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춘추전국시대)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황하 문명
하(夏)
상(商)
주(周)
서주(西周)
동주(東周)
춘추전국시대
춘추시대
전국시대

진(秦)
장초(張楚)
후초(後楚)
서초(西楚) | 십팔제후왕
한(漢)
전한(前漢)
신(新)
현한(玄漢)
후한(後漢)

삼국시대
위(魏) | 촉(蜀) | 오(吳)
진(晉)
서진(西晉)
동진(東晉)
환초(桓楚)
오호십육국시대
남북조시대
송(宋)
북위(北魏)
제(齊)
양(梁)
후한(侯漢)
후량(後梁)

서위(西魏)
동위(東魏)
진(陳)
북주(北周)
북제(北齊)

수(隋)
당(唐)
무주(武周) | 호연(胡燕)

오대
후량(後梁)
십국
탕구트
요(遼)
후당(後唐)
후진(後晉)
후한(後漢)
후주(後周)

송(宋)
북송(北宋)
서하(西夏)
남송(南宋)
서요(西遼)
금(金)
원(元)

북원(北元)
명(明)
순(順) | 서(西) | 남명(南明) | 후금(後金)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
청나라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국민정부(國民政府)
우한정부(武漢政府)
일치시기

소비에트 지구
중화소비에트공화국
만주국
(滿州國)


중화민국(中華民國)
대만(臺灣)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춘추전국시대 왕조





[1]
파일:중국전국시대.png
서기전 11세기 ~ 서기전 222년
별칭
언(匽)
위치
허베이, 랴오닝
수도
(薊)
국성
(姬)
국가원수
후작, 백작[2]
주요 군주
역왕 희퇴
소양왕 희직
언어
상고 중국어
문자
전서 (대전체)
종교
중국 토속 종교[3]
종족
화하족
통화
명도전
성립 전
주나라
멸망 후
진나라
현재 국가
중국

1. 개요
2. 역사
3. 고조선과의 관계
4. 연의 역대 군주
4.1. 춘추전국시대 연(희연)의 역대 군주
4.2. 초한쟁패기의 연의 역대 군주



1. 개요[편집]


춘추전국시대의 국가 중 하나. 시조는 주문왕의 아들이자 무왕(주)의 아우 소공 석(召公 奭)으로 무왕을 도와 을 멸망시키고 주를 세우는데 큰 공을 세워 오늘날의 베이징허베이성 일대를 분봉받은 것이 연나라의 시초가 되었다고 한다. 소공 석 본인은 주공 단처럼 주나라 원로 관직이었던 소공이라 수도 호경(현재 장안)에 머물러 있었기 때문에 멀리 있던 연나라를 직접 통치할 수 없었다. 그래서 장자 극(克)을 계에 보내 다스리게 했다고 전한다.

춘추전국시대에는 언(匽)으로 불렸고, 연(燕)으로 불리기 시작한 것은 진한시대 이후라고 한다. 황하 근처의 허난성 신향시 연진현(延津縣) 북동쪽이 세력의 출발 기반이었다. 수도는 현재의 베이징시 팡산구(房山区) 인근인 계(薊)였으며 분봉 당시의 작위는 후작이었으므로 처음엔 후국이었다.[4]

영토는 동쪽으로 고조선, 서로는 조나라, 남으로는 제나라와 국경을 마주하고 있었다. 건국 당시 연나라 일대는 완전한 한족의 영토가 아닌 개척과정에 있는 지역이었으며, 따라서 연나라 건국 이후 한족들이 많이 이주했다. 그래서 그런지 연나라 유물과 동일한 시기의 고조선 관련 유물[5]들도 많이 출토된다.

현재의 지도에서는 전국칠웅 중 변방에 있을 뿐이지 딱히 작다는 느낌이 없다. 왜냐하면 수천년 동안 황하의 범람으로 인해 엄청난 평야지대가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2000년전 지도를 볼 경우 연나라는 해안가를 중심으로 한 좁은 평야지대를 산악지형이 둘러싼 국가였고, 당연히 중원의 조나라, 제나라보다 훨씬 작은 나라였다. 요서로 진출할만한 이유가 명확했던 것.


2. 역사[편집]



2.1. 춘추시대[편집]


아무래도 중원에서 상당히 떨어진 외곽에 위치한 국가다보니 서주 시대에나 춘추시대에는 별 두각을 드러내진 않았다. 다른 나라와 엮인 침략 기록이 딱 한번, 장공(壯公) 때 말고는 거의 없고,[6] 타국과 엮인 정변도 거의 없었다.

이 시기의 연나라 역사에 대해서는 알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 다른 중원의 국가와 교류가 적었고 연나라 자체적으로 남긴 역사서가 죄다 소실되었기 때문에 남은 기록이 없는 것. 《사기》, 《춘추》, 《전국책》에도 연나라와 관련된 기록은 매우 부실하다.

