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인

덤프버전 : (♥ 2)

영국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영국
관련 문서
[ 정치 ]⠀

상징유니언 잭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왕실·귀족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 · 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영국 · 영국의 귀족 목록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정치 전반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귀족원 ·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영국의 권리장전 · 의전서열
치안·사법영국의 법 집행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립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정당정당 · 보수당(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영국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의제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외교 전반(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파이브 아이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브렉시트(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

[ 역사 ]⠀
[ 사회 · 경제 ]⠀

경제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하위지역) · 스코틀랜드(하위지역) · 웨일스(하위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영국(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영국인 · 잉글랜드인(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게일인) · 웨일스인(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 우크라이나계 · 일본계 · 한국계 · 헝가리계 · 튀르키예계 · 독일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리투아니아계
영국계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영국계 러시아인 · 영국계 멕시코인 · 재한 영국사회 ·
교육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기타그리니치 천문대(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영국/생활 · 혐성국

[ 문화 ]⠀
[ 군사 ]⠀




파일:valknut-logo-A2606FA5AA-seeklogo2.png
게르만
[ 펼치기 · 접기 ]

민족
북게르만 기트족 · 데인#데인족 · 스비아인 · 바랑인
현대의 민족
노르웨이인 · 덴마크인 · 스웨덴인 · 아이슬란드인 · 페로인
서게르만
북해 게르만
Ingvaeonic
역사적 민족
앵글로색슨족 · 앵글족 · 작센인 · 주트족 · 카우키 · 프리시
현대의 민족
영국인(잉글랜드인 · 로우랜드 스코틀랜드인) · 프리지아인 · 저지 독일인
베저-라인 게르만
Istvaeonic
역사적 민족
리푸아리 · 바타비 · 살리 · 프랑크족
현대의 민족
네덜란드인(보어인) · 플란데런인
엘베 게르만
Irminonic
역사적 민족
랑고바르드족 · 마르코만니 · 바이우바리 · 수에비 · 알레만니 · 카티 · 케루스키 · 콰디 · 킴브리 · 투링기 · 헤르문두리
현대의 민족
독일인(오스트리아인 · 독일계 벨기에인 · 독일계 스위스인 · 룩셈부르크인)
동게르만
역사적 민족
게피드족 · 고트족 · 루기 · 반달족 · 부르군트족 · 헤룰리
현대의 민족
절멸
국가 및 지역
유럽의 게르만어권 국가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유럽 외 게르만어권 국가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기타 게르만어권 지방파일:올란드 제도 기.svg 올란드 제도 | 파일:Flag_of_South_Tyrol.svg 쥐트티롤 | 파일:알자스 깃발.svg 알자스 | 파일:오스트벨기엔 깃발.svg 오스트벨기엔 |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문화 및 언어
언어게르만어파
신화북유럽 신화 | 앵글로색슨 신화
사상범게르만주의 | 소독일주의






1. 개요
2. 영국인
3. 영국계
4. 영국 국적을 가진 사람
5. 세분화
6. 실존 인물
7. 대중매체에서의 영국인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틀


1. 개요[편집]


파일:suspension-of-uk-parliament-protest-in-whitehall-london-uk-31-aug-2019-752x501.jpg
다우닝 가에 시위를 하러 모인 영국인들
영국인() / British people, Briton

영국 국적인 사람. 그러나 British의 경우엔 해외로 나간 영국계 혈통까지 말하기도 하며, 해외에서 주거하는 영국계 이주민까지 포함하면 2억명을 넘는것으로 추산된다. 6,600만명 정도로 잉글랜드에 5,300만명이 주거하고 스코틀랜드에 530만, 웨일스에 300만, 북아일랜드에 180만명이 거주한다.

보편적으로는 British이며, 호주에서는 pommy[1]라고 부르기도 하며 격조 있게는 Briton이라고도 한다. 엄연히 4개의 나라가 결합된 '연합 왕국'인지라, 분리주의 운동이나 지역간 정치적 대립이 일어나는 경우도 종종 있어서, 국적같이 'British'란 중심 개념이 필요한 상황이 아니고는 각자 나고 자란 지역에 정체성을 두며, 특정 지역만을 본인의 고향이라고 소개하는 경우가 상당하다. 2016년 여론조사기관 YouGov의 조사에 따르면 잉글랜드인들의 38%가 잉글랜드인과 영국인의 정체성을 동등하게 가지고 있었고 35%는 잉글랜드인 정체성을, 18%는 영국인 정체성을 더 강조했다. 영국인이라는 정체성은 대도시 거주자, 고학력자와 이민자들에게서 강하다. 후자의 경우 영국인 정체성은 시민 내셔널리즘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즉 잉글랜드인이나 스코틀랜드인은 혈통과 출생지에 달린 정체성이라면, 영국인은 국적과 문화에 달린 정체성이다.

영국인의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잉글랜드인은 English라고 하는데, 다들 알다시피 이 단어는 다른 의미로 훨씬 널리 쓰이는 말이라 잉글랜드 사람이라는 뜻으로 사용하기는 미묘하다. 그래서 '잉글랜드인'을 의미한다는 것을 확실히 해야 할 경우엔 Englishman 또는 Englishwoman을 쓰기도 한다. 하지만 실생활에서도 "Are you English?"와 같이 "당신은 영국인입니까?" 정도로는 많이 쓰인다. 다만 웨일스인들이나 특히 스코틀랜드인들은 이런 질문을 받는 것 자체를 싫어하는 경우도 있긴 하다[2].

2. 영국인[편집]


잉글랜드인, 스코틀랜드인, 웨일스인, 북아일랜드인으로 나뉜다.[3] 다만 이들은 연합왕국의 구성원으로 다른 나라 사람까진 아니다. 2014년스코틀랜드가 독립했더라면 또 다른 얘기가 됐겠지만 결국 독립 못했다. 사실 연합왕국이 된 뒤로 잉글랜드인이 스코틀랜드나 웨일스, 북아일랜드로 가거나 다른 지역에서 잉글랜드로 오거나 하는 일이 굉장히 잦았다. 아무래도 산업이 발달한 게 잉글랜드다 보니 그쪽으로 몰리고. 영국 총리였던 고든 브라운도 스코틀랜드 태생이지만, 잉글랜드에 와서 정치 경력을 쌓았다. 토니 블레어도 스코틀랜드 에딘버러 출신이다.[4] 즉 잉글랜드에 사는 스코틀랜드인도 있고 스코틀랜드에 사는 잉글랜드인도 있다. 아래는 거주자로 파악한 인구이다.
지역명인구비율
잉글랜드56,287,00084.2%
스코틀랜드5,463,3008.1%
웨일스3,152,9004.7%
북아일랜드1,893,7002.8%
원래 산업혁명기 이전까지 영국의 인구가 유럽에서 특별히 많은 수준은 아니었고, 18세기까지만 하더라도 영국의 인구는 프랑스 인구의 절반에도 못미쳤다. 그러나 18세기부터 감자의 보급과 농업생산성의 향상 등으로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여[5] 1801년 인구조사에서 인구가 1,000만명이 넘은것이 공식적으로 확인이 되었고[6] 1851년에는 2,000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나오며, 이후로는 식민지로의 이민이 크게 불어난 영향으로 인구증가세가 둔화되기는 했지만 1차 세계대전 직전까지 인구가 크게 불어났다. 하지만 1차 세계대전을 전후한 시기로 상당수의 젊은인구가 살상되고 전후에는 출산율이 줄어든 영향으로 인구 증가율은 크게 둔화되었으며 1940년대 전반기까지 이어진다. 1940년대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로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베이비붐이 불었고 그런대로 인구가 늘어나기는 했지만 인구 증가율은 매년 1% 이하 정도의 수준이었다 1970년대 초반 이래로 다른 유럽국가들의 출산율 추이와 비슷하게 흘러가서 2001년에 1.63명까지 떨어지기에 이르렀다. 이후로는 출산율이 점차 상승하고 있으며. 영국이민 등이 계속 들어오고 있기에 2020년 이후 프랑스를 추월하여 러시아를 제외한 유럽에서 인구가 두번째로 많은 국가가 될 예정이다. 1901년 영국의 인구는 3,823만명이었고 매년 109만명이 태어나고 62만 명이 사망했으며 연간 8만명 가량이 이민을 갔지만 2001년에는 5,900만 명을 넘었고 한 해에 72만 명이 태어나며 58만 명이 사망하고 연간 19만 명이 이주해온다.

