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2022)

최근 편집일시 :

안중근
역대 영화


[ 펼치기 · 접기 ]



윤제균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파일:2001 두사부일체 로고.png
파일:2002 색즉시공 로고.png
파일:2003 낭만자객 로고.png
파일:2007 1번가의 기적 로고.png
파일:2009 해운대 로고.png
파일:2014 국제시장 로고.png
파일:2020 영웅 로고.png





영웅 (2022)
Hero

파일:안중근영웅포스터.jpg

장르
뮤지컬, 드라마, 시대극, 전기, 느와르, 스릴러, 첩보
감독
윤제균
각본
한아름[1], 윤제균
원작
윤호진 외 - 《영웅(뮤지컬)
제작
길영민
프로듀서
전민
출연
정성화, 김고은, 나문희, 박진주
촬영
조상윤
미술
양홍삼
음악
황상준
촬영 기간
2019년 9월 10일 ~ 2019년 12월 25일
제작사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파일:제이케이필름 로고.png | [[CJ ENM MOVIE|

파일:CJ ENM 로고.svg
]]
배급사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CJ ENM MOVIE|

파일:CJ ENM 로고.svg
]]
개봉일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2022년 12월 21일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틀:국기|
]][[틀:국기|
]]
2023년 1월 11일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틀:국기|
]][[틀:국기|
]]
2023년 1월 13일
화면비
2.35:1
상영 타입
파일:영화 2D 로고.png | [[Dolby Atmos|

파일:Dolby Atmos 로고.svg
]]
상영 시간
120분 (2시간 26초)
제작비
140억 원[2]
손익분기점
350만 명
대한민국 총 관객 수
3,271,704명 (최종)
스트리밍
파일:TVING 로고.svg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3]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4]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
2. 마케팅
2.1. 포스터
2.2. 예고편
3. 시놉시스
5. 줄거리
6. 원작과의 차이점
8. 흥행
9. 평가
9.1. 개봉 전
9.2. 개봉 후
9.3. 평론가 평
10. 수상
11. 기타
11.1. 코로나 19로 인한 개봉 연기




1. 개요[편집]


2022년 12월 21일에 개봉한 한국의 뮤지컬 영화. 안중근 의사의 마지막 1년을 다룬 동명의 뮤지컬기반으로 제작되었다.

감독이 밝힌 주안점: 음악성, 고증

2. 마케팅[편집]



2.1. 포스터[편집]



파일:영웅 1차 포스터.jpg파일:영웅(2022) 1차 포스터.jpg

1차 포스터

파일:영웅(2022) 거사 포스터 가로형.jpg파일:영웅(2022) 거사 포스터 세로형.jpg

거사 포스터


2.2. 예고편[편집]




▲ 1차 예고편


▲ 2차 예고편


▲ 뮤직 예고편


▲ 캐릭터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누가 죄인인가, 누가 영웅인가!



4.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영웅(2022)/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줄거리[편집]


영화의 시작은 1909년 3월, 안중근은 전투의 패배 때문에 자결까지 생각하지만 마음을 고쳐먹고 자작나무에서 약지 손가락을 자르며 피로 태극기에 대한 독립이라 쓴 후 본 영화가 시작된다.

2년 전인 1907년. 안중근은 어머니인 조마리아와 가족들을 놔둔 채 집을 떠나 일본군과 최선을 다해 맞서싸우며 의병활동을 이어나간다. 1908년 어느날 전투 중 독립군 병사들이 일본군 포로를 잡아 사살하려는데 안중근은 이 포로들을 그냥 풀려준다. 왜냐하면 전쟁중 포로를 잡으면 풀어주라는 만국공법이 있기 때문. 그날 밤, 안중근은 독립군들의 막사에서 조용히 기도를 올리는데 갑자기 막사가 폭발하여 기습이 일어났다. 사실 아까 풀어줬던 일본군 포로들이 안중근과 독립군들의 위치를 알렸기 때문이었다. 안중근은 일본군 포로 중 한명인 와다를 총으로 쏴 넘어뜨리고 어쩔 수 없이 후퇴 명령을 한다. 일본군에 기습공격에 몇년간 함께해온 수많은 전우들을 잃고 남은 독립군 둥지들까지 흩어진다.

한편, 일본 동경. 설희는 이토 히로부미를 존경하게 모시도록 하는 궁녀다. 사실 그녀는 조선의 마지막 궁녀이며 당시 1895년 을미사변으로 인해 자신을 대신한 명성황후가 스스로 낭인들에 의해 살해당하고 시신이 불을 태워진 것을 오열을 하며 슬픔에 빠진다. 설희는 김내관에게 일본으로 보내달라고 하지만 김내관은 돌아가라고 말하고 이내 설희가 자결을 하겠다며 일본으로 보내달라고 애원을 한다. 이후 설희는 이토의 비서로 활동해 독립군 비밀 정보원으로 위장하여 일본에서 계획을 다한다.