타국과의 정치적인 교류가 적었던 것은 중원에서 한발짝 벗어난 변경 국가였기 때문에 그렇다 치고 자체적인 기록이 실전된 것에는 두가지 설이 있다. 첫째는 이민족과의 다툼. 연나라는 당시 중원의 한족들 시각으로는 다른 이민족들과 접경한 최전방에 위치한 국가였고, 실제로도 많은 이민족과의 전투가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건국 초기에는 연나라는 수도 계 근처를 제외하면 하북성 전역이 이민족 세상이었고 바로 근처에 고죽국, 산융, 중산국 같은 이민족 국가나 집단도 많았다. 따라서 이들의 잦은 침략으로 많은 기록이 소실되었지 않았나 하는 점이다.

두번째 가설로는 진시황에 의해서 육국(六國)의 역사서를 불에 태웠을 당시 남겨진게 없지 않나 하는 가설이다. 실제로 진시황이 많은 역사서를 없애버린 것은 사실이며 다른 국가들은 그렇게 없앴어도 많은 기록이 남아 어느 정도 남은게 있지만 연나라는 교류가 적어 그때 없애버린 기록외에 다른 기록이 안남은게 아니냐는 내용이다. 물론 두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많은 기록이 사라졌을 수도 있으며 이유야 어찌되었건 연나라는 자체적으로 남긴 기록이 거의 현전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이름만 남은 듣보잡 소국도 아니고, 전국칠웅의 반열에 든 나름의 강대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연나라는 건국 초기 기록을 제외하면 관련 기록이 지극히 무미건조하다. 소공 때부터 연왕 쾌(噲)[7] 때까지의 기록은 군주가 즉위하고 사망한 기록 외에는 남아 있는 게 별로 없을 정도다. 《사기》 <연소공세가>에는 소공 석이 분봉한 후에는 소공 석의 9대 손인 혜후(惠侯)의 기록으로 바로 넘어와 아예 기록이 한줄도 채 남지 못하고 존재가 실전된 군주들이 있었을 정도였다. 그나마 《연국사고》, 《죽서기년》, 발견된 금문 등을 통해 실전된 군주들의 이름 정도는 알 수 있게 되었다.

부실한 기록과는 별개로 국가 자체는 춘추시대 혼란의 소용돌이에 한발짝 빗겨나가 있던 덕분에 조용히 힘을 길러, 한장공 때에는 나라의 영토를 크게 넓혔고 공작을 칭할 정도로 강성해졌다. 고고학적으로는 춘추 시기부터 연나라의 동진이 서서히 시작되고 있었다. 고조선(과 그 원류로 추정되는 예족)도 처음에는 요서에서 자리를 잡았지만, 연나라가 제환공 시절 제나라의 군사력을 빌려 고죽국의 땅을 차지하며, 고조선과 경계를 맞닿게 되었다. 이 때문에 고조선은 서쪽방면으로의 확장이 어려워지자 동남부로 확장을 선택하여 요동 지방의 부족 국가들을 점차적으로 복속시켜나갔고, 기원전 6세기를 전후하여 아예 중심지를 연나라에서 가까운 조양에서 요하의 요양으로 옮긴것으로 보인다. 연나라가 이후 고조선과 관계가 있는 부분은 본문 조선과의 관계 단락 참조.


2.2. 전국시대[편집]


그 후에도 별 일 없이 지내다가 전국시대 중반 연 문후가 여기저기서 박대당하던 유명한 변설가 소진(蘇秦)을 등용해 재상에 앉혔다. 소진은 연나라 재상 신분으로 진나라를 제외한 다른 6국을 돌며 진나라에 대항한 동맹을 설파했고, 이를 합종책(合縱策)이라 부른다.[8]

이후 역왕(易王)대 다른나라와 같이 왕을 칭했다. 하지만 그의 아들 연왕 쾌 때에는 대혼란이 일어나 나라가 망할 뻔했다. 연왕 쾌가 신하인 자지(子之)에게 선양하면서 시작되었다.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자지의 패거리였던 대부 녹모수(鹿毛壽)가 늙은 연왕 쾌에게 신하에게 선양하는 것은 아름다운 덕을 보이는 것이라면서 자신에게 선양한다고 하면 자신은 사양하여 받지 않을 테니 두 명 모두 아름다운 이름을 후세에 길이 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고 한다. 이를 그럴 듯하게 여긴 연왕 쾌가 자지에게 선양하자 그대로 나라를 냉큼 먹어치웠다는 것이다.

어쨌든 선양이 이루어진 후에 태자 평(平)과 장군 시피(市被)가 반란을 일으켜서 몇 달간 싸우며 나라가 막장으로 흘러갔고 결국 시피는 패하고 죽었다. 이 와중에 강대국인 제나라(濟) 민왕(閔王)의 군대가 쳐들어오면서 자지는 살해당했고 연왕 쾌는 자살했으며 연나라는 제나라의 속국이 되었다.