2001년 기준 인종 집단(ethnic group) 구성. 영국의 식민지였던 구 인도인 인도파키스탄, 방글라데시 계열이 200만을 넘고[7] 영국 흑인 역시 2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국의 극우들의 주요 공격 대상은 파키스탄계들. 흑인들도 차별받지만 영국 흑인들은 스킨헤드에 가담해 파키스탄계를 공격하곤 했다. 아무래도 파키스탄계는 무슬림이고 영국 흑인은 대체로 기독교 신자이기에[8] 영국 백인 쪽에선 영국 흑인과 힘을 합친 것으로 보인다.[9] 그래도 결국 2011 영국 폭동 같은 흑백차별도 발생했다. 근데 여긴 인종 문제 뿐 아니라 영국의 계급 문제도 섞였다.
인종 집단인구비율
영국 백인48,209,39580.5%
기타 백인[10]2,485,9424.4%
인도계1,412,9582.5%
파키스탄계1,124,5112.0%
아일랜드계[11]531,0870.9%
혼혈1,224,4002.2%
카리브흑인[12]594,8251.1%
아프리카흑인989,6281.8%
방글라데시447,2010.8%
아시아[13]835,7201.5%
중국393,1410.7%
기타333,0960.6%
아랍230,6000.4%
  • 그리스계 영국인: 2022년 약 40만이다. 엘리자베스 2세의 부군인 필립 마운트배튼이 그리스계[14]이고 영국 해군참모총장을 지낸 조지 잠벨라스도 그리스계였다. 남성듀엣 Wham! 출신의 조지 마이클도 그리스계이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에 전화를 피해 영국으로 이주한 사람들이 있었다. 최근에는 그리스 경제위기로 인해 넘어오는 사람들도 꽤 있다.
  • 독일계 영국인: 대표적으로 J. R. R. 톨킨이 있다. 톨킨의 본래 성은 tollkühn이었고 18세기경에 조상이 영국으로 이주했다. 18세기면 하노버 왕조가 영국에 유입되던 시절이었고 하노버 왕조의 국왕들은 독일계 영국인들이었다. 빅토리아 여왕의 어머니인 켄트 공작부인이 독일인이었고, 여왕의 남편인 앨버트 공 또한 독일인이었다. 그래서 엘리자베스 2세로 대표되는 현재의 윈저 왕조도 독일계이다. 윈저란 성 자체가 독일스러운 삭스-코버그-고타(작센-코부르크-고타)를 대체해서 나온 표현이다.
  • 스페인계 영국인: 메리 1세가 스페인계였다. 그리고 가수 FKA Twigs도 스페인계/자메이카 영국인이다.
  • 아일랜드계 영국인
  • 이탈리아계 영국인 : 블랙 사바스(밴드)의 기타리스트 토니 아이오미가 알려져 있다.
  • 영국 흑인 : 서인도제도나 서아프리카 출신자들이 많다.
  • 인도계 영국인: 영화 간디에서 간디를 맡았던 벤 킹슬리가 있다. 벤 킹슬리는 아이언맨 시리즈에서 만다린을 맡기도 했다. 빅뱅 이론의 라지 역을 맡은 배우 쿠널 나이어도 영국인이다.
  • 파키스탄계 영국인
  • 프랑스계 영국인
  • 러시아계 영국인: 헬렌 미렌이 대표적인 러시아계 영국인이고,[15] 에이미 와인하우스,[16] 블라디미르 나보코프[17] 등이 있다. 그외에도 영국에서도 러시아계 영국인들이 거주하고 있고 러시아 갑부들도 영국에 거주하면서 영국 국적, 영연방 국적으로 바꾸는 경우도 자주 있다.
  • 폴란드계 영국인 : 2차 대전 때 폴란드 망명 정부가 런던에 있었고, 폴란드가 소련에 의해 공산화되면서 망명정부를 따라온 사람들이 런던에 눌러앉는 경우가 많았다. 소련이 부정선거를 통해 공산당을 집권하게 하고 우익 세력을 불법화한 것을 영국이 막지 못했기 때문에 그 보상으로 2차 대전 이후 영국으로 망명해 온 폴란드인에게는 전부 영국 시민권을 주었다. 한편 1990년대 이후에 폴란드에서 외국인 노동자로 온 이주자들도 많다. 한국에도 잘 알려진 인물은 미수다 출신 방송인 에바 사치코 포피엘. 이 분은 아버지가 폴란드계 영국인이고 어머니가 일본인이다. 이다로 유명해진 영화 감독 파벨 포리코프스키 역시 폴란드-유대계 영국인이다. 14살에 폴란드를 떠나 이민 왔다고. 축구선수 중엔 필 자기엘카가 폴란드계이다. 문학계에서는 《어둠의 심연》의 저자 조지프 콘래드가 폴란드계다. 다만 이 사람은 19세기 말에 정치적인 이유[18]로 망명한 케이스.
  • 유대계 영국인 : 헤어 디자이너 비달 사순이 대표적인 유대계이다.
  • 스웨덴계 영국인
  • 일본계 영국인 : 한국인과 결혼한 미수다 출신의 에바 포피엘이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고 기사로 서임된 카즈오 이시구로도 일본계 영국인이다.
  • 중국계 영국인 : 아시아계 민족 중에서는 역사가 오래되며, 아편 전쟁 이후 홍콩 등에서 유학이나 돈을 벌러 가면서 이민자가 늘기 시작했다. 대표적인 인물로 베네딕트 웡, 젬마 찬.
  • 터키계 영국인 : 보리스 존슨이 있다. 보리스 존슨은 증조 할아버지가 오스만 제국의 알리 케말 베이로 터키인 혈통을 이어받았다. 그리고 영국에도 터키계 영국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 아랍계 영국인 : 영국의 배우 아이샤 하트도 사우디인과 영국인 혼혈이다.
  • 한국계 영국인 : 영국의 배우 클라라와 한국에서 영어 강사 및 방송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피터 빈트, 그리고 가수 배수정이 있다.

