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육군

덤프버전 :





[ 정치 ]
상징
유니언 잭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정치 전반
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영국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영국의 권리장전 · 의전서열
왕실 및 귀족
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영국 · 영국의 귀족 목록 · 영국 귀족원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치안 및 사법
영국의 법 집행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립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정당
정당 · 보수당(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
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영국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 및 의제
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
외교 전반(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5개의 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브렉시트(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역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사회 · 경제 ]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
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하위지역) · 스코틀랜드(하위지역) · 웨일스(하위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영국(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
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
영국인 ·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게일인) · 웨일스인(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영국계
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재한 영국사회
교육
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
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기타
그리니치 천문대(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생활비 절약 노하우 · 혐성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문화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군사 ]





영국 육군
British Army


파일:영국 육군기.svg

육군기
창설일
1707년[1]
국가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소속
영국군
군종
육군
본부
화이트 홀, 영국 런던
육군참모총장
대장 마크 칼튼 스미스
병력
82,230명[2][3]
주요임무
영국 국토 방위, 지상전
보유 전차
227대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영국 육군 로고.svg
로고

1. 개요
2. 역사
2.2. 제1차/ 제2차 세계대전
2.3. 현대
3. 구성
4. 편제
4.1. 야전군
4.1.1. 제1(영국)사단
4.1.2. 제3(영국)사단
4.1.3. 제6(영국)사단
4.1.4. 합동헬기사령부
4.1.5. 야전군 직할부대
4.2. 연합신속대응군
4.3. 향토사령부
4.4. 육군의 통제 밖에 있는 육군부대
4.4.1. 국방부 직할 전략사령부 예속 육군부대
4.4.2. 해군사령부 예속 육군부대
4.4.3. 공군사령부 예속 육군부대
5. 군복
6. 군장
6.1. Osprey Body Amour System (OBA)
6.2. Virtus Body Amour System
7. 계급
8. 장비
8.1. 보병장비
8.1.1. 개인화기
8.1.2. 조준 장비/통신 장비/투척 화기/방호 장비/총검
8.1.3. Personal Load Carrying Equipment (PLCE)
8.1.4. Personal Load Carrying Model (PLCM)
8.1.5. 보병 분대 장비
8.2. 기갑차량
8.3. 항공전력



1. 개요[편집]


영국 육군은 영국의 국토 방위를 주된 임무로 삼고 있는 영국군 가운데 가장 인력 규모가 큰 군종이다. 2018년 기준으로 상비군 81,500명과 예비군 27,000명의 인적 규모로 구성되어 있다.

현대 영국군의 기원은 잉글랜드 왕국스코틀랜드 왕국 사이의 합병 조약이 체결된 해인 1707년으로 보고 있으며, 그 전신은 1660년 설립된 잉글랜드 군대이다.

현재 영국 육군은 경제 위기에도 꾸준한 현대화를 추진했으며 2020년대 초 배치될 스카우트 SV등을 비롯한 다양한 자산의 배치와 개량을 준비하고 있다.


2. 역사[편집]



2.1. 대영제국[편집]


1700년 이후 영국의 대륙 정책은 프랑스스페인 제국과 같은 해양 패권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는 것이었다. 비록 스페인이 지난 2세기 동안 세계적인 제국이었고, 영국의 대서양 해양 패권 장악 초기에 상당한 위협이었지만, 영국에 대한 스페인의 영향력은 줄어들고 있었다. 하지만 프랑스 제국의 나폴레옹이 전쟁을 일으켰고 이는 영국의 패권에 상당한 위협이 되었다. 대영제국의 부흥에는 영국 해군이 매우 지대한 역할을 했다고 널리 알려져 있지만, 영국 육군 또한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식민지인 보호, 그리고 영토의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영국의 대륙 침략에서의 사건들을 시간 순으로 나열하자면 7년 전쟁, 폰티악 전쟁, 미국 독립 전쟁, 나폴레옹 전쟁, 아편 전쟁, 세포이의 난이 있었고 그 이후로도 보어 전쟁, 페니언 침공, 아일랜드 독립 전쟁과 식민지 인도러시아 제국사이에 완충 지대를 설정하여 러시아의 영향력을 저지하기 위한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일으켰고 러시아 제국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과 함께 일으킨 크림 전쟁 이후 북아메리카와 서인도 제도의 패권을 놓고 스페인, 프랑스, 네덜란드와의 대립하였다.


2.2. 제1차/ 제2차 세계대전[편집]


영국은 20세기 동안 주로 독일 제국나치 독일과 같은 강대국들의 도전을 받아 왔다. 불과 한 세기 전까지만 해도 나폴레옹프랑스와 세계적 패권을 위한 파워게임을 벌였고, 당시 영국의 동맹국은 북부 독일 왕국과 그 군주들이었다. 하지만 19세기 중반 무렵, 영국과 프랑스, 러시아는 독일 제국의 영향력에 경계하여 연합을 구성하였고 러시아와 오스만 사이에 전쟁이 발발하기 전에 영-프가 선제 공격을 한다는 계획을 꾸몄고 실행에 나선다.

