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호/베트남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연호

1. 개요
2. 딘 왕조(Nhà Đinh[1], 丁朝, 정조)
3. 전 레 왕조(Nhà Tiền Lê, 前 黎朝, 전 여조)
4. 리 왕조(Nhà Lý, 李朝, 이조)
5. 쩐 왕조(Nhà Trần, 陳朝, 진조)
6. 호 왕조(Nhà Hồ, 胡朝, 호조)
7. 후 쩐 왕조(Nhà Hậu Trần, 後 陳朝, 후 진조)
8. 후 레 왕조(Nhà Hậu Lê, 後 黎朝, 후 여조)
8.1. 초 레 왕조(Nhà Lê sơ, 初 黎朝, 초 여조)
8.2. 중흥 레 왕조(Nhà Lê trung hưng, 中興 黎朝, 중흥 여조)
9. 막 왕조(Nhà Mạc, 莫朝, 막조)
10. 떠이썬 왕조(Nhà Tây Sơn, 西山朝, 서산조)
11. 응우옌 왕조(Nhà Nguyễn, 阮朝, 완조)
12.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베트남의 경우, 대외적으로는 중국 왕조에 사대를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황제를 칭하는 대표적인 외왕내제 국가였으므로, 연호를 지속적으로 사용해 왔다. 지방정권에서만 쓰이고 당시에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경우 연호 뒤에 (*)표시를 했다.


2. 딘 왕조(Nhà Đinh[2], 丁朝, 정조) [편집]


국호는 대구월(大瞿越, Đại Cồ Việt, 다이꼬비엣)로, 베트남 역사상 최초의 베트남 계 왕조인 응오 왕조(Nhà Ngô, 吳朝, 오조)를 멸망에 이르게 한 12사군의 난을 평정한 딘보린(Đinh Bộ Lĩnh, 丁部領, 정부령)에 의해 개창된 베트남의 두 번째 독립왕조. 수도는 호아르(Hoa Lư, 華閭, 화려).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타이빈
太平
태평
970
980
10년
선황(先皇, Tiên Hoàng)
폐제(廢帝, Phế Đế)



3. 전 레 왕조(Nhà Tiền Lê, 前 黎朝, 전 여조)[편집]


국호는 역시 대구월이며 수도 역시 호아르. 딘보린이 암살되고 도래한 혼란을 수습하고 레호안(黎桓, Lê Hoàn, 여환)이 왕위에 오르면서 시작되었다. 송나라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방어하며 베트남의 독립을 지켰다.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티엔푹
天福
천복
980
988
8년
대행(大行, Đại Hành)

흥통
興統
흥통
989
993
4년

응티엔
應天
응천
994
1007
13년
중종(中宗, Trung Tông)
[3]
까인투이
景瑞
경서
1008
1009
1년
와조(臥朝, Ngọa Triều)
[4]


4. 리 왕조(Nhà Lý, 李朝, 이조)[편집]


국호는 대월(大越, Đại Việt, 다이비엣), 수도를 호아르에서 탕롱(Thăng Long, 昇龍, 승룡: 지금의 하노이)으로 옮겼다. 멸망 후 영종의 아들 리롱뜨엉고려로 망명, 화산 이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투언티엔
順天
순천
1010
1028
18년
태조(太祖,
Thái Tổ)

티엔타인
天成
천성
1028
1034
6년
태종(太宗,
Thái Tông)

통투이
通瑞
통서
1034
1039
5년

깐푸흐우다오
乾符有道
건부유도
1039
1042
3년

민다오
明道
명도
1042
1049
7년

티엔깜타인부
天感聖武
천감성무
1049
1년

숭흥다이바오
崇興大寶
숭흥대보
1049
1054
5년

롱투이타이빈
龍瑞太平
용서태평
1054
1059
5년
성종(聖宗,
Thánh Tông)
[5]
쯔엉타인자카인
彰聖嘉慶
창성가경
1059
1066
7년

롱쯔엉티엔뜨
龍彰天嗣
용창천사
1066
1068
2년

티엔후옹바오뜨엉
天貺寶象
천황보상
1069
1년

턴부
神武
신무
1069
1072
3년

타이닌
太寧
태녕
1072
1076
4년
인종(仁宗,
Nhân Tông)