영국인들의 국민성은 'stiff upper lip'(굳게 다문 입술)이란 표현으로 대표된다. 감정 표현을 극도로 절제하며 상대에게 민폐를 끼치지 않으려고 부정적인 표현을 최대한 삼가고 돌려 말하는 경향이 강하다. 섬나라라는 지리적 환경 탓이라 그렇다는 이야기도 있고 이 때문에 일본인과 비교되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What British People Say"라는 극단적인 짤방도 있다. (번역) 영국인이 "내 잘못이야"라고 말할 때 그들의 속마음은 "네 잘못이야"이고, 다른 나라의 사람들이 이 말을 듣고 생각하는것은 "왜 이게 자신들의 잘못이라 생각할까?" 등이 있다.

하지만 그러면서도 유머 감각을 엄청 강조한다. 항상 웃고다니는 미국인들보다도 더. 유머, 특히 빈정거리는 블랙 유머를 필수로 장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3. 영국계[편집]


영국 자체가 해외 식민지를 차지하는데 열중했던 나라였기 때문에 일찍부터 해외식민지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았던데다가 일찌감치 영국에서 독립한 미국이나 영국의 식민지는 아니었던 라틴아메리카 국가에서도 백인을 선호했던것은 매한가지였기때문에 영국인들을 이민자로 많이 받아들였다. 그 때문에 해외에 영국계 주민들이 굉장히 많다. 대표적으로 미국. 독일계도 많지만 영국계가 제일 많다.[19] 1960년대 이후로 미국에선 이런 통계를 안 낸다. 너무 섞여서 의미도 없고 미국에서 수백년 살았는데 굳이 이런 통계를 낼 필요도 없고. 특히 영국계와 아일랜드계는 서로 엄청 얽혀 있고 다른 유럽계와도 얽혀있고 심지어 미국 흑인 가운데 상당수는 영국 혈통이 흐른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만 해도 영국계 미국인이자 아일랜드계 미국인이다. 참고로 영국계 사람들은 절대로 자기가 영국인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동아시아통혼과는 맥이 달라서 동아시아도 한국인일본인, 중국인의 국제결혼이 잦다보니 현재도 서로 섞이고 있지만, 유럽계 백인들은 워낙에 통혼을 많이 했기 때문에 그냥 조상이 이랬지 이 정도 수준이다.

  • 영국계 미국인: 통계상으로는 40,234,652명이며 최대 1억 이상으로 추정된다. 현재 영국 국적으로 미국에 체류하는 영국인도 678,000명 수준이다. WASP가 이에 해당하는데 사실 나누자면 본토 영국의 인구 비례에 비해 스코틀랜드계가 많다. 장로회침례회, 감리회개신교가 스코틀랜드 출신이 많기 때문에. 미국의 역대 대통령 대다수는 영국계 미국인이었고 로널드 레이건, 조지 부시, 빌 클린턴, 버락 오바마 등은 영국아일랜드 혈통이 섞여 있다.
  • 영국계 캐나다인: 12,134,745명. 영국 국적 체류자[20] 609,000명.
  • 영국계 호주인: 약 1천만명. 영국 국적으로 체류하는 자는 1,300,000명 수준.
  • 영국계 뉴질랜드인: 2,425,278명. 영국 국적 체류자는 217,000명.
  • 영국계 인도인: 100만~200만명.[21]
  • 영국계 브라질인 : 약 840,000명
  • 영국계 스페인인: 761,000명.
  • 영국계 칠레인: 700,000명.
  • 영국계 아일랜드인: 291,000명.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250,000명.
  • 영국계 아랍에미리트인: 240,000명
  • 영국계 남아공인: 212,000명.
  • 영국계 프랑스인: 200,000명.
  • 영국계 독일인: 115,000명.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영국계 러시아인

4. 영국 국적을 가진 사람[편집]


영국은 세계에서 국적법이 가장 복잡한 나라 중 하나이다. 따라서 '영국인'이라고 불릴 수 있는 사람의 카테고리가 매우 많다. 이 중 영국 시민권자 이외에는 영국 투표권 및 거주권이 없으며 과거에는 유럽 연합 시민으로도 인정받을 수 없었다.(유럽 연합의 영역인 지브롤터 시민은 제외였다.)
  • 영국 시민권자(British Citizen)
영국 본토에 거주할 권리 및 투표권을 가질 수 있는 국적. '영국인'이라 하면 대개 이 사람들을 가리킨다. 영국 왕실령맨 섬, 채널 제도 주민은 조금 복잡한데, 영국 본토 거주권은 있고, 노동 허가 필요 여부는 지역마다 다르며, 투표권은 없고 시민권 부여 절차를 따로 밟아야 한다. 영국유럽 연합 소속 국가였을때는 영국 시민권자는 유럽 연합에서 이동 및 노동의 자유를 누리지만 영국 왕실령 주민은 유럽 연합의 영역에서 제외되어 있어 불가능했다. 물론 이들도 EU 회원국 무비자 입국은 가능했어서 솅겐 조약에 따른 이동의 자유는 누릴 수 있었다.
  • 영국 해외시민(British Overseas citizen)
영국의 옛 식민지 거주자가 가지는 국적. 독립 이전에 식민지에서 태어난 사람들에게 주어진다.
  • 영국 해외영토 시민(British Overseas Territory citizen)
옛 명칭으로는 영국 속령 시민(British Dependent Territories Citizen). 영국의 현재 해외영토 거주자가 가지는 국적. 물론 각 해외영토마다 국적이 따로 주어진다. 버뮤다 '국적', 지브롤터 '국적' 등으로.
  • 영국 국민(해외)(British National (Overseas))
흔히 BN(O)라 불리는 국적으로 사실상 1997년 6월 30일 이전에 태어난 홍콩인들을 위한 국적이다. 이 국적이 따로 생긴 이유는 1980년대에 홍콩중국반환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본래 영국령 홍콩 주민은 '영국 속령(홍콩) 시민'으로서 시민권을 가졌지만, 홍콩 반환이 예정되자 1980년대에 영국은 국적법을 개정하여 영국 국민(해외)(British Nationals (Overseas)), 줄여서 BN(O)라는 것을 신설했는데 반환이 예정된 홍콩의 영국 속령 시민권자들이 이 국적을 취득하도록 했다. 이것이 의무는 아니었고, BN(O)가 없고 조상 중에 중국계(청인, 중화민국인 포함)가 있는 영국 속령 시민권자는 중국 국적[22]을 받았고, BN(O)도 없고 조상이 중국계가 아닌 영국 속령 시민권자는 영국 해외 시민(British Overseas Citizen)이 되었다. 1997년 12월 31일 이후 영국 속령(홍콩) 시민권자(British Dependent Territory Citizen)로서의 시민권은 모두 말소되었다. 중국대만은 역사적 이유로 인해 BN(O) 국적을 인정하지 않고 이 국적 소지자를 자국 국민으로 간주한다.
  • 영국 보호령 주민(British protected person)
옛 영국 보호령 거주자에 해당하는 국적. 역시 독립 이전에 태어나야 주어진다.
  • 영국 신민(British subject)
아일랜드인도 제국 출신 일부 영국인에 해당.