1909년, 안중근은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로 건너가 최재형을 만나 얘기를 한다. 그리고 안중근은 3년 내에 우리 조국의 원수 이토 히로부미를 처치하지 못하면 자결하겠다고 맹세를 지켰다. 그리고 마두식&마진주 남매의 만두가게에서 자신의 독립군 전우인 우덕순과 마진주, 또 오랜 친구인 마두식과 다시 재회를 한다. 또 독립군 명사수인 조도선과 만 18세의 독립군 막내 유동하를 만난다.

그리고 안중근은 단상에 올라가 동지들과 함께 이토 히로부미의 만행을 알리지만 곧 쫓아온 일본 형사들에게 쫓기며 추격전이 벌어진다. 이때 안중근은 일본 악질 형사인 와다에게 쫓기다 옥상을 뛰어다니며 아찔한 추격전을 벌인다. 잠깐 위기에 처하지만 모든 적을 소탕하고 합류한 우덕순과 조도선이 마차를 끌고 왔고 안중근은 동료들이 끌고 온 마차에 있는 볏짚에 떨어져 위기를 모면한다.

그날 밤, 이토는 하얼빈에 가겠다는 목표를 하며, 러시아보다 먼저 조선을 발판으로 삼고 중국을 손에 넘는다는 결정을 한다. 그리고 이번 하얼빈에 시찰을 하겠다며 선언한다.

한편, 유동하는 몰래 가게에 들어가서 마진주 대신 만두찜을 들어올리고 안중근이 있는 장소로 돌아간다. 그렇게 간혈적으로 독립운동을 지속하던 중 이토가 러시아 재무장관을 만나기 위해 하얼빈역에 온다는 소식을 들고 동지들과 함께 대한제국과 동양의 평화를 위해 이토히로부미를 암살한 것을 계획한다. 그 사이 와다가 마진주 남매의 가게 안에서 들이닥치며 안중근이 어디 있다고 위협을 날리자 마두식은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며 농담을 치는 바람에 와다는 마진주 대신 마두식을 끌러가서 고문으로 살해한다. 고문을 당한 마두식은 배신하지 않는다며 사망하자 안중근 일행은 그의 장례식에서 눈물을 흘린다. 안중근은 조국이 이게 무엇이냐며 묻고 어머니의 뜻을 따라 다시 일어나서 그의 뜻을 이룬다.

안중근은 최재형으로부터 '도착 예정 시간 하얼빈 역 5번째 칸 휜 손수건'이라는 소식을 알게 된다. 독립군 비밀 정보원이던 설희가 이토의 만행을 듣고서 작전을 세워 안중근 일행에게 편지를 보냈던 것. 마진주가 안중근에게 오빠의 모자를 씌어주자 대장의 희생을 헛되지 않게 해주겠다고 말하자 안중근 일행은 이토를 쓰러뜨리기로 결심한다. 그렇게 안중근은 유동하, 마진주와 함께 거사를 위해 하얼빈역에 가서 현장점검을 한다. 하지만 그때 마진주가 일본 형사 와다가 안중근을 잡기 위해 보았고 마진주는 거사를 성공 시키기 위해 와다를 유인하다가 다구리 폭행을 당한다. 때마침 나타난 유동하가 와다를 향해 달려들어 치열한 몸싸움이 벌어진다. 와다는 쓰러진 유동하를 총으로 쏘려고 하는데 뒤에서 습격한 마진주를 총으로 쏴버리고, 일어났던 유동하가 와다를 넘어뜨려 그의 권총으로 사살해버린다. 마진주는 유동하에게 사랑이란 고백을 하면서 숨을 거둔다. 안중근이 뒤늦게 도착하지만 늦은 후였다.

한편, 우덕순과 조도선은 중국의 채가구 역에서 대기하고 있었지만 이토가 탄 열차가 갑자기 빠르게 지나쳐가는 바람에 러시아 헌병한테 붙잡힌다. 설희는 일본인 옷에서 궁내 차림으로 갈아입은 채로 기차에서 이토를 죽이려들다가 실패하자 이토가 설희에게 꺼낸 총을 겨누자 설희를 조센징이라고 밝히며 그동안 자신을 배신했음을 알게되고 그녀를 뒷칸으로 구금시킨다. 열차 뒷칸에 구금당한 설희는 문을 열고 투신자살한다.

이날의 운명인 1909년 10월 26일, 용기를 잡은 안중근은 하얼빈역에 도착한 열차에 내린 이토 히로부미를 발견하고 권총으로 쏘아 사살해버린다. 이토는 안중근의 총탄에 맞아 사망하고 안중근이 헌병들에게 붙잡혀서 "대한제국 만세!"를 외친 후 검찰관에게 심문을 받게 된다.

1910년 2월 14일 안중근은 우덕순, 조도선, 유동하와 함께 일본의 재판 법정에 서서 이토 히로부미의 죄를 고발하지만 사형 선고를 받았다. 재판이 끝나고 안중근은 자신의 아내인 김아려와 잠깐 마주치고 호송마차에 타자 김아려는 큰 충격에 오열을 빠진다.