아인부찌에우탕
英武昭勝
영무소승
1076
1085
9년

꾸앙흐우
廣祐
광우
1085
1092
7년

호이퐁
會豐
회풍
1092
1101
9년

롱푸
龍符
용부
1101
1110
9년

호이뜨엉다이카인
會祥大慶
회상대경
1110
1120
10년

티엔푸주에부
天符睿武
천부예무
1120
1127
7년

티엔푸카인토
天符慶壽
천부경수
1127
1년

티엔투안
天順
천순
1127
1133
6년
신종(神宗,
Thần Tông)

티엔쯔엉바오뜨
天彰寶嗣
천창보사
1133
1138
5년

티에우민
紹明
소명
1138
1140
2년
영종(英宗,
Thần Tông)

다이딘
大定
대정
1140
1163
23년

찐롱바오응
政龍寶應
정용보응
1163
1174
11년

티엔깜찌바오
天感至寶
천감지보
1174
1176
2년

찐푸
貞符
정부
1176
1186
10년
고종(高宗,
Cao Tông)

티엔뜨자투이
天資嘉瑞
천자가서
1186
1202
16년

티엔자바오흐우
天嘉寶祐
천가보우
1202
1205
3년

찌빈롱응
治平龍應
치평용응
1205
1211
6년

끼엔자
建嘉
건가
1211
1224
13년
혜종(惠宗,
Huệ Tông)

티엔쯔엉흐우다오
天彰有道
천창우도
1224
1225
1년
소황(昭皇,
Chiêu Hoàng)
혜종의 차녀. 베트남 유일의 여제. [6]


5. 쩐 왕조(Nhà Trần, 陳朝, 진조)[편집]


수도는 탕롱. 몽골의 원정을 성공적으로 막아내 독립을 지켰다.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끼엔쭝
建中
건중
1225
1232
7년
태종(太宗,
Thái Tông)

티엔응찐빈
天應政平
천응정평
1232
1251
19년

응우옌퐁
元豐
원풍
1251
1258
7년

티에우롱
紹隆
소륭
1258
1272
14년
성종(聖宗,
Thánh Tông)

바오푸
寶符
보부
1273
1279
6년

찌에우바오
紹寶
소보
1279
1285
6년
인종(仁宗,
Nhân Tông)

쭝흥
重興
중흥
1285
1293
8년

흥롱
興隆
흥륭
1293
1314
19년
영종(英宗, Anh Tông)

다이카인
大慶
대경
1314
1324
10년
명종(明宗,
Minh Tông)

카이타이
開泰
개태
1324
1329
5년

카이흐우
開佑
개우
1329
1341
12년
헌종(憲宗, Hiến Tông)

티에우퐁
紹豐
소풍
1341
1358
17년
유종(裕宗,
Dụ Tông)

다이찌
大治
대치
1358
1369
11년

다이딘
大定
대정
1369
1370
1년
폐제(廢帝)
[7]
티에우카인
紹慶
소경
1370
1373
3년
예종(藝宗,
Nghệ Tông)

롱카인
隆慶
융경
1373
1377
4년
예종(睿宗,
Duệ Tông)

쓰엉푸
昌符
창부
1377
1388
11년
폐제(廢帝)
[8]
꾸앙타이
光泰
광태
1388
1398
10년
순종(順宗,
Thuận Tông)
[9]
끼엔떤
建新
건신
1398
1400
2년
소제(少帝,
Thiếu Đế)


6. 호 왕조(Nhà Hồ, 胡朝, 호조)[편집]


국호는 대우(大虞, Đại Ngu, 다이응우). 수도는 타인호아(Thanh Hóa, 淸化, 청화). 정권 교체의 혼란을 틈타 명의 영락제가 침입, 7년만에 멸망했다. 이후 진씨의 후예인 간정제(簡定帝)가 이끄는 반명 독립 운동이 일어나지만 베트남은 약 20년간 명의 직접 지배를 받게 된다.
연호
한자

기간
비고
시작
종료
타인응우옌
聖元
성원
1400
호꾸이리(Hồ Quý Ly, 胡季犛, 호계리)
티에우타인
紹成
소성
1401
1402
카이다이
開大
개대
1403
1407
호한트엉(Hồ Hán Thương, 胡漢蒼, 호한창)

7. 후 쩐 왕조(Nhà Hậu Trần, 後 陳朝, 후 진조)[편집]