그리고 저 국적 분류마다, 그리고 각 해외영토마다 여권도 따로 나온다. 타국의 무비자 정책도 저 세부국적마다 달리 적용되어 '영국 시민권자'에 대해 단기 체류에서 비자를 면제해 주지만 그 이외의 영국 국민에 대해서는 그렇게 하지 않는 나라도 많다. 또한 해외 시민권자 여권이나 BN(O) 여권은 갱신비가 비싸서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홍콩처럼 이미 자국의 위상이 높은 경우 자국 여권으로 바꾸기도 한다. 반면 옛 영국 식민지였던 개도국의 경우 자국 여권보다 해외 시민권자 여권의 위상이 높아 이를 발급받으려 하는 경향이 있다.

영국 해외시민과 영국 보호령 국민, 영국 신민, 영국 국민(해외)(British National (Overseas))의 경우 그 대상자가 크게 제한되어 있는데, 오늘날 영국의 식민지는 모두 해외영토로 전환되었고 그 이외의 식민지 및 아일랜드와 인도는 독립한지 한참 되었으며, 보호령도 이제 없기 때문이다.

분류신규취득영국여권영사지원이민심사EU시민
영국시민가능가능가능면제인정
해외영토시민가능가능가능대상[23]불인정[24]
해외시민불가가능가능대상불인정
영국신민불가가능가능대상[25]불인정[26]
국민(해외)불가가능가능대상불인정
보호령주민불가가능가능대상불인정


5. 세분화[편집]


미국에선 집계방식 때문에 2,500만에서 5,000만까지 보기도 한다. 스코틀랜드계나 아일랜드계이면서 자신을 잉글랜드계라고 보는 사람들이 많다 보니. 잉글랜드에 약 4,500만명, 캐나다에 650만명, 호주에선 집계방식에 따라 700만명에서 1,000만명까지 본다.
자신을 스코틀랜드인이라고 하는 이는 스코틀랜드에 약 440만명, 자신을 스코틀랜드계로 보는 이는 미국에 약 600만명, 캐나다에 470만명, 호주에 170만명, 잉글랜드에 80만명, 칠레에 8만명 정도다.
자신의 조상을 아일랜드계라고 보는 이는 전 세계에 8,000만명 정도이다. 미국에 약 4,000만명, 영국에 1,400만명, 호주에 700만명, 캐나다에 430만명, 아르헨티나에 100만명, 멕시코에 60만명 정도이다. 아일랜드 본국의 인구가 북아일랜드까지 합쳐 700만명이 안 되는 걸 보면 그들의 이민 행렬을 알 수 있다. 19세기에 아일랜드 본토 인구가 800만명이었다. 오랫동안 영국의 영토였음에도 아일랜드인들은 자신들을 분리해서 생각했다. 그러나 언어에서는 거의 영어에 흡수되었다.
잉글랜드에 먹힌 역사가 길다보니 자신을 웨일스인으로 규정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웨일스 본토에 약 300만명, 미국에 200만명, 잉글랜드에 60만명, 호주에 8만명, 아르헨티나에 5만명, 스코틀랜드에 20,000명 정도이다.
아일랜드와 오랫동안 균일한 집단을 이루다보니 북아일랜드계라고 자신을 인식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심지어 북아일랜드의 인구 160만명 가운데 91% 정도가 북아일랜드 태생인데도 35% 정도는 자신을 영국인, 32% 정도는 아일랜드인, 27%는 북아일랜드인이라고 인식하는 정도다. 2% 정도는 얼스터란 정체성을 내세웠고 4% 정도는 앞의 것들도 아니다.

6. 실존 인물[편집]


⚠️ 주의사항가나다 순으로 정렬할 것.
• 나무위키에 단독 문서로 등재된 인물(개인)만 기재할 것.
• 다른 나라에서 태어났지만 영국 국적을 가진 사람도 기재 가능.
• 영국 국적 포기 및 타 국가로 귀화한 인물들은 배제할 것.


[ 펼치기 · 접기 ]
*가브리엘 애플린
*가이 리치
*가이 베리먼
*가이 피어스
*가이 포크스
*가즈오 이시구로
*개러스 윌리엄스
*가레스 베일
*개리 네빌
*게딘 앤소니
*게리 대니얼스
*게리 브루커
*게리 올드먼
*겜 아처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
*고든 메신저
*고든 브라운[1]
*고든 램지
*구구 음바타로
*구스타브 홀스트
*그레빌 윈
*그레이엄 핸콕
*그리어 가슨
*그웬돌린 크리스티
*글렌 팁튼
*글렌 휴즈
*글렌다 잭슨
*기저 버틀러
[1] 영국의 74대 총리.

[ 펼치기 · 접기 ]
*나디아 파크스
*나이젤 패라지[1]
*나이젤 피어슨
*나이젤 호손
*나오미 스콧
*나오미 캠벨
*나오미 해리스
*나자닌 보니아디
*나탈리 도머
*나탈리 엠마뉴엘
*나탈리아 테나
*네빌 체임벌린
*넬 그윈
*넬 타이거 프리
*노먼 포스터
*노엘 갤러거
*니얼 퍼거슨
*니코 맥브레인
*니콜라스 윈턴
*니콜라스 홀트
*닉 드레이크
*닉 라일리
*닉 메이슨
*닉 프로스트
*닉 포프
*닉 파크
*닉 팔도
*닐 게이먼
*닐 마셜
*닐뤼퍼 얀야
[1] 프랑스계 영국인이다.

[ 펼치기 · 접기 ]
*다이도
*다이애나 리그
*다이애나 스펜서
*다니엘 데이 루이스[1]
*다니엘 래드클리프
*다니엘 스터리지
*다니엘 크레이그
*대니 웰벡
*대니 케인
*대니얼 존스
*대니얼 칼루야
*대니얼 태멋
*대미언 루이스
*대프니 듀 모리에
*댄 불
*댄 스티븐스
*더글러스 베이더
*더글러스 애덤스
*더글러스 파크
*더글러스 헤이그
*더스티 스프링필드
*더크 보가드
*더피
*데니스 스트라튼
*데렌 브라운
*데릭 저먼
*데릭 제이코비
*데미스 허사비스
*데미안 허스트
*데이먼 알반
*데이브 머레이
*데이비드 간디
*데이비드 길모어
*데이비드 니븐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데이비드 리빙스턴
*데이비드 리카도
*데이비드 린
*데이비드 맥컬럼
*데이비드 미첼
*데이비드 베컴
*데이비드 브래들리
*데이비드 비티
*데이비드 스털링
*데이비드 스프록스턴
*데이비드 수셰이
*데이비드 애튼버러
*데이비드 워너
*데이비드 월리엄스
*데이비드 조던
*데이비드 캐머런
*데이비드 커버데일
*데이비드 테넌트
*데이비드 트림블
*데이비드 하비
*데이비드 허버트 로렌스
*데이비드 흄
*데이빗 보위
*데이지 리들리
*데이지 에드거존스
*데즈먼드 루엘린
*도널드 서순
*도널드 코건
*도리스 레싱
*도리안 예이츠
*도미닉 랍
*도미닉 모나한
*도미닉 하워드
*두걸 딕슨
*두아 리파
*디나 애셔스미스
[1] 영국과 아일랜드 이중국적이다.

