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기

덤프버전 :



1. 오경(五經)의 하나인 예기(禮記)
1.1. 개요
1.2. 성립
1.3. 주석서
1.4. 번역본
1.4.1. 완역본
1.4.2. 기타
1.6. 외부 링크
2. 銳氣
3. 預妓
4. 銳器


1. 오경(五經)의 하나인 예기(禮記)[편집]








1.1. 개요[편집]


오경 중의 하나다. 오경 중의 하나인데 예경(禮經)이라 부르지 않는 이유는 예기(禮記)란 삼대(하, 은, 주)의 예법에 대한 기록 혹은 그에 대한 주석이기 때문이다.


1.2. 성립[편집]


예기의 성립 과정에 대한 학설은 학계에서 그 의견이 다수 갈리나 대략적으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항상 극기복례(克己復禮) 즉 기존의 '주나라의 전통체계'로 돌아가는 것이 난세였던 춘추시대의 해결법이라 생각했던 공자(孔子)는 저서들을 술이부작(述而不作)하였다. 이에 춘추필법에 의하여 지은 춘추(春秋), 주나라와 그 이전 시대의 노래 등을 모은 모음집인 시경(詩經), 주나라와 그 이전 시대의 공문서 모음집인 상서(尙書)등이 서술되었다. 이는 훗날 사서삼경으로 발전되는데 이 중 삼대(三代)의 문물, 예법을 집대성 하여 체계화 시킬 필요성을 느낀 유가 지식인들이 이에 관련된 내용을 모으기 시작하여 이후 한(漢)나라 시기에 이르기 까지 집대성 된 총합이 지금의 예기를 이뤘다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다.

현재 전하고 있는 예기는 대성(戴聖)에 의해 집대성 되었다고 전해지며, 별칭은 소대례(小戴禮)라고 한다. 예기의 별칭이 '소대례'인 이유는 숙부인 대덕(戴德)이 남긴 대대례(大戴禮)와 구분하기 위함이다. 소대례와 대대례의 성립에 대해서도 또 두가지 설이 있는데, 하나는 수서 경적지(經籍志)[1]에 의한 설로, 본래 한서 예문지(藝文志)에 언급된 '기(記) 141편'에서 대덕이 먼저 85편을 뽑아 '예기'를 만들었고, 조카인 대성은 대덕의 예기에서 다시 46편을 골라 '예기'를 만들었으며, 이 대성의 예기에 후한 말 마융(馬融)이 3편을 추가해 지금의 49편 '예기'가 나타났다는 설이다. 이 설에 따르면 대대례기와 소대례기는 본래 하나였다는 말이 된다. 또 다른 설은 정현(鄭玄)의 육예론(六藝論)에서 '기 141편'을 보고 두 사람이 서로 별도의 축약본으로써 썼다-는 설이다. 어쨌든, '예기'라는 책은 공자 사후, 유가의 지식인들이 '예'에 대한 기록이나 공자의 언설을 중심으로 모아온 수많은 기술들로 구성된 '자료집'이며, 그 가운데 '대성'이 찬술한 '예기'가 대표적인 지위를 차지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1.3. 주석서[편집]


예기는 그 내용에 드러난 기물의 문제나 기간, 제도 등으로 인해 내용을 이해하기 쉽지 않아 여러 주석이 나타났던 것으로 보인다.[2] 그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은 정현의 '예기 주'.[3] 여기에 당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소를 달아 '예기정의'를 유통시켰으며, 이것이 13경주소에 포함되면서, 오랜기간 예기의 정통적 해석으로 굳혀졌다. 그랬던 것이 원나라의 주자학자 진호(陳澔)가 주자학적 입장에서 주석을 달았는데 이것이 '예기집설'(禮記集說)이다.[4]

사서의 하나인 대학(大學), 중용(中庸)은 이 예기의 한 편이었다.

예기는 기본적으로 17편에 불과한 의례, 6편으로 구성된 주례에 비교해 49편으로 기본적인 양부터 방대하며, 주석의 양도 매우 방대한 양을 자랑한다. 때문에 경문만 다 읽는 것도 일이라고 평가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예기의 내용은 의례의 해설, 음악, 정치, 학문 뿐만 아니라 예의 근본 정신까지 다방면에 걸쳐 서술되어 있어 고대인의 '예'에 관한 생각을 알 수 있음과 동시에 고대인의 생활상에 대해 다소나마 파악 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다.

우리나라에는 백제의 오경박사(五經博士) 등의 호칭이 삼국사기에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미 삼국시대에는 전래된 것으로 생각되며 일본에도 전파되었다 한다.