이후 뤼순감옥에서 안중근의 동생 정근, 공근이 면회를 와 어머니가 보내신 수의와 편지를 전달한다. 안중근은 만약 국권이 회복되면 자신의 유해를 고국에 묻어달라고 한다. 그 후 일본 교도관 지바 도시치가 일본인이어서 죄송하다 말하지만 안중근은 괜찮다며 나는 일본인이 미운 것이 아니라 이토 같은 사람들이 미운 것이라며 웃으며 말한 뒤 자신의 친필 유묵을 선물로 준다.

안중근의 어머니인 조마리아가 떠나가야 하는 아들 안중근을 위해 하얀 옷을 만든 후 안중근에게 전달된다.

다음날 안중근은 1910년 3월 26일 오전 10시 자신의 동지인 우덕순, 조도선, 유동하의 뒤로를 하고 뤼순감옥에서 사형장으로 끌러가 교수형 집행을 당해 세상을 떠났다.

그 후 화면이 꺼지며 이국의 땅에 묻힌 안중근의 유해를 아직까지 찾지 못해 그의 유해가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했다는 자막이 나오며 영화는 끝이 난다.

6. 원작과의 차이점[편집]


  • 윤제균 감독은 영화 '영웅'을 어머니의 이야기라고 표현했다.
  • 안중근 의사가 집을 떠나는 장면이 추가됨으로써, 훗말 윤봉길 의사의 유묵 丈夫出家生不還(장부출가생불환: 사나이 대장부가 집을 떠나면 살아서 돌아오지 않는다)이 겹쳐보인다.[5]
  • 회령시회령 전투 등에서 전쟁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주어, 안중근이 군인이었음을 시청자들에게 상기시켜주었다.
  • 안중근이 사용하는 권총 FN M1900은 뮤지컬에서는 재현에 맞지 않은 다른 총이었지만 영화에선 재현대로 FN M1900을 사용한다.
  • 뮤지컬판의 안중근은 조용히 다가가서 격발하지만, 영화판 안중근은 '이토!'를 외치며 총알을 쏜다. 안중근이 이토를 저격하고 외치는 대사 "꼬레아 우라(대한제국만세)!"는 원작과 달리 재현대로 에스페란토를 썼다.
  • 설희(雪姬)의 일본식 이름이 나미다(淚)에서 유키코(雪子)로 바뀌었다. 설희는 처음부터 이토의 게이샤로 등장하며, 이토 밑으로 들어가는 과정 및 넘버 '당신을 기억합니다 황후마마여'는 과거 회상으로 표현된다. 설희는 김내관 앞에서 자신의 목에 칼을 들이댐으로써, 자신의 의지를 관철한다.
  • 설희가 안중근 일행을 만나는 장면은 없지만, 모스 부호 송신기를 사용하여 독립군에게 정보를 보내는 장면을 추가했다.
  • 설희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장소가 다르다. 설희는 뮤지컬 판에서 기차의 문에 매달렸지만, 영화판에서 기차 끝 창고에서 마지막 넘버를 부른다.
  • 원작 뮤지컬에는 없는 설희의 솔로 넘버인 '그대 향한 나의 꿈'이 추가되었다. 넘버 '이토의 야망' 후에 시간 정지가 발생한 채로 재생된다. 알라딘(영화)의 자스민 파트와 비교해보자.
  • 뮤지컬 판의 이토는 설희가 조선인이란 걸 알고 있지만, 영화판의 이토는 배신당하고서야 설희의 정체를 안다.
  • 와다가 안중근을 쫓는 이유를 알려준다. 이어 안중근과 최재형의 대화를 엿들은 러시아인이 안중근의 존재를 와다에게 귀띔해준다. 영화판의 와다는 추격전에서 마주친다. 본인이 하얼빈 역에 들어가 안중근을 다시 만날 뻔 하지만 마진주의 어그로에 끌려 역에 들어가지 못한다. 뮤지컬판의 와다는 죽기 직전에서야 안중근을 만나지만, 안중근에게 쏜 총알은 링링의 몸에 박힌다. 그리고 유동하가 난입하여 와다의 명을 끊는다. 이리하여 안중근은 와다 및 링링의 사망을 본다.
  • 조도선이 추격당하는 동료들을 구해주는 장면을 추가하여, 조도선이 사격의 명수임을 관객들에게 각인시켰다. 뮤지컬에서는 권총을 사용하지만, 영화판에선 장총을 사용한다.
  • 원작의 왕웨이&링링 남매가 마두식&마진주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국적 설정도 원래는 중국인이었는데 변경되었다. 링링은 안중근에게 오빠의 신분증(중국인의 것)을 넘겨주는데, 마진주는 오빠가 쓰던 모자를 넘겨준다.
  • 마두식은 피를 흘리며 본인의 넘버를 부르는데, 이를 연기한 조우진 배우의 모습은 가시 면류관을 쓴 예수처럼 보인다.
  • 원작의 링링이 좋아하는 사람은 안중근이었으나, 14살 연상 유부남을 짝사랑하는 게 좀 그랬는지 영화판의 마진주는 비슷한 연배인 유동하와 러브라인이 생긴다.
  • 교도관 지바 도시치는 원작에서는 딸이 하나 있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1913년에야 결혼했다. 영화에서는 현실을 반영해서 자녀가 없다고 말한다.
  • 원작과는 다르게 이토의 대사와 넘버 가사가 일본어로 변경되었다. 또한, 재현에 맞게 다른 일본인들의 대사가 전부 일본어로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누가 죄인인가 파트에 직전과 중간에 나왔던 재판장의 말도 일본어로 변경되었다.
  • 조마리아 여사는 본래 환영으로만 등장했으나, 영화판에서 실질적으로 등장한다. 아들의 배냇저고리를 움켜쥐고 울다가 수의를 지어준다. 아들의 죽음을 의연하게 받아들여 본인의 편지를 읽어주는 여장부의 면모를 보인다.
  • 넘버들이 일부 빠지고, 순서가 바뀌었다. 이를테면 1막의 마지막 넘버 그날을 기억하며를 기준점으로 볼 때, 2막에서 재생되던 이토의 곡 출정식은 그날을 기억하며의 앞에서 재생된다. 게아샤들이 부르는 조선은 보물창고가 빠지고 춤추는 것만 나왔으며, 조 내관 넘버도 빠졌다. 원작에서 만두집 장면과 함께 드문 밝은 장면인 채가구 2인조의 아리랑은 통편집되었다. 다만 촬영까지 마친 장면이며 DVD 삭제장면에서 볼 수 있다.
  • 뮤지컬에서는 무대라는 공간의 한계상 독립군과 왜경의 추격전을 앙상블 총동원 군무로 연출했으나, 영화는 장르적 장점을 살려서 거리 추격전으로 표현되었다.

