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진족

최근 편집일시 :

분류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만주 종족 계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22px-A_Tartar_Huntsmen_on_His_Horse.jpg
여진족

1. 개요
3. 명칭
4. 특성
5. 대중매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여진(女眞)은 퉁구스계 종족 집단 가운데서도 만주 일부 지방에 살았던 숙신-말갈계의 후손이다. 명나라 시대에 건주위 지휘사의 통제를 받는 건주여진(建州女眞)[1]과 후룬 강[2] 유역에 살았던 해서여진(海西女眞), 그리고 최북방의 야인여진(野人女眞)[3]으로 세분화되었다.

모두 여진어를 사용하긴 했으나, 서로 간에도 잦은 전쟁과 약탈이 일어났을 정도로 연대의식이 희미했다.

2. 역사[편집]


본래 말갈족의 여러 부족 중 속말말갈과 백산말갈은 고구려 변방 지역에 자리잡고 당대의 패권국이었던 고구려와 연대하고 있었다.[4] 그러나 고구려가 당나라에 의해 멸망한 뒤 그 유민들과 함께 상당수가 지금의 랴오닝성 차오양에 해당하는 영주로 강제이주당했다. 이후 대조영이 고구려의 유민들과 친고구려계 말갈인들을 다시금 규합하여 발해를 건국하자 발해의 주요 구성원이 되었다.

그에 반해 쑹화강과 헤이룽강 하류 지역에 근거를 두고 발해에 대항했던 흑수말갈은 결국 힘에 의해 발해에 복속되어 피지배층에 머물러있었다. 때문에 발해가 무너지던 말기쯤에 이르러선 아예 독립적으로 해외에 외교사절을 보낼 정도로 적극적인 이탈을 보이게 된다. 발해가 멸망한 뒤엔 거란에 복속되어 여진(女眞)이라고 불렸다. 이후 거란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고려에 복속되었다가 16세기 말 건주여진의 추장이었던 태조 누르하치를 중심으로 여진족이 부흥하여 1616년에 후금을 세웠으며, 그 후 세력을 확장해 1636년에는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고 중국을 통일했다.

고려 시대에는 지금의 함경도 지역에도 여진족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며 , 조선 제4대 세종 때 4군 6진을 개척하면서 한반도에서 쫓겨나거나 한민족과 동화되었다. 일제강점기 정도만 해도 주민의 생활에서 여진족의 흔적은 찾기 힘들었고, 북한에선 여진족식 지명도 모조리 없애버리려고 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여진족/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청나라/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명칭[편집]


영어로는 Jurchen이라고 하는데 이는 몽골에서 여진을 가리키던 말인 주르첸(Jürchen)이 전해진 것이다. 하지만 만주 개칭 이전의 여진족도 그냥 간단하게 Manchurian(맨추리안; 만주족)으로 묶어 부르는 경우가 더 많다.

한문으로 제신(諸申)·주신(珠申)·주선(朱先), 주리진(朱里眞)·주리진(朱理眞)·주이진(朱爾眞), 주리차특(朱里扯特)·주아차척(主兒扯惕)·졸아찰대(拙兒擦歹)·주리흠(朱里欽), 여진(女眞)· 여직(女直)·여정(女貞)·여질(女質)[5] 등을 썼는데 줄친(zulchin)-주션(jušen)을 음차한 여러 별칭들이다. 일부 학자들은 해당 명칭이 '순록을 가진 사람들'을 뜻하는 오르촌족의 이름과 동계어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실제로 여진족은 수렵채집생활을 하긴 했다.

만주어로는 주션(jušen)이라고 한다. 참고로 여진의 기원으로 불리는 숙신의 경우, 肅愼은 /*siwk[d]i[n](슉딘)/, 稷眞은 /*tsəkti[n](쯕띤)/으로 추정된다.

4. 특성[편집]


여진족들은 한국사의 삼국시대와 남북국시대에는 부여와 고구려, 발해 등 예맥계 국가의 피지배층으로 복속되어 있었고, 발해가 멸망한 이후로도 거란(요나라)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고려에 복속되어 해동천하관 안에 속해 있었다. 또한, 체계적인 국가체계를 이루지 못하고 각 부족별로 따로따로 살았던 기간이 상당히 길었던 탓에 주변의 국가들은 여진을 미개한 집단으로 무시했다.

중국 역사서인 《신당서》 <흑수말갈전>이나 《삼국지》 <읍루전> 같은 곳에 표현된 여진의 전신인 말갈족에 대한 기술들을 보면, 그들은 항상 하체 부분만 가리고 옷을 모두 벗고 다녔으며, 겨울에는 돼지 기름을 수cm 에 달할 정도로 엄청나게 두껍게 발라 추위를 피했다. 거처 또한 일정하지 않고 주로 굴 속 혹은 나무 위에서 살았다.

전투력에 관한 기록으로는 한국과 중국 같은 농경 정주문명 뿐만 아니라, 유목민족인 몽골거란마저도 여진족의 잠재력을 두려워했다. 거란족의 요나라때는 '여진족이 1만 명을 넘으면 대적할 수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였다.[6] 그리고 실제로 아구다가 나타나면서 현실이 되었고, 몇 세기뒤 누르하치가 나타나면서 다시한번 재현되었다. 그리고 금나라와 청나라 등 통합이 가능할 만큼의 외부 자극을 받을 때는 무시무시한 위력을 보여주었다.

