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지사

덤프버전 :


미합중국>
주지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2. 미국 대통령으로 가는 길
2.1. 19세기
2.2. 20세기 이후
2.3. 그 외
3. 50개의 주
3.2. 네브래스카 주지사
3.3. 노스다코타 주지사
3.5. 뉴멕시코 주지사
3.8. 뉴햄프셔 주지사
3.13. 메릴랜드 주지사
3.16. 미네소타 주지사
3.17. 미시간 주지사
3.18. 미시시피 주지사
3.19. 미주리 주지사
3.20. 버몬트 주지사
3.25. 아이오와 주지사
3.26. 아칸소 주지사
3.27. 알래스카 주지사
3.28. 애리조나 주지사
3.29. 앨라배마 주지사
3.30. 오리건 주지사
3.32. 오하이오 주지사
3.33. 와이오밍 주지사
3.34. 워싱턴 주지사
3.36. 위스콘신 주지사
3.38. 인디애나 주지사
3.39. 일리노이 주지사
3.40. 조지아 주지사[1]
3.41. 캔자스 주지사
3.43. 켄터키 주지사
3.44. 코네티컷 주지사
3.46. 테네시 주지사
3.47. 텍사스 주지사
3.49. 플로리다 주지사


1. 개요[편집]


미국의 50개 주의 행정부 수반이자 군통수권자이다. 각 주 시민들의 직접선거로 선출된다.

임기는 4년이다. 단 버몬트뉴햄프셔는 임기가 2년이다. 임기제한은 주별로 모두 다르다.영문위키 참조 뉴저지버지니아 /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켄터키는 홀수 해에 선거를 실시한다.[2] 11개 주[3]가 대통령 선거를 진행할 때 주지사 선거를 함께 실시하며, 36개 주(버몬트, 뉴햄프셔 포함)는 중간선거[4]를 진행할 때 주지사 선거를 함께 실시한다.

5개 주를[5] 제외하면 주지사 외에 부지사도 있으며 부통령과 비슷한 위치이다.

한국에서 이름이 같은 도지사와 같은 급으로 자주 비견되나 중앙정부의 권한이 강해 권한에 상당한 제약이 있는 한국의 도지사와 달리 자치제의 전통이 강한 미국의 주지사는 그 권한이 엄청나게 막강하다. 주방위군과 각 주별 경찰 등 주지사가 직접 동원할 수 있는 무력이 존재하는 수준이다. 또한 사면권과 감형권이 있으며, 주 법안에 대해 거부권도 행사할 수 있다.[6] 또한 각 카운티와 테리토리에 행정권을 행사하고 주 예산을 통제하며 주 공무원(판사 포함)에 대한 임명권도 통제한다.

각 주가 연합하는 방식으로 연방국을 형성했기 때문에 만들어진 구조로, 주방위군은 미국 연방정부가 연방군을 앞세워 주의 독립성을 침해하는 상황을 막는다는 명목으로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역사적으로 연방군과 주방위군이 충돌 직전까지 갔던 사례는 모두 대통령이 진보적 정책을 펼치고 있을 때, 보수적인 주지사가 주방위군을 동원하여 이에 저항할 때에 연방군을 파견해 이를 억누른 경우였다.

또한 각 주가 모두 나름대로 국가조직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도와 달리 주마다 각부 장관이 존재한다. 이러한 주 장관의 관할권은 당연히 주 내부로 한정되지만 각 부의 조직구성이나 장관의 영향력 자체는 막대하다.

현역(incumbent) 주지사가 재선되는 비율은 1980년 이후 80%에 근접할 정도로 높으며,# 미국 정치계에서 가장 어려운 일 중 하나로 현직 주지사를 이기는 것이 꼽힐 정도이다. 또한 정치계 최고의 직업(Best job in politics)이라는 속설이 돌 정도로 주지사들은 만족도가 높은 편이며, 상원의원 등 워싱턴에서 손꼽히는 직위에 비해서도 선호되는 경우가 많다.

2. 미국 대통령으로 가는 길[편집]


상원의원, 부통령과 함께 미국 대통령으로 가는 가장 큰 지름길이다.[7] 애초에 미국에서 주보다 큰 행정단위는 미연방 하나뿐이니 행정수반으로써 당연한 일이다. 주지사 출신 미국 대통령이 전체 44명 중 17명이라는 사실이 방증한다. 주지사 후보(리처드 닉슨)나 주지사 출신 미국 대선후보들을 포함하면 더 많다.

