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호/한국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연호



1. 개요[편집]


아래 표는 한국사에서 독자적으로 사용된 연호를 정리한 것이다. 위서인 환단고기 등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연호는 기록에서 배제하였다.

사용 개시 및 종료 연도가 적혀있지 않은 경우는, 사용했다는 기록은 확실하나 사용 기간을 알 수 없거나 정확한 사용 기간에 대한 논란이 있다는 뜻이다. 또한 연호 뒤에 (?)가 붙은 경우는 사서의 기록이 엇갈리거나 그 실재성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빈약한 경우이며, (*)가 붙은 경우 사용 주체의 정통성이 의심되거나 널리 사용되지 않아 사실상 사연호(私年號)라고 보아도 좋은 것이다.


2. 삼국시대[편집]



2.1. 고구려[편집]


연호/고구려 문서 참조.

2.2. 백제[편집]


한원에 의하면 백제는 부여와 마찬가지로 내부적으로 고유 연호 또는 중국의 연호 등을 둘 다 사용하지 않았다. 그저 백제왕 재위년과 60갑자로만 표기한 듯. 단, 외교적인 업무에서는 중국의 연호를 받아들여 사용한 것 같다.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태화(?)
泰(?)
?
?
?
근초고왕(?) 혹은 전지왕(?)
칠지도에 새겨진 명문(銘文), 사실 여부 논란 있음. 일본에선 중국 동진의 연호로 파악하나 논란이 있다. 칠지도 문서 참조.


2.3. 신라[편집]


건국 이래로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지 않았다가, 536년 법흥왕 때부터 독자적으로 연호를 사용하였다.

650년 이후로는 당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건원
建元
536
550
14년
법흥왕

진흥왕
 
개국
開國
551
568
17년

대창
大昌
568
572
4년
태창(太昌)이라고도 한다. 통용되는 한자로 둘 다 쓰인 사례가 있다.
홍제
鴻濟
572
584
12년
 
진평왕
 
건복
建福
584
633
49년

인평
仁平
634
647
7년
선덕여왕

태화
太和
647
650
3년
진덕여왕


2.4. 기타 세력[편집]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경운(*)
慶雲(*)
822
822
1년
김헌창
김헌창의 난 때 사용된 장안국의 연호


3. 남북국시대[편집]



3.1. 발해[편집]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천통(?)
天統(?)
?
?
?
고왕(?)
다만 고왕이 실제로 천통 연호를 썼을 가능성은 적게 평가된다.
인안
仁安
719
737
18년
무왕

대흥
大興
737
793
56년
문왕
현전하는 한국의 연호 중 가장 오랫동안 사용된 연호다. 정혜공주묘비에는 보력 7년이 나오는 반면 정효공주묘비에는 대흥 56년, 대흥 57년이 나온다. 두 금석문이 상충하지 않도록 설명하면, 774년 대흥 38년에 보력 원년으로 개원했다가 781년 보력 8년을 대흥 45년으로 환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보력
寶曆
774
780
(791?)
6년
(17년?)
정혜공주묘비에 공주의 장례를 보력 7년에 치렀다는 기록이 있다.
중흥
中興
793
794
1년
성왕

정력
正曆
794
809
16년
강왕

영덕
永德
810
812
2년
정왕

주작
朱雀
813
817
4년
희왕

태시
太始
818
1년
간왕

건흥
建興
819
830
11년
선왕

함화
咸和
831
857
26년
대이진

발해는 멸망 시까지 계속 독자 연호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되지만, 대이진 이후로 남아 있는 연호의 기록이 없다.

3.2. 기타 세력[편집]


아래의 정안국, 흥료국, 대원국은 모두 발해의 계승을 표방했던 국가들이다.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원흥(*)
元興(*)
976
986
10년
오현명
정안국의 오현명이 사용.
천경(*)
天慶(*)
1029.8
1030.8
1년
대연림
흥료국의 대연림이 사용.
융기(*)
隆基(*)
1116.1
1116.4
3개월
고영창
대원국의 고영창이 사용. 일설에는 응순(應順).


4. 후삼국시대[편집]



4.1. 태봉[편집]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무태
武泰
904
905
1년
궁예
국호를 고려에서 마진으로 변경
성책
聖冊
905
910
5년
도읍을 송악에서 철원으로 이전
수덕만세
水德萬歲
911
914
3년
국호를 마진에서 태봉으로 변경
정개
政開
914
918
4년



4.2. 후백제[편집]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정개
正開
901
?[1]
?
견훤



5. 고려[편집]



5.1. 고려[편집]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천수
天授
918
933
15년
태조

후당(933~938), 후진(938~948), 후한(948~950)의 연호 사용
광덕
光德
949
952
4년
광종
음력 951년 12월부터, 또는 952년부터 사용 중지.
후주의 연호 사용
준풍[2]
峻豊
960
963
4년
광종

, , , , 북원, 의 연호를 사용

963년 송과의 국교가 활성화 되고 송의 연호를 채용하면서 독자적인 연호 사용은 중단되었다.