[ 펼치기 · 접기 ]
*라이언 긱스
*라파엘 라시드
*라힘 스털링
*랜돌프 처칠
*랠프 리처드슨
*램지 맥도널드
*러디어드 키플링
*러셀 브랜드
*레게 장 페이지
*레나 헤디
*레베카 매스터턴
*레베카 손더스
*레베카 홀
*레슬리 하워드
*레이 데이비스
*레이 밀랜드
*레이먼드 창
*레이첼 바이스
*레이첼 스티븐스
*레이첼 허드우드
*레이프 파인스
*렉스 해리슨
*로나 미트라
*로니 우드
*로널드 로스
*로드 던세이니
*로드 스튜어트
*로디 맥도웰
*로라 말링
*로런 부스
*로런스 올리비에
*로렌 메이베리
*로버트 1세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로버트 베이든 파월
*로버트 스콧
*로버트 오언
*로버트 월폴
*로버트 젠킨슨
*로버트 클라이브
*로버트 패틴슨
*로버트 프립
*로버트 플랜트
*로버트 피츠로이
*로버트 필
*로빈 앳킨 다운스
*로스 바클리
*로알드 달[1]
*로완 앳킨슨
*로완 윌리암스
*로절린드 프랭클린
*로저 글로버
*로저 달트리
*로저 무어
*로저 워터스
*로저 테일러
*로저 펜로즈
*로저먼드 파이크
*로즈 레슬리
*롭 브라이든
*롭 핼포드
*루스 로렌스
*루시 보인턴[2]
*루이 마운트배튼
*루이 아서 찰스 왕자
*루이 톰린슨
*루이 파트리지
*루이스 캐럴
*루이스 해밀턴
*루이자 로즈 앨런
*루크 에반스
*루퍼트 그린트
*루퍼트 도버[3]
*루퍼트 스피라
*리 차일드
*리델 하트
*리들리 스콧
*리사 로저스
*리시 수낙
*리아나 프래쳇
*리암 갤러거
*리암 니슨[4]
*리암 페인
*리앤 피녹[5]
*리오나 루이스
*리즈 아메드
*리즈 트러스
*리처드 1세[6]
*리처드 2세
*리처드 3세
*리처드 도킨스
*리처드 돌
*리처드 라이트
*리처드 럿트
*리처드 매든
*리처드 버튼
*리처드 브랜슨
*리처드 알렉산더 월터 조지
*리처드 애튼버러
*리처드 윌리엄슨
*리처드 커티스
*리처드 크롬웰
*리치 블랙모어
*리키 저베이스
*리타 오라[7]
*리틀 심즈
*릭 라이트
*릭 애스틀리
*릭 웨이크먼
*릴리 앨런
*릴리 제임스
*릴리 콜
*릴리 콜린스
*링고 스타
[1] 노르웨이계이다.[2] 미국 뉴욕 출생이지만 6살 때부터 영국에서 살았다. 아버지의 고향도 잉글랜드다.[3] 홍콩 경찰의 최고간부로,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에서 최초로 최루탄 사용을 명령한, 서구룡국 경찰사령관이다.[4] 아일랜드계 미국인이다. 영국, 아일랜드, 미국 국적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5] 영국 걸그룹 리틀 믹스의 멤버.[6] 사자심왕 리처드로도 유명하다.[7] 영국, 알바니아 이중국적임.

[ 펼치기 · 접기 ]
*마거릿 대처
*마거릿 튜더
*마르코 피에르 화이트
*마리아 월폴
*마리암 프랑수아-세라
*마리카 해크먼
*마이크 올드필드
*마이클 나이먼
*마이클 로즌
*마이클 모퍼고
*마이클 비스핑
*마이클 쉰
*마이클 아티야
*마이클 오언
*마이클 케인
*마이클 패러데이
*마이클 호턴
*마이클 홀브룩 페니먼 주니어
*마일로 야노풀로스
*마커스 래시포드
*마크 게이티스
*마크 노플러
*마크 라이런스
*마크 밀러
*마크 스트롱
*마크 에디
*마틴 바시어
*마틴 프리먼
*매기 스미스
*메리 1세[1]
*메리 2세
*메리 불린[2]
*메리 셸리
*메리 스튜어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
*메리 워틀리 몬태규
*메리 튜더
*메리 헨리에타
*메이지 윌리엄스
*멜라니 B[3]
*멜라니 C[4]
*맷 버스비
*맷 스미스
*매튜 구드
*매튜 벤엄
*매튜 벨라미
*매튜 본
*매튜 볼턴
*맨스필드 스미스-커밍
*메리 리드
*모드 샬럿 메리 빅토리아
*모리스 윌킨스
*몰 데이비스
*미셸 도커리
*미셸 페얼리
*믹 재거
*밀리 바비 브라운
[1] 피의 메리(Bloody Mary)라고도 불렸던 여왕.[2] 헨리 8세의 정부(情婦)이자, 헨리 8세의 2번째 왕비인 앤 불린의 친언니.[3] 영국의 전설적인 걸그룹 스파이스 걸스의 멤버.[4] 영국의 전설적인 걸그룹 스파이스 걸스의 멤버.

[ 펼치기 · 접기 ]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바네사 커비
*바니타 산두
*바바라 팔머
*바비 무어
*바비 버클
*바비 커민스
*반스 월리스
*밥 페이즐리
*배수정[1]
*밴 모리슨
*버나드 로 몽고메리
*버나드 루이스
*버나드 버틀러
*버니 마스덴
*버니 에클레스톤
*버지니아 울프
*버트런드 러셀
*베네딕트 아놀드
*베네딕트 컴버배치
*베아트리스 엘리자베스 메리: 영국의 공주
*베아트릭스 포터
*베어 그릴스
*베키 크루엘
*벤 반스
*벤 월러스
*벤 위쇼
*벤 존슨
*벤 킹슬리[2]
*벤자민 프라우드
*벤저민 그레이엄
*벤저민 디즈레일리
*보니 라이트
*보리스 존슨
*보리스 칼로프
*보이 조지
*복스 아쿠마
*브라이언 메이
*브라이언 엡스타인
*브라이언 이노
*브루스 디킨슨
*브래들리 매킨토시
*브래들리 위긴스
*브램 스토커
*브렛 앤더슨
*블라디미르 나보코프[3]
*비달 사순
*비디아다르 수라지프라사드 나이폴
*비비안 리
*비비안 웨스트우드
*비비안 캠벨
*빅토리아 베컴
*빅토리아 여왕
*빅토리아 아델레이드 메리 루이즈 공주[4]
*빅토리아 알렉산드라 앨리스 메리
*빌 나이
*빌 샹클리
*빌 워드
*빌리 코놀리
*빌리 파이퍼
*빌린다 부처
[1] 한국계 영국인이다. 영어 이름은 소피아 배(Sophia Pae).[2] 영국인과 인도인의 혼혈이다.[3] 러시아 출생이지만 영국 국적을 얻은 적 있고 미국 국적도 얻었었다.[4] 빅토리아 여왕의 장녀

[ 펼치기 · 접기 ]
*사라 스티븐스
*사라 퍼거슨
*사샤 바론 코헨
*사이먼 래틀
*사이먼 페그
*사이먼 코웰[1]
*새뮤얼 테일러 콜리지
*새미 윌슨
*샐리 호킨스
*샘 멘데스
*샘 스미스
*샘 알라다이스
*샘 클라플린
*샤넌[2]
*샤데이 아두
*샬럿 브론테
*샬럿 어거스타 공주
*샬럿 엘리자베스 다이애나 공주
*샬럿 워딩턴
*서헤린
*세라 브라이트먼
*세실 로즈
*세실 쿠퍼
*셰릴
*셰어 로이드
*셴튼 토머스
*소피 쿡슨
*소피 터너
*숀 빈
*숀 코너리
*솔 캠벨
*수잔 보일
*수잔 힐
*수지 수
*쉴라 제프리스
*슈티 가트와
*스카이 브라운
*스탠리 매튜스
*스탠리 볼드윈
*스털링 모스
*스텔라 테넌트
*스톰지
*스티브 맥퀸
*스티브 해리스
*스티브 해킷
*스티븐 머천트
*스티븐 모팻
*스티븐 울프럼
*스티븐 제라드
*스티븐 프라이
*스티븐 패트릭 모리시
*스티븐 호킹
*스팅
*스펜서 퍼시벌
*시나 이스턴
*시드 바렛
*시드 비셔스
*시몬 애슐리
*시슬리 손더스
[1] 영국의 인기 아이돌인 One Direction을 만들어낸 프로듀서.[2] 정확히는 웨일스계 영국인과 한국인의 혼혈이다.