그러나 결국 한나라(韓)로 도망가 있던 공자 직(職)[9]이 왕위에 오르면서 상황이 수습되었는데, 이 사람이 바로 연나라의 명군 소양왕(昭襄王)이다. 연나라는 소양왕 때에 단숨에 전성기로 뛰어오르게 되었는데 소양왕은 국가를 부강하게 해줄 인재를 찾기 위해 대부 곽외(郭隗)에게 방법을 물었다.

곽외: "옛날에 어떤 왕이 천리마가 갖고 싶어서 신하에게 천금을 주며 천리마를 구해오라 하였습니다. 허나 그 신하는 뜬금없이 죽은 천리마의 뼈를 천금을 주고 사왔고, 화가 난 왕이 이유를 묻자 그 신하가 '천리마 뼈도 천금을 주고 살 정도면 진짜 천리마를 크게 쳐줄 것이라는 소문이 돌지 않겠습니까?'라고 말하였습니다. 그 신하의 말대로 1년도 되지 않아 진짜 천리마가 세 마리나 들어왔다 합니다."

소양왕: "갑자기 천리마는 왜 이야기 하는 것이오?"

곽외: "마찬가지로 별볼일 없는 인물을 후하게 대한다면 천리마 같은 인재가 모여들 거 아니겠습니까?"

소양왕: (아직도 감을 못 잡고) "그럼 그 말뼈다귀 같은 인간은 어디 있는 것이오?"

곽외: "바로 신이옵니다."


소양왕이 곽외를 중용한다는 소문이 퍼지자 자신의 재능을 뽐내고 싶었던 인재들이 연으로 마구마구 몰려들었고,[10] 특히 악의(樂毅)를 기용해 제-연 전쟁에서 제나라의 성 두 개[11]를 남겨 놓고 모두 함락시켜 약 5년 동안 제나라를 거의 멸망시켰다. 그러나 소왕의 어리석은 아들 혜왕이 제나라 전단의 계책에 걸려 눈 앞에서 멸망시킬 기회를 놓쳤다. 진개(秦開)[12]에게 명하여 고조선을 침범해 이천여 리의 영토를 획득했으며 동호 또한 굴복시켰다고 한다. 그러나 소양왕의 아들인 혜왕(惠王)이 제나라 전단의 이간계로 악의를 내침으로 인해 국력이 점점 내리막길을 걷게 되었다. 이때 성안군(成安君) 공손조(公孫操)가 쿠데타를 일으켜 혜왕을 살해했고, 연나라 왕족인 무성왕(武成王)을 옹립하였다.

그 외에도 혜왕은 괜히 옆나라 조나라(趙)와 티격태격하면서 국력을 많이 소모했다. 사소한 오해로 인해 벌어진 싸움에서 60만 대군을 소모해버렸고 수년 후 그 원수를 갚겠다고 극신이 20만 대군을 이끌고 복수전을 펼쳤지만 방난에게 전멸당했다. 이게 전성기의 조나라라면 모를까 장평대전으로 40만의 장정을 잃고 골골거리던 시절의 조나라라는 점을 감안하면(…). 그 후 군사적 방위력이 전무해지다시피 한 전국시대 말기에는 연왕 희(喜)의 태자 단(丹)이 진시황을 암살하기 위해 형가(荊軻)를 보냈지만 결국 암살에 실패했고, 진나라에 태자 단의 머리를 보내줬지만 진나라의 침략으로 서기전 222년에 연왕 희를 마지막으로 나라의 문을 닫게 된다.


2.3. 초한쟁패기[편집]


진말 초한쟁패기에서 진승·오광의 난진승의 부하 무신(武信)의 부하인 한광이 자립하여 연왕이 되어 희씨들에 갈음하여 연나라를 재건하였으나 항우의 18제후왕 분봉에서 장도에게 밀려나고, 이후 장도는 한태조 유방의 제후국이 되었으나 반역을 일으켜 제거당했으며 유방의 친구빨로 노관이 임명되었다가 역시나 노관이 모반하여 흉노로 달아난다..

이후 연이라는 이름은 북경 일대 하북성 지역을 가리키는 이름이 되었는데 삼국지장비가 자신을 연인(燕人) 이라고 하는 것도 장비의 출신 지역이 연나라 땅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북경에 연경(燕京)이라는 별명이 붙은 것도 여기서 유래한 것이다.[13]


3. 고조선과의 관계[편집]


춘추전국시대 때 연은 고조선과 국경을 마주하며 충돌했다. 연나라 자체의 기록이 소략하고, 고조선의 기록 또한 매우 부실하기 때문에 갈등관계가 어떤 양상이었는지는 구체적으로 알기는 힘드나 충돌 자체는 고죽국이 멸망한 이후로부터 있던 것으로 추정이 된다.

