도심이 아직도 중심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전라좌도수영이 있던 원도심이 수백 년간 중심지 기능을 수행해온 역사성을 들어서 여수역의 명칭 변경건에 반대하고 있다. 결국 역은 엑스포가 끝난 지 11년이 지났는데도 아직도 엑스포를 달고 있는 상황이다.


2.5. 시간표[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5:06
KTX-산천
502
행신
07:09
KTX
504
행신
07:48
KTX-산천
542
행신
08:42
KTX-산천
506
용산
10:22
KTX-산천
508
서울
11:59
KTX
510
용산
12:09
KTX
582[서대전]
용산
13:04
KTX
512
행신
14:02
KTX-산천
514
서울
14:58
KTX
516
서울
15:28
KTX_산천
4052[금~일]
행신
16:27
KTX-산천
4054[금~일][서대전]
행신
16:35
KTX_산천
518
용산
18:05
KTX
520
행신
18:53
KTX_산천
584[서대전]
용산
19:26
KTX-산천
544[9]
행신
20:24
KTX_산천
522
용산
21:55
KTX-산천
524
행신

파일:SRT BI.svg (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6:46
SRT
682
수서
14:31
SRT
684
수서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6:20
무궁화
1502
용산
07:38
무궁화
1532
익산
08:12
ITX-새마을
1082
용산
08:58
무궁화
1534
익산
11:08
ITX-마음
1182
용산
12:15
무궁화
1536
익산
13:19
무궁화
1504
용산
14:10
ITX-새마을
1084
용산
14:44
무궁화
1538
익산
15:50
ITX-마음
1184
용산
16:45
무궁화
1540
익산
18:12
무궁화
1506
용산
19:14
무궁화
1508
용산
22:40
무궁화
1542
익산

[[남도해양관광열차|

남도해양관광열차
]] (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17:21
남도해양관광열차
2522[관광]
서울



2.6. 철도 경쟁력[편집]


순천완주고속도로 개통 이전까지 여순광 지역은 전라도 다른 지역과 다르게[10] 당시 전라선의 선형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철도가 우위를 점하였다. 하지만 순천완주고속도로가 개통되어 잠시나마 버스가 우세한 지역이 되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전라선 KTX가 운행되어 잃어버린 철도 수요를 상당히 많이 되찾아왔다. 또한 호남고속선이 준공된 2015년 4월부터 철도 강세 지역으로 되돌아갔다.

2015년 2월 5일에 있었던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라 전라선 KTX도 호남고속선으로 100% 합류하는 편성 운행을 한다고 확정하였다. 이와 함께 요금산정의 여부에 따라 철도 우세가 어느 정도 이뤄질지 변동이 있어 보인다. 2015년 4월 2일에 공식 영업을 하면서 용산까지의 소요시간은 평균 2시간 55분, 최단시간 2시간 40분, 최장시간 3시간 8분으로 이전보다 평균적으로 40분가량 단축효과가 나타났다. 요금은 1,200원 인상되었다.

다만 2022년 7월 31일부로 용산-여수엑스포 야간 무궁화호 폐지로 인하여 심야수요는 고속버스로 넘어갔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여수-남해간 한려해저터널 착공돌입에 들어가게 될무렵 여수와 전남에서는 해저터널 건설로 오히려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고, 체류형 관광지에서 지나치는 관광지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옴에따라 여수밤바다 인기로 연간 1,300만명이 다녀가는 관광 특수가 분산되지 않도록 킬러콘텐츠 선점과 관광산업 체질 개선 등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하여 박람회장 인근 여수엑스포역 권역을 중심으로 역 주변에 역세권 복합 개발사업을 추진해 시너지를 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4. 주변 교통[편집]


구 여천시, 구 여수시 중에서는 구 여수시에 있다. (구 여천시에는 여천역이 별도로 존재한다.) 하지만 실제로 구 여수시의 시내로 걸어서 들어가기에는 너무 먼 거리에 존재한다. 역사 이전 이후 짧은 거리지만 더 멀어지고 버스를 이용하기도 불편해졌다. 여수 시내로 가는 시내버스는 2번, 6번[A], 7번[A], 109번[B], 111번[B]이 있으니 잘 이용해 보자. 333번의 경우 여수시내가 아닌 시외버스터미널 및 여서동,문수동 방향으로 간다.
단, 구 여천시 지역으로 가는 버스는 2번밖에 없고[C], 돌산을 제외한 구 여천군 지역으로 가는 버스는 아예 없으므로 주의하자. 돌산읍에 남해상의 일출을 볼 수 있는 향일암이 유명해서 내일로 시즌에 무궁화호 #1517호를 타고 새벽에 내리는 사람들은 대부분 111번 버스를 타고 향일암이 있는 임포 쪽으로 간다. 그러나 1517열차는 폐지되었다.

원래 111번 버스는 여수엑스포역을 경유하지 않는데 구 여수역 시절부터 임포행 한정 새벽 시간 첫 차와 그 다음 차만 여수역 앞을 경유한다. 여수엑스포역으로 돌아올 때는 향일암 매표소에서 11분 정도만 걸어가면 임포한솔횟집 정류장이 나오는데 거기서 111번 버스를 타고 교보생명 정류장에서 하차한 다음(1시간 27분 소요) 2번 버스로 환승해서 여수엑스포역으로 오면 된다.(교보생명 정류장에서 역까지 23분 소요) (가는 시간, 환승 시간을 생각해서 열차 출발 3시간 전에 향일암에서 나오는 게 좋다.) 저 구역사 시절에는 여수역 가는 관광객이 많은 시즌에는 공화동사거리의 정류장이 아닌 곳에서 하차시켜주기도 하였으나, 역이 이전한 이후에는 걸어갈만한 거리가 못 된다.