대다수의 대통령이 된 주지사는 고향 출신이다. (17명 중 10명).[8] 당연한 이야기지만 미국도 당연히 고향 정치인을 선호한다. 주지사를 지낸 출신들은 고향이 아닌 경우에도 대개 하원, 상원, 시장 등의 정치경력을 그 주에서 지낸 경우가 많다. 2000년대 미 대선 선거에서도 공화당엔 주지사 후보가 넘친다. 대표적으로 08년에도 꽤나 날렸고 2012년 경선에서도 1위를 달리고 대선 후보로 최종 선출된 밋 롬니(70대 매사추세츠 주지사(03~07))가 있고, 2008년 경선에서 초반에 승승장구했던 아칸소의 마이클 허커비(그래서 클린턴과 이미지가 겹쳤다. 보궐 선거 이후 3선(96~07).), 부시의 뒤를 이어 제법 승승장구하다가 중도사퇴한 릭 페리.

2.1. 19세기[편집]


초기엔 버지니아주, 중기엔 테네시주, 후반엔 오하이오주와 뉴욕주가 두드러진다.
  • 제3대 토머스 제퍼슨(1801~1809), 제2대 버지니아 주지사(1779~1781)
  • 제5대 제임스 먼로(1817~1825), 제12·16대 버지니아 주지사(3연속 재임, 1799~1802, 1811)
  • 제8대 마틴 밴 뷰런(1837~1841), 제9대 뉴욕 주지사(1829).[9]
  • 제10대 존 타일러(1841~1845), 제23대 버지니아 주지사(1825~1827)
  • 제11대 제임스 K. 포크(1845~1849), 제12대 테네시 주지사(연임, 1839~1841) 태어난 곳은 노스캐롤라이나.
  • 제17대 앤드루 존슨(1865~1869), 제18대·20대 테네시 주지사(1853~1857, 1862~1865).[10] 태어난 곳은 노스캐롤라이나.
  • 제19대 러더퍼드 B. 헤이스(1877~1881), 제29대·32대 오하이오 주지사(1868~1872, 1876~1877).[11]
  • 제22대·24대 그로버 클리블랜드(1885~1889, 1893~1897), 제28대 뉴욕 주지사(1883~1885) 태어난 곳은 뉴저지.
  • 제25대 윌리엄 매킨리(1897~1901), 제39대 오하이오 주지사(연임, 1892~1896)
  • 제26대 시어도어 루스벨트(1901~1909), 제33대 뉴욕 주지사(1899~1900)


2.2. 20세기 이후[편집]


초반엔 동북부 주지사가, 후반엔 남부와 서부 주지사가 많은것이 특징
  • 제28대 우드로 윌슨(1913~1921), 제34대 뉴저지 주지사(1911~1913) 태어난 곳은 버지니아. 자란 곳은 조지아.
  • 제30대 캘빈 쿨리지(1923~1929), 제48대 매사추세츠 주지사(1919~1921) 태어난 곳은 버몬트.
  • 제32대 프랭클린 D. 루스벨트(1933~1945), 제44대 뉴욕 주지사(연임, 1929~1932).
  • 제39대 지미 카터(1977~1981), 제76대 조지아 주지사(단임, 1971~1975)
  • 제40대 로널드 레이건(1981~1989), 제33대 캘리포니아 주지사(연임, 1967~1975). 태어난 곳은 일리노이.
  • 제42대 빌 클린턴(1993~2001), 제40대·42대 아칸소 주지사(1979~1981, 1983~1992(3임)[12])
  • 제43대 조지 W. 부시(2001~2009), 제46대 텍사스 주지사(연임 후 사퇴, 1995~2000) 태어난 곳은 코네티컷.[13]


2.3. 그 외[편집]


  • 제7대 앤드루 잭슨(1829~1837) 역시 플로리다의 초대 총독, 혹은 군정 주지사(Military governor, 1821년)였다.
  • 제9대 윌리엄 헨리 해리슨(1841)은 초대 루이지애나 특구 지사(1804~1805)[14]와 초대 인디애나 준주(territory)지사(1801~1812)를 지냈다. [15]
  • 정말 여담으로 제27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는 초대 필리핀 총독(Governor, 1901~1904), 초대 쿠바 총독(1906)을 맡았다.

이러다보니 총독이나 지사 출신 미국 대통령은 20명까지 늘어난다.


3. 50개의 주[편집]



3.1. 네바다 주지사[편집]


파일:Seal_of_Nevada.png

역대 네바다 주지사 문서 참조.