기원전 323년 천자국인 주나라가 약해지자 연의 37대 국군인 희퇴가 스스로 왕(王)을 칭하고 국경 근처의 고조선을 치려 하였고, 이 시기 고조선을 다스리던 조선후 역시 비슷한 시기 왕을 칭하였다. 당시 조선후도 연나라를 치려 하였으나 신하 대부례가 간언하여 양 측은 군대를 물리고 화해를 하였다.

이후 서기전 4세기~3세기 초 연 장수 진개가 이천 리 정도의 영토를 조선으로부터 빼앗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때 고조선 중심지가 랴오닝 일대에서 청천강 - 대동강으로 이동했다는 주장이 있는데, 고고학적으로도 어느 정도 입증된다. 이 시기에 요서와 요동에서 예맥계 문화 자체가 극적으로 퇴조하고, 요동 절반 지역인 천산 산맥 이서 지역은 연나라가 직접 지배한 반면 천산 산맥 이동에서 청천강까지는 예맥 계열 토착 세력이 여전히 세력은 유지하지만 주요 거점에서는 연나라의 영향력이 강하게 보이면서 예맥계 수장 세력들을 통제하는 게 나타난다. 단, 고조선이 영유하고 있었던 걸로 추정되는 요동 동부 변경 지대는 영유하지 못했는데 이 일대의 고조선 잔민들이 바로, 훗날 서한-신 제국에게 맥족으로 알려지게 되는[14] 사람들이다.

이 시기에 전과 같이 살던 고조선인들이 훗날 부여에서 남하하는 집단과 연합하여 요동 동부 집단인 고구려가 되고, 청천강 이동으로 물러나서 나라를 유지한 고조선은 위만 조선에 이르게 된다. 즉 그전까지는 고구려인들의 조상이 고조선의 요동 동부 지역을 구성하는 고조선인들로서 살았으나, 연나라가 고조선을 요서와 요동에서 밀어내는 바람에 요동 동부 지역은 고조선이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월경지가 된다. 그 이후로는 고조선도 연나라도 권력을 행사하지 못하는 공백지가 되면서, 고구려의 시초가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역시 이 시기에 연나라의 정복을 피해 도망친 예맥인들이 가깝게는 경기도부터 멀게는 경상전라 남해안까지 곳곳에 퍼지면서 진국의 원형을 형성하게 된다. 훗날 한성백제, 건마국을 구성하는 집단의 일부, 사로국을 구성하는 집단의 일부도 이 시기에 고조선 지역에서 내려온 걸로 판명되고 있다.[15] 그러므로 고구려, 백제, 신라가 국가 체제로 봐선 하나였다가 갈라진 걸로 보긴 어렵지만, 그 시원의 뿌리이자 서로 갈라진 계기를 논한다면 결국 전국연에게 패배하기 이전 요서, 요동, 평안도 일대에 자리한 고조선이 된다.

역사적인 기록은 진개의 정벌 외엔 없으나, 고고학적으로는 요서, 요동, 서북한 등지에서 훗날 조선의 4군 6진 개척처럼 고조선과의 충돌이나 흡수 과정 등이 있었을 것으로 유력하게 추측된다. 즉 연나라가 처음 개척될 즈음에는 요서는 물론이고 춘추연의 국도인 계(지금의 북경) 주변에도 이런저런 이민족들의 흔적이 많이 나타나지만, 이후 우선은 계 주변에서 한족 유물이 많아지는 것과 동시에 이민족들의 물질 자료는 퇴조한다. 시간이 흐르면 요서 일대에서 유력했던 예족 물질 자료가 퇴조하고 중원계 유물 자료가 많아지며, 이런 흐름은 계속 요동에서 서북한까지 진전된다.

고고학에 입각해 연나라의 세력 형성을 뒤따라가보면 하북에서 시작해서 요서와 요동으로 전진하는 과정으로, 이 와중에 하북을 기점으로 동쪽으로의 확장이 한동안 멈춰지는데 이는 요서에 있었던 고조선이 동남부로의 확장을 진행하면서, 요동과 한반도 북부의 부족들을 흡수하고, 제나라와 북방 민족들과의 교류를 통해 국력을 키워나가며 연나라에게 맞선 것으로 해석된다. 이마저도 기원전 3세기 초반에 진개의 정복 활동으로 요녕성 전역이 연나라의 통치하에 들어왔고 고조선은 멸망할 당시까지도 요서와 요동 상당수 지역을 수복하는데 실패했다.[16][17]

이 가설이 만약 사실이라면 한민족의 원류는 원래 요서에서 생활하다가 점차 밀려나가 요동을 거쳐 한반도까지 밀려나갔고 그 과정 속에서 많은 교류와 다툼을 겪었을 것이다. 따라서 춘추전국시대의 연나라는 다른 어떤 중원 국가보다도 초기 한민족 형성과 많은 관련을 주고받은 나라라고 볼 수 있다.