연호
한자

기간
비고
시작
종료
흥카인
興慶
흥경
1407
1409
간정제(簡定帝陳頠, Giản Định Đế)
쭝꾸앙
重光
중광
1409
1414
중광제(重光帝陳季擴, Trùng Quang Đế)
명(明)에 정복되어 후 여조(後黎朝)가 성립하기 전까지 명의 지배를 받음.
티엔카인(*)
天慶(*)
천경
1426
1428
쩐까오(Trần Cảo, 陳暠, 진고)[10]

8. 후 레 왕조(Nhà Hậu Lê, 後 黎朝, 후 여조)[편집]


국호는 대월(大越), 수도는 동낀(Đông Kinh, 東京, 동경). 후기 여조는 황제는 명목상일 뿐이고 북의 찐씨(Chúa Trịnh, 主鄭, 주정[11]), 남의 응우옌씨(Chúa Nguyễn, 主阮, 주완[12])의 두 권신 가문이 나라를 양분해 사실상의 지배자로 군림하는 상황을 맞이한다. 찐씨의 수도는 하노이(탕롱), 응우옌씨의 수도는 푸쑤언(Phú Xuân, 富春, 부춘 : 지금의 후에).

8.1. 초 레 왕조(Nhà Lê sơ, 初 黎朝, 초 여조)[편집]


연호
한자

기간
비고
시작
종료
투언티엔
順天
순천
1428
1434
태조(太祖, Thái Tổ)
티에우빈
紹平
소평
1434
1440
태종(太宗, Thái Tông)
다이바오
大寶
대보
1440
1443
다이호아
大和
대화
1443
1454
인종(仁宗, Nhân Tông)
지엔닌
延寧
연녕
1454
1459
티엔흥
天興
천흥
1459
1460
(묘호 없음) 폐제(廢帝) 레응이전(Lê Nghi Dân, 黎宜民, 여의민)
꾸앙투언
光順
광순
1460
1470
성종(聖宗, Thánh Tông)
홍득
洪徳
홍덕
1470
1498
까인통
景統
경통
1498
1504
헌종(憲宗, Hiến Tông)
타이찐
泰貞
태정
1504
숙종(肅宗, Túc Tông)
도안카인
端慶
서경
1505
1509
(묘호 없음) 위목제(威穆帝, Uy Mục đế)
홍투언
洪順
홍순
1509
1516
(묘호 없음) 양익제(襄翼帝, Tương Dực Đế)
(중폐제)
꾸앙티에우
光紹
광소
1516
1522
소종(昭宗, Chiêu Tông)
통응우옌
統元
통원
1522
1527
(묘호 없음) 공황(恭皇, Cung Hoàng)

8.2. 중흥 레 왕조(Nhà Lê trung hưng, 中興 黎朝, 중흥 여조) [편집]


공황이 장군 막당중(Mạc Ðăng Dung, 莫登庸, 막등용)에게 양위하고 퇴위, 소종의 다른 아들이 막 왕조에 대항한 반군을 일으켜 베트남 남부를 차지하고 장종으로 즉위할 때까지 약 6년간 레 왕조는 일시적으로 멸망한다. 이때까지를 초기, 이후를 중흥 레 왕조로 구분한다.
연호
한자

기간
비고
시작
종료
응우옌호아
元和
원화
1533
1548
장종(莊宗, Trang Tông)
투언빈
順平
순평
1549
1556
중종(中宗, Trung Tông)
티엔흐우
天祐
천우
1557
영종(英宗, Anh Tông)
찐찌
正治
정치
1558
1571
홍푹
洪福
홍복
1572
자타이
嘉泰
가태
1573
1577
세종(世宗, Thế Tông)[13]
꾸앙흥
光興
광흥
1578
1599
턴득
愼德
신덕
1600
경종(敬宗, Kính Tông)
호앙딘
弘定
홍정
1600
1618
빈토
永祚
영조
1619
1629
신종(神宗, Thần Tông)
득롱
徳隆
덕륭
1629
1635
즈엉호아
陽和
양화
1635
1643
푹타이
福泰
복태
1643
1649
진종(眞宗, Chân Tông)
카인득
慶徳
경덕
1649
1653
신종(神宗, Thần Tông)
틴득
盛徳
성덕
1653
1658
빈토
永壽
영수
1658
1662
반카인
萬慶
만경
1662
까인찌
景治
경치
1663
1672
현종(玄宗, Huyền Tông)
즈엉득
陽徳
양덕
1672
1674
가종(嘉宗, Gia Tông)
득응우옌
徳元
덕원
1674
1676
빈찌
永治
영치
1676
1680
희종(熙宗, Hy Tông)
찐호아
正和
정화
1680
1705
빈찐
永盛
영성
1705
1720
유종(裕宗, Dụ Tông)
바오타이
保泰
보태
1720
1729
빈카인
永慶
영경
1729
1732
(묘호 없음) 폐제(廢帝) 레주이프엉(Lê Duy Phường, 黎維祊, 여유팽)
롱득
龍徳
용덕
1732
1735
순종(純宗, Thuần Tông)
빈흐우
永祐
영우
1735
1740
의종(懿宗, Ý Tông)
까인흥
景興
경흥
1740
1786
현종(顯宗, Hiển Tông)
찌에우텅
昭統
소통
1787
1789
(묘호 없음) 민제(愍帝, Mẫn đế)