고려 시기에는 중국에 여러 왕조가 들어서는 일이 잦았기 때문에 외교 노선에 맞춰 연호를 바꾸는 일이 빈번하였다. 대표적으로 993년, 요가 침략하였을 때 서희는 송과 단교하고 요의 연호를 사용하여 요의 비위를 맞추었으며, 요가 쇠퇴하고 금이 흥성하였을 때는 금의 연호를, 몽골이 흥성할 때는 원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광덕의 경우 『고려사』에는 950년을 원년으로 세고 951년부터는 후주의 연호를 사용해 중지했다고 전한다.『대안사광자대사비』, 『봉암사정진대사원오탑비』 등 금석문에서는 광종 1년(950)을 광덕 2년이라고 가리키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고려 국초에는 칭원법이 달랐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편 후주의 연호를 받아들인 뒤에도 광덕 4년의 연호를 사용했으며 두 연호를 병용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경종이 태평(太平)이라는 연호를 사용하였다는 학설이 있으나 이는 사실로 보기 어렵다. 경기도 광주시 교산동 마애약사여래좌상, 그리고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마애보살좌상 옆의 명문에서 나타나는 연호이긴 한데, 여기의 '태평'은 송 태종의 연호인 '태평흥국'을 줄인 것으로 보아야 한다.[3] 1150년(의종 4년)에 사망한 윤언이의 묘지명에는 아래 내용이 적혀 있다.

연호를 세우자는 이 청은 실로 임금을 높이려는 정성에서 나온 것입니다. 우리 나라에서도 태조와 광종이 그렇게 한 적이 있고, 지난 문서들을 살펴 보건대 비록 신라와 발해도 그 일을 하였습니다.



5.2. 기타 세력[편집]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천개(*)
天開(*)
1135
1136
1년
묘청
묘청의 난 때 사용된 대위국의 연호.


6. 조선[편집]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명나라, 청나라의 연호 사용(건국~1876)
개국
開國
1894.06.28.
1895.12.31.
19년
고종
조선이 건국된 1392년을 원년으로 삼음
건양
建陽
1896.01.01.
1897.08.16.
1년
태양력 도입

개국 이래 의 연호을 사용하였고, 1636년 병자호란 이후 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숭명사상을 유지하는 반청인사들은 비공식적으로 명의 마지막 연호인 숭정 연호를 수백 년이 지날 때까지 계속 쓰기도 했다. (예: 숭정기원후3경자[1780])

고종실록에 따르면 개국 연호는 서기 1876년 2월 19일에 최초로 사용되었다.

7. 대한제국[편집]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광무
光武
1897.08.17.
1907.08.01.
10년
고종
대한제국 선포. 광무개혁
융희
隆熙
1907.08.02.
1910.08.29.
3년
순종
군주정 최후의 연호


8. 근대 이후[편집]



8.1. 대한민국 임시정부[편집]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국가
비고
대한민국
大韓民國
1919.04.11.
1945.08.15.
26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1919)을 원년으로 삼음


8.2. 대한민국[편집]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국가
비고
서기
西曆
1945.08.15.
1948.08.14.
3년
대한민국
미군정 시기
대한민국
大韓民國
1948.08.15.
1948.09.24.
4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1919)을 원년으로 삼음
단기
檀紀
1948.09.25.
1961.12.31.
14년
동국통감단군조선 건국(기원전 2333)을 원년으로 삼음
서기
西曆
1962.01.01.
현재
사용 중



8.3. 북한[편집]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국가
비고
주체
主體
1997.09.09.
현재
사용 중
북한
김일성의 탄생(1912)을 원년으로 삼음.[4] 대만의 중화민국(中華民國) 연호와 원년이 같다.

9.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4:11:29에 나무위키 연호/한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935년 10월에 반포된 견신검의 즉위 교서에서는 정개 연호가 아니라 후당 말제 이종가의 연호 청태(淸泰, 934~936)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정개 연호가 후백제가 멸망하는 936년까지 쓰였다는 식의 서술은 오류이며, 정개 10년이라고 명시된 910년 이후로 후백제가 얼마나 정개 연호를 더 사용했는지는 알 수 없다.[2] 단, 준풍이라는 연호는 북송의 연호인 건륭을 피휘한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건과 륭이 고려의 태조와 세조의 이름이기 때문. [3] 고려 경종은 975년에 즉위했는데, 만약 유년칭원법에 따라 연호를 사용했다면 원년이 이듬해(976)였을 것이다. 송 태종은 976년에 즉위했는데, 즉위년에 바로 태평흥국 연호를 사용했다. 만약 경종이 연호를 사용했다면 원년이 되었을 해와 태평흥국의 원년이 같기에 이런 오해가 생겼다.[4] 서기와 병행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