3.2. 네브래스카 주지사[편집]


파일:네브래스카 휘장.svg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3.3. 노스다코타 주지사[편집]


파일:노스다코타 휘장.svg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3.4. 노스캐롤라이나 주지사[편집]


파일:노스캐롤라이나 문장.svg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3.5. 뉴멕시코 주지사[편집]


파일:300px-Seal_of_New_Mexico.svg.png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3.6. 뉴욕 주지사[편집]


파일:뉴욕 휘장.png

역대 뉴욕 주지사 문서 참조.

3.7. 뉴저지 주지사[편집]


파일:뉴저지 휘장.png

역대 뉴저지 주지사 문서 참조.

3.8. 뉴햄프셔 주지사[편집]


파일:Seal_of_New_Hampshire.png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3.9. 델라웨어 주 주지사[편집]


파일:Seal_of_Delaware.png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3.10. 로드아일랜드 주지사[편집]


파일:Seal_of_Rhode_Island.png

역대 로드아일랜드 주지사 문서 참조.

3.11. 루이지애나 주지사[편집]


파일:루이지애나 휘장.svg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초대
윌리엄 C. C. 클레이본
(William C. C. Claiborne)
1812년 7월 30일
(July 30, 1812)
1816년 12월 17일
(December 17, 1816)
[[민주공화당(미국)|
민주공화당
]]

2대
자크 필리프 빌레르
(Jacques Phillippe Villere)
1816년 12월 17일
(December 17, 1816)
1820년 12월 18일
(December 18, 1820)
[[민주공화당(미국)|
민주공화당
]]

3대
토머스 보일링 로버트슨
(Thomas Bolling Robertson)
1820년 12월 18일
(December 18, 1820)
1824년 11월 15일
(November 15, 1824)
[[민주공화당(미국)|
민주공화당
]]

4대
헨리 S. 티보도
(Henry S. Thibodaux)
1824년 11월 15일
(November 15, 1824)
1824년 12월 13일
(December 13, 1824)
[[민주공화당(미국)|
민주공화당
]]

5대
헨리 S. 존슨
(Henry S. Johnson)
1824년 12월 13일
(December 13, 1824)
1828년 12월 15일
(December 15, 1828)
[[민주공화당(미국)|
민주공화당
]]

6대
피에르 오거스트 부르기뇽 데르비니
(Pierre Auguste Bourguigon Derbigny)
1828년 12월 15일
(December 15, 1828)
1829년 10월 6일
(October 6, 1829)
국민공화당
7대
아르노 줄리 보베
(Arnaud Julie Beauvais)
1829년 10월 6일
(October 6, 1829)
1830년 1월 14일
(January 14, 1830)
국민공화당
8대
자크 뒤프레
(Jacques Dupre)
1830년 1월 14일
(January 14, 1830)
1831년 1월 31일
(January 31, 1831)
국민공화당
9대
앙드레 비엔베뉴 로망
(Andre Bienvenu Roman)
1831년 1월 31일
(January 31, 1831)
1835년 2월 2일
(February 2, 1835)
국민공화당
10대
에드워드 더글러스 화이트
(Edward Douglass White)
1835년 2월 2일
(February 2, 1835)
1839년 2월 4일
(February 4, 1839)


9대
앙드레 비엔베뉴 로망
(Andre Bienvenu Roman)
1839년 2월 4일
(February 4, 1839)
1843년 1월 30일
(January 30, 1843)


11대
알렉상드르 무통
(Alexander Mouton)
1843년 1월 30일
(January 30, 1843)
1846년 2월 12일
(February 12, 1846)


12대
아이작 존슨
(Isaac Johnson)
1846년 2월 12일
(February 12, 1846)
1850년 1월 28일
(January 28, 1850)


13대
조지프 M. 워커
(Joseph M. Walker)
1850년 1월 28일
(January 28, 1850)
1853년 1월 18일
(January 18, 1853)


14대
폴 O. 에베르
(Paul O. Hebert)
1853년 1월 18일
(January 18, 1853)
1856년 1월 28일
(January 28, 1856)


15대
로버트 C. 위클리프
(Robert C. Wickliffe)
1856년 1월 28일
(January 28, 1856)
1860년 1월 23일
(January 23, 1860)


16대
토머스 오버턴 무어
(Thomas Overton Moore)
1860년 1월 23일
(January 23, 1860)
1864년 1월 25일
(January 25, 1864)

[CSA]
17대
조지 F. 셔플리
(George F. Shepley)
1862년 6월 2일
(June 2, 1862)
1864년 3월 4일
(March 4, 1864)
연방 군정
18대
헨리 왓킨스 앨런
(Henry Watkins Allen)
1864년 1월 25일
(January 25, 1864)
1865년 6월 2일
(June 2, 1865)