9. 막 왕조(Nhà Mạc, 莫朝, 막조)[편집]


후 레 왕조의 권신이자 장군 막당중이 즉위한 이후 멸망까지 약 60년간 베트남 북부를 지배한 왕조. 태종 사후 곧 후 레 왕조의 장종이 즉위하면서 남부를 빼앗겨 지방정권으로 전락했고, 장종에 의해 1593년 멸망했다.
연호
한자

기간
비고
시작
종료
밍득
明徳
명덕
1527
1529
태조(太祖, Thái Tổ)
다이찐
大正
대정
1530
1540
태종(太宗, Thái Tông)
꾸앙호아
廣和
광화
1541
1546
헌종(憲宗, Hiến Tông)
빈딘
永定
영정
1547
선종(宣宗, Tuyên Tông)
까인릭
景暦
경력
1548
1553
꾸앙바오
光寶
광보
1554
1561
투안푹
淳福
순복
1562
1566
영조(英祖, Anh Tổ)
숭캉
崇康
숭강
1566
1578
지엔타인
延成
연성
1578
1585
도안타이
端泰
단태
1586
1587
흥찌
興治
흥치
1588
1590
헝닌
洪寧
홍녕
1591
1592
부안
武安
무안
1592
1593
경종(景宗, Cảnh Tông)[14]
후 여조의 정벌로 사실상 멸망. 중국의 비호로 북부의 까오방 주변만을 지배하는 괴뢰 정권화.
바오딘(*)
寶定(*)
보정
1592
1593
민종(閔宗, Mẫn Tông)
캉흐우(*)
康佑(*)
강우
1593
깐통(*)
乾統(*)
건통
1593
1594
대종(代宗, Đại Tông)
롱타이(*)
隆泰(*)
융태
1595
1628
광조(光祖, Quang Tổ)
투언득(*)
順德(*)
순덕
1629
1677
명종(明宗, Minh Tông)[15]
안남도통사
계종(系宗, Quí Tông)
빈쓰엉(*)
永昌(*)
영창
1661
1681

10. 떠이썬 왕조(Nhà Tây Sơn, 西山朝, 서산조)[편집]


후 레 왕조 후기 권신 가문인 찐씨와 응우옌씨가 사실상 나라를 둘로 나누어 각각 북부와 남부의 왕 노릇을 하던 도중 응우옌씨의 학정을 견디다 못해 일어난 민중 봉기 세력 떠이썬 당(西山黨)의 지도자들이 (같은 응우옌씨지만 권신 가문과는 아무런 혈연 관계가 없다. 원래 호씨였는데 출세를 더 수월하게 하기 위해 성을 갈은 것.) 잠시 왕 노릇을 할 때 사용하던 연호. 떠이썬 왕조는 곧 돌아온 응우옌씨에 의해 멸망하고 베트남 최후의 왕조인 응우옌 왕조가 들어선다.
연호
한자

기간
비고
시작
종료
타이득
泰德
태덕
1778
1793
태덕(泰德, Thái Đức)
꾸앙쭝
光中
광중
1788
1792
광중(光中, Quang Trung)
까인틴
景盛
경성
1793
1801
경성(景盛, Cảnh Thịnh)
바오흥
寶興
보흥
1801
1802

11. 응우옌 왕조(Nhà Nguyễn, 阮朝, 완조)[편집]