자기 집단의 주변에 이미 충분한 교역품과 문화를 제공하는 거대한 제국 혹은 세력이 형성되고 그들이 주변에 별다른 충돌을 일으키지 않으면, 그 거대한 문명의 외곽 지역에서는 민족주의나 통합의식을 보여줄 수 있는 집단이 잘 생기지 않는다. 여진족은 그러한 인류 집단이 답보하는 사례를 가장 잘 보여주는 예시로서, 거란족이나 한족들이 여진족의 존속에 위협을 주기 이전에는 스스로 단 한번도 만주 혹은 여진이라는 명분을 내세우며 뭉친 사례가 없다.

여진족과 가장 가까운 문명 집단은 한국계 국가였는데, 이들은 가끔 적대하는 여진족 일파들만 대충 불태우고 신경 끄는 등 적극적인 적대 관계까지는 형성하지 않은 편이었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여진족이 절박함을 느낄 만큼의 민족적인 위기 혹은 기회를 강요하지 않아서 여진족들이 조직력을 키우지 못했다고 보기도 한다.

다만 애초에 여진족은 하나의 집단으로 보기 애매한,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구분된 느슨한 집단이었다. 크게 중국 대륙 및 한반도와 교류하며 상대적으로 고도의 문명 수준을 보여준 숙여진(熟女眞), 철저히 문명의 외곽 지대에서 살면서 청동기 수준까지의 기록까지도 보여준 원시적인 생여진(生女眞), 이 둘의 중간으로 구분되는 광범위한 다수의 위성집단으로서 만주 지역에 퍼져 살았다. 그중에서도 문명 여진의 일파들은 한민족과도 가장 밀접한 관계를 주고 받았다.

집단의 성격들이 판이했던만큼, 자체적으로는 '민족적 범주'를 만들어 뭉칠 수 없었을 정도로 광범위한 집단으로서, 기마민족의 편제를 사용할 뿐이고 실질적으로는 정주농경민족이라는 점에서 엄청난 특이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이성 자체가 한반도와의 연관점을 보여주는 종족 집단이다. 아주 가끔 이웃 지방에서 여진족을 자극하여 뭉칠 만한 구실을 만들어주거나, 중국계나 한국계 문명과의 교류를 통해 선진문물이 여진족에 흘러들어가 기술력과 조직화를 이룰 경우 동북아의 판도를 뒤엎는 만만찮은 세력이 되었다. 괴자마 전술같은 충격 전술을 개발하여 주변의 강대국들을 몰락시키거나, 거의 모든 시대마다 보병+궁병+기병처럼 매우 균형적인 시스템을 만들고 매 시대의 핵심적인 전략 병기를 빠르게 도입하기도 했다. 즉 문명이 뒤떨어진 야만족이라는 편견과는 달리 외부에서 적극적인 적대 세력을 만들어주거나 혹은 조직 체계를 구성했을 경우 변화무쌍한 진화를 보여주었던 집단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청나라라는 최후의 중국 통일왕조까지 세웠다.

여진족에 대하여 흔히 잘못 알려진 사실은, 이들을 순수한 유목민족으로 보는 것인데 실제 여진족은 이동하면서 목축을 한 유목민족도 아니고 목축과 수렵채집만 한 것이 아니라 농업[7]과 어업을 겸업했고 심지어 해적질로도 악명을 떨쳤다. 애초에 이들의 주된 거주지가 초원이 아닌 삼림지대였기에 순수한 의미로서의 유목민족과는 삶의 양식이 꽤나 다른 민족이었다. 동북아 역사 관련한 교양서적 상당수에서도 여진족이나 만주족을 반농반렵 민족이라고 소개한 바에서 알 수 있듯이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 동하와 후손인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유목 제국으로 분류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여진족의 군사 시스템이 균형적이고 전투력이 강했던 것 또한 이러한 생활 특성과 무관하지 않다. 수렵채집 등의 생활 덕분에 실제로 유목민족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유목민족의 특기인 투창, 기마술과 궁술에도 능했고, 만주의 산지와 숲에서 생활하다 보니 당연히 보행 능력 또한 좋아서 보병 전력도 강했다. 실제로 여진족의 후손인 만주족은 명나라군이 대기병 보병 전술을 사용하면 말에서 내려 보병으로 전환해 대기병 전술을 파훼하는 등 유목민과는 달리 전술적으로 유연했다. 어업에도 종사한 덕에 유목민족처럼 수상전에도 약하지 않았다. 즉 유목민족+바이킹 등의 해적+남만족+서융족의 장점이 조합된 집단이었다. 그래서 여진족은 유일하게 두 번[8]이나 중원을 장악한 소수민족이기도 했다.

5. 대중매체[편집]


  • 역사의 시대 2 1440년 맵에서 등장한다. 최북방 야인여진은 오늘날 사할린 섬까지 점령한 상태로 나온다.

6. 둘러보기[편집]





[1] 세 여진족 중 가장 비옥한 곳에 살아서 훗날 누르하치를 배출하여 여진족을 통일하고 청나라를 세우게 되는 민족이다.[2] 동류 송화강[3] 세 여진족 중 가장 문명 수준이 낙후되어 있었으며, 일부는 오늘날까지도 만주족에 편입되지 않았다.[4] 중국 사서에서는 고구려에 더부살이 하고 있다고 표현했다.[5] 이하 3개의 별칭은 여진에서 파생된 것이다. '여직'의 경우에는 요나라의 황제 흥종을 피휘하기 위해서 '진'을 '직'으로 바꾼 것이라고 하는데, 만주어 학자 아이신기오로 울히춘은 이것이 민간어원이며 실제로는 방언 차이라고 주장한다.[6] 이 말은 드라마 <킹덤: 아신전>에서도 인용된다.[7] 약간의 화전(농업) 및 원시농업 등.[8] 금나라청나라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2:32:36에 나무위키 여진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