[CSA]
19대
마이클 한
(Michael Hahn)
1864년 3월 4일
(March 4, 1864)
1865년 3월 4일
(March 4, 1865)


20대
제임스 매디슨 웰즈
(James Madison Wells)
1865년 3월 4일
(March 4, 1865)
1867년 6월 3일
(June 3, 1867)


21대
벤저민 프랭클린 플랜더스
(Benjamin Franklin Flanders)
1867년 6월 6일
(June 6, 1867)
1868년 1월 2일
(January 2, 1868)


22대
조슈아 베이커
(Joshua Baker)
1868년 1월 8일
(January 8, 1868)
1868년 6월 27일
(June 27, 1868)


23대
헨리 클레이 워모스
(Henry Clay Warmoth)
1868년 6월 27일
(June 27, 1868)
1872년 12월 9일
(December 9, 1872)




3.12. 매사추세츠 주지사[편집]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초대
존 핸콕
(John Hancock)
1780년 10월 25일
(October 25, 1780)
1785년 2월 17일
(February 17, 1785)[16]

임시
토머스 쿠싱
(Thomas Cushing)
1785년 2월 17일
(February 17, 1785)
1785년 5월 27일
(May 27, 1785)

2대
제임스 보든
(James Bowdoin)
1785년 5월 27일
(May 27, 1785)
1787년 5월 30일
(May 30, 1787)

3대
존 핸콕
(John Hancock)
1787년 5월 30일
(May 30, 1787)
1793년 10월 8일
(October 8, 1793)

4대
새뮤얼 애덤스
(Samuel Adams)
1794년 10월 8일
(October 8, 1794)[17]
1797년 6월 2일
(June 2, 1797)

5대
인크리스 섬너
(Increase Sumner)
1797년 6월 2일
(June 2, 1797)
1799년 6월 7일
(June 7, 1799)

임시
모지스 길
(Moses Gill)
1799년 6월 7일
(June 7, 1799)
1800년 5월 20일
(May 20, 1800)

임시
주의회
(Governor's Council)
1800년 5월 20일
(May 20, 1800)
1800년 5월 30일
(May 30, 1800)

6대
케일럽 스트롱
(Caleb Strong)
1800년 5월 30일
(May 30, 1800)
1807년 5월 29일
(May 29, 1807)

7대
제임스 설리번
(James Sullivan)
1807년 5월 29일
(May 29, 1807)
1808년 12월 10일
(December 10, 1808)

임시
리바이 링컨
(Levi Lincoln, Sr.)
1808년 12월 10일
(December 10, 1808)
1809년 5월 1일
(May 1, 1809)

8대
크리스토퍼 고어
(Christopher Gore)
1809년 5월 1일
(May 1, 1809)
1810년 6월 10일
(June 10, 1810)

9대
엘브리지 게리
(Elbridge Gerry)
1810년 6월 10일
(June 10, 1810)
1812년 3월 4일
(March 4, 1812)

10대
케일럽 스트롱
(Caleb Strong)
1812년 3월 4일
(March 4, 1812)
1816년 5월 30일
(May 30, 1816)

11대
존 브룩스
(Jhon Brooks)
1816년 5월 30일
(May 30, 1816)
1823년 5월 31일
(May 31, 1823)

12대
윌리엄 유스티스
(William Eustis)
1823년 5월 31일
(May 31, 1923)
1825년 2월 6일
(February 6, 1825)

임시
마커스 모튼
(Marcus Morton)
1825년 2월 6일
(February 6, 1825)
1825년 5월 26일
(May 26, 1825)

13대
레비 링컨 주니어
(Levi Lincoln jr.)
1825년 5월 26일
(May 26, 1825)
1834년 1월 9일
(January 9, 1834)


3.13. 메릴랜드 주지사[편집]


파일:IMG_3941.png

3.14. 메인 주지사[편집]


파일:IMG_3942.png

3.15. 몬태나 주지사[편집]


파일:IMG_3943.png

역대 몬태나 주지사 문서 참조.