7. 사운드트랙[편집]



영웅 OST

파일:영웅(2022) OST.jpg

음악감독: 황상준
발매일: 2022.12.01.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단지동맹
Pledge
03:31
정성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3
작전 승리
Operation victory
01:17
노형우[*음악스탭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4
와다의 반격
Wada′s Counterattack
04:02
마상우[*음악스탭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5
당신을 기억합니다 황후마마여 🆃
Your Majesty, I Remember You
03:19
김고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6
배고픈 청춘이여
Cheers To The Hungry Youth
02:32
정성화, 조재윤, 배정남, 이현우, 박진주, 조우진, 장기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7
추격[1]
Chase
04:22
황상준[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8
이토의 야망
Ito's Ambition
01:11
김승락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09
그대 향한 나의 꿈[3]
My Dream for You
03:07
김고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흔들림 없는 태산처럼
Like The Big Mountain
01:51
조우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영웅 🆃
Hero
03:15
정성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출정식
Marching Ceremony
03:00
김승락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3
그날을 기약하며
Promising The Day
05:26
정성화, 조재윤, 배정남, 이현우, 박진주, 장기용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
사랑이라 믿어도 될까요
May I Believe This Is Love
04:16
이현우, 박진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5
십자가 앞에서
Holy Cross To Enemy Arms
03:07
정성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6
내 마음 왜 이럴까
What Is This Feeling
03:57
김고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7
암살
Assassin
01:39
노형우[*음악스탭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8
누가 죄인인가
Who Is The Criminal
05:04
정성화, 조재윤, 배정남, 이현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9
사랑하는 내 아들, 도마
My Loving Son
03:45
나문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
장부가
His Song
05:35
정성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1
동양평화
The Peace In The East
03:53
오상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전체 재생목록[4]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영웅' MV

[ 앨범 소개 펼치기 · 접기 ]

1910년 3월,
마지막 순간까지 조국 독립을 외치며 죽음 앞에서도 고개 숙이지 않았던 안중근 의사.
2022년 12월,
우리 모두의 가슴속에 기억되고 있는 대한민국의 영웅이 음악과 함께 되살아난다!

뮤지컬 [영웅]과 영화 [영웅]

2009년 10월 안중근 의사 의거 100주년을 기념해 시작된 초연에서 2019년 10주년 공연을 넘어,
지금은 대한민국 대표 뮤지컬로 자리매김한 뮤지컬 [영웅]이
2022년 겨울, 스크린으로 더 큰 감동과 함께 관객들을 찾아온다.

‘장부가’ ‘누가 죄인인가’ ‘그날을 기약하며’ 등
이제는 뮤지컬계를 넘어 전 국민의 뜨거운 사랑을 받는 이 넘버들을 영화로 옮겨오며
‘절반의 익숙함과 절반의 새로움’을 구현해내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무대와 스크린에서의 호흡의 차이.
원곡에서 느낄 수 있는 진정성 있는 울림이 이 호흡의 차이로 희석되지 않도록
대한민국 최초로 촬영 현장에서 직접 배우들이 노래를 부르는 라이브 녹음 방식을 채택했다.

촬영 수개월 전부터 이어진 현장 사운드 테스트, 그리고 현장에서의 완벽한 소음 차단.
흔들림 없는 감정 연기와 노래를 동시에 소화하기 위한 배우들의 혹독한 보컬 트레이닝까지.
전에 없던 도전을 위해 배우와 스탭 모두가 진심을 다해 임했다.