연왕 희가 요동을 넘어 압록강까지 도주하려다 실패하고 이신에게 붙잡혔다는 기록이 있다. 후기 조선 수도가 평양이었기에, 연이 멸망하자 조선으로 도망치려던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이외에도 한고조 유방의 부하 노관이 북쪽으로 달아날 때 연나라 유민 출신인 위만이 조선으로 망명해 준왕을 몰아내고 왕이 되는 일도 있었다. 연은 나라가 멸망하면서 많은 연나라 피난민들이 고조선으로 이주했고, 이후 초한쟁패 시절을 거치면서 더더욱 많은 연나라 인구가 조선에 유입되었다.

4. 연의 역대 군주[편집]



4.1. 춘추전국시대 연(희연)의 역대 군주[편집]


연 국군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초대 국군}}}}}}[br][[소공석|{{{#000,#e5e5e5 소강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1대 국군}}}}}}[br][[연후극|{{{#000,#e5e5e5 연후 극}}}]]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2대 국군}}}}}}[br][[연후지|{{{#000,#e5e5e5 연후 지}}}]]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3대 국군}}}}}}[br][[연후무|{{{#000,#e5e5e5 연후 무}}}]]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4대 국군}}}}}}[br][[연후헌|{{{#000,#e5e5e5 연후 헌}}}]]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5대 국군}}}}}}[br][[연후화|{{{#000,#e5e5e5 연후 화}}}]]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8888; font-size: .7em;"
{{{#ece5b6 실전}}}}}}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7대 국군}}}}}}[br][[연후성|{{{#000,#e5e5e5 연후 성}}}]]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8888; font-size: .7em;"
{{{#ece5b6 실전}}}}}}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9대 국군}}}}}}[br][[연혜후|{{{#000,#e5e5e5 혜후}}}]]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10대 국군}}}}}}[br][[연희후|{{{#000,#e5e5e5 희후}}}]]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11대 국군}}}}}}[br][[연경후|{{{#000,#e5e5e5 경후}}}]]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12대 국군}}}}}}[br][[연애후|{{{#000,#e5e5e5 애후}}}]]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13대 국군}}}}}}[br][[연정후|{{{#000,#e5e5e5 정후}}}]]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14대 국군}}}}}}[br][[연목후|{{{#000,#e5e5e5 목후}}}]]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15대 국군}}}}}}[br][[연선후|{{{#000,#e5e5e5 선후}}}]]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16대 국군}}}}}}[br][[연환후|{{{#000,#e5e5e5 환후}}}]]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17대 국군}}}}}}[br][[연장공|{{{#000,#e5e5e5 장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18대 국군}}}}}}[br][[연양공|{{{#000,#e5e5e5 양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19대 국군}}}}}}[br][[연환공|{{{#000,#e5e5e5 환공}}}]]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20대 국군}}}}}}[br][[연선공|{{{#000,#e5e5e5 선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21대 국군}}}}}}[br][[연소공|{{{#000,#e5e5e5 소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22대 국군}}}}}}[br][[연무공|{{{#000,#e5e5e5 무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23대 국군}}}}}}[br][[연문공|{{{#000,#e5e5e5 문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24대 국군}}}}}}[br][[연의공|{{{#000,#e5e5e5 의공}}}]]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25대 국군}}}}}}[br][[연혜공|{{{#000,#e5e5e5 혜후}}}]]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26대 국군}}}}}}[br][[연도공|{{{#000,#e5e5e5 도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27대 국군}}}}}}[br][[연공공|{{{#000,#e5e5e5 공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28대 국군}}}}}}[br][[연평공|{{{#000,#e5e5e5 평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29대 국군}}}}}}[br][[연간공|{{{#000,#e5e5e5 