3.16. 미네소타 주지사[편집]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초대
헨리 헤이스팅스 시블리
(Henry Hastings Sibley)
1858년 5월 24일
(May 24, 1858)
1860년 1월 2일
(January 2, 1860)

2대
알렉산더 램지
(Alexander Ramsey)
1860년 1월 2일
(January 2, 1860)
1863년 7월 10일
(July 10, 1863)

3대
헨리 에도니럼 스위프트
(Henry Adoniram Swift)
1863년 7월 10일
(July 10, 1863)
1864년 1월 13일
(January 13, 1864)

4대
스티븐 밀러
(Stephen Miller)
1864년 1월 13일
(January 13, 1864)
1866년 1월 8일
(January 8, 1866)

5대
윌리엄 레이니 마셜
(William Rainey Marshall)
1866년 1월 8일
(January 8, 1866)
1870년 1월 7일
(January 7, 1870)

6대
호레이스 오스틴
(Horace Austin)
1870년 1월 7일
(January 7, 1870)
1874년 1월 9일
(January 9, 1874)

7대
쿠시먼 켈로그 데이비스
(Cushman Kellogg Davis)
1874년 1월 9일
(January 9, 1874)
1876년 1월 7일
(January 7, 1876)

8대
존 S. 필즈버리
(John S. Pillsbury)
1876년 1월 7일
(January 7, 1876)
1882년 1월 9일
(January 9, 1882)

9대
루시어스 프레드릭 허버드
(Lucius Frederick Hubbard)
1882년 1월 9일
(January 9, 1882)
1887년 1월 5일
(January 5, 1887)

10대
앤드류 라이언 맥길
(Andrew Ryan McGill)
1887년 1월 5일
(January 5, 1887)
1889년 1월 9일
(January 9, 1889)

11대
윌리엄 러시 메리엄
(William Rush Merriam)
1889년 1월 9일
(January 9, 1889)
1893년 1월 4일
(January 4, 1893)

12대
크누트 넬슨
(Knute Nelson)
1893년 1월 4일
(January 4, 1893)
1895년 1월 31일
(January 31, 1895)

13대
데이비드 마스턴 클로
(David Marston Clough)
1895년 1월 31일
(January 31, 1895)
1899년 1월 2일
(January 2, 1899)

14대
존 린드
(John Lind)
1899년 1월 2일
(January 2, 1899)
1901년 1월 7일
(January 7, 1901)

15대
새뮤얼 리나 밴 샌트
(Samuel Rinnah Van Sant)
1901년 1월 7일
(January 7, 1901)
1905년 1월 4일
(January 4, 1905)

16대
존 앨버트 존슨
(John Albert Johnson)
1905년 1월 4일
(January 4, 1905)
1909년 9월 21일
(September 21, 1909)

17대
아돌프 올슨 에버하트
(Adolph Olson Eberhart)
1909년 9월 21일
(September 21, 1909)
1915년 1월 6일
(January 6, 1915)

18대
윈필드 스콧 해먼드
(Winfield Scott Hammond)
1915년 1월 6일
(January 6, 1915)
1915년 12월 30일
(December 30, 1915)

19대
조셉 A. A. 번퀴스트
(Joseph A. A. Burnquist)
1915년 12월 30일
(December 30, 1915)
1921년 1월 5일
(January 7, 1921)

20대
J.A.O. 프리우스
(J. A. O. Preus)
1921년 1월 5일
(January 7, 1921)
1925년 1월 7일
(January 7, 1925)

21대
시어도어 크리스티안슨
(Theodore Christianson)
1925년 1월 7일
(January 7, 1925)
1931년 1월 7일
(January 7, 1931)

22대
플로이드 B. 올슨
(Floyd B. Olson)
1931년 1월 7일
(January 7, 1931)
1936년 8월 22일
(August 22, 1936)

23대
얄마르 페테르센
(Hjalmar Petersen)
1936년 8월 22일
(August 22, 1936)
1937년 1월 4일
(January 4, 1937)

24대
엘머 오스틴 벤슨
(Elmer Austin Benson)
1937년 1월 4일
(January 4, 1937)
1939년 1월 3일
(January 3, 1939)

25대
해럴드 스타센
(Harold Stassen)
1939년 1월 3일
(January 3, 1939)
1943년 4월 27일
(April 27, 1943)

26대
에드워드 존 타이
(Edward John Thye)
1943년 4월 27일
(April 27, 1943)
1947년 1월 8일
(January 8, 1947)

27대
루터 영덜
(Luther Youngdahl)
1947년 1월 8일
(January 8, 1947)
1951년 9월 27일
(September 27, 1951)

28대
C. 엘머 앤더슨
(C. Elmer Anderson)
1951년 9월 27일
(September 27, 1951)
1955년 1월 5일
(January 5, 1955)

29대
오빌 프리먼
(Orville Freeman)
1955년 1월 5일
(January 5, 1955)
1961년 1월 4일
(January 4, 1961)

30대
엘머 L. 앤더슨
(Elmer L. Anderson)
1961년 1월 4일
(January 4, 1961)
1963년 3월 25일
(March 25, 1963)