치열한 노력으로 완성한 영화 [영웅]의 OST를 세상에 선보이며,
영화 [영웅]이 한국 뮤지컬 영화로서 작은 발판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영웅(2022)/사운드트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흥행[편집]



8.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11,177명
11,177명
미집계
105,793,600원
105,793,600원
1주차
2022-12-21. 1일차(수)
105,398명
967,493명
2위
987,677,013원
9,564,117,244원
2022-12-22. 2일차(목)
83,910명
2위
773,538,691원
2022-12-23. 3일차(금)
103,065명
2위
1,002,511,712원
2022-12-24. 4일차(토)
245,316명
2위
2,538,576,441원
2022-12-25. 5일차(일)
255,871명
2위
2,644,001,300원
2022-12-26. 6일차(월)
82,183명
2위
766,390,359원
2022-12-27. 7일차(화)
80,573명
2위
745,630,128원
2주차
2022-12-28. 8일차(수)
101,673명
835,811명
2위
816,528,339원
8,108,949,381원
2022-12-29. 9일차(목)
84,816명
2위
796,748,052원
2022-12-30. 10일차(금)
128,415명
2위
1,274,960,392원
2022-12-31. 11일차(토)
205,331명
2위
2,082,426,698원
2023-01-01. 12일차(일)
185,114명
2위
1,907,498,119원
2023-01-02. 13일차(월)
68,902명
2위
653,609,764원
2023-01-03. 14일차(화)
61,492명
2위
577,041,019원
3주차
2023-01-04. 15일차(수)
48,333명
497,948명
4위
458,042,140원
4,937,689,951원
2023-01-05. 16일차(목)
49,248명
2위
465,448,078원
2023-01-06. 17일차(금)
63,322명
2위
623,152,982원
2023-01-07. 18일차(토)
133,415명
2위
1,365,243,965원
2023-01-08. 19일차(일)
125,892명
2위
1,278,854,920원
2023-01-09. 20일차(월)
39,872명
3위
383,354,199원
2023-01-10. 21일차(화)
37,816명
3위
363,043,267원
4주차
2023-01-11. 22일차(수)
38,134명
357,216명
3위
363,023,900원
3,555,515,804원
2023-01-12. 23일차(목)
35,106명
3위
335,025,204원
2023-01-13. 24일차(금)
45,542명
3위
454,608,636원
2023-01-14. 25일차(토)
95,968명
3위
976,561,904원
2023-01-15. 26일차(일)
88,188명
3위
897,466,687원
2023-01-16. 27일차(월)
27,581명
3위
266,780,098원
2023-01-17. 28일차(화)
27,097명
3위
262,049,375원
5주차
2023-01-18. 29일차(수)
14,837명
299,853명
5위
140,742,943원
3,076,278,980원
2023-01-19. 30일차(목)
15,375명
5위
147,769,019원
2023-01-20. 31일차(금)
23,644명
5위
241,429,723원
2023-01-21. 32일차(토)
43,505명
5위
454,257,024원
2023-01-22. 33일차(일)
59,601명
5위
628,931,820원
2023-01-23. 34일차(월)
83,565명
5위
860,414,136원
2023-01-24. 35일차(화)
59,336명
5위
602,734,315원
6주차
2023-01-25. 36일차(수)
16,872명
117,799명
7위
139,603,884원
1,143,459,804원
2023-01-26. 37일차(목)
11,213명
7위
107,470,059원
2023-01-27. 38일차(금)
13,182명
7위
131,516,186원
2023-01-28. 39일차(토)
28,417명
7위
290,100,144원
2023-01-29. 40일차(일)
28,083명
6위
286,597,820원
2023-01-30. 41일차(월)
9,766명
7위
92,278,488원
2023-01-31. 42일차(화)
10,266명
6위
95,893,223원
7주차
2023-02-01. 43일차(수)
8,310명
76,812명
8위
78,067,820원
761,443,980원
2023-02-02. 44일차(목)
8,397명
6위
78,803,222원
2023-02-03. 45일차(금)
9,634명
7위
95,668,134원
2023-02-04. 46일차(토)
19,001명
5위
195,242,181원
2023-02-05. 47일차(일)
17,716명
5위
181,839,089원
2023-02-06. 48일차(월)
7,016명
6위
67,584,397원
2023-02-07. 49일차(화)
6,738명
7위
64,239,137원
8주차
2023-02-08. 50일차(수)
5,780명
56,446명
8위
54,377,758원
559,312,574원
2023-02-09. 51일차(목)
5,301명
7위
50,888,544원
2023-02-10. 52일차(금)
7,480명
6위
72,723,333원
2023-02-11. 53일차(토)
13,872명
5위
143,584,737원
2023-02-12. 54일차(일)
12,696명
5위
131,000,106원
2023-02-13. 55일차(월)
5,243명
5위
49,734,376원
2023-02-14. 56일차(화)
6,074명
5위
57,003,720원
9주차
2023-02-15. 57일차(수)
3,188명
24,862명
7위
29,618,980원
248,287,121원
2023-02-16. 58일차(목)
2,386명
9위
22,996,293원
2023-02-17. 59일차(금)
2,857명
7위
28,966,581원
2023-02-18. 60일차(토)
6,087명
7위
62,639,158원
2023-02-19. 61일차(일)
5,205명
8위
54,608,761원
2023-02-20. 62일차(월)
2,562명
8위
24,806,970원
2023-02-21. 63일차(화)
2,577명
9위
24,650,378원
합계
누적 관객수 3,266,374명, 누적 매출액 32,242,366,182원[6]