간공}}}]]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30대 국군}}}}}}[br][[연헌공|{{{#000,#e5e5e5 헌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31대 국군}}}}}}[br][[연효공|{{{#000,#e5e5e5 효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32대 국군}}}}}}[br][[연왕 성공|{{{#000,#e5e5e5 성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33대 국군}}}}}}[br][[연민공|{{{#000,#e5e5e5 민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34대 국군}}}}}}[br][[연희공|{{{#000,#e5e5e5 희공}}}]]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35대 국군}}}}}}[br][[연후환공|{{{#000,#e5e5e5 후환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36대 국군}}}}}}[br][[연후문공|{{{#000,#e5e5e5 후문공}}}]]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초대 왕}}}}}}[br][[연역왕|{{{#000,#e5e5e5 역왕}}}]]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2대 왕}}}}}}[br][[연왕 쾌|{{{#000,#e5e5e5 연왕 쾌}}}]]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비정통}}}}}}[br][[연왕 자지|{{{#000,#e5e5e5 연왕 자지}}}]] ||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3대 왕}}}}}}[br][[소양왕(연)|{{{#000,#e5e5e5 소양왕}}}]]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4대 왕}}}}}}[br][[연혜왕|{{{#000,#e5e5e5 혜왕}}}]]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5대 왕}}}}}}[br][[연무성왕|{{{#000,#e5e5e5 무성왕}}}]]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6대 왕}}}}}}[br][[연효왕|{{{#000,#e5e5e5 효왕}}}]] ||<width=2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말대 왕}}}}}}[br][[연왕 희|{{{#000,#e5e5e5 연왕 희}}}]] ||
||<-5><bgcolor=#ece5b6,#49421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5px 7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A5ACD; font-size: .7em;"
{{{#ece5b6 '''초한쟁패기'''}}}}}}
[[한광|{{{#000,#e5e5e5 연왕 한광}}}]] | [[장도(연왕)|{{{#000,#e5e5e5 연왕 장도}}}]] | [[노관|{{{#000,#e5e5e5 연왕 노관}}}]] ||
||<-5><bgcolor=#ffffff,#191919>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 solid 2px #fff; padding: 0px 15px; font-size: 0.8em; width: 50%; height: 10px; text-align: left;"
{{{#000,#e5e5e5 [[틀:역대 주 국왕|{{{#da3f3a,#c52a25 '''← 주 국왕'''}}}]]}}}}}}{{{#!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 solid 2px #fff; padding: 0px 15px; font-size: 0.8em; width: 50%; height: 10px; text-align: right;"
{{{#000,#e5e5e5 [[틀:역대 진(영성) 군주|{{{#000,#e5e5e5 '''진 황제 →'''}}}]]}}}}}} ||
||<-5><bgcolor=#6a5acd> {{{#ece5b6 {{{-2 [[틀:삼황오제|{{{#ece5b6 삼황오제}}}]] · [[틀:역대 하 국왕|{{{#ece5b6 하}}}]] · [[틀:역대 상 국왕|{{{#ece5b6 상}}}]] · [[틀:역대 주 국왕|{{{#ece5b6 주}}}]] · [[틀:춘추시대 왕조|{{{#ece5b6 춘추시대}}}]] · [[틀:전국시대 왕조|{{{#ece5b6 전국시대}}}]] · [[틀:역대 진(영성) 군주|{{{#ece5b6 진(秦)}}}]] · [[틀:역대 한 황제|{{{#ece5b6 한}}}]][br][[틀:역대 중국 삼국시대 황제|{{{#ece5b6 삼국시대}}}]] · [[틀:역대 사마진 황제|{{{#ece5b6 진(晉)}}}]] · [[틀:오호십육국 왕조|{{{#ece5b6 오호십육국}}}]] · [[틀:역대 북조 황제|{{{#ece5b6 북조}}}]] · [[틀:역대 남조 황제|{{{#ece5b6 남조}}}]] · [[틀:역대 수 황제|{{{#ece5b6 수}}}]] · [[틀:역대 당 황제|{{{#ece5b6 당}}}]][br][[틀:오대십국 왕조|{{{#ece5b6 오대십국}}}]] · [[틀:역대 송 황제|{{{#ece5b6 송}}}]] · [[틀:역대 서하 황제|{{{#ece5b6 서하}}}]] · [[틀:역대 요 황제|{{{#ece5b6 요}}}]] · [[틀:역대 금 황제|{{{#ece5b6 금}}}]] · [[틀:역대 원 황제|{{{#ece5b6 원}}}]] · [[틀:역대 명 황제|{{{#ece5b6 명}}}]] · [[틀:역대 청 황제|{{{#ece5b6 청}}}]][br][[틀:역대 중화민국 국가원수|{{{#ece5b6 중화민국 국가원수}}}]] · [[틀:역대 대만 총통|{{{#ece5b6 중화민국 총통}}}]] · [[틀: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ece5b6 중화인민공화국}}}]]}}}}}} ||