1914년 8월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을 때 영국 육군은 영국 원정군(British Expeditionary Force)을 프랑스와 벨기에로 보냈고. 육군은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정적인 참호전에 빠졌다. 1915년 영국 육군은 호주-뉴질랜드와 함께 ANZAC을 창설하여 상륙을 통해 이스탄불까지 점령하려고 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수많은 사상자를 낳은 전투가 갈리폴리 전투이다. 위 처참히 실패한 전투를 포함하여 제1차 세계 대전은 거의 80만 명의 사상자와 2백만 명 이상의 부상자를 낸 영국 육군 역사상 가장 피해가 컸던 사건이었다. 전쟁 초기에 BEF는 사실상 파괴되었고, 전쟁 초기에는 자원 입대에 의해 병력을 충당하였으며 그 다음에는 징병으로 대체되었다. 주요 전투에는 솜므 전투파스샹달 전투가 있으며. 최초의 전차 출현(MK.1)과 최초의 항공전이 발생하였고 화학무기가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은 1939년 9월 독일군폴란드 침공으로 발발했다. 폴란드에 대한 영국의 확약은 대영제국이 독일에 자연스레 전쟁을 선포하도록 이끌었다. 제1차 세계대전 때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영국 원정군이 프랑스로 보내졌고 1940년 5월에 독일군이 아르덴 숲을 돌파하고 낫질 작전의 성공으로 말미암아 프랑스에 잔존해있던 BEF 소속의 영국군프랑스군에 독일군이 압박을 가하자 절박해진 영-프 군은 독일의 포위를 피해 덩케르크로 철수를 하였고 됭케르크 철수작전이 성공함에 따라 대다수의 영국군과 프랑스군이 영국 본토로 철수하였다. 이후 종전 때까지 동남아 및 유럽 전선에서의 작전에 참여하였으며 1950년 발발한 한국전쟁에 참전하였다.


2.3. 현대[편집]


1960년대 이후 영국 육군의 양적 규모는 제2차 세계대전한국전쟁 시기에 비하여 상당히 축소되었고 기존 영국 식민지 국가의 독립이 이어짐에 따라 세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던 영국의 정치적 영향 또한 축소되었고 당시 초강대국으로 부상한 미국과 소련에 의해서도 영국의 영향력은 국지적인 수준으로 전락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 군대는 아덴, 인도네시아, 키프로스, 케냐, 말라야에서도 교전 중이었다. 냉전 당시 영국 육군은 영국 본토에서 비상 대응을 맡는 영국 지상군(United Kingdom Land Forces)서독에 주둔하며 소련의 공격에 대응하는 영국 라인 주둔군(British Army of the Rhine)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냉전이 지속되던 1982년에 아르헨티나의 포클랜드 제도 침략으로 발생한 포클랜드 전쟁에 육군은 해병대와 함께 아르헨티나군과 교전을 벌였고 승리하였다. 이후 걸프 전쟁, 유고슬라비아 내전, 이라크 전쟁을 거쳤으며 한편 1969년 8월 14일 부터 지속되어 온 영국-IRA간 교전사태에 따른 피해가 막심하자 1994년, 1996년에 양측이 정전 협정에 서명하고 1997년부터 본격적인 비무장화가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2007년 7월 31일 웨일즈 왕립 사단 소속 2대대가 완전 철수함에 따라 38년[4] 동안 유지된 교전을 마치고 배너 작전이 종지부를 맺게되었고 2001년 부터 시작된 아프간 전쟁이 2014년에 종료되었으나 테러 단체들이 현재에도 활개를 치고 있으니 그곳에 육군 병력이 주기적으로 파병되고 있으며 테러와의 전쟁은 아직까지도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2020년대 들어서 영국 육군의 양적 규모는 더더욱 축소되어갈 것으로 보인다. 정규군 숫자를 72,500명선까지 끌어내리는 대신 워리어 장갑차를 비롯한 구형 장비들을 20년대 중반까지 퇴역시키고 신 장비들을 추가로 도입할 예정이다.

2022년에는 영국군이 보유하고 있는 전차보다 군마가 더 많다는 통계가 나왔다. 2022년 기준 영국 육군이 보유하는 전차는 챌린저2 227대, FV107 시미터 경전차 181대인데 반해, 영국 육군이 보유하는 말은 총 492마리이다. #

파일:DAlvrH-XYAAcvgo.jpg
2017년 맨체스터 경기장 테러 사건 때 영국 육군 소속 특수부대인 SAS 소속 부대원 22명과 영국 경찰이 치안 유지를 위해 투입되었다.


3. 구성[편집]


인종적으로, 영국 육군은 영국군의 다른 군종들보다 다양한 인종들을 포괄하고 있는 편이다. 2017년 10월 기준으로 구르카를 제외한 영국 육군의 병력은 약 7만 9천여명 수준이며, 이중 11%가 BAME (Black, Asian and Minority Ethnic), 즉 백인이 아닌 소수 민족이다[5]. 영국 해군과 공군의 3.6%, 2.2%에 비해 확실히 높은 비율로, 구르카들까지 더하면 그 비율이 더 높이 올라간다.