1주일 전에 개봉한 아바타: 물의 길이라는 엄청난 기대작과 경쟁하며 2022년 겨울 극장 흥행을 이끌 것으로 보인다. CJ의 영화이니만큼 CGV를 동원한 스크린 독점 논란이 있을 수도 있다. 아바타: 물의 길의 경우 특별관 수요가 매우 높은 반면 일반관의 수요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라, 특별관을 아바타에 몰아 주고 일반관을 영웅과 나눠 갖는다면 두 영화 모두 높은 흥행을 기대할 수 있다.

  • 개봉 전
예매 관객 10만명을 돌파했다.

  • 1주 차
    • 개봉일 관객 수는 10만 명으로, 아바타: 물의 길에게 밀리며 2위로 출발했다. 1주차 관객 수는 96만 명으로 손익분기점 350만 명 달성에 적신호가 켜졌다.

  • 2주 차
    • 8일차에 관객 수 100만 명을 돌파했다.# 아바타: 물의 길과 마찬가지로 지난 주의 흥행 성적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는 꾸준한 흥행세를 보이고 있다. 영화의 완성도에는 아쉬움이 있지만 관객들에게 가장 임팩트가 클 음악의 수준은 훌륭하다는 평가를 받는 만큼 흥행 공식을 따른 이 영화도 입소문이 좋게 나고 있다는 호재를 맞이했다.

  • 3주 차
    • 이 주에는 장화신은 고양이: 끝내주는 모험, 스위치[7], 더 퍼스트 슬램덩크가 개봉했다.
    • 개봉 당일에 4위로 내려갔지만 주말에는 2위를 탈환했고, 월요일 더 퍼스트 슬램덩크에 밀려 3위로 내려갔다.
    • 18일차에 관객 수 200만 명을 돌파했다.#

  • 4주 차
    • 이 주에는 예술/인디/다큐 위주로 개봉하기 때문에 순위 변동 사항이 없이 3위로 유지했다.

  • 5주 차
    • 이 주에는 교섭유령이 개봉한다. 엄청난 기대작이 둘씩이나 개봉하는 데다 아바타: 물의 길도 설날까지 흥행세를 이끌어갈 것으로 보이기에 손익분기점 달성 여부가 불투명해졌으나 막상 두 작품 모두 호불호가 갈리는 데다 설날 특수도 있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미지수다.
    • 34일 차에 누적 매출액이 제작비의 2배 이상을 넘기는 데 성공했다.

  • 6주 차
    • 이 주에는 노래 자막 버전이 전국 극장에서 상영된다.
    • 38일차에 관객 수 300만 명을 돌파했다. 아바타: 물의 길과 더 퍼스트 슬램덩크 등의 쟁쟁한 경쟁작들을 상대로 6, 7위권을 유지하며 장기 상영하고 있다.

  • 7주 차 이후
    • 2월 28일부터 VOD 서비스를 시작한다. 누적 관객 수 기준으로 손익분기점인 350만에는 살짝 못 미치지만 손해는 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 8월 9일에 영화에서 편집된 "동양평화" 장면이 공개되었다. 뮤지컬과 똑같이 안중근과 치바 도시치가 함께 부른다. #

8.2. 북미[편집]




8.3. 중국[편집]




8.4. 일본[편집]




8.5. 영국[편집]




8.6. 기타 국가[편집]




9. 평가[편집]



9.1. 개봉 전[편집]


제작을 JK 필름에서 맡는다는 우려와 그래도 좋은 평가를 받는 원작 뮤지컬에 대한 기대감이 뒤섞여 기대 반, 걱정 반의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안중근 의사의 상징성과 지위를 생각하면 만약 영화가 혹평을 받을 경우 제작진에 대한 비판이 거셀 것으로 보인다. 현재 시사회에서 미리 관람한 씨네21 평론가들의 반응은 JK 필름의 이전 영화들과 비슷하다.


9.2. 개봉 후[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전형적인 JK 필름 영화라는 평가를 받았다. 같은 해에 개봉한 공조2: 인터내셔날도 호불호가 갈렸지만 그래도 신파극 요소는 자제하고 코미디에 집중한 공조 2와 달리 이번 영화는 윤제균이 직접 연출을 맡은 영화로 상황에 맞지 않는 유머 코드와 억지 감동을 남발했다는 반응이 있다.

