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폴란드 표기법

덤프버전 : r20230302

1. 개요
2. 특징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역폴란드 표기법(RPN, Reverse-Polish Notation)은 수식을 표현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연산자를 피연산자 뒤에 배치하는 방법이다.


2. 특징[편집]


스택을 사용하며 괄호가 필요없기 때문에 수식의 표현이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4 + 5) / (2 - 1)은 역폴란드 표기법으로 4 5 + 2 1 - /로 표기하며 계산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4와 5를 스택에 넣는다.
2. 스텍에서 값 2개를 빼서 덧셈을 계산하고 결과를 스택에 넣는다.
3. 2와 1을 스택에 넣는다.
4. 스텍에서 값 2개를 빼서 뺄셈을 계산하고 결과를 스택에 넣는다.
5. 스텍에서 값 2개를 빼서 나눗셈을 계산하고 결과를 스택에 넣는다.

장점은 프로그램의 구현이 간단해지기 때문에 초기의 프로그래밍 언어[1]에서 많이 쓰였다. 하지만 복잡한 수식을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계산 순서가 틀릴 경우 어디가 잘못됐는지 알아차리기 힘들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02-18 09:25:16에 나무위키 역폴란드 표기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 기본적으로 깔려있는 dc(desk calculator)라는 계산기 프로그램이 이 표기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심지어 C 언어보다도 오래된 프로그램이다.

분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