  • 초.강공(康公) 석(奭) - 서기전 1046년 ~ 서기전 996년
  • 1.(克) - 소 강공의 장남. 극, 지, 무, 헌, 화, 성 여섯 군주는 사기 연소공세가에는 기록이 안 되어 있는 군주로 팽화(彭華)의 연국사고(燕國史稿)와 금문에만 나오며 시호는 전해지지 않는다.
  • 2.(旨) - 소 강공의 삼남.
  • 3.(舞) - 지의 아들.
  • 4.(憲) - 무의 아들.
  • 5.(和) - 헌의 아들.
  • 6.(군주 불명)
  • 7.(聖) - 헌의 손자로 추정.
  • 8.(군주 불명)
  • 9.혜후(惠侯) - 서기전 864년 ~ 서기전 827년. 강공의 9세손. 성의 손자로 추정.
  • 10.희후(僖侯) 장(莊) - 서기전 826년 ~ 서기전 791년. 혜후의 아들.
  • 11.경후(頃侯) - 서기전 790년 ~ 서기전 767년. 희후의 아들.
  • 12.애후(哀侯) - 서기전 766년 ~ 서기전 765년. 경후의 아들.
  • 13.정후(鄭侯) 정(鄭) - 서기전 764년 ~ 서기전 729년. 애후의 아들.
  • 14.목후(穆侯) - 서기전 728년 ~ 서기전 711년. 정후의 아들.
  • 15.선후(宣侯) - 서기전 710년 ~ 서기전 698년. 목후의 아들.
  • 16.환후(桓侯) - 서기전 697년 ~ 서기전 691년. 선후의 아들.
  • 17.장공(莊公) - 서기전 690년 ~ 서기전 658년. 환후의 아들.
  • 18.양공(襄公) - 서기전 657년 ~ 서기전 616년. 장공의 아들.
  • 19.환공(桓公) - 서기전 617년 ~ 서기전 602년. 양공의 아들.
  • 20.선공(宣公) - 서기전 601년 ~ 서기전 587년. 환공의 아들.
  • 21.소공(昭公) - 서기전 586년 ~ 서기전 574년. 선공의 아들.
  • 22.무공(武公) - 서기전 573년 ~ 서기전 555년. 소공의 동생.
  • 23.문공(文公) - 서기전 554년 ~ 서기전 549년. 무공의 아들.
  • 24.의공(懿公) - 서기전 548년 ~ 서기전 545년. 문공의 동생.
  • 25.혜공(惠公)/간공(簡公) 관(款) - 서기전 544년 ~ 서기전 536년. 의공의 아들.
  • 26.도공(悼公) - 서기전 535년 ~ 서기전 529년. 혜공의 동생.
  • 27.공공(共公) - 서기전 528년 ~ 서기전 524년. 도공의 아들.
  • 28.평공(平公) - 서기전 523년 ~ 서기전 505년. 공공의 동생.
  • 29.간공(簡公) - 서기전 504년 ~ 서기전 493년. 공공의 아들.
  • 30.헌공(獻公) - 서기전 492년 ~ 서기전 465년. 평공의 아들.
  • 31.효공(孝公) 환(桓)[18] - 서기전 464년 ~ 서기전 455년. 평공의 아들.
  • 32.성공(成公) 재(載)[19] - 서기전 454년 ~ 서기전 439년. 효공의 아들.
  • 33.민공(閔公/湣公) - 서기전 438년 ~ 서기전 415년. 성공의 아들.
  • 34.간공(簡公)/희공(僖公) 재(載) 혹은 관(款)- 서기전 414년 ~ 서기전 373년. 민공의 아들.
  • 35.환공(桓公) - 서기전 372년 ~ 서기전 362년. 후간공의 아들.
  • 36.문공(文公) - 서기전 361년 ~ 서기전 333년. 후환공의 아들.
  • 37.역왕(易王) 퇴(脮) - 서기전 332년 ~ 서기전 321년. 후문공의 아들. 서기전 323년 칭왕.
  • 38.(噲) - 서기전 320년 ~ 서기전 318년. 역왕의 아들로 자지에게 선양함.
  • 39.자지(子之) - 서기전 317년 ~ 서기전 314년. 연왕 쾌의 신하.
  • 40.소왕(昭王)/소양왕(昭襄王) 직(職) - 서기전 313년 ~ 서기전 279년. 연왕 쾌의 아들.[20]
  • 41.혜왕(惠王) 융인(戎人)[21] - 서기전 278년 ~ 서기전 271년. 소왕의 아들. 자연사 또는 성안군(成安君) 공손조(公孫操)에게 시해당함.[22]
  • 42.무성왕(武成王) - 서기전 270년 ~ 서기전 258년. 사기에서는 혜왕과의 관계가 불분명한 군주지만[23] 혜왕의 아들[24]로 추정.
  • 43.효왕(孝王) - 서기전 257년 ~ 서기전 255년. 무성왕의 아들.
  • 44.(喜) - 서기전 254년 ~ 서기전 222년. 효왕의 아들. 태자 단(丹)의 아버지. 진나라(秦)에 의해 멸국됨.