31대
칼 롤박
(Karl Rolvaag)
1963년 3월 25일
(March 25, 1963)
1967년 1월 2일
(January 2, 1967)

32대
해럴드 르밴더
(Harold LeVander)
1967년 1월 2일
(January 2, 1967)
1971년 1월 4일
(January 4, 1971)

33대
웬델 R. 앤더슨
(Wendell R. Anderson)
1971년 1월 4일
(January 4, 1971)
1976년 12월 29일
(December 29, 1976)

34대
루디 퍼피치
(Rudy Perpich)
1976년 12월 29일
(December 29, 1976)
1979년 1월 1일
(January 1, 1979)

35대
앨 퀴
(Al Quie)
1979년 1월 1일
(January 1, 1979)
1983년 1월 3일
(January 3, 1983)

36대
루디 퍼피치
(Rudy Perpich)
1983년 1월 3일
(January 3, 1983)
1991년 1월 7일
(January 7, 1991)

37대
어니 칼슨
(Arne Carlson)
1991년 1월 7일
(January 7, 1991)
1999년 1월 4일
(January 4, 1999)]

38대
제시 벤투라
(Jesse Ventura)
1999년 1월 4일
(January 4, 1999)
2003년 1월 6일
(January 6, 2003)]
미네소타 개혁당
39대
팀 펄런티
(Tim Pawlenty)
2003년 1월 6일
(January 6, 2003)
2011년 1월 3일
(January 3, 2011)]

40대
마크 데이턴
(Mark Dayton)
2011년 1월 3일
(January 3, 2011)
2019년 1월 7일
(January 7, 2019)]

41대
팀 왈즈
(Tim Walz)
2019년 1월 7일
(January 7, 2019)
-


3.17. 미시간 주지사[편집]



역대 미시간 주지사 참고

3.18. 미시시피 주지사[편집]




3.19. 미주리 주지사[편집]




3.20. 버몬트 주지사[편집]




3.21. 버지니아 주지사[편집]




3.22. 사우스다코타 주지사[편집]




3.23.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편집]




3.24. 아이다호 주지사[편집]




3.25. 아이오와 주지사[편집]




3.26. 아칸소 주지사[편집]


파일:IMG_4190.png

3.27. 알래스카 주지사[편집]


역대 알래스카 주지사 참고


3.28. 애리조나 주지사[편집]




3.29. 앨라배마 주지사[편집]




3.30. 오리건 주지사[편집]




3.31. 오클라호마 주지사[편집]




3.32. 오하이오 주지사[편집]




3.33. 와이오밍 주지사[편집]




3.34. 워싱턴 주지사[편집]




3.35. 웨스트버지니아 주지사[편집]




3.36. 위스콘신 주지사[편집]




3.37. 유타 주지사[편집]


파일:유타주 휘장.png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초대
브리검 영
(Brigham Young)
1851년 2월 3일
(February 3, 1851)
1858년 4월 12일
(April 12, 1858)
없음
2대
앨프리드 커밍
(Alfred Cumming)
1858년 4월 12일
(April 12, 1858)
1861년 5월 17일
(May 17, 1861)
없음
3대
존 W. 도슨
(John W. Dawson)
1861년 12월 7일
(December 17, 1861)
1861년 12월 31일
(December 31, 1861)
없음
4대
스티븐 S. 하딩
(Stephen S. Harding)
1862년 7월 7일
(July 7, 1862)
1863년 6월 11일
(June 11, 1863)
없음
5대
제임스 두에인 도티
(James Duane Doty)
1863년 6월 22일
(June 22, 1863)
1865년 6월 12일
(June 13, 1865)
없음
6대
찰스 더키
(Charles Durkee)
1865년 9월 30일
(September 30, 1865)
1869년 1월 9일
(January 9, 1869)
없음
7대
존 셰퍼
(John Shaffer)
1870년 3월 20일
(March 20, 1870)
1870년 10월 31일
(October 31, 1870)
없음
8대
버넌 H. 본
(Vernon H. Vaughan)
1870년 10월 31일
(October 31, 1870)
1871년 2월 1일
(February 1, 1871)
없음
9대
조지 레뮤얼 우즈
(George Lemuel Woods)
1871년 3월 10일
(March 10, 1871)
1874년 10월 13일
(October 13, 1874)
없음
10대
새뮤얼 비치 액스텔
(Samuel Beach Axtell)
1875년 2월 2일
(February 2, 1875)
1875년 6월 8일
(June 8, 1875)
없음
11대
조지 W. 에머리
(George W. Emery)
1875년 7월 3일
(July 3, 1875)
1880년 1월 25일
(January 25, 1880)
없음
12대
일라이 휴스턴 머리
(Eli Houston Murray)
1880년 2월 28일
(February 28, 1880)
1886년 3월 16일
(March 16, 1886)
없음
13대
케일럽 월턴 웨스트
(Caleb Walton West)
1886년 5월 12일
(May 12, 1886)
1889년 5월 6일
(May 6, 1889)
없음
14대
아서 로이드 토머스
(Arthur Lloyd Thomas)
1889년 5월 6일
(May 6, 1889)
1893년 5월 9일
(May 9, 1893)
없음
15대
케일럽 월턴 웨스트
(Caleb Walton West)
1893년 5월 9일
(May 9, 1893)
1896년 1월 4일
(January 4, 1896)
없음
16대
히버 매닝 웰스
(Heber Manning Wells)
1896년 1월 6일
(January 6, 1896)
1905년 1월 2일
(January 2, 1905)