후 레 조 시기 베트남 남부를 실질적으로 지배하던 응우옌 가문이 일시적으로 떠이썬 봉기에 의해 와해됐다가 재건되는 과정에서 베트남의 통일 정권으로 등장했다. 일세일원제가 이 시기에 확립되었다. 국호는 월남(越南, Việt Nam)으로, 명명(明命, Minh Mạng) 이후로는 대남(大南, Đại Nam)이란 국호를 국내 한정으로 썼다. 수도는 베트남 중부의 후에(Huế, 化, 화). 시조는 가륭(嘉隆) 응우옌푹아인(Nguyễn Phúc Ánh, 阮福映, 완복영).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쟈롱
嘉隆
가륭
1802
1819
17년
세조 가륭
(世祖嘉隆, Thế Tổ Gia Long)
[16]
민망
明命
명명
1820
1840
20년
성조 명명
(聖祖明命, Thánh Tổ Minh Mạng)

티에우찌
紹治
소치
1841
1847
6년
헌조 소치
(憲祖紹治帝, Hiến Tổ Thiệu Trị)

뜨득
嗣德
사덕
1848
1883
35년
익종 사덕
(翼宗嗣德帝, Dực Tông Tự Ðức)

1883년 사덕의 붕어 이후 육덕(育德)과 협화(協和)[17]가 차례로 즉위했지만 내분으로 인해 곧 퇴위당한 후 살해당하고, 실권없는 태자가 옹립되어 건복으로 즉위한다. 프랑스는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베트남의 영토를 삼분하여 직접 지배하에 넣고, 완조는 명목상 프랑스의 보호국으로 남지만 이후 베트남은 급격한 식민지화를 겪는다. 이후 즉위하는 황제들은 실권 없이 프랑스가 내세운 얼굴마담 역할을 했을 뿐이며, 반불 독립 운동에 연루되어 강제로 퇴위당하는 경우도 빈번했다. 이 경우 연호의 개정에 유년칭원법이 아닌 즉위년칭원법이 사용되며, 퇴위 당한 후 1945년 군주제 폐지까지 살아남아 묘호가 없는 황제도 있다.
연호
한자

시작
종료
기간
군주
비고
끼엔푹
建福
건복
1884
1년
간종 건복
(簡宗建福, Giản Tông Kiến Phúc)

함응이
咸宜
함의
1885
1년
함의
(咸宜, Hàm Nghi)
묘호 없음[18]
동카인
同慶
동경
1885
1888
3년
경종 동경
(景宗同慶, Cảnh Tông Ðồng Khánh)

타인타이
成泰
성태
1889
1907
18년
성태
(成泰, Thành Thái)
묘호 없음[19]
주이떤
維新
유신
1907
1916
9년
유신
(維新, Duy Tân)
묘호 없음[20]
카이딘
啓定
계정
1916
1925
9년
홍종 계정
(弘宗啓定, Hoằng Tông Khải Ðịnh)

바오다이
保大
보대
1926
1945
19년
보대
(保大, Bảo Đại)
묘호 없음[21]
제2차 세계대전 후 베트남이 분단되며 남북에 각각 공화국이 성립. 보대는 프랑스 망명 후 그곳에서 사망. 베트남은 이후 서력기원을 사용 중.

