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오랑캐 만

부수
나머지 획수


, 19획


총 획수


25획



미배정








일본어 음독


バン


일본어 훈독


えびす






표준 중국어


má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蠻은 '오랑캐 만'이라는 한자로, '오랑캐'를 두루 일컫기도 하고, '남쪽의 오랑캐'만을 일컫기도 한다. 또 이에서 비롯해 '야만'(野蠻)을 뜻하기도 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오랑캐



중국어
표준어
mán
광동어
maan4
객가어
màn
민북어
mâing
민동어
màng
민남어
bân
오어
me (T3), 'me (T1)

일본어
음독
バン
훈독
えびす

베트남어
mán

학자들의 재구에 따르면 상고한어에서 해당 한자의 발음은 '므론(/*mron/)'에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어떤 민족집단을 가리키던 명칭인지는 불분명하나, 미얀마의 옛 발음인 မြန်မာ(mranma)[1] 또는 티베트어로 '노예'를 뜻하는 བྲན (/*bran/)[2]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유니코드에는 U+883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女火中一戈(VFLMI)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벌레 훼)와 소리를 나타내는 (어지러울 련)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䜌 자가 성부인 한자들이 다들 그렇듯 약자에서는 䜌을 亦으로 대체한다.

를 비롯한 䜌 계열의 한자들은 한국에 한자가 수입될 때 蠻의 영향으로 인해 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이 '만' 음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들 중 대부분은 원음이 '완'이다.

오어와 같은 중국어의 일부 방언에서는 이 글자가 과 같이 '매우'라는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 (오랑캐 곤, 섞일 혼)
  • (오랑캐, 북쪽 오랑캐 적)
  • (오랑캐, 동쪽 오랑캐 이)
  • (오랑캐, 서쪽 오랑캐 융)
  • (오랑캐 흉, 흉노 흉)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𦦽(퍼낼 견, 헤아릴 반)
  • 𧟏(곤룡포 곤)[3]
  • 𩏹(다룸가죽 권)
  • 𢍶(술국자 권)
  • (술국자 권, 퍼낼 판)
  • (질그릇 라)
  • (난새 란)
  • (단란할 란)
  • (땅거미질 란)
  • (방울 란, 보습 거)
  • (새어흐를 란)
  • 𠨫(알 란)[4]
  • (큰허리띠 란)
  • (그리워할/그릴 련)
  • 𨏶(꿰맬 련)
  • (더위잡고오를 련)
  • 𠮖(더위잡고기어오를 련)
  • 𩪾(몸굽는병 련)
  • (손발굽을 련)
  • (쌍둥이 련/산)
  • (아름다울 련)
  • 𦣏(여윈모양 련)
  • (저민고기 련)
  • (비율 률, 거느릴 솔)[5]
  • (굽을 만)
  • (멧부리 만)
  • (볼 만)
  • /𣀵/𠮓/𦇥(변할 변)
  • 𣦱/𦇷(고삐 비)[6]
  • (고삐와재갈 비)
  • 孿(쌍둥이 산/련)
  • 𥀺(부드러울 섭)
  • 𠠪(깎을 완)
  • 𨊟(련)
  • 𠙳
  • 𤓖
  • 𪭗
  • 𤫜
  • 𧮌
  • 𦫲
  • 𩙟
  • 𪈽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3:10:18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는 '며마'에 가깝게 독음이 변했다.[2] 현재는 '쎙'에 가깝게 발음한다.[3] (곤룡포 곤)의 동자[4] (알 란)의 동자[5] (비율 률, 거느릴 솔)의 고자[6] (고삐 비)의 동자