다만 소수 민족 출신이 사병들에만 퍼져 있는 터라, 장교 계급에서의 소수민족은 그리 많지 않다. 총원 1만을 헤아리는 육군 장교 중 320여명을 밑도는 수준. 영국군에 본격적으로 소수 민족이 입대한 것이 2000년대 이후 이라크 전쟁과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군이 많은 전사자와 부상자를 내고 모병 쿼터를 올린 후므로[6] 아직까지 장관급 장교를 하나도 내지 못하였고, 영관급에도 그 수가 많이 없다. 그래도 소수 민족 출신 장교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던 21세기 초반보다는 나아진 것으로, 계급이 내려갈수록 꽤나 많은 영국 흑인, 인도계 영국인, 파키스탄계 영국인등 소수민족계 장교들이 복무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소수 민족계 사병들은 영국군에서 부사관급의 첫 단계로 인식하는 '상병[7]' 계급에 머물러 있으며, 이 계급 인원의 약 15%를 차지한다. 소수 민족계 장병들은 주로 비전투 부대에 많이 배치되어 있으며, 군수 지원부대, 의료 부대등에 상당한 수를 이룬다. 비율은 2018년 기준으로 병의 12.7%를 차지하며, 장교는 2.9%를 차지한다. 이 수치는 영국이 영연방 출신 인적자원들의 입대를 허용한 이후 더욱 더 늘어날 전망이다.

또 하나의 괄목할 만한 점으로, 네팔 출신들로 충원되는 '구르카' 외에도 영국 육군에서 외국인들을 받는다는 점이다. 영연방 출신들을 받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피지 출신들이 상당히 많이 복무하고 있다. 아일랜드 연대 (Royal Irish Regiment)는 아예 모병지가 아일랜드 섬이며, 소속원 중 아일랜드 시민이 상당히 많다. 피지, 남아프리카 공화국등에서 온 흑인들은 영국 육군에 복무하는 소수 민족에 반절 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에 다대하고,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 출신이 영국군에서 장교로 임관하였다가 다시 고국으로 돌아가 복무하는 경우도 꽤 있다. 다만 영국도 생각이 없는 것이 아니라서 이러한 방식의 모병이 매년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모병 인원이 쿼터를 못 채울 때만 이루어진다고 한다. 하지만 2018년, 영국군이 심각한 모병난을 겪으며 이러한 모병 방식을 허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당장 현행은 영국에 주소지를 갖고 5년 동안 살아야 하지만, 이제부터는 영연방 소속 국가 시민이기만 하면 된다. 영국 육군의 모병난이 얼마나 심각한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영국 육군은 약 10.3% 정도의 여군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장교 층에 특히 많은 수의 여군들이 밀집되어 있다. 그 동안은 여군들이 비 전투부대에 배치 되었으나 2018년을 기점으로 전투부대[8]에 전면적인 배치가 시작된다고 한다.

나이대로 보자면, 영국 육군은 영국군의 삼군 중에서 가장 젊은 군이기도 하다. 모병제 국가의 특성상 30살이 넘은 병들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긴 한데... 전체 병력의 23.6%가 25세 미만이고... 당장 영국군의 장교의 평균 연령은 37세, 부사관과 사병은 30세로, 전체 군의 평균 연령은 31세다. 30세 미만의 장병들이 널리고 널린 한국군 입장에서는 상당히 나이 들어 보이지만, 유럽 국가들의 입장에서는 젊은 것이다[9] 영국군도 점점 고령화되어가는 것이 문제이긴 하지만.... 점차 모병 인원 중 30세 미만인 자들의 비율을 늘리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이 현재 영국 육군이다.

현재 영국 육군이 처한 가장 큰 위기는 병력 자원의 부족이다. 최근 영국의 실업률 하락으로 군대에 지원하는 청년의 수가 줄자, 안 그래도 부족했던 병력이 더욱 부족해지고 있다. 상술했듯이 영연방 출신 자원들의 입대를 허용한 것도 해결책의 일환이고, 구르카를 1,000명 가까이 증원하는 것도 영국군의 병력 부족분을 채우기 위함이다. 현재 영국 육군의 병력은 구르카를 제외하고 7만 9천여명 수준으로, 정원인 8만 2천명에 비해 3천명이나 부족하다. 영연방 출신들로 모병 자원을 확대한다고 해도 1,350여명, 구르카까지 더해도 1,000여명 정도만이 늘어나므로, 장기적으로 1,000명 정도의 병력이 부족할 예정이다.

2018년 10월 기준으로, 영국 육군의 정원은 구르카를 제외하고 약 8만 2천명 수준인데 8만여명 정도만이 근무하고 있고, 이중 기초 군사훈련만을 마친 인원 3,000여명을 제외하면, 7만 6천여명만이 완전히 훈련되었다고 할 수 있는 병력이다. 병력 문제가 심각한게, 작년 10월과 근무하면, 2천여명 가까이가 줄었다. 영국 국방부가 지속적으로 정원 유지를 위해 복지 확대등을 걸고 노력중이지만, 잘 먹히지 않고 있다는 증거다.