[ 펼치기 · 접기 ]
*아놀드 앨런
*아놀드 토인비
*아델
*아말 클루니[1]
*아서
*아서 매컨
*아서 밸푸어
*아서 스탠리 에딩턴
*아서 웰즐리
*아서 차드웰
*아서 C. 클라크
*아서 코난 도일
*아서 퍼시벌
*아서 해리스
*아이샤 하트
*아이작 뉴턴
*아이작 찰스
*아이작 햄스티드 라이트
*아잔 브람
*아치 마운트배튼윈저
*안나 윈투어
*안소니 홉킨스
*안젤라 랜스버리
*알란 릭맨
*알레이스터 크로울리
*알렉 기네스
*알렉 이시고니스
*알렉사 청
*알리스터 맥그래스
*알프 램지
*알프레드 대왕
*알프레드 김슨
*알프레드 에드워즈
*알피 앨런
*알렉산더 그레이엄 벨[2]
*알렉산더 케임브리지
*알렉산더 플레밍
*알렉스 퍼거슨
*애거서 크리스티
*애나 포플웰
*애니 레녹스
*애니타 브루크너
*애덤 스미스
*애덤 투즈
*애런 램지
*애디왈레이 애키누에이아그바제이
*애슐리 콜
*애티커스 로스
*앤 마리
* 여왕
*앤 하이드
*앤 호튼
*앤드루 로이드 웨버
*앤드루 리즐리
*앤드루 와일스
*앤드류 가필드[3]
*앤드류 링컨
*앤드류 해리슨
*앤디 맥넵
*앤디 머리
*앤디 벨
*앤서니 기든스
*앤서니 버지스
*앤서니 브라운
*앤서니 블런트
*앤서니 이든
*앤서니 조슈아
*앤서니 홉킨스
*앤슬리 해리엇
*앤 불린[4]
*앤 엘리자베스 앨리스 루이즈 공주[5]
*앨런 무어
*앨런 베이츠
*앨런 알렉산더 밀른
*앨런 워커[6]
*앨런 튜링
*앨런 파듀
*앨런 파커
*앨런 화이트
*앨리스 모드 메리 공주
*앨버트 빅터 크리스티안 에드워드
*앨프레드 대왕
*앨프리드 노스 화이트헤드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
*앨프리드 마셜
*앨프리드 허턴
*앨프리드 히치콕
*야닉 거스
*어거스타 프레데리카
*어네스트 사토[7]
*어니스트 베델
*어니스트 섀클턴
*어니스트 스탈링
*에드 우드워드
*에드 시런
*에디 레드메인
*에드거 라이트
*에드먼드 그웬
*에드먼드 핼리
*에드워드 흑태자
*에드워드 1세
*에드워드 기번
*에드워드 보스카웬
*에드워드 브래독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에드워드 안토니 리처드 루이
*에드워드 엘가
*에드워드 제너
*에드워드 조지 니콜라스 폴 패트릭
*에드워드 카
*에드워드 티치
*에드워드 호크
*에드워드 히스
*에런 테일러존슨
*에른스트 곰브리치
*에릭 클랩튼
*에릭 홉스봄
*에마 라두카누
*에멀린 팽크허스트
*에메랄드 페넬
*에밀 빅터 프라이스
*에밀리 브론테
*에밀리 산데
*에밀리아 클라크
*에밀 빅터 프라이스
*에아드릭 스트레오나
*에어 쿠테
*에이다 러브레이스
*에이드리언 스미스
*에이미 와인하우스
*엘라 발린스카
*엘리 굴딩
*엘리자베스 왕비
*엘리자베스 1세
*엘리자베스 2세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왕비
*엘리자베스 테일러
*엘리자베스 프라이
*엘튼 존
*엠마 번튼
*엠마 왓슨
*엠마 코린
*엠마 톰슨
*엠마 해밀턴
*오거스터스 드 모르간
*오나 채플린[8]
*오드리 햅번
*오스왈드 모슬리
*오언 윌런스 리처드슨
*오지 오스본
*오언 존스
*올더스 헉슬리
*올라지데 올라툰지
*올라툰데 올라테주 올라올로룬 패그벤레이
*올랜도 블룸
*올리버 색스
*올리버 크롬웰
*올리버 헤비사이드
*올리비아 허시
*월터 오언 벤틀리
*월터 윈터보텀
*웨인 루니
*웨인 브리지
*윈스턴 처칠
*윌 챔피언
*윌리엄 고드윈
*윌리엄 골딩
*윌리엄 도널드 빌 해밀턴
*윌리엄 램
*윌리엄 마셜
*윌리엄 블레이크
*윌리엄 서머싯 몸
*윌리엄 셰익스피어
*윌리엄 슈웽크 길버트
*윌리엄 아서 필립 루이[9]
*윌리엄 애덤스
*윌리엄 오거스터스
*윌리엄 워즈워스
*윌리엄 월레스
*윌리엄 윌버포스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윌리엄 존스
*윌리엄 터너
*윌리엄 헨리
*윌리엄 톰슨
*윌리엄 피트(大)
*윌리엄 피트(小)
*윌리엄 호프 호지슨
*윌버트 오드리
*유제니 빅토리아 헬레나
*이본 리들리
*이사벨라 버드 비숍
*이사벨라 서먼
*이사야 벌린
*이안 길런
*이안 그리어
*이언 맥디어미드
*이언 맥셰인
*이안 맥켈런
*이안 페이스
*이안 홈
*이언 뱅크스
*이언 스튜어트
*이언 앤더슨
*이언 플레밍
*이완 레온
*이완 맥그리거
*이점바드 킹덤 브루넬
[1] 레바논 국적을 가지고 있다. 즉 이중국적[2] 스코틀랜드계 미국인이다.[3] 영국과 미국 이중국적자.[4] 헨리 8세의 2번째 왕비이자,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어머니.[5]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장녀.[6] 영국과 노르웨이 이중국적. 아버지가 영국인이며 태어난 곳도 영국 노스햄튼이다.[7] 영국의 일본 외교관. 성이 사토라서 일본인 혼혈로 오해받으나 그는 100% 서양인이다.[8] 스페인계 영국인 배우로 찰리 채플린의 손녀다.[9] 영국의 왕세자