12.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4:10:10에 나무위키 연호/베트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한국어에서는 왕조라는 단어를 그대로 쓰지만, 베트남어에서는 집(House)이라는 뜻의 고유어 'Nhà'를 사용한다. 물론 한문식 명칭인 '朝'를 안쓰는 건 아니다. 그저 쯔놈식 명칭을 우선으로 쓸 뿐이다.[2] 한국어에서는 왕조라는 단어를 그대로 쓰지만, 베트남어에서는 집(House)이라는 뜻의 고유어 'Nhà'를 사용한다. 물론 한문식 명칭인 '朝'를 안쓰는 건 아니다. 그저 쯔놈식 명칭을 우선으로 쓸 뿐이다.[3] 휘는 레롱비엣(Lê Long Việt, 黎龍鉞, 여용월). 1007년 즉위 3일만에 동생인 레롱딘(Lê Long Đĩnh, 黎龍鋌)에게 암살. 레롱딘이 즉위하여 와조가 됨.[4] 휘는 레롱딘. 치질이 심해 오래 앉아있지 못했다고 한다. 때문에 옆으로 누워 조회를 보았다고 해서 통칭 와조(臥朝), 베트남 어로 응오아찌에우(Ngọa Triều). 형을 죽이고 왕위에 올라 국사는 내팽개치고 주색에 빠져 지냈으며, 결국 장군 리꽁우언(Lý Công Uẩn, 李公蘊, 이공온)이 반란을 일으켜 리 태조로 즉위하면서 전 레 왕조는 멸망한다.[5] 이 연호를 처음 사용한 1054년부터 국호를 대월(大越)로 변경[6] 쩐투도(Trần Thủ Độ, 陳守度, 진수도)의 계략으로 부황에게 양위받아 7세에 즉위했다. 1225년 쩐투도의 조카 쩐까인(Trần Cảnh, 陳煚, 진경)과 혼인했고, 남편에게 선양하는 방식으로 리 왕조는 멸망했다. 그 후 1237년 태종의 자식을 낳지 못했다는 이유로 이혼당했으며 1278년 60세를 일기로 사망했다.[7] 휘는 즈엉녓레(Dương Nhật Lễ, 楊日禮, 양일례). 명종의 손자로, 서자(庶子)였기에 쩐씨가 아니었고 계승권도 없었으나 유종이 아들이 없자 양자로 삼아 유종 사후 즉위했다. 하지만 즉위 직후 자신의 이름을 원래대로 바꾸고 종실을 무시하는 행동을 일삼자 종친들의 쿠데타로 실각하고 작은 아버지가 즉위(예종), 곧 암살당했다.[8] 휘는 쩐히엔(Trần Hiện, 陳晛, 진현). 외척인 권신 호꾸이리를 모살하려 했으나 실패, 오히려 자신이 폐서인 된 후 암살당함. 후에 호꾸이리는 곧 진조를 멸하고 스스로 황위에 오른다.[9] 순종이라는 묘호가 모든 걸 말해주지만(...) 10살에 즉위, 호꾸이리의 꼭두각시 역할을 하다가 성년이 되자 곧 암살당했다. 사실상 쩐 왕조 마지막 황제.[10] 반명 봉기 세력에 의해 옹립된 군주로, 출신도 알 수 없고 정말 쩐씨인지도 확실하지 않다. 1428년 반군 내부의 분열로 인해 암살당했다.[11] 쯔놈식 명칭[12] 역시 쯔놈식 명칭이다.[13] 1592년 막조를 정벌하고 베트남을 다시 통일.[14] 세종의 정벌로 멸망. 일부 잔존 세력이 명나라에 망명해 국경 지방에 망명 정권을 세웠으나 이도 1677년 자연 소멸.[15] 정장(찐씨 정권)의 공격으로 청으로 도주. 이설에 의하면 두사람의 재위기간이 구분되지 않고 기록되었다는 설이 있음. [16] 연호인 가륭은 베트남 남부의 중심도시인 쟈딘(Gia Định, 嘉定: 지금의 호찌민 시)과 북부의 중심도시이자 베트남의 전통 도읍인 탕롱(Thăng Long, 昇隆, 승륭; 지금의 하노이)에서 각자 한 글자씩 딴 것으로 베트남을 통일했다는 의미. 탕롱의 한자 표기가 이전 서술과 다른 이유는 레 왕조 멸망 이후 용(황제)이 살지 않는다 하여 베트남 독음으로 같은 발음인 '隆'으로 바꿨기 때문이다.[17] 육덕은 연호를 정할 새도 없이 즉위 3일만에 폐위당했고, 협화가 즉위하여 1884년은 협화 원년이 될 예정이었으나 협화가 그해를 못 넘기고 10월 폐위당한 후 곧 살해되었다. 그 뒤를 이은 이가 건복.[18] 반불 독립 운동을 주도하다가 강제로 퇴위당한 후 알제리(…)로 유배 됨. 1943년 사망.[19] 아들인 유신과 함께 반불 독립 운동을 주도한 죄로 강제로 퇴위당해 아프리카 레위니옹 섬(…)에 유배. 이차대전 종전 후 귀국했으나 군주제는 이미 폐지된 후였고, 귀국 직후 사망.[20] 베트남 광복회와 내통, 반불 독립 운동을 주도해 아버지 성태와 함께 유배. 1944년 자유 프랑스 운동에 호응해 이차대전에 참전. 종전 후 베트남으로 귀국 도중 비행기 사고로 사망.[21]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8월 혁명이 발생해 왕정이 끝남. 프랑스로 망명해 그곳에서 1997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