4. 편제[편집]


냉전 당시 영국 육군 편제
현재 영국 육군 편제 참조.
Army 2020으로, 전투 부대는 2개 사단 하에 9개 전투 여단이 편성되어 있고[10], 그 외에 독립 여단으로 1개 공중 강습 여단이 편성되어 있다. 2025년을 목표로 한 대규모 편제 변경이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현재로서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


4.1. 야전군[편집]



4.1.1. 제1(영국)사단[편집]


  • 제1(영국)사단(1st (United Kingdom) Division): 본토 대응군으로 영국 본토 수비 및 예비군 관리도 겸한다.[11]
    • 제4보병여단 및 북동부사령부(4th Infantry Brigade and HQ North East): 별명은 블랙 래츠(Black Rats, 검은 쥐떼). 담당 구역은 요크셔 주와 노스이스트 잉글랜드 주로 노스요크셔 캐터릭에 사령부가 있다.
    • 제7보병여단 및 동부사령부(7th Infantry Brigade and HQ East): 별명은 데저트 래츠(Desert Rats, 사막의 쥐떼). 담당 구역은 이스트 미들랜즈 주와 이스트 오브 잉글랜드 주로 노팅엄셔 칠웰에 사령부가 있다.
    • 제11보병여단 및 남동부사령부(11th Infantry Brigade and HQ South East): 담당 구역은 사우스이스트 잉글랜드 주로 햄프셔 올더숏에 사령부가 있다.
    • 제38보병여단 및 북아일랜드사령부(38th Infantry Brigade and HQ Northern Ireland): 담당 구역은 북아일랜드로 리즈번에 사령부가 있다.
    • 제51보병여단 및 스코틀랜드 사령부(51st Infantry Brigade and HQ Scotland): 담당 구역은 스코틀랜드로 스털링에 사령부가 있다.
    • 제160보병여단 및 웨일스 사령부(160th Infantry Brigade and HQ Wales): 담당 구역은 웨일스로 브레콘에 사령부가 있다.
    • 제102군수지원여단(102nd Logistic Brigade): 링컨셔 그랜섬에 사령부가 있다.



4.1.2. 제3(영국)사단[편집]


  • 제3(영국)사단(3rd (United Kingdom) Division): 별명은 아이언 디비전(Iron Division, 강철 사단). 영국 육군의 기갑부대를 총괄하며, 야전군 직할 제16공중갑여단전투단(16 Air Assault Brigade Combat Team)과 함께 영국 육군의 신속대응군 역할을 맡고 있다.
    • 제1종심수색타격여단전투단(1st Deep Recce Strike Brigade Combat Team): 윌트셔 티드워스에 사령부가 있다.
    • 제12기갑여단전투단(12th Armoured Brigade Combat Team): 윌트셔 솔즈베리 평원에 사령부가 있다.
    • 제20기갑여단전투단(20th Armoured Brigade Combat Team): 독일 파더보른에 주둔, 2019년에 영국으로 철수 예정.
    • 제7방공단(7th Air Defence Group)
    • 제25(근접지원)공병단(25 (Close Support) Engineer Group)
    • 101작전지원여단(101 Operational Sustainment Brigade): 햄프셔 올더숏에 사령부가 있다.
    • 제11통신여단 겸 웨스트미들랜즈 본부(11th Signal Brigade and Headquarters West Midlands)

4.1.3. 제6(영국)사단[편집]


  • 육군특수작전여단(Army Special Operations Brigade)[16]
    • 제255통신대대(255 Signal Squadron)
    • 레인저 연대 제 1대대(1st Battalion, Ranger Regiment)[12]
    • 레인저 연대 제 2대대(2nd Battalion, Ranger Regiment)[13]
      • 구르카 연대 F중대(F Company, Royal Gurkha Rifles)
    • 레인저 연대 제 3대대(3rd Battalion, Ranger Regiment)[14]
    • 레인저 연대 제 4대대(4th Battalion, Ranger Regiment)[15]
      • 구르카 연대 G 중대(G Company, Royal Gurkha Rifles)
    • 통합대테러훈련 및 대항군팀(Joint Counter-Terrorism Training and Advisory Team)
  • 제77여단[17](77th Brigade)
    • 파병정보활동대(Deployed Information Activity)
    • 고립정보활동대(Stand-off Information Activity)
    • 명예포병중대(Honourable Artillery Company)
    • 정보대 제6군사정보대대(6 Military Intelligence Battalion, Intelligence Corps)


4.1.4. 합동헬기사령부[편집]