영화라는 장르를 택했음에도 불구하고 독백 장면에서 컷 전환 없이 빙빙 도는 카메라 워킹에 대해서도 불호가 많다. 여기에 일부 장면들이 다른 뮤지컬 영화들의 연출법을 베껴온 것 같다는 의견도 존재한다.[8] 다시 말해 뮤지컬 영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자연스러운 전개가 이어지지 못하고 뮤지컬의 극 전환을 그대로 가져온 탓에 뮤덕에게 이럴거면 공연 실황 영화를 만들지 그랬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물론 뮤지컬 영웅의 팬들 중 정성화의 팬이라면 상당히 호평을 받을 수 있는 것이 정성화는 뮤지컬에서 보였던 좋은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나머지는 뮤지컬에 못 미친다는 의견이 있는데, 주인공 안중근을 빼곤 뮤지컬에 나온 배우들이 모두 바뀌었고 뮤지컬에 맞지 않는 팝류의 발성으로 넘버를 노래하기 때문에 톤이 맞지 않아 실망한 관객이 많았다.

대부분의 원작 뮤지컬 넘버를 그대로 가지고 왔고 동시녹음을 주로 했기 때문에 음악 퀄리티만큼은 굉장히 뛰어난 편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다만 '배고픈 청춘이여'의 경우 원작과는 전혀 다른 상황 연출로 극의 흐름을 깨고 마치 만두 광고를 보는 듯한 억지스러움을 자아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럼에도 일반 관람객의 평은 안중근을 주제로 한 영화로 애국심 버프를 받아 평론가 평가와 대조되게 상위권을 달리고 있다.[9]


9.3. 평론가 평[편집]


허남웅

어떤 소재든 웃기고 울려야 한다는 계산이 가져온 한계 | ★★☆


임수연

어떤 의미에서건 K상업영화의 진액이 총망라되다 | ★★★


이용철

웃음으로 눈물을 승화시키려는 이상한 의지 ★★☆


송경원

뮤지컬'영화'에 대한 오해가 빚은 과잉. 그럼에도 기어이 울리고 마는 빛나는 스코어들 | ★★★


박평식

경박하게 요란하게 비장하게 | ★★☆


김수영

이제껏 국내 뮤지컬영화와는 다른 고민과 선택, 그 부분이 빛난다 | ★★★


이동진

눈물도 웃음도 넘쳐흐른다 | ★★☆



10. 수상[편집]


연도
시상식
부문
수상자
2023
제59회 대종상
대종이 주목한 시선상(배우)
정성화
제43회 황금촬영상
촬영상-은상
조상윤


11. 기타[편집]


  • 인생은 아름다워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정말 오랜만에 시도되는 뮤지컬 영화 중 하나다. 이 영화가 먼저 촬영되었지만 배급사 사정 등으로 인해 늦게 나왔다. 가장 최근작이 2006년에 나온 구미호 가족삼거리극장이니 햇수로 16년만이다.[10]

  • 후술하듯 코로나 19로 인해 개봉이 연기되면서 원작 구연 서울 공연과 동시에 막을 올리게 되었다. 서울 공연은 2022년 12월 21일 LG아트센터 서울 LG SIGNATURE홀에서 개막했다.

  • 한국영화 최초로 배우들이 직접 노래를 부르는 라이브 녹음 방식을 선택해서 영화의 70%를 현장에서 녹음했다고 한다.#

  • JK 필름이 제작한 영화 중 처음으로 Dolby Atmos로 믹싱된 영화다.

  • 이토 히로부미 역을 재일교포가, 지바 도시치 역을 실제 일본인 배우가 연기했다. 이토는 작중에서 대사도, 노래도 전부 일본어만 쓰지만 지바는 한국어를 매우 잘 알아 심문 통역도 맡았다는 설정이라 안중근과 한국어로 대화하는데 확실히 일본인이 한국어를 쓴다는 티가 나므로 더욱 일본인 교도관으로써의 리얼리티가 살아났다.


  • 약간의 재현 오류들이 보이기도 한다.[11] OST 중 '출정식'이라는 곡에서 대동아공영(大東亜共栄)이라는 단어가 언급되는데 대동아공영, 대동아공영권이라는 슬로건은 실제 역사에서는 1940년대에 가서야 처음으로 대두되었다.가사 링크 음원 링크(유튜브. 해당 대목은 2분 33초부터) 대동아공영권의 개념은 일제가 3국 동맹과 세력 확장으로 자신감을 얻으며 대두된 개념으로 1909년 시점에서 언급하기에는 시기상으로 너무 빠르다. 또한 이토가 연설을 하는 장면을 비롯하여 욱일기를 중간에 크게 놓는 등 공식 국기처럼 사용하는데 욱일기는 일본의 국기가 아니라 일본군의 군기로 대동아공영권과 마찬가지로 국기와 더불어 많이 쓰이던 것은 1930년대, 1940년대 무렵이었다. 특히 그 당시는 아직 일본이 군국주의화되어 군부가 큰 힘을 갖기도 전이었으므로 더욱 적합하지 않으며 가운데에 빨간색 원 하나만 덩그러니 있는 일장기가 등장했어야 한다.