조선 초의 유학자 권근이 저술한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유교 경전 주석서 오경견천록 중 예기에 해당하는 예기견천록이 한국 최초의 예기 주석서이다. 이 예기견천록은 한국 경학의 정수임과 동시에, 조선의 독자적인 유교적 학맥을 설립할 수 있었던 근본으로 평가받는더.

1.4. 번역본[편집]



1.4.1. 완역본[편집]


현재 예기의 완역본으로는 3종이 있다.
① 하나는 1987년 이상옥 교수가 번역한 명문당판 예기이고, ② 또 하나는 2000년 한학자 지재희가 번역한 자유문고판 예기이다. 이 두 번역은 모두 예기의 경문만을 번역하고 있다.
③ 나머지 하나가 정병섭이 번역한 『예기집설대전』이다.[5] 학고방에서 지난 2009년부터 출간, 판매하고 있으며, 드디어 2017년 12월 완간되었다. 전체 권수가 무려 53권이다.(쪽수 계산도 힘들다.) 정병섭은 이에 그치지 않고 2018년 9책 분량으로 김재로의 『예기보주』마저 완역하였으며, 한술 더떠 2019년 10월 조선 초의 유학자 권근이 저술한 한국 최초의 예기 주석서 『예기천견록』까지 7책 분량으로 완역하는 기염을 토했다.이쯤되면 무섭다. 통상 『대학』과 『중용』은 사서로 분류해서 번역에서 빼버리는 기존의 관행과는 달리[6] 『예기정의』의 대학편, 중용편을 기준으로 번역해서 전체 편을 꽉 채웠다. 최초 완역이라는 점뿐 아니라 이 측면에서도 의미를 찾을 수 있는 번역. 출판사의 문제인지 번역자의 의도인지는 모르겠으나 완벽히 순차적으로 출간된 것은 아니며, 막대한 주석의 양 때문인지 1권에 1개의 편을 다룬다.


1.4.2. 기타[편집]


그 외에 완역을 목표로 하였으나 이뤄지지 못한 경우도 있다. 신승운 번역본과 송명호 번역이 그것. 신승운 번역본은 1책만, 송명호 번역본은 2책만이 출간되었다.[7] 최근 앞서 신승운 번역본을 출간했던 전통문화연구회에서 십삼경주소 번역에 나서면서 『예기정의』역시 번역되기 시작했는데, 하필이면 중용과 대학만 따로 떼서 번역을 했다. 번역자는 퇴계 전공자인 이광호 연세대 명예교수. 번역의 품질을 논하기에 앞서 명색이 '십삼경주소'의 완간을 목표로 한다면서 주희가 분리해 놓은 체제를 그대로 따른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1.5. 관련 고사성어[편집]




1.6. 외부 링크[편집]




2. 銳氣[편집]


날카로운 기세를 뜻한다. 무협지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


3. 預妓[편집]


관기로 지원해서 들어온 기생.


4. 銳器[편집]


, 등의 칼날을 가진 날카로운 무기. 날붙이라고도 하며, 반댓말은 둔기.

[1] 당시까지 출간된, 혹은 되었다고 전해지는 서지에 대한 목록집이다. 한서의 예문지와 같은 성격.[2] 이것은 삼례, 즉 『주례』와 『의례』도 마찬가지이다.[3] 경학사적으로 정현이라는 존재는 매우 대단하다. 일단 13경주소 체제를 기준으로 설명할 때, 그의 주석이 채택된 경전이 『예기』, 『의례』, 『주례』, 『모시』 등 4종에 달한다는 점만 봐도 그렇고, 그의 독립 저작이 남아 있지 않은 다른 경전의 경우에도, 타인에 의해 인용된 예가 수두룩하다. 그 뒤로 경학사에서 이 정도의 압도적인 위상을 갖는 것은 사서와 시경, 주역 등에 주석을 남긴 주희를 들 수 있는데, 주희의 설 조차도 정현의 설을 다수 인용한 부분이 보인다. 그야말로 경학사에서는 끝판왕 급의 비중을 갖는 셈.[4] 그리고 영락제 때, 영락제의 명을 받은 호광에 의해서 여기에 대한 소가 또 붙었는데 이것이 '예기집설대전'이다.[5] 정병섭은 성균관대에서 『예기』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곧, 전공자의 '연구번역'인 셈.[6] 실제로 진호, 호광의 원본도 두 책을 제외하고 있다.[7] 각기 곡례, 곡례~문왕세자까지 번역되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23:39:32에 나무위키 예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