4.2. 초한쟁패기의 연의 역대 군주[편집]


  • 한광(韓廣) - 서기전 209년 ~ 서기전 206년.
  • 장도(臧荼) - 서기전 206년 ~ 사기전 202년.
  • 노관(盧綰) - 서기전 202년 ~ 서기전 195년.
[1] Baxter-Sagart의 재구에 의하면 상고음은 /*ʔˁen-s/. 燕는 현대의 한자이며 진나라 시대의 전서 소전체 표기는 이렇다. 참조[2] 서기전 323년부터.[3] 단, 춘추전국시대 사람들은 세속적인 편이었다.[4] 잠시 중간에 백작으로 강등되기도 했다.[5] 나중에 고조선을 형성하는 사람들의 문화적 유물들이 나온다.[6] 연나라 장공 때 북쪽의 융적이 쳐들어와서 크게 박살나서 나라가 망할 뻔했다. 다행히 그 때 춘추 시대의 첫 번째 패자제환공의 도움으로 융적을 몰아내고 나라를 되찾았다. 인접한 데다 제나라가 워낙에 강성하다 보니 연나라는 좋은 쪽으로건 나쁜 쪽으로건 종종 제나라의 간섭을 받곤 했다.[7] 왕이었으나 시호를 받지 못했다.[8] 말하자면 연나라는 소진의 제2의 고향인셈. 소진의 마지막 활약(?)도 연나라를 위해 제나라에 벼슬을 하며 제나라의 국부를 탕진시키는것이었다.도림 대사[9] 태자 평의 이복 동생으로 연왕 쾌의 서자이다. 《사기》 <연소공세가>에는 태자 평으로 나오는데 《사기》 <조세가>에 '공자 직이 연왕이 되었다.'라는 기록이 있으며 《죽서기년》에 '자지가 공자 평을 죽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또한 결정적으로 옛 연나라 유물에 연왕의 이름을 직으로 새겨놓은 유물이 발굴되었다.[10] 여기서 유래된 사자성어가 매사마골, 선시어외.[11] 남아 있는 성이 즉묵과 거 땅밖에 없었다. 즉묵성은 나중에 제나라의 전단이 역전의 발판을 마련한 곳이고, 거성은 제민왕이 피난 중이던 곳이다.[12] 형가와 진시황을 암살하려던 진무양(秦舞陽)은 그의 손자다.[13] 조선 시대에는 청나라 황제에게 보내는 사절단을 연행사(燕行使)라고 불렀는데, 연경으로 가는 사신이라는 뜻이다. 명나라 때는 천자를 뵈러 간다고 조천사(朝天使)라고 불렀는데, 오랑캐 취급하던 만주족인 청나라 황제를 천자로 인정하는 건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고, 그렇다고 생까고 살자니 청나라가 무서워서 이름이라도 깎아내려 부른 것이다.[14] 간단히 말해 고구려인들의 선조다.[15] 이후로도 고조선 준왕의 남하, 역계경의 남하 등, 북쪽에서 한반도 중남부 지방으로의 인구 유입은 계속 진행되었다.[16] 단, 연나라가 예족을 포함한 주변 이민족을 동화시키는 흐름은 요동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천산산맥에서 멈추게 된다. 연나라가 청천강 일대까지 영역으로 손에 넣었으나 직접 지배는 천산산맥 이서까지만 할 수 있었고, 천산산맥 이동에서 청천강 일대까지는 간접 지배했다. 시간이 흐르면 이 지역까지 직접 지배화했겠지만 그럴 수 있기 전에 중원의 조나라, 제나라에게 발목을 계속 붙잡혔고, 그러다 진시황의 진나라에게 망했기에 연나라의 동진은 그 시점에서 멈추게 된다.[17] 이와 다르게 고조선 후기에 고조선이 요동 대부분을 수복했다는 주장도 있다. 진한 교체기에 요동이 혼란한 틈을 타 고조선이 요하 부근의 혼하까지 진출했다는 것이다. 이 주장에 따르면 천산산맥에서 청천강까지는 연나라 땅이 아니라 고조선의 영역이 된다. 이 학설은 현재 국내 학계에서 꽤 유력한 설로 취급받고 있다.[18] 한서에 기록된 이름.[19] 죽서기년에 기록된 이름.[20] 이복형으로는 자지에게 피살당한 태자 평이 있었다.[21] 연나라 유물에 명문(銘文)에는 융인(戎人)으로 기록.[22] 사기 연소공세가에서는 혜왕이 죽었다라고 자연사한 걸로 나오지만 조세가(趙世家)에서는 연나라 재상 성안군 공손조(방계 왕족으로 추정)가 그들의 왕을 시해했다고 나온다. 조세가가 맞다면 시기상 그 때 시해당한 왕이 혜왕인데 이들이 왜 혜왕을 죽였는지는 알 수 없다.[23] 사기에서는 아예 혜왕과 무성왕의 관계가 전혀 언급되지 않고 혜왕이 사망하자 무성왕이 뒤를 이었다고만 나온다.[24] 동진(東晉) 역사학가 서광(徐廣)의 설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4:10:30에 나무위키 연(춘추전국시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