  • 역사 흐름이나 내용상의 재현 오류는 원작 가사를 그대로 따라간 탓에 그렇게 나왔지만, 복장이나 무기는 그런대로 맞는 편이다.
조도선이 종루에서 저격에서 사용하는 모신 나강은 후기형으로 보인다.
당시 나온지 10년도 안 된 최신 권총이던 루거 P08을 독립군 일본군/경찰이 두루 들고 나오는데, P08은 수출된 적이 있으며 노획 또는 장교들이 개인적으로 구입해 쓰기도 했으니 역시 완전한 오류는 아니다. 고풍스러운 외관에 일본군이 쓰던 남부 권총과도 실루엣이 비슷하여 대신 쓴 것으로 보인다. 안중근이 사용하는 마우저 권총도 실제로 독립군에서 쓰던 것. 특히 이토를 저격하는데 사용한 권총인 브라우닝은 원작 뮤지컬에서는 다른 총을 들고 나오지만 영화는 정확하게 재현했다.

  • 본래 2020년에 발표할 예정이었던 걸로 보아, 제작진은 뮤지컬판의 2017년 또는 2019년 버전을 참조한 것 같다.(두 버전은 큰 차이가 없으며, 영화에서는 그 부분 대사가 잘려서 표시가 안 난다.)

  • '영웅'의 사운드트랙 <그날을 기약하며>를 영화에 참여한 스태프들이 부른 버전이 있다. #

  • 곧 DVD가 출시된다. DVD에서는 삭제된 장면과 이현우, 박진주가 부른 OST '이것이 첫사랑일까'와 조재윤, 배정남이 부른 '아리랑'도 감상할 수 있다.

  • 작중 일본인들을 처형하려다 풀어주는 장면은 경주시에 있는 폐건물 근처에 있는 곳이다.[12]해당 거리뷰

  • 미스터션샤인에 나오는 배우가 셋이 또 나오는데 조도선 역의 배정남, 마두식 역의 조우진은 의병들을 돕는 인물들로, 일본경찰 역의 김중희는 친일파로 나온다.

  • 영화판의 넘버 출정식에 채택된 배경은, 안중근이 얼마나 거대한 적을 마주하고 있는지 보여준다.

11.1. 코로나 19로 인한 개봉 연기[편집]



  • 이후 겨울 개봉을 저울질하고 있었는데 코로나19 확산의 3차 웨이브가 겹치면서 연말 극장가가 정상 운영되기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해 겨울 성수기 개봉도 포기하며 개봉이 1년 가까이 지연되었다.[13]


  • 결국 3년 만인 2022년 12월 21일 개봉이 확정되었다.[14]



[1] 정확한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이 영화의 원작인 뮤지컬 영웅의 극본을 쓴 이와 동일인인 것으로 보인다.[2] 기사[3] 2023년 5월 9일 공개[4] 등급분류 결정내용: 독립투사들이 결의하며 함께 손가락을 자르는 장면, 칼로 목을 내려쳐 죽이는 장면, 폭탄이 떨어져 살상이 빚어지는 장면, 손발로 구타하는 장면 등 신체훼손 및 유혈이 표현되고 고문, 자살, 자해 등이 다뤄지지만, 독립운동의 대의와 관련된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는 내용이며, 뮤지컬 특유의 판타지가 표현의 자극을 완화하는 면도 있어 폭력성, 공포, 모방위험 수위가 보통인 12세이상관람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파일:영등위_공포_2021.svg파일:영등위_모방위험_2021.svg
[5] 영화 수록곡인 '영웅'과 '장부가'의 하이라이트 부분인 '장부가 세상에 태어나 큰 뜻을 품었으니 죽어도 그 뜻 잃지 말자' 와도 통한다.[6] ~ 2023/3/30 기준[7] 공교롭게도 스위치의 주인공이 배우여서 안중근이 잠시 다뤄졌다.[8] 예를 들어 설희의 계단 독백 장면은 실사판 알라딘자스민 공주Speechless 장면과 유사하다는 의견이 있다.[9] 올해 개봉한 영화 중에서 본작보다 평균적인 관객 평점이 높은 영화는 탑건: 매버릭올빼미뿐이다.[10] 2011년에 뮤지컬 넘버가 들어간 '멋진 인생'이라는 영화가 나왔지만 사실상 실제 뮤지컬 '스토리 오브 마이 라이프'의 페이크 메이킹 다큐멘터리에 가까웠던 작품이라 정식 뮤지컬 장르 극작품이라고 보기 어렵다. 다만 그 사이 드문드문 뮤지컬 형식을 시퀀스에 차용한 영화들은 몇 작품 있었고, 2020년 개봉한 영화 소리꾼도 '뮤지컬 영화'라고 홍보하기도 했다.[11] 물론 이는 원작 뮤지컬 넘버를 그대로 가져와서 그렇다.[12] 경북 경주시 암곡동 산 200[13] CJ엔터테인먼트의 계획은 12월 초 서복, 12월 말 영웅 개봉이었는데, 3차 확산이 발생한 이후 영웅 개봉을 연기하고 서복만 개봉하기로 결정했었다가 확산세가 너무 커지는 바람에 결국 서복도 개봉을 연기했다.#[14]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열린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윤제균 감독이 이 날에 영화가 개봉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