  • 합동헬기사령부[19]
    • 육군항공대
      • 제1육군항공연대(1 Regiment, Army Air Corps) (~30x AW-159 AH.1)
      • 제2육군항공연대(2 Regiment, AAC)
      • 제3육군항공연대(3 Regiment, AAC) (30x WAH-64D Apache AH.1)
      • 제4육군항공연대(4 Regiment, AAC) (20x WAH-64D Apache AH.1)
      • 제5육군항공연대(5 Regiment, AAC) (~20x Eurocopter Gazelle AH.1, ~13x Islander/Defender)
      • 제6육군항공연대(6 Regiment, AAC)[18]
      • 제7육군항공연대(7 Regiment, AAC) (~13x Squirrel HT1, x4 Eurocopter Gazelle AH.1)


4.1.5. 야전군 직할부대[편집]


  • 제16공중강습여단전투단(16 Air Assault Brigade Combat Team): 1999년 제24공중기동여단과 제5공수여단을 통합해 만든 공수부대로 제3(영국)사단(3rd (United Kingdom) Division)과 함께 영국 육군의 신속대응군 역할을 맡고 있다. 미국의 제82공수사단, 프랑스의 제11공수여단과 교류 관계다. 에식스 콜체스터에 사령부가 있다.
    • 제216낙하산통신중대(216 Parachute Signal Squadron)
    • 낙하산연대 제2대대(2nd Battalion, Parachute Regiment)
    • 낙하산연대 제3대대(3rd Battalion, Parachute Regiment)
    • 낙하산연대 제4대대(4th Battalion, Parachute Regiment)[20]
    • 구르카연대 제2대대(2nd Battalion, Royal Gurkha Rifles)[21]
    • 제7왕립기마포병 낙하산연대 (7 Parachute Regiment Royal Horse Artillery) (12x L118 105mm 야포)
    • 제23낙하산공병연대(23 Parachute Engineer Regiment)
    • 제7왕립전자기계공병 항공지원대대 (7 Aviation Support Battalion Royal Mechanical and Electrical Engineers)
    • 제13 공중강습 지원연대(13 Air Assault Support Regiment)
    • 제16의무연대(16 Medical Regiment)
  • 군지원사령부(Force Troops Command)
  • 제1포병여단(1st Artillery Brigade)[26]
    • 제1왕립 기마포병연대(1st Regiment Royal Horse Artillery) (24x AS90, 6x M270B1 MLRS)
    • 제3왕립 기마포병연대(3rd Regiment Royal Horse Artillery) (12x L118 105mm 야포)
    • 제4왕립 포병연대(4th Regiment Royal Artillery) (12x L118 105mm 야포)
    • 제19왕립 포병연대(19th Regiment Royal Artillery) (24x AS90, 6x M270B1 MLRS)
    • 제26왕립 포병연대(26th Regiment Royal Artillery) (24x AS90, 6x M270B1 MLRS)
    • 제101왕립 포병연대(101st Regiment Royal Artillery) (24x M270B1 MLRS)[22]
    • 제103왕립 포병연대(103rd Regiment Royal Artillery) (24x L118 105mm 야포)[23]
    • 제104왕립 포병연대(104th Regiment Royal Artillery) (18x L118 105mm 야포)[24]
    • 제105왕립 포병연대(105th Regiment Royal Artillery) (24x L118 105mm 야포)[25]
  • 제8공병여단(8th Engineer Brigade)
    • 제21공병연대(21 Engineer Regiment)
    • 제22공병연대(22 Engineer Regiment)[27]
    • 제26공병연대(26 Engineer Regiment)[28]
    • 제32공병연대(32 Engineer Regiment)
    • 제33공병연대(33 Engineer Regiment)[29]
    • 제35공병연대(35 Engineer Regiment)[30]
    • 제36공병연대(36 Engineer Regiment)
    • 제39공병연대(39 Engineer Regiment)
    • 제71공병연대(71 Engineer Regiment)[31]
    • 제75공병연대(75 Engineer Regiment)[32]
  • 제1정보감시정찰여단(1st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Brigade)
  • 제11통신여단(11th Signal Brigade)
  • 제2의무여단(2nd Medical Brigade)
  • 제1군사경찰여단(1st Military Police Brigade)
    • 제1군사경찰연대(1st Regiment Royal Military Police)
    • 제3군사경찰연대(3rd Regiment Royal Military Police)
    • 제4군사경찰연대(4th Regiment Royal Military Police)
    • 특별수사연대(Special Investigation Branch Regiment)
    • 군사계호연대(Military Provost Staff(MPS) Regiment)[33]
    • 왕립군사경찰 특수작전부대(Special Operations Unit Royal Military Police)[34]
    • 군사 교정센터(Military Corrective Centre)



4.2. 연합신속대응군[편집]


  • 제1통신여단(1st Signal Brigade)[35]
  • 제104전구지원여단(104th Theatre Sustainment Brigade)



4.3. 향토사령부[편집]


  • 런던관구[43](London District)
    • 제238통신중대(238 Signal Squadron)
    • 하우스홀드 의장 기병연대(Household Mounted Cavalry Regiment)[36]
    • 국왕의 왕립 기마포병대(King's Troop Royal Horse Artillery)[37]
    • 콜드스트림 근위연대 1대대(1st Battalion, Coldstream Guards)
    • 아이리시 근위연대 1대대(1st Battalion, Irish Guards)
    • 런던연대(London Regiment)[38]
    • 니히메겐 중대, 척탄병 근위연대(Nijmegen Company, Grenadier Guards)[39]
    • 제7중대, 콜드스트림 근위연대(No. 7 Company, Coldstream Guards)[40]
    • F 중대, 스코틀랜드 근위연대(F Company, Scots Guards)[41]
    • 제20수송중대(20 Transport Squadron, Royal Logistic Corps)[42]


4.4. 육군의 통제 밖에 있는 육군부대[편집]



4.4.1. 국방부 직할 전략사령부 예속 육군부대[편집]


  • 영국 특수부대[48]
    • 제21SAS연대(21 Special Air Service Regiment)
    • 제22SAS연대(22 Special Air Service Regiment)
    • 제23SAS연대(23 Special Air Service Regiment)
    • 특수정찰연대(Special Reconnaissance Regiment)
    • 제18정보통신연대[44]
    • 특수부대지원단
      • 단본부(D중대) (낙하산연대 1대대)
      • A타격중대(낙하산연대 1대대 A중대 + 해병소대)
      • B타격중대(낙하산연대 1대대 B중대 + 해병소대)
      • C타격중대(낙하산연대 1대대 C중대 + 해병소대)
      • F타격중대(해병중대 + 낙하산연대 1대대 예하 1개 소대)
      • G지원중대
    • 합동특수부대항공전대[47]
      • 육군항공단 제658비행대대[46]
  • 주키프로스 영국군[49]
  • 지브롤터 영국군[50]



4.4.2. 해군사령부 예속 육군부대[편집]


  • 영국 해병대 제3코만도여단 에속부대
    • 제24코만도공병연대(24 Commando Engineer Regiment)
    • 제29왕립포병코만도연대(29 Commando Regiment Royal Artillery) (18x L118 105mm 야포)


4.4.3. 공군사령부 예속 육군부대[편집]


  • 영국 공군 제22전대 예속부대
    • 11통신연대
    • 8훈련대대


5. 군복[편집]




6. 군장[편집]



6.1. Osprey Body Amour System (OBA)[편집]


파일:552px-British_Army_Soldier_in_Full_Kit_in_Afghanistan_MOD_45152579.jpg

파일:552px-British_Army_Soldier_in_Full_Kit_in_Afghanistan_MOD_45152581.jpg
(2010년부터 보급된 영국 육군 병사의 표준 장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MK.7 헬멧오스프리 MK.4 방탄복, SA-80A2 소총을 갖췄으며. 현재 영국 육군은 보다 가볍고 활동성이 뛰어난 Virtus 방탄복 시스템을 2016년 5월 부터 보급 중이고 SA-80A3를 휴대한다.)


6.2. Virtus Body Amour System[편집]



(영국 국방부 소개 영상)

(제조사 소개 영상)
파일:virtus-stats-infographic.jpg
2003년 당시의 표준 영국 육군 보병 장비와 2016년 부터 2019년 까지 52,000벌이 지급될 VIRTUS와의 비교.

수 년 간 전장에서 얻은 전훈을 바탕으로 설계한 VIRTUS는 기존의 오스프리 방탄복과 동일한 방호 능력을 제공하지만 기존의 것보다 4.7kg 정도 가량 가볍고 새로 개발 중인 방탄판이 도입되면 더욱 가벼워질 예정이다. 또한 착용 시 움직임이 보다 수월하고 위급 시에 방탄복을 빨리 벗을 수 있도록 퀵-릴리스 기능을 탑재하였다. 방탄 시스템에 포함되는 신형 헬멧은 충격 보호, 안면과 턱 보호대와 무기를 사용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야시경 장착용 마운트와 착용자의 목 근육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설계한 헬멧 라이트 부착 시스템 및 동작 시 체중 분산에 도움을 줘서 효율적 활동이 가능한 동적 체중 분배[51] 시스템을 도입하여 병사가 부담하는 하중에 대한 압박을 완화 시켜 준다.국내 도입이 시급합니다

7. 계급[편집]


영국군/계급 문서 참조.


8. 장비[편집]



8.1. 보병장비[편집]



8.1.1. 개인화기[편집]








8.1.2. 조준 장비/통신 장비/투척 화기/방호 장비/총검[편집]


  • 표적 장비
  • SUSAT L9A1[52] 또는 SpecterOS Lightweight Day Sights (LDS) 광학 조준기
  • ACOG 광학 조준기
  • Laser Light Module Mk.3 도트 사이트
  • TAM-14 소형 열화상 카메라
  • AN/PVS-14 야간 투시경
  • AN/PAS-13 Viper 2+ 야간 조준경
  • CTLS[53] 표적 유도 시스템

  • 통신 장비
  • H4855 PRR[54] UHF 무전 송신 시스템
  • Bowman VHF 보안 무전 송신 시스템

  • 투척 화기
  • HG 85 수류탄
  • M18 클레이모어 대인 지뢰
  • L9A8 막대 지뢰

  • 방호 장비
  • GSR[55] 방독면.
  • S10 방독면

  • 총검
  • L3A1 총검.


8.1.3. Personal Load Carrying Equipment (PLCE)[편집]


전시에 병사들은 탄약, 물, 음식, 보호 장비를 휴대해야 하기에 영국 육군 병사들은 위장 벨트, 짐판 및 주머니로 된 모듈식 시스템인 PLCE를 사용한다. 더 많은 휴대를 위해 필요한 경우 운반 용량을 추가하기 위해 작은 배낭 두개와 큰 배낭 하나를 추가할 수 있으며. 현재 PLCM 도입으로 도태되는 중이다.


8.1.4. Personal Load Carrying Model (PLCM)[편집]


PLCE를 대체하기 위해 나온 PLCM은 VIRTUS 방탄복 시스템에 맞춘 신형 휴대 시스템이다.


8.1.5. 보병 분대 장비[편집]


분대는 2개의 Fire Team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대장 (상병/중사)나 부분대장(상병)이 각각 한 개씩을 이끈다. 각각의 Fire Team의 휴대 장비는 다음과 같다.

  • L85A2/L85A3 돌격소총
  • L85A2/L85A3 돌격소총[56]
  • L129A1 지정사수소총/L86A2 경기관총
  • L110A2 미니미 분대 지원 화기
  • AT4 84mm 대전차 로켓 발사기
  • L72A9 66mm 대전차 로켓 발사기


8.2. 기갑차량[편집]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 영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영국군 (1707~현재)
His Majesty's Armed Forces

기타전차
키메라, 마틸다 II Mk. II, 마틸다 II Mk. IIIR/P, 셔먼 IIAR, 셔먼 IIIAYR, 셔먼 VR, 셔먼 VCR, 셔먼 ICR, 셔먼 IC 하이브리드R, T-34-85C/R, T-34-85CZC/R
MBT
1세대
A41 센추리온R, 59식 전차T/R
2세대
FV4201 치프틴R, 빅커스 MBT Mk.(1, 2 , 3)E
3세대
FV4030/4 챌린저 1R, 빅커스 MBT Mk.(4E, 7), MBT-80
3.5세대
FV4034 챌린저 2, {챌린저 3}
경전차
키메라, GSR 3301 세터 FV101 스콜피온R, 채피R
중전차
FV214 컨커러R, FV214SA 슈퍼 컨커러
장갑차
차륜형
AT105C 색슨R, 험버 피그R, FV701 페렛R, FV721 폭스R, FV601 살라딘R, FV603 사라센R,
훅스 1 NBC, 부시마스터, 쿠거, 마스티프, 릿지백, 울프하운드, {MIV 복서}
궤도형
CVR(T), FV430 불독 / FV432 트로잔, FV510 워리어, FV107 시미터, FV4333 스토머
{에이잭스, 아레스, 아테나, 아틀라스, 아폴로}, BvS-10 바이킹
차량
소형
FV701 패랫 / 721 폭스R, 핀츠가우어, 벡터, 울프, 핑크 팬더R, 폭스하운드,
MXT-MV / 허스키 TSV, 코요테 TSV / 재칼 2, {MRV-P} {MWMIK}, 판터 CLV, MRZR-D
트럭
MAN 지원 차량, 베드포드 TM 6-6/4-4, DROPS, 오시코시 MTVR Mk.31,
오시코시 HET 1070F, 모바크 DURO-II/III, 알비스 스톨워트R
자주포
자주곡사포
L131 AS-90 · AS-90 브레이브하트, SP-70, FV215, M777 LIMAWS(G), FV433 애봇R, M109(A1/A2)R, M110(A2)R, {아처}, {MFP}
자주박격포
FV432 81mm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
SD-100C/R, FV4101 채리어티어R, M36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V434 팔콘, 마크맨 대공 시스템
단거리 대공미사일
트랙드 레이피어R, 스토머 HVM
다연장로켓
MLRS
기타
FV 시리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윗첨자P: 의장용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T: 테스트용 도입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영국 육군의 전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챌린저 2
MBT
영국
227대


148대는 챌린저 3로 개량 예정
영국 육군의 장갑차량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에이잭스
IFV
영국
44대

589대

FV430 불독
APC
영국
409대



FV510 워리어
APC
영국
388대



MIV 복서
APC
독일 / 영국


623대

훅스 1 NBC
CBRN
독일
8대



영국 육군의 포병장비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M270 MLRS
다연장로켓
미국
29문



아처
자주포
스웨덴


14문

AS90
자주포
영국
57문



L118
곡사포
영국
126문



L16
박격포
영국
360문



BV206
MAMBA
영국
5대



영국 육군의 방공장비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레이피어
SAM
영국
24대



스타스트릭 SP HVM
MANPADS
영국
62대



스타스트릭 LML
MANPADS
영국
145대



영국 육군의 지원차량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트로잔
AVRE
영국
32대



타이탄
AVLB
영국
33대



CRARRV
ARV
영국
75대



테리어
CEV
영국
56대



버팔로
IED 제거 차량
미국
19대



JCM HMEE
IED 제거 차량
영국
17대



알비스 유니파워
부교차량
영국
139대



M3 자주도하장비
부교차량
독일
37대



오시코시 HET
HET
미국
91대



MTVR
수송차량
미국
357대



RMMV HX
수송차량
독일
7,484대



레이랜드
DROPS[57]
영국
1,217대



핀츠가우어
수송차량
오스트리아
190대



모바크 DURO
수송차량
스위스
190대



랜드로버 울프
다목적차량
영국
12,000대



랜드로버 펄스
야전 응급수송차량
영국
116대




8.3. 항공전력[편집]


영국 육군의 항공기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WAH-64 AH.1
공격헬기
미국
42기

8기

와일드캣 AH1
다목적 헬기
영국
34기


AS365
다목적 헬기
프랑스
6기



H135M
다목적 헬기
독일


30기

벨 212
다목적 헬기
캐나다
3기



WK450
UAV
영국
49기

1기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8:20:05에 나무위키 영국 육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대 영국 육군의 기원은 잉글랜드 왕국스코틀랜드 왕국 사이의 합병 조약이 체결된 해인 1707년부터 시작한다.[2] 구르카 4,010여명 포함.[3] 2021년 4월 1일 기준 영국군 복무현황(PDF 다운 주의)[4] 정확히는 37년 11개월 2주 하고도 3일 동안이다.[5] https://assets.publishing.service.gov.uk/government/uploads/system/uploads/attachment_data/file/664180/UK_Armed_Forces_Biannual_Diversity_Statistics_1_October_2017-b.pdf[6] 2000년 기준으로 영국 육군에 복무하는 소수 민족 장병은 구르카를 제외하고 1.4%, 1,000명 이하에 불과하였다.[7] E-4, Lance Corporal[8] 보병, 기갑등[9] 당장 프랑스만 하더라도 2016년 기준으로 사병 및 부사관들의 평균 나이가 33.4세다.[10] 기갑 보병 여단 3개, 보병 여단 6개.[11] 1937년 1기갑사단이라는 명칭으로 창설되어 2차대전 내내 활약하였다가 1945년 해체되었다. 이후 1976년 재창설되었고, 걸프 전쟁 당시 미국 제7군단 소속으로 들어가 활약하였다.[12] 구 왕립 스코틀랜드 연대 제1대대(1st Battalion, Royal Regiment of Scotland)[13] 구 웨일스 왕세자비 연대 제2대대(2nd Battalion, Princess of Wales's Royal Regiment)[14] 구 랭카스터 공작 연대 제2대대(2nd Battalion, Duke of Lancaster's Regiment)[15] 구 소총연대 제4대대(4th Battalion, The Rifles)[16] 2020년까지는 제1(영국)사단 예하 전문화 보병단(Specialised Infantry Group)이었다.[17] 하이브리드 여단.[18] 육군 예비군[19] 영국군 3군의 회전익 항공기를 모두 운용하는 3군 통합부대. 영국 육군 야전군 사령관의 지휘 하에 있다.[20] 육군 예비군[21] 브루나이에 주둔한다.[22] 육군 예비군[23] 육군 예비군[24] 육군 예비군[25] 육군 예비군[26] 3개 자주포 연대와 2개 야포 연대로 구성. 그 외에도 3개 예비군 야포 연대와 1개 예비군 다연장포 연대를 포함한다.[27] 3개 기갑공병중대, 1개 본부중대로 구성.[28] 3개 기갑공병중대, 1개 본부중대로 구성.[29] EOD 연대.[30] 3개 기갑공병중대, 1개 본부중대로 구성.[31] 육군 예비군[32] 육군 예비군[33] 영내 구치소를 운영한다.[34] 육군 예비군[35] 사령부급 통신 담당[36] 의장부대[37] 의장부대[38] 육군 예비군[39] 의장 담당 독립 소총중대[40] 의장 담당 독립 소총중대[41] 의장 담당 독립 소총중대[42] 수송수단 제공[43] 영국군 근위대를 지휘.[44] 18 Signal Regiment, UKSF 부대들을 대상으로 정보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부대이다.[45] Army Air Corps/육군항공단[46] No. 658 Squadron AAC[45], 제22SAS연대의 항공지원을 전담한다.[47] Joint Special Forces Aviation Wing (JSFAW), 왕립공군영국 육군의 합동부대로, UKSF 부대들의 항공지원을 담당한다.[48] United Kingdom Special Forces (UKSF), 영국 특수부대들을 총관리하는 특수전사령부. SAS, SRR 등의 특수부대가 여기 속해있다.[49] British Forces Cyprus (BFC), 키프로스사령부가 있으며, 2개 순환배치 보병대대로 구성된다.[50] British Forces Gibraltar (BFG)[51] dynamic weight distribution[52] Sight Unit Small Arms, Trilux[53] Commander's target locating systems[54] Personal Role Radio[55] General Service Respirator[56] L123A2 40mm 유탄 발사기 부착형[57] demountable rack offload and pickup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