17대
존 크리스토퍼 커틀러
(John Christopher Cutler)
1905년 1월 2일
(January 2, 1905)
1909년 1월 4일
(January 4, 1909)

18대
윌리엄 스프라이
(William Spry)
1909년 1월 4일
(January 4, 1909)
1917년 1월 1일
(January 1, 1917)

19대
사이먼 뱀버거
(Simon Bamberger)
1917년 1월 1일
(January 1, 1917)
1921년 1월 3일
(January 3, 1921)

20대
찰스 R. 메이비
(Charles R. Mabey)
1921년 1월 3일
(January 3, 1921)
1925년 1월 5일
(January 5, 1925)

21대
조지 던
(George Dern)
1925년 1월 5일
(January 5, 1925)
1933년 1월 2일
(January 2, 1933)

22대
헨리 H. 블러드
(Henry H. Blood)
1933년 1월 2일
(January 2, 1933)
1941년 1월 6일
(January 6, 1941)

23대
허버트 B. 모
(Herbert B. Maw)
1941년 1월 6일
(January 6, 1941)
1949년 1월 3일
(January 3, 1949)

24대
J. 브래큰 리
(J. Bracken Lee)
1949년 1월 3일
(January 3, 1949)
1957년 1월 7일
(January 7, 1957)

25대
조지 듀이 클라이드
(George Dewey Clyde)
1957년 1월 7일
(January 7, 1957)
1965년 1월 4일
(January 4, 1965)

26대
캘빈 L. 램프턴
(Calvin L. Rampton)
1965년 1월 4일
(January 4, 1965)
1977년 1월 3일
(January 3, 1977)

27대
스콧 M. 매더슨
(Scott M. Matheson)
1977년 1월 3일
(January 3, 1977)
1985년 1월 7일
(January 7, 1985)

28대
노먼 H. 뱅거터
(Norman H. Bangerter)
1985년 1월 7일
(January 7, 1985)
1993년 1월 4일
(January 4, 1993)

29대
마이크 리빗
(Mike Leavitt)
1993년 1월 4일
(January 4, 1993)
2003년 11월 5일
(November 5, 2003)

30대
올린 워커
(Olene Walker)
2003년 11월 5일
(November 5, 2003)
2005년 1월 3일
(January 3, 2005)

31대
존 헌츠먼
(Jon Huntsman, Jr.)
2005년 1월 3일
(January 3, 2005)
2009년 8월 11일
(August 11, 2009)

32대
게리 허버트
(Gary Herbert)
2009년 8월 11일
(August 11, 2009)
2021년 1월 4일

33대
스펜서 콕스
(Spencer Cox)
2021년 1월 4일
(January 1, 2021)
현직


3.38. 인디애나 주지사[편집]


파일:IMG_4154.png



3.39. 일리노이 주지사[편집]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영토개척시기시절
주지사
니니언 에드워즈
(Ninian Edwards)
1809년 3월 1일
(March 1,1809)
1818년 10월 6일
(October 6, 1818)
무소속
1대
샤드라크 본드
(Shadrach Bond)
1818년 10월 6일
(October 6, 1818)
1822년 12월 5일
(December 5, 1822)
무소속
2대
에드워드 콜스
(Edward Coles)
1822년 12월 5일
(December 5, 1822)
1826년 12월 6일
(December 6, 1826)
무소속
3대
니니언 에드워즈
(Ninian Edwards)
1826년 12월 6일
(December 6,1826)
1830년 12월 6일
(December 6, 1830)
아담스-클레이 공화당
(Adams-Clay Republican)
4대
존 레이놀즈
(John Reynolds)
1830년 12월 6일
(December 6, 1830)
1834년 11월 17일
(November 17, 1834)
민주당
5대
윌리엄 유잉
(William Lee D. Ewing)
1834년 11월 17일
(November 17, 1834
)
1834년 12월 3일
(December 3, 1834)
민주당
6대
조지프 덩컨
(Joseph Duncan)
1834년 12월 3일
(December 3, 1834)
1838년 12월 7일
(December 7, 1838)
휘그당
7대
토머스 칼린
(Thomas Carlin)
1838년 12월 7일
(December 7, 1838)
1842년 12월 8일
(December 8, 1842)
민주당
8대
토머스 포드
(Thomas Ford)
1842년 12월 8일
(December 8, 1842)
1846년 12월 9일
(December 9, 1846)
민주당