2022년 3월, 시내버스 노선 개편 이후 109번, 111번 버스 중 일부 시간대의 노선이 엑스포역을 경유한다.
(109번 미평출발 5:45, 6:20, 7:45, 성두출발 6:30, 7:15, 7:45, 9:15 / 111번 미평출발 4:30, 5:00, 5:30, 6:10, 6:50, 임포출발 5:40, 6:20, 7:00, 7:40, 8:20)

5.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총합
비고
2004년

217명
1,360명
1,577명

2005년
225명
1,410명
1,635명

2006년
229명
1,408명
1,637명

2007년
239명
1,438명
1,677명

2008년
250명
1,480명
1,730명

2009년
247명
1,362명
1,609명

2010년
251명
1,243명
1,494명

2011년
748명
275명
1,341명
2,364명
[11]
2012년
1,803명
330명
3,002명
5,135명

2013년
913명
157명
1,518명
2,588명

2014년
1,010명
207명
1,429명
2,646명

2015년
1,500명
266명
1,377명
3,143명

2016년
1,710명
186명
1,393명
3,289명

2017년
2,510명
232명
1,455명
4,197명

2018년
2,834명
243명
1,443명
4,520명

2019년
3,086명
248명
1,493명
4,827명

2020년
1,840명
129명
844명
2,813명

2021년
1,949명
144명
803명
2,896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1] '중국 관광객을 배려하지 않은 표기'라는 지적을 받고 2012년 4월 16일여수세박회역으로 수정되었다. 물론 간체로. Before After 엑스포가 끝난 이후 한자역명은 麗水엑스포로 다시 복귀하였다. 또한 승차권 발매 전산 상에는 여수EXPO(Yeosu-EXPO)로 등록되어 있으며 물류정보 전산 상에는 엑스포로 등록되어 있다.[2] 각각 여수엑스포 마스코트인 여니와 수니, 돌산대교와 하멜등대를 형상화하였다. 돌산대교 배경 여수역 스탬프와 전라선 KTX 개통 기념 스탬프, 거북선 도안 대형 스탬프도 있었으나 모두 분실되었다.[3] 일부 철도 동호인들은 "진짜 최남단역은 제주 에코랜드에 있는 그린티&로즈가든역이다." 라는 주장을 하나, 에코랜드에 있는 열차는 철도사업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유원지 놀이기구일 뿐이다. 따라서 최남단역으로도 볼 수 없고, 철도영업거리표에도 당연히 등재되어 있지 않다.[4] 그 외에도 무궁화호 / KTX / SRT 등의 전라선 모든열차의 종착역[5] 공화동 1493[6] 1971년 폐역되었다.[7] 성동역이 폐역된 지금은 세 번째이다.[8] 동대구역이 이런 구조이다.[서대전] A B C 서대전 경유[금~일] A B 금~일에만 운행한다.[9] 금 미운행[관광] 목 ~ 월요일만 운행[10] 물론 익산시, 김제시, 장성군, 나주시처럼 호남의 다른 지역에도 예외가 존재한다.[A] A B 역사 안으로는 오지 않고 만덕사거리에서 승차한다.[B] A B 일부 오전 시간대의 노선만 엑스포역을 경유한다.[C] 구 여천시 지역으로 가려면 애초에 여천역에서 내리는 게 훨씬 낫다.[11]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0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8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6. 승강장[편집]


여천

1
2


3
4


종착역


1~4
전라선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43d68; font-size: .9em"
S-train]]
익산·용산·수서 방면


7. 기타[편집]


  • 2009년 말에 현재 위치로 이전했고, 그 이전에는 여수중-여수고와 무척 가까웠다.

  • 과거에 전라남도 여수시 오동도길 1 (공화동 1493)에 위치해있기에, 사창가가 밀집된 지역과 가까웠다. 따라서 여수시민들은 사창가에 간다는 의미로 여수역에 가다라는 관용구를 사용했다. 택시 기사들은 여수역 가겠다고 말하는 손님들을 사창가 앞에 세워주었다고 한다. 여수엑스포 시기에 민박집으로 쓰였다고 한다. 너는 내 운명의 소재지로 쓰인 것은 덤.

  • 전국의 일반/고속열차 정차역 중 가장 역명이 길다. 이 기록은 중부내륙선의 감곡장호원역과 공유한다.

  • 인근에 제주도로 가는 여객선터미널이 있어서 야간시간에 이곳에서 한일 골드스텔라호를 타는 사람이 간혹 있다. 운항사는 한일고속.

  • 구 여수역은 ‘가문의 영광’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 한편, 광양에서 5만명 서명운동을 통해 경전선 KTX이음열차를 광양역 정차해달라고 하고 있어 운 좋을 경우 부산-여수간 KTX이음 열차유치를 위해 여수시랑 공조를 구하여 열차운행편 유치에 성공한 경우 여천역등 여수지역 기차역에도 혜택을 볼수 있겠지만 우선은 결과가 어떻게 될지 두고볼 일이다.

8. 둘러보기[편집]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최극단 철도역'''

{{{#!wiki style="margin: 0 -10px"
[ 펼치기 · 접기 ]
실효통치지역
미수복지역 포함
최북단
제진역[1]
백마고지역[2]
세선역
최남단
여수엑스포역[3]
최동단
영일만항역[4]
영덕역[5]
두만강역
최서단
목포역
용암포역
최고점
추전역
북계수역
최저점
여의나루역[6]
김포공항역(서해선)[7]
영광역[8]
[ 각주 펼치기 · 접기 ]
[각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2:07:10에 나무위키 여수엑스포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