[ 펼치기 · 접기 ]
*자하 하디드
*재스민 반 덴 보가드
*재스퍼 마스켈린
*재키 스튜어트
*잭 로던
*잭 스타키
*잭 처칠
*잭 화이트홀
*저스틴 웰비
*제라드 버틀러
*제러미 아이언스
*제러미 코빈
*제러미 헌트
*제레미 웨이드
*제리 할리웰
*제시 넬슨[1]
*제시 린가드
*제시 제이
*제이드 설웰[2]
*제이슨 스타뎀
*제이슨 아이작스
*제이미 도넌
*제이미 올리버
*제이미 캠벨 바우어
*제이크 버그
*제인 구달
*제인 그레이
*제인 말리크
*제인 시모어
*제인 오스틴
*제임스 1세
*제임스 2세
*제임스 그레이엄 밸러드
*제임스 뉴먼
*제임스 래트클리프
*제임스 러브 록
*제임스 로우더
*제임스 매커보이
*제임스 머레이
*제임스 브룩
*제임스 블런트
*제임스 블레이크
*제임스 스콧
*제임스 와트
*제임스 울프
*제임스 채드윅
*제임스 코든
*제임스 쿡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제임스 허턴
*제임스 화이트 블랙
*제임스 후퍼
*제프 허스트
*제프 벡
*제프리 애머스트
*제프리 초서
*조 루이스
*조 에킨스
*조 오메라
*조 라이트
*조너선 놀란
*조너선 색스
*조너선 아이브
*조니 마
*조니 버클랜드
*조던 스펜스
*조던 픽포드
*조던 헨더슨
*조셉 뎀시
*조셉 몰리
*조슈아 다릴 캐럿[3]
*조시아 웨지우드
*조안 콜린스
*조안 플로라이트
*조앤 롤링
*조이 서머스
*조지 3세
*조지 고든 바이런
*조지 래슬스
*조지 러셀
*조지 마이클[4]
*조지 마틴
*조지 말로리
*조지 버나드 쇼
*조지 빌리어스
*조지 사크빌
*조지 스티븐슨
*조지 알렉산더 루이
*조지 에드워드 무어
*조지 에드워드 알렉산더 에드먼드
*조지 엘리엇
*조지 오웰
*조지 잠벨라스
*조지 캐리
*조지 프레드릭 헨델[5]
*조지 해리슨
*조지아나 스펜서
*조지프 니덤
*조지프 리스터
*조지프 뱅크스
*조지프 존 톰슨
*조지프 콘래드
*
*존 골즈워디
*존 길구드
*존 네이피어
*존 데일리
*존 듀어든
*존 디콘
*존 라이든
*존 러셀
*존 러스킨
*존 레논
*존 로널드 루엘 톨킨
*존 로드
*존 루스
*존 르카레
*존 리
*존 메너즈
*존 메이너드 스미스
*존 메이너드 케인스
*존 메이저
*존 밀른
*존 밀스
*존 밀턴
*존 버니언
*존 버닝햄
*존 보예가
*존 본햄
*존 빙
*존 사이크스
*존 스튜어트 밀
*존 에머리치 에드워드 달버그 액튼
*존 엔트위슬
*존 엘리엇 가디너
*존 월리스
*존 웨슬리
*존 젤리코
*존 키건
*존 키츠
*존 타워스
*존 테리
*존 폴 존스
*존 프랭클린
*존 해리슨
*존 허트
*존 호킨스
*존 호튼 콘웨이
*존 홀데인
*존 후블론
*주드 로
*주디 덴치
*줄리 앤드루스
*줄리 월터스
*지미 새빌
*지미 페이지
*짐 코벳
[1] 영국 걸그룹 리틀 믹스의 前 멤버.[2] 영국 걸그룹 리틀 믹스의 멤버.[3] 영국남자로 유명한 유튜버. 함께 활동하고 있는 올리 역시 당연히 영국인.[4] 그리스계 영국인이다. 저 이름은 예명으로, 본명은 게오르기우스 키리아코스 파나요투(Georgios Kyriacos Panayiotou)이다.[5] 독일계 영국인 작곡가.


[ 펼치기 · 접기 ]
*카라 델러빈
*카렌 길런
*카림 칸
*카메론 보스워스
*카밀라 파커 보울스
*카야 스코델라리오
*카일 워커
*카트리나 카이프
*칼 젠킨스
*칼 포퍼
*칼루스트 굴벤키안
*캐런 암스트롱
*캐롤라인 마틸다
*캐머런 매킨토시
*캐서린 미들턴[1]
*캐서린 세들리
*캐서린 제타존스
*캐서린 테이트
*캐서린 파
*캘빈 해리스
*케네스 브래너
*케니 달글리시
*케빈 키건
*케네스 키스 다우닝 주니어
*케이트 베킨세일
*케이트 윈슬렛
*켄 로빈슨
*켄 베이츠
*콜린 그린우드
*콜린 윌슨
*콜린 퍼스
*콜린 퍼즈
*쿼지 콰텡
*크리스 마틴
*크리스 볼첸홈
*크리스 스콰이어
*크리스토퍼 렌
*크리스토퍼 리
*크리스토퍼 놀란[2]
*크리스토퍼 에클스턴
*크리스티안 호너
*크리스토퍼 히친스
*크리스틴 스콧 토머스
*클라라[3]
*클라이브 그레인저
*클라이브 스테이플스 루이스
*클라이브 싱클레어
*클라이브 오웬
*클레멘스 하우스먼
*클레멘트 애틀리
*클레어 포이
*클로드 레인스
*클로드 오킨렉
*클리브 디머
*클리프 리처드
*키스 리처즈
*키스 문
*키스 에머슨
*키어 스타머
*키어런 하인즈
*키이라 나이틀리
*킴 필비
*킷 해링턴
[1] 영국의 왕세자비. 윌리엄 왕세자의 아내이다.[2] 영국과 미국 이중국적자.[3] 한국계 영국인으로, 스위스에서 태어났지만 영국 국적을 가지고 있다.


[ 펼치기 · 접기 ]
*파하드 모시리
*패트릭 도일
*패트릭 스튜어트
*패트릭 헤드
*페리 에드워즈[1]
*펠리시티 존스
*폴 그라이스
*폴 그린그래스
*폴 디랙
*폴 디아노
*폴 매카트니
*폴 맥겐
*폴 맥기건
*폴 스미스
*폴 아서스
*폴 캐터몰
*폴 크레이그
*프랜시스 골턴
*프랜시스 드레이크
*프랜시스 베이컨
*프랜시스 크릭
*프랭크 램지
*프랭크 램파드
*프랭크 윌리엄스
*프레더릭 가울랜드 홉킨스
*프레더릭 생어
*프레드 페리
*프레드 호일
*프레드릭 윌리엄 허셜
*프레디 머큐리
*프레디 하이모어
*프레이저 스토더트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플로렌스 퓨
*플로팅 포인츠
*피비 디네버
*피비 월러-브리지
*피터 가브리엘
*피터 라데포그드
*피터 로드
*피터 몰리뉴
*피터 빈트
*피터 오툴
*피터 월
*피터 유스티노프
*피터 카팔디
*피터 코츠
*피터 힉스
*피트 타운젠드
*핀 화이트헤드
*필 콜린스
*필 존스
*필립 마운트배튼
[1] 영국 걸그룹 리틀 믹스의 멤버.