3.40. 조지아 주지사[18][편집]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83대
브라이언 켐프
(Brian Kemp)
2019년 1월 14일
(January 14, 2019)
현재 재임 중
(Incumbent)
공화당



3.41. 캔자스 주지사[편집]




3.42. 캘리포니아 주지사[편집]



역대 캘리포니아 주지사 항목 참조.

3.43. 켄터키 주지사[편집]




3.44. 코네티컷 주지사[편집]


파일:코네티컷 문장.svg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3.45. 콜로라도 주지사[편집]




3.46. 테네시 주지사[편집]




3.47. 텍사스 주지사[편집]


파일:텍사스 휘장.svg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3.48. 펜실베이니아 주지사[편집]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3.49. 플로리다 주지사[편집]


파일:플로리다 휘장.svg
대수
(#)
이름
취임일
퇴직일
정당
46대
론 드산티스
(Ron DeSantis[19])
2019년 1월 8일
(January 8, 2019)
현직
공화당


3.50. 하와이 주지사[편집]


파일:Seal_of_Hawaii.png

역대 하와이 주지사 문서 참조.


[1] 특이하게도 7대를 초대로 표기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2] 각각 2021년/2019년 선거가 가장 최근이다[3] 노스캐롤라이나, 노스다코타, 뉴햄프셔, 델라웨어, 미주리, 몬태나, 버몬트, 워싱턴, 웨스트버지니아, 유타, 인디애나.[4] 하원의원과 상원의원을 뽑는 선거. 대통령 임기 중간쯤 진행되어 중간선거라고 불린다.[5] 애리조나, 메인주, 오리건, 뉴햄프셔, 와이오밍[6] 단 앨라배마, 인디애나, 켄터키, 테네시는 주의회에서 과반수로 주지사의 거부권을 무력화 할 수 있다.[7] 우리나라로 치면 서울시장 및 광역시장, 그리고 도지사 출신이 대통령이 되는 것과 비슷하다.[8] 다만 그로버 클리블랜드나 조지 W. 부시처럼 어렸을 때 이주한 경우도 많다.[9] 상원의원이 되기 위해 2개월 만에 사임했다.[10] 보듯이 부통령으로 승계하기 직전까지 테네시 군정 주지사를 맡았다.[11] 주지사를 하다가 대권으로 나온 최초의 인물.[12] 2번 임기는 2년을 역임했고(83~85,85~87), 1986년 선거부터 임기가 4년으로 늘어나면서 이 때 당선되어 또 연임했다(87~91,91~92). 그리고 대통령 취임을 위해 사퇴. 주지사로만 12년, 4번의 임기를 역임한 이례적 케이스.[13] 다만 대학 생활은 코네티컷의 예일대학교를 나왔다. 세라 페일린아이다호 샌드포인트에서 태어나 알래스카에서 자랐고 그곳 주지사가 되었지만, 대학 생활은 출생지인 아이다호에서 했다.[14] 말이 좋아 'district'(특구)지 루이지애나는 당시 제퍼슨이 사들인 영역 전부를 말한다. 이게 이후 territory로 넘어가고 이후 다시 루이지애나와 미주리 지구 Louisiana and Missouri Territory로 넘어가면서 미주리 주지사의 역사가 되었다.[15] 이 역시 ㅎㄷㄷ한 영역이다. 루이지애나와의 비교. 오하이오, 켄터키, 테네시 서부의 모든 영역을 다스려본 셈. #[CSA] A B 아메리카 연합국 주지사로 재임.[16] 계속 되풀이하여 발생하는 통풍으로 인해 사임했다.[17] 존 핸콕이 사망하여 1793년 10월 8일부터 주지사가 될 때까지 임시 대리로 활동했다.[18] 특이하게도 7대를 초대로 표기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19] 문법적으로는 이탈리아계 이름이라 Desantis로 표기하는 것이 맞지만 오타가 아니라 주지사 본인이 DeSantis라고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