[ 펼치기 · 접기 ]
*하니프 쿠레이시
*하워드 스트링거
*하이럼 맥심
*한나 머레이
*해나 스피어릿
*해나 존케이먼
*해럴드 윌슨
*해리 그렉슨-윌리엄스
*해리 매과이어
*해리 스타일스
*해리 케인
*해리 파
*해리슨 폰드
*허버트 스펜서
*허버트 조지 웰스
*헤들리 불
*헨리 5세
*헨리 8세
*헨리 래슬스
*헨리 윌리엄 프레더릭 앨버트
*헨리 존 템플
*헨리 찰스 앨버트 데이비드[1]
*헨리 카빌
*헨리 캐번디시
*헨리 텐디
*헨리 퍼셀
*헨리 펠럼
*헨리 프레더릭
*헬레나 본햄 카터
*헬렌 미렌[2]
*헬렌 셔먼
*헬렌 플래너건
*호러스 킹
*호레이쇼 넬슨
*휴 게이츠컬
*휴 그랜트
*휴 그리피스
*휴 다우딩
*휴 로리
[1] 영국의 왕자이자 윌리엄 왕세자의 동생[2] 러시아와 영국 혼혈이다.

기타
[ 펼치기 · 접기 ]
*21 Savage[1]
*Sakura Media
[1] 당초 미국 애틀란타 출생의 미국인으로 알려졌으나 미국 이민세관단속청(ICE)에 의해 2006년 부터 무려 13년 간 미국에서 불법으로 체류하고 있는 영국인으로 밝혀졌다.

7. 대중매체에서의 영국인[편집]


목록이 길어져서 분리되었다. 영국인 캐릭터 문서 참조.


8. 관련 문서[편집]



9. 둘러보기 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8:54:37에 나무위키 영국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어원은 pomegranate인데, 이주민(immigrant)과 라임이 약간 맞는다는 점도 있었고, 호주에 처음 온 영국인이 강한 햇볕에 얼굴이 벌겋게 익어버린 모습을 보고 호주인들이 '석류 같다'면서 놀려댔던 것이 유래라고 한다.[2] 싫어하는 경우가 있는 수준이 아니라 대단한 결례다. 한국인에게 '한국인인가요?'가 아니라 '호남사람인가요?'하고 묻는 것인데, 호남은 그래도 한국의 일부로서 같은 한국인이라는 의식이 있지만 스코틀랜드인, 웨일스인, 잉글랜드인의 조상은 각각 게일인, 브리튼인, 색슨인으로 한국인의 조상인 예인, 맥인, 한인의 차이보다도 훨씬 큰 아예 남남이다. 특히 스코틀랜드는 본래 별개의 정치체를 가지고 있다가 비교적 최근인 1707년에 잉글랜드와 대등한 입장에서 합병했으므로 스코틀랜드인에게 대뜸 잉글랜드인(English)냐 물으면 자존심에 꽤나 상처를 받는다. 그래서 지역과 관계없이 영국인이냐 묻고자 한다면 from UK나 British라는 표현을 쓰는 게 좋다. [3] 콘월 사람들은 영국인이긴 하나 잉글랜드인에 포함되지는 않는다고 주장한다. 2014년 영국 정부콘월인들을 영국 내 소수민족으로 인정했다.[4] 출생과 성장은 스코틀랜드에서 했지만, 집안 자체는 잉글랜드 북부쪽이다. 따라서 고든 브라운과 다르게 블레어의 억양에는 스코틀랜드 색채가 두드러지지 않는다.[5] 다만 인구가 급속히 증가했다 하더라도 삶의 질은 빠르게 향상되지 않았다.[6] 다만 아일랜드의 인구수치는 빠지고 계산했다.[7] 영국의 인종차별주의자들로부터 통상적으로 파키스탄인이라는 뜻의 멸칭인 '파키'(Paki)라고 불린다. 이는 출신 국적과 관계없이 비하하는 단어로,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의 초반부를 보면 공항에서 승객들의 짐을 하역하는 일을 하던 프레디 머큐리가 여행가방에 적힌 신상 정보를 읽다가 짐이 밀리게 하자, 같이 일하던 백인 용역이 "똑바로 일 못하냐, 파키?"라고 막말하고 그 말에 프레디가 "저 파키스탄인 아닌데요."라고 반박하는 장면을 보면 알 수 있다. 참고로 프레디 머큐리는 '파로크 불사라'(Farrokh Bulsara)라는 이름을 가진 인도계 조로아스터교도였다.[8] 다만 영국 흑인 중에서도 조상이 나이지리아 북서부 소코토 주(소코토 칼리프국의 후신) 등의 중남부 아프리카 내 이슬람권 지역에서 이주해온 경우에는 무슬림이 대다수다.[9] 그 외에 인도계 힌두교도나 시크교도도 일부 있었다고 한다.[10] 가장 많은 숫자는 폴란드인이다. 150만 명 정도다. 그 다음으로 주로 지리적으로 가까운 프랑스, 스페인 등이 있다.[11] 생각보다 적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아일랜드는 700년 동안 영국에게 점령당했기에 과거에 이주한 사람들은 그냥 영국계에 포함된다. 물론 실제 아일랜드계 영국인의 숫자는 아일랜드 본토 인구보다 많다.[12] 아프리카에서 노예로 갔던 사람들의 후예이다.[13] 인도, 파키스탄, 중국 제외[14] 모국어는 그리스어지만, 그리스인의 피는 전혀 안 흐른다. 혈통으로만 따지면 그냥 독일계.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왕조 자체가 독일계 가문이다.[15] 할아버지가 러시아 제국의 군인이었으나 러시아 제국이 망하고 영국으로 이민을 왔다.[16] 러시아계와 유대계 혼혈이다.[17] 러시아계 미국인이기도 하지만 미국 국적을 따기 전에 영국 국적도 딴 적이 있다.[18] 부모가 폴란드 독립운동가라는 이유로 러시아군에 25년간 복무해야 했다.[19] 물론 미국족(American)을 영국계로 본다면 영국계가 독일계보다 많다. 실제로 1980년까지 통계에서는 영국계가 독일계보다 많았다. 1990년 미국족(american)항목이 신설되면서 독일계의 수치가 더 많아졌다.[20] 영연방 이전에 영국의 속령이던 시절에 영국 국적을 취득하는 게 가능했다. 영국 국적이라고 해서 꼭 영국 본토 태생인 건 아니다![21] 정확한 통계는 존재하지 않음. 영국 동인도 회사의 직원들 혹은 용병들로서 가서 정착을 하거나 현지인과의 통혼을 한 이들을 일컫는다. 인도 내에는 적게는 30만명부터 많게는 100만명, 방글라데시에 약 20만명, 그리고 영국 본토에 약 86,000명 정도가 거주하고 있다고 예상되고 있다.[22] 중국 국적이되 홍콩 주민으로서 중국 중앙정부에 대한 납세 의무나 공무담임권이 없다. 또한 여권이 중국 본토 주민과는 따로 나와서 해외에서는 '홍콩 국적자'처럼 취급된다.[23] 지브롤터 주민은 면제.[24] 지브롤터 주민은 EU시민으로 인정.[25] 거소증(right of abode) 대상자는 면제.[26] 거소증(right of abode) 